KR101829717B1 - 농기계 바인더 - Google Patents

농기계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717B1
KR101829717B1 KR1020170107841A KR20170107841A KR101829717B1 KR 101829717 B1 KR101829717 B1 KR 101829717B1 KR 1020170107841 A KR1020170107841 A KR 1020170107841A KR 20170107841 A KR20170107841 A KR 20170107841A KR 101829717 B1 KR101829717 B1 KR 10182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binder
coupled
interlock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범선
Original Assignee
강범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범선 filed Critical 강범선
Priority to KR102017010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4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농기계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되, 이랑과 고랑의 깊이 및 폭을 고려하여 한 쌍의 뒷바퀴의 간격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수확위치를 고려하여 전방을 지지하는 앞바퀴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수확이 용이한 농기계 바인더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랑 및 고랑의 폭에 따라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랑 및 고랑의 높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뒷바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랑 및 고랑의 폭 및 높이를 고려하여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앞바퀴의 높이를 조절하여 바인더 전방의 높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수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바인더{Agricultural Machine Binders}
본 발명은 농기계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되, 이랑과 고랑의 깊이 및 폭을 고려하여 한 쌍의 뒷바퀴의 간격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수확위치를 고려하여 전방을 지지하는 앞바퀴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수확이 용이한 농기계 바인더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바인더는 벼나 보리, 콩 등의 작물을 수확하는데 사용하는 농업기계로서, 작물을 베는 동시에 다발로 묶어내는 자업을 일관해서 하는 예취결속기 이고, 픽업장치, 예취부, 결속부, 주행부 등으로 구성되며, 러그(lug)가 붙어 있는 픽업장치에 의해 넘어진 작물을 적당한 상태로 일으켜서 예취부로 공급하면, 예취부에 있는 왕복날에 의해서 작물이 베어지게 되고, 베어진 작물은 수송장치에 의해서 결속부에 모여, 묶여진 후 측면으로 이송시킨다.
바인더의 일예로서, 콩 수확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을 기준으로 프레임(4)의 전방에 안내판(1)과 높이 조절바퀴(2)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엔진(31)과 구동부(30, 33)가 구비되며, 후방에 각종 레버(40, 50, 36)와 수집판(28)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은 수직 프레임(27)과 함께 예취 장치(1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한다. 안내판(1)은 콩 줄기가 일렬로 벨트(5)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안내판(1)의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여 콩 줄기가 용이하게 벨트(5)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삭 톱날(10)은 안내판(1)을 통해 일렬로 이동되는 콩 줄기를 절단한다. 절삭톱날은 원형의 회전 톱날로 구성된다. 벨트(5)는 절삭 톱날(10)에 의해 절단된 콩 줄기를 벨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6)를 사용하여 수집판(28)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벨트(5)를 구동시키는 롤러는 전방롤러(7)와 상부롤러(16)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전방롤러(7)와 하부롤러(17)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방롤러(7)에 대해,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는 90도 회전되어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전방롤러(7)에 수직으로 인입된 콩줄기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의 회전위치에 의해 수평으로 수집판(28)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예취 장치(100)는 수집판(28)에 콩줄기를 차곡차곡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집판(28)은 벨트(5)에 의해 이동된 콩 줄기를 수집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프레임(4)의 전방에 위치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콩 줄기의 절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레버(40)에 의해 지지대(3)의 각도를 변경시켜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엔진(31)은 구동부를 구성하는 미션(30)을 통해 구동 바퀴(33)에 동력을 전달하여 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절삭 톱날(10)을 동작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이때 손잡이(35)에 형성된 클러치 레버(36)에 의해 구동 바퀴(33)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수집 배출판(29)은 힌지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집판(28)을 통해 수집된 콩줄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수집 배출판(29)의 동작은 배출 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배출 조작부(51,52)의 동작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별도의 배출 레버(50) 없이도, 소정량의 콩줄기가 수집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인더의 일예인 콩 수확기는 이랑의 높이가 바인더의 높이보다 높거나 고랑의 깊이가 바인더의 높이보다 깊으면,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높이 조절 바퀴에 의해 전방의 높이가 조절되나, 높이 조절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지지대와 상기 조절레버와 연결되는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작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회전되며 바인더의 전방의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논이나 밭에서는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13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621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3226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84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바인더는 이랑 또는 고랑에 따라 후방의 높이조절 및 뒷바퀴의 간격조절이 불가능하여 작업이 효율적이 못하고, 전방의 높이조절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고장 발생이 잦은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1,2연동축 및 몸체하우징을 이용하여 바인더의 구동축과 뒷바퀴의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몸체프레임에 의해 보호되되, 슬라이딩방법으로 앞바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농기계 바인더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바인더의 몸체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축의 양측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뒷바퀴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간격조절부와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되, 길이가 가변되고, 하부 말단에 앞바퀴가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바인더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평간격조절부는 바인더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제1톱니를 구비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1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제1연동축과 일측에 제2톱니를 구비하여 제1연동축의 제1톱니와 연결되고, 타측에 뒷바퀴가 고정결합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2체결홀(124)이 관통형성된 제2연동축 및 상기 제1연동축의 타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1톱니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연동축의 일측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2톱니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부는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프레임의 중공에 하부가 인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부 및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하부가 인입되고, 상부가 상기 조작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하부에 앞바퀴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프레임의 중공에 인입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는 회전조인트와 상기 회전조인트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바인더의 조작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농기계 바인더는 이랑 및 고랑의 폭에 따라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랑 및 고랑의 높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뒷바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랑 및 고랑의 폭 및 높이를 고려하여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앞바퀴의 높이를 조절하여 바인더 전방의 높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수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인더를 나타내는 측면투사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평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평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평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몸체프레임를 나타낸 부분 측면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연장프레임과 회전브라켓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
본 발명은 농기계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되, 이랑 및 고랑의 폭에 따라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20)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랑 및 고랑의 높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뒷바퀴(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랑 및 고랑의 폭 및 높이를 고려하여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앞바퀴(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전방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물의 수확이 용이한 농기계 바인더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바인더의 몸체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축의 양측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뒷바퀴(20)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간격조절부(100);와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되, 길이가 가변되고, 하부 말단에 앞바퀴(30)가 결합되는 높이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평간격조절부(100)는 바인더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제1톱니(112)를 구비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1체결홀(114)이 관통형성된 제1연동축(110);과 일측에 제2톱니(122)를 구비하여 제1연동축(110)의 제1톱니(112)와 연결되고, 타측에 뒷바퀴(20)가 고정결합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2체결홀(124)이 관통형성된 제2연동축(120); 및 상기 제1연동축(110)의 타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1톱니(112)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연동축(120)의 일측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2톱니(122)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부(200)는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프레임(210);과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하부가 인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부(220); 및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220)의 하부가 인입되고, 상부가 상기 조작부(22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하부에 앞바퀴(30)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22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인입되는 회전프레임(221);과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는 회전조인트(222);와 상기 회전조인트(222)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바인더의 조작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프레임(223); 및 상기 연장프레임(223)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부(200)는 바인더의 몸체 측면에 설치되어 연장프레임(223)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브라켓(2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200)는 바인더의 몸체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연장프레임(223)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브라켓(2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223)은 외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브라켓(226)의 전후방향에 형성되어 회전브라켓(226)의 외측이 걸리는 한 쌍의 고정홈(223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수평간격조절부(100)는
바인더의 몸체(미도시)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축(미도시)의 양측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뒷바퀴(20)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랑 또는 고랑의 폭에 따라 한 쌍의 뒷바퀴(20) 상호의 간격을 조절하여 바인더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축은 바인더의 몸체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양측에 연결설치된 뒷바퀴(20)를 구동시키고, 본 발명에서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제1연동축(110)과 연결되어 상기 제1연동축(110)을 회전시켜 뒷바퀴(20)를 구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수평간격조절부(100)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몸체하우징(130)을 회전시킴으로써, 뒷바퀴(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켜 바인더 후방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평간격조절부(100)는 바인더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제1톱니(112)를 구비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1체결홀(114)이 관통형성된 제1연동축(110);과 일측에 제2톱니(122)를 구비하여 제1연동축(110)의 제1톱니(112)와 연결되고, 타측에 뒷바퀴(20)가 고정결합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2체결홀(124)이 관통형성된 제2연동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동축(110)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바인더의 구동축이 인입되어 상기 제1체결홀(114)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홀(114)에 의해 뒷바퀴(20)와 바인더의 간격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바인더의 구동축은 제1체결홀(114)과 대응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연동축(110)은 제1톱니(112)가 타측에 구비되어 제2연동축(120)의 제2톱니(122)와 연결되어 상기 제2연동축(120)의 타측에 결합되는 뒷바퀴(20)가 제1연동축(11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2연동축(12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되는 제2톱니(122)가 제1연동축(110)의 제1톱니(112)와 연결됨으로써, 구동축의 구동이 제1연동축(110)을 거쳐 전달되어 타측에 고정결합되는 뒷바퀴(2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연동축(120)은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2체결홀(124)이 관통형성됨으로써, 고정결합되는 뒷바퀴(20)의 위치 즉, 바인더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제1연동축(110)으 제1체결홀(114)과 함께 뒷바퀴(20)를 더욱 안정적으로 바인더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제2연동축(120)은 제1연동축(110)의 타측에 직접 뒷바퀴(20)가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뒷바퀴(20)가 설치되는 타측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뒷바퀴(20)의 구동에 의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제1연동축(110)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나, 중공이 형성되지 않아 제1연동축(110)에 비해 강성이 강한 제2연동축(120)에 뒷바퀴(20)가 결합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뒷바퀴(20)가 구동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연동축(110)과 제2연동축(120)은 제1톱니(112)와 제2톱니(122)에 의해 연결되는 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몸체하우징(130)에 의해 뒷바퀴(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수평간격조절부(100)는 상기 제1연동축(110)의 타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1톱니(112)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연동축(120)의 일측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2톱니(122)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하우징(130)은 제1연동축(110)과 제2연동축(120)을 연결하는 체인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제1연동축(11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뒷바퀴(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몸체하우징(130)은 제1,2톱니(112)(114) 및 상기 제1,2톱니(112)(114)를 연결하는 체인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연동축(110)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후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뒷바퀴(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후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종래에 회전축을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베어링 등의 외측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을 일부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는 어떠한 기술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몸체하우징(130)은 제1연동축(110)과 제2연동축(120)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바인더 후방의 높이를 높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가 조절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몸체하우징(130)은 제1,2연동축(110)(120)과 함께 이랑 또는 고랑의 높이 및 깊이와 더불어 작물의 수확 높이에 따라 제1연동축(11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뒷바퀴(20)의 높이가 조절되고, 이는 작물의 수확이 원활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높이조절부(200)는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되, 길이가 가변되고, 하부 말단에 앞바퀴(3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작물의 수확 높이에 맞춰 바인더의 몸체 전방의 높이조절이 필요할 때, 길이를 가변시켜 앞바퀴(30)가 바인더의 몸체 전방과 상하로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바인더 몸체 전방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200)는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프레임(210);과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하부가 인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부(220); 및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220)의 하부가 인입되고, 상부가 상기 조작부(22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하부에 앞바퀴(30)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프레임(210)은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면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220)의 하부와 이동프레임(230)의 상부가 상기 중공에 내입되어 보호함으로써, 종래에 높이조절장치에 비해 더욱 안정적으로 앞바퀴(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몸체프레임(210)은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면에 일측이 고정결합되되,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몸체프레임(210)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조작부(220)의 회전에 의해 이동프레임(230)이 나사산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조작부(220)는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가 인입되되,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외주연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0)는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가 몸체프레임(210)의 내부에서 회전되고,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이동프레임(230)의 상부가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산을 따라 앞바퀴(30)가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조작부(220)를 설명하면,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인입되는 회전프레임(221);과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는 회전조인트(222);와 상기 회전조인트(222)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바인더의 조작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프레임(223); 및 상기 연장프레임(223)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21)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인입 즉, 내입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나사산에 상부가 나사결합되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이동프레임(230)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앞바퀴(30)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회전조인트(222)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연장프레임(223)이 바인더의 조작부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지도록 바인더 몸체 전방에 결합되는 몸체프레임(210)에 내입되는 회전프레임(221)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관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회전조인트(222)는 회전프레임(221)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연장프레임(223)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됨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손잡이부(224)에 의해 연장프레임(223)이 회전되면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프레임(221)에 전달하여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프레임(221)의 나사산을따라 이동프레임(230)이 이동된다.
상기 연장프레임(223)은 회전조인트(222)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바인더의 조작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조작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쉽게 손잡이부(224)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손잡이부(224)는 연장프레임(223)의 상부에 일측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브라켓(미표시)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파지봉(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파지봉을 파지하여 연장프레임(223)을 축으로하여 브라켓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장프레임(22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4)의 파지봉을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연장프레임(223)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연장프레임(223)의 회전력을 회전조인트(222)를 통해 회전프레임(221)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프레임(2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나사산에 상부가 나사결합된 이동프레임(230)이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200)는 상기 연장프레임(223)의 안정적인 회전과 지지를 위해 바인더의 몸체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프레임(223)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베어링브라켓(2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브라켓(225)은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220)의 하부 즉, 회전프레임(221)이 인입되고,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내측면에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이동뭉치(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앞바퀴(3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230)은 사용자가 손잡이부(224)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프레임(221)이 회전되면, 상기 이동뭉치(232)가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하부에 결합된 앞바퀴(30)가 바인더 몸체의 전방과 이격되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바인더 전방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물의 위치에 따라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200)는 바인더의 몸체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연장프레임(223)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브라켓(2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223)은 외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브라켓(226)의 전후방향에 형성되어 회전브라켓(226)의 외측이 걸리는 한 쌍의 고정홈(223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브라켓(226)과 연장프레임(223)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홈(223a)은 앞바퀴(30)의 높이 조절이후 바인더의 이동에 따라 진동 및 앞바퀴(30)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연장프레임(22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높이조절부(200)를 작동시켜 바인더 전방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회전브라켓(226)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브라켓(226)의 상부와 하부가 연장프레임(223)의 고정홈(223a)에 끼움결합되면,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연장프레임(22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앞바퀴(3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223a)은 상기 회전브라켓(226)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23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면(223b)을 따라 회전브라켓(226)의 상부와 하부가 연장프레임(223)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끼움결합되어 연장프레임(223)의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20 : 뒷바퀴 30 : 앞바퀴
100 : 수평간격조절부 110 : 제1연통축
112 : 제1톱니 114 : 제1체결홀
120 : 제2연동축 122 : 제2톱니
124 : 제2체결홀 130 : 몸체하우징
200 : 높이조절부 210 : 몸체프레임
220 : 조작부 221 : 회전프레임
222 : 회전조인트 223 : 연장프레임
224 : 손잡이부 230 : 이동프레임

Claims (5)

  1. 바인더의 몸체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축의 양측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제1톱니(112)를 구비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1체결홀(114)이 관통형성된 제1연동축(110);과
    일측에 제2톱니(122)를 구비하여 제1연동축(110)의 제1톱니(112)와 연결되고, 타측에 뒷바퀴(20)가 고정결합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복수 개의 제2체결홀(124)이 관통형성된 제2연동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간격조절부(100);와
    바인더의 몸체 전방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프레임(210);과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하부가 인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부(220); 및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220)의 하부가 인입되고, 상부가 상기 조작부(22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하부에 앞바퀴(30)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바인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간격조절부(100)는
    상기 제1연동축(110)의 타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1톱니(112)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연동축(120)의 일측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2톱니(122)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바인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2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프레임(210)의 중공에 인입되는 회전프레임(221);과
    상기 회전프레임(221)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는 회전조인트(222);와
    상기 회전조인트(222)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바인더의 조작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프레임(223); 및
    상기 연장프레임(223)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바인더.
KR1020170107841A 2017-08-25 2017-08-25 농기계 바인더 KR10182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41A KR101829717B1 (ko) 2017-08-25 2017-08-25 농기계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41A KR101829717B1 (ko) 2017-08-25 2017-08-25 농기계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717B1 true KR101829717B1 (ko) 2018-02-19

Family

ID=6138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841A KR101829717B1 (ko) 2017-08-25 2017-08-25 농기계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07A (ko) * 2021-09-07 2023-03-14 노정현 작업성능이 우수한 작물 줄기 절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250Y1 (ko) 1998-03-04 2000-04-15 임종록 경운기를 이용한 마늘 수확장치
KR100287386B1 (ko) * 1999-04-29 2001-04-16 김웅길 보행형 예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250Y1 (ko) 1998-03-04 2000-04-15 임종록 경운기를 이용한 마늘 수확장치
KR100287386B1 (ko) * 1999-04-29 2001-04-16 김웅길 보행형 예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07A (ko) * 2021-09-07 2023-03-14 노정현 작업성능이 우수한 작물 줄기 절단장치
KR102564727B1 (ko) * 2021-09-07 2023-08-07 노정현 작물 줄기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5982B2 (en) Stalked crop harvesting header frame
EP2108243B1 (en) Auxiliary drive mountable to a reel mower cutting unit
EP2108242A1 (en) Auxiliary drive mountable to a reel mower cutting unit
EP2108241A1 (en) Auxiliary drive mountable to a reel mower cutting unit
US9775295B2 (en) Drive system for the reel of a crop harvesting header
KR101829717B1 (ko) 농기계 바인더
KR101864595B1 (ko) 작물 수확기
RU2700880C2 (ru) Подборщик продуктов урожая и машина для сбора урожая
EP2353361B1 (en) Height of cut adjuster assembly for a reel mower cutting unit
JP5744122B2 (ja) 田植機
CA2888545C (en) Drive system for the reel of a crop harvesting header
JP7104901B2 (ja) コンバイン
JP3677624B2 (ja) 作業機
KR200473861Y1 (ko) 야채 수확기
JP2000157033A (ja) 農作業車の穀稈搬送供給装置
JP2003210020A (ja) 作物収穫機の作物引上移送装置
JPH11187727A (ja) 収穫機
JPH11346521A (ja) 作物の収穫機
KR920001890B1 (ko) 소형 예취기
JP2004073115A (ja) 収穫機などの縦向き茎葉引起こし装置
JP3847209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789718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第二刈取装置
JP2002191214A (ja) 剪葉機
JP2003204713A (ja) 作物収穫機の作物分離装置
JP2020080716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