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714B1 -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714B1
KR101829714B1 KR1020160109405A KR20160109405A KR101829714B1 KR 101829714 B1 KR101829714 B1 KR 101829714B1 KR 1020160109405 A KR1020160109405 A KR 1020160109405A KR 20160109405 A KR20160109405 A KR 20160109405A KR 101829714 B1 KR101829714 B1 KR 10182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대
Original Assignee
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대 filed Critical 최종대
Priority to KR102016010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착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형 보호필름 없이도 제품의 권취시 접착층의 붙음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은, 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 상에 형성된 고광택,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 특성을 가진 광경화성 수지층(20);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형성되고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될, 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가소성 접착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Thermal Transfer Film for Surface Prot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고광택,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 특성을 가진 광경화성 수지층;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 상에 형성되고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될, 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가소성 접착층(30)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형 보호필름 없이도 제품의 권취시 접착층의 붙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보호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수지판, 금속박이나 금속판 제품(이하, '피착체'라고 한다)의 제조공정 중 또는 수송 중에 스크래치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피착체의 표면에 접착하는 점착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말하며, 표면보호시트라고도 한다.
상기 표면보호필름은, 사용 조건에 견딜수 있는 최소한의 점착 기능을 유지하면서 표면보호 역할을 완료하였을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밀착력을 갖고, 피착체에 오염이나 스크래치(scratch)의 흔적을 남기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피착체에 표면보호필름이 접착된 후 롤 상으로 권취될 수 있고, 권취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시 필름 자신의 장력에 의해 내부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도 전사 결점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종래의 전사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수지(UV 수지) 내에 실리콘이나 불소계의 이형성 첨가제를 채용하여 이형성을 부여하거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기재 필름 표면에 아크릴, 실리콘 또는 왁스 등의 이형제 코팅층을 형성하여 광경화성(UV) 수지층과의 이형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사필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수지(UV수지)와 접착제 간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부분 경화(semi-curing)시킨 후에 접착력 강화 코팅(anchor coating, primer coating)을 실시하고, 열경화성 및 가소성 접착제 코팅을 한 후에, 광경화성 수지를 2차 경화시키고, 피착 플라스틱과 접착을 진행한다.
이때, 열경화성 혹은 열가소성 접착층은 잔류 점착력(tack)이 높아서 권취시 에 접착층의 붙음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보호용 이형 필름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형 보호필름 없이도 제품의 권취시 접착층의 붙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은, (A)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 (B)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광경화성 수지층; 및 (C)상기 광경화성 수지층 상에 형성되고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될, 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가소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15~100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의 두께는 2~7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10~35중량부 및 접착보강제 0.1~5중량부 및 광개시제 5~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pentaerythritol triacrylate)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보강제는 폴리에테르변성 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제조방법은, (a) 표면 무처리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기재층 상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10~35중량부 및 접착보강제 0.1~5중량부 및 광개시제 5~15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고 완전 경화시켜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 상에 에스테르 공중합체 접착제를 코팅하여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이 접착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형 보호필름 없이도 제품의 권취시 접착층의 붙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제조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고광택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특성이 있는 전사형 광경화성 수지를 적용할 경우, 지지 필름에 이형 박리를 위한 별도의 처리가 필요 없으며, 광경화성 수지(UV수지) 내에 이형 첨가제 등을 첨가하지 않고 전사형 보호필름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전사필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10); (B)상기 기재층(10) 상에 형성된 광경화성 수지층(20); 및 (C)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형성되고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될, 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가소성 접착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전사필름은, 사출 및 압출 공정을 거쳐 형성된 각종 플라스틱 표면에, 고광택 특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표면의 내스크래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형 특성 및 코로나 코팅 등의 표면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기재층(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광중합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표면경화 특성과 내화학적 특성을 유지한 상태로 이형 특성을 가진 다관능성 모노머와 기타 첨가제로 구성된 광경화성 수지층(20)을 포함한다.
또한, 에스테르 중합체와 기능성 첨가제를 가진 열가소성 접착층(3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0)은 일반적인 표면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스터 필름(이하 PET 필름)이고, 상기 광경화(UV)수지층(20)은 높은 광택도와 표면 경도와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오염성을 가지고 열에 의하여 전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접착층(30)은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와의 접착을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기재층(10), 광경화(UV)수지층(20) 및 열가소성 접착층(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
본 발명의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에 있어서, 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10)은 15~100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기재층(10)은, SKC SG00 타입 15, 25, 31, 36, 38, 50, 75, 100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B) 광경화성 수지층
본 발명의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UV수지)층(20)은 상기 기재층(10) 상에 형성된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은, 고광택성을 가지고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상태에서, 광경화 후에 지지체와의 박리특성, 이형특성 및 전사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형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존의 실리콘, 왁스, 아크릴, 불소 화합물 등을 포함하지 않은 광경화성 수지를 적용한다.
즉 광경화성 수지층(20) 자체에 이형 특성을 부여하여, ABS, 아크릴, PVC, PP 및 PC 등과 같은 피착 플라스틱과의 합지시, 최종 경화를 추가로 실시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도가 우수하고, 무색투명하며, 고광택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전사형 광경화성 수지를 채용함으로써, 지지 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형 및 박리를 위한 별도의 처리가 필요 없고, 광경화성 수지(UV수지) 내에 이형 첨가제 등을 첨가하지 않고도 전사형 보호 필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은, 2~7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4~5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경도, 말림성, 굴곡성 및 내화학성을 갖지 때문이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UV수지)는, 경화 후에 높은 표면 경도와 내화학적 특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추가로 전사특성을 갖기 위하여, 에폭시와 고중합도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그리고 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사 특성을 가진 광경화성 수지(UV수지)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10~35중량부 및 접착보강제 0.1~5중량부 및 광개시제 5~15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성 수지 도막의 경화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높은 경화도로 인하여 쉽게 부서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채용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도막을 질기고 강하게 만드는 인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다관능성 모노머로 사용되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는, 광경화성 수지(UV수지)의 도막의 경도와 인성 물성에 영향을 덜 미치게 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광개시형 수지(UV수지)의 점도를 낮추어 도막의 코팅 특성을 향상시키는 희석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기재/지지체(PET 필름)와의 화학 반응을 최대한 억제하여, 광경화성 수지(UV수지)와 기재/지지체(PET 필름)사이의 접착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사가 쉽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사 특성으로 인하여, 기재 필름 표면에 아크릴 이형 및 실리콘 이형 등의 이형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도, 전사를 쉽게 할 수 있는 광경화성(UV) 수지를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광경화성 수지(UV수지)의 경우에는, 경화 후에 타 물질과의 접착 능력이 떨어지기 떨어지기 때문에 접착 보강층(anchor coating layer)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광경화성 수지(UV 수지) 내에 접착보강제를 첨가하여 광 경화성 수지와 접착제 간의 접착이 충분히 가능하므로, 별도의 접착 보강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광경화형 수지 내에 첨가되는 첨가제 중, 슬립제, 실리콘, 불소계 계면활성제, 코팅 레베링제 등은 접착력을 저하시키므로, 최대한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여야 광경화형 수지(UV수지)와 접착제 간에 접착력 강화를 위한 접착 보강층(anchor coating layer)이 필요치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첨가제 등을 적용하지 않고, 이형성을 갖고 있으면서 도막의 슬립성과 레벨링성이 우수한 접착보강제로서, 아크릴 관능기가 있는 폴리에테르변성 디메틸실록산을 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3중량부를 첨가한다.
이에 따라 광경화형 수지(UV수지)의 코팅특성 및 기재/지지체와의 이형성을 유지하면서 에스테르 공중합체 접착제와의 접착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경화형 수지(UV수지)와 기재/지지체와의 접착력보다 광경화성 수지(UV수지)와 에스테르 공중합체 접착제 간의 접착력이 높기 때문에 전사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C) 열가소성 접착층
본 발명의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에 있어서, 열가소성 접착층(30)은 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되어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형성되고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된다.
종래의 열경화 접착층은, 접착 후에도 점착력(끈적거림, tack)이 존재하기 때문에 롤 상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필름 간에 붙음 방지를 위해 이형 보호필름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력이 없는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이형 보호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접착제로는 90~200℃에서 가소성을 띠는 접착제를 사용하며, 이는 플라스틱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은, ABS, 아크릴, PVC, PP, PC 등과 같은 플라스틱, 고광택 가구, 목재 또는 철판의 표면보호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테르 중합체의 고분자 열 가소성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광 경화성 수지(UV수지)와 피착 플라스틱((ABS, 아크릴, PVC, PP, PC)과 접착제 간의 접착력 강화를 위하여 두 층간에 접착 강화층(anchor coating, primer coating)을 형성하거나,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를 2회로 나누어서 진행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표면 무처리 기재층(10)을 준비하는 단계; (b)상기 기재층(10) 상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10~35중량부 및 접착보강제 0.1~5중량부 및 광개시제 5~15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고 완전 경화시켜 광경화성 수지층(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에스테르 공중합체 접착제를 코팅하여 열가소성 수지층(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경화성 수지(UV수지)와 접착제 간에 접착 보강층(anchor coating layer)이 없는 구조하에서도 접착이 가능해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광경화 수지(UV수지)의 부분경화와 완전경화의 2단계 경화를 거치지 않고, 1차 완전경화의 단계만을 거쳐 열전사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착제와의 고광택,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오염 특성을 가진 광경화성 수지와의 접착시, 광경화성 수지와 피착제 간의 접착력을 위하여 투명하고 기계적 및 화학적으로 우수한 성질을 가진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열가소성 접착제를 적용한다.
이에 따라 접착층 보호와 제품 권취시 접착층의 붙음 현상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접착 공정에서 일정한 열과 압력만으로도 피착제와의 접착을 가능하도록 부착 공정을 단순하게 운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1: 기재의 두께에 따른 필름의 성능비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두께를 가진 표면 무처리의 기재/지지체(폴리에스테르 필름, SG00 타입) 상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20중량부 및 접착보강제 0.2중량부 및 광개시제 7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고, 완전 경화시켜 광경화성 수지층(20)을 형성하였다.
그 후에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에스테르 공중합체 접착제를 코팅하여 열가소성 수지층(30)을 형성함으로써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을 제조하였다.
PET 필름두께(μ) 말림(Curl) 필름 박리 상태
15
25~50
100
◎: 우수 ○: 보통 △: 부족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을 아크릴 및 ABS 플라스틱 판에 전사 필름으로서 적용한 결과, 특히 두께 25~50미크론 두께를 가진 기재층을 가진 필름이, 말림성 및 필름 박리 상태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가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광경화성 수지층의 두께에 따른 필름의 성능 비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경화성 수지(UV 수지)의 코팅 두께별 표면경도(연필 경도)와 말림성(curl), 굴곡시험 및 내화학성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재/지지체 필름은 SG00 36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적용하였으며, 플라스틱 판과의 접착을 위하여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도막 두께 (μ) 연필 경도(H) Curl (mm) 굴곡 시험 내화학성 평가
2~3 1 수준 3.0
4~5 2~3 수준 2.0
6~7 2~4 수준 1.5~2.0 ○~△
◎: 우수 ○: 보통 △: 부족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을 플라스틱 판에 전사 필름으로서 적용한 결과, 특히 두께 4~5미크론 두께의 광경화성 수지층을 가진 필름이, 연필경도, 말림성, 굴곡성 및 내화학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열가소성 접착제에 따른 필름의 성능 비교>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가소성 접착제의 종류별로 일정한 접착 온도하에서 잔류 점착력과 피착제와의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재/지지체 필름은 SG00 36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적용하였으며, 1.0mm의 아크릴판과의 접착을 위하여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A 타입 접착제는 에스테르계 접착제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20~30℃인 것을 사용하였고, B 타입 접착제는 에스테르계 접착제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60~80℃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C 타입 접착제로는 올레핀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접착 Type 잔류 점착력 접착력 평가
A ○~△
B
C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을 아크릴판에 전사 필름으로서 적용한 결과, B 타입의 에스테르계 접착제를 적용한 필름이 잔류 점착력 및 접착력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말림(curl)성: 10cm x 10cm 크기의 코팅 필름을 150에서 30분을 열처리한 후 필름이 휘어지는 높이를 측정하였다.
2. 표면경도(연필경도): 500g 하중을 걸고 JIS K 5400에 명시된 방법으로 5회 코팅면 표면에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3. 코팅 두께 측정: 제조된 시트의 코팅층 두께는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한 침압식 측정기(미쯔토요사, 모델명: ID-Ff12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코팅성 평가: 제조된 광경화성 수지 필름의 코팅 표면을 자연광에 의해 코팅성을 평가하였다.
5. 내화학성(내용제성): 제조된 아크릴계 필름의 코팅 면에 MEK를 적신 솜으로 10번 비벼 내용제성을 평가하였다.
6. 내굴곡성: JIS-K5600에 따른 내굴곡성 측정법에 의거하여, 직경 약 20mm 쇠 막대기에 필름 시료를 하드코팅층이 외측에 위치하도록 휘감았다가 원위치시켜 하드코팅층에 표면 크랙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7. 필름 박리 상태: 열전사 필름을 플라스틱에 합지한 후에 기재/지지체와 광경화형 수지와의 박리력을 AR-1000(미국 Cheminstruments사) 장비를 이용하여 180도 필(peel)을 측정하였다.
8. 잔류 점착력(tack) 측정: Quick stick 방식으로 낮은 하중으로 테이프를 압착시켜 90°각으로 박리할 때의 값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9. 접착력 평가: ASTM D903에 의한 시헙법으로 아크릴 판에 점착시킨 시편을 180°로 벗겨낼 때 기록되는 힘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10, 100: 기재층
20: 광경화성 수지층
30: 열가소성 접착층
200: 이형층
300: 광경화성 수지층
400: 접착력 강화층
500: 접착제층
600: 접착제 보호용 이형필름

Claims (7)

  1. (A) 표면이 무처리된 기재층(10);
    (B) 상기 기재층(10) 상에 형성되어,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되어 전사되는 광경화성 수지층(20); 및
    (C)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형성되어 부착하고자 하는 피착제에 접착되어 열 및 압력에 의해 전사되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가소성 접착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5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10~35중량부 및 접착보강제 0.1~5중량부 및 광개시제 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보강제는 폴리에테르변성 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10)은 15~100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의 두께는 2~7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6. 삭제
  7. (a) 표면 무처리 기재층(10)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기재층(10) 상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25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30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 10~30중량부 및 폴리에테르변성 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접착보강제 0.1~5중량부 및 광개시제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코팅하고 완전 경화시켜, 피착제에 접착된 후 전사될 광경화성 수지층(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20) 상에, 에스테르 공중합체 접착제를 코팅하여 피착제에 접착된 후 전사될 열가소성 접착층(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60109405A 2016-08-26 2016-08-26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05A KR101829714B1 (ko) 2016-08-26 2016-08-26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05A KR101829714B1 (ko) 2016-08-26 2016-08-26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714B1 true KR101829714B1 (ko) 2018-02-19

Family

ID=6138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405A KR101829714B1 (ko) 2016-08-26 2016-08-26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6735A (zh) * 2021-12-10 2022-05-10 吕拴力 一种镭射证卡专用抗桔皮带胶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901A (ja) * 2003-01-23 2004-08-12 Canon Inc 熱転写保護フィルム
JP2015523423A (ja) * 2012-05-08 2015-08-13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感触特性に優れた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転写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901A (ja) * 2003-01-23 2004-08-12 Canon Inc 熱転写保護フィルム
JP2015523423A (ja) * 2012-05-08 2015-08-13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感触特性に優れた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転写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6735A (zh) * 2021-12-10 2022-05-10 吕拴力 一种镭射证卡专用抗桔皮带胶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3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시트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5155645B2 (ja) 耐箔バリ性に優れた転写材の製造方法と転写材
KR10158526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수지 조성물
JP5470957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101448441B1 (ko) 전사 시트 및 전사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864349B1 (ko) 필름 보호층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및 광학 시트
KR101241575B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JP5450837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形成法
TW201304931A (zh) 模內成形用轉印膜、其製造方法以及膜內成形體的製造方法
TW201441064A (zh) 加飾用轉印薄膜
KR101927522B1 (ko) 아크릴 실리콘을 이용한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4396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및 필름의 제조방법
KR101578074B1 (ko) 이형성이 향상된 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KR101829714B1 (ko) 표면보호용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24445B1 (ko) 실리콘계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147885A (ja) 樹脂組成物、未硬化樹脂層、樹脂フィルム、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4771110B2 (ja) 保護層形成用シートおよび保護層の形成方法
JP2022167967A (ja) シリコーンゴム複合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JP3936772B2 (ja) 転写材、表面保護シート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耐光性、耐磨耗性、耐薬品性に優れた成形品の製造方法
JP7434174B2 (ja) ハードコート層付モールド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19631B1 (ko) 렌즈금형용 가스켓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7670A (ko) 유브이 경화형 임프린팅 도료 조성물
US20180057705A1 (en) Coating method
TWI837235B (zh) 附有硬塗層之模製樹脂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