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846B1 -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46B1
KR101828846B1 KR1020160087003A KR20160087003A KR101828846B1 KR 101828846 B1 KR101828846 B1 KR 101828846B1 KR 1020160087003 A KR1020160087003 A KR 1020160087003A KR 20160087003 A KR20160087003 A KR 20160087003A KR 101828846 B1 KR101828846 B1 KR 10182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ater
frame body
supporting frame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185A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0262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288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102016008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8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는 면에 층층이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공간적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장식적 효과를 얻기 위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횡바와,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종바가 직교하여 연결 고정됨으로써 망체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틀체; 상기 지지틀체가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틀체 설치수단; 직물,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틀체의 횡바에 물결무늬와 같이 안착되어 식생주머니를 형성하는 안착시트; 상기 안착시트가 마련한 식생주머니에 투입되는 것으로서 식물을 위한 토양을 제공하는 생육기반부재; 상기 안착시트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물이 확산되어 상기 토양에 공급되도록 하는 관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Vertical Typed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본 발명은 수직정원을 구성하는 식물 재배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직정원을 구성함에 있어 수직정원에 이용되는 각 식물의 생리, 생태에 알맞은 환경을 제공하는 수직형의 정원을 구성하는 방법과 효과적인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가 인공의 벽면에 식물을 적용하고 가꾸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전에는 단순히 덩굴식물이 벽면을 타고 오르는 방법에 의한 몇몇 부착형 덩굴식물을 이용한 단순한 벽면녹화의 개념이었다면 최근의 벽면녹화는 아주 다양한 식물을 벽면에 직접 적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고 그 개념도 수직의 정원이라는 디자인 개념까지 적용된 수직정원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키며 발전하고 있다.
식물을 벽면에 직접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시도가 되어지고 있다. 특히 유럽을 대표하는 페트락블랑은 2중 부직포를 건물 벽면에 부착, 구멍을 내고 각종 다양한 식물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북미의 G-sky라는 회사는 플라스틱을 모듈화하여 벽면부착 후 식물을 적용하는 방법과 미국의 플랜트온월스는 부직포를 포켓형으로 만들어 수직정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정원을 형성하는 방법은 수직의 벽면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장치 혹은 구조 혹은 모듈을 이루고 토양과 식물을 고정하는 장치와 주기적인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기본적 시스템은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본을 바탕으로 수직정원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다양하게 적용되는 각각의 식물에 알맞은 생태적, 환경적 맞춤형 시스템은 거의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어떤 특정식물 한 종류 혹은 성질이 비슷한 식물로 구성된 수직정원은 별무리가 없지만 일반 평지에서와 같이 다양한 꽃과 관목 혹은 교목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식물을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수직벽면에는 토양과 물이 인위적으로 반드시 공급되어 져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토양과 물은 일체형 혹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시스템이었다.
예를 들면 일정 면적의 수직벽면에 물을 공급할 때 매우 다양한 식물의 수분 요구를 일일이 맞추어 줄 수 없고 또 식물이 뿌리를 박고 지지되는 토양의 산도 및 통기성 등을 각각의 식물의 생태적 특성에 일일이 맞추어 줄 수 없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또한 벽면에 토양과 식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정의 층을 이루는 선반구조와 같은 막이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식물의 뿌리가 본래의 모습처럼 토양의 아래로 길게 자랄 수 없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 본 발명자에 의해 고안 등록된 상품명 벽화수(특허 제10-0807285호)는 토양과 섬유를 혼합하여 스폰지형 블록으로 만들어져 식물의 뿌리가 자유롭게 아래로 자랄 수 있어 겨울이 추운 중부지방의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5년이상 유지되는 국내 유일의 제품이다. 그러나 이 벽화수도 다양하게 심겨지는 식물 각각의 수분 요구도와 토양의 산도, 그리고 양분의 요구도를 충족시키지 못해 일부 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고사하게 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스폰지형의 고형화된 식생기반제를 훼손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0055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9836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수직형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재배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되;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평지 정원에서와 같이 다양한 식물을 적용할 수 있고 그 각각의 적용된 식물에 알맞은 토양과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된 성장을 도모하고, 더 나아가 수직정원을 구성하고 설치함에 있어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도 깨끗하고 간단한 제작과 시공을 가능하게 하되; 다양한 식물의 특성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구애됨이 없이 아래로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식물의 교체와 토양, 수분의 보충 혹은 교체도 매우 편리하게 하는 수직정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복수개의 횡바와 종바가 교차함으로써 메쉬 형태를 갖는 지지틀체; 상기 지지틀체가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틀체 설치수단;
직물,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된 것으로서, 상기 종바에 의해 구획되는 각 열마다 상기 지지틀체의 횡바에 물결무늬와 같이 안착되어 식생주머니를 형성하는 안착시트;
상기 안착시트가 마련한 식생주머니에 투입되는 것으로서 식물을 위한 토양을 제공하는 생육기반부재;
상기 안착시트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물이 확산되어 상기 토양에 공급되도록 하는 관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착시트의 폭은 상기 각 열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어, 좌우로 가장자리가 겹치도록(overlap)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틀체 설치수단은;
일반적인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굵은 철사혹은 철근으로 이루어진 메쉬형 지지틀체로서; 상기 지지틀체로 이루어지는 식생주머니의 공간만큼 벽에서 이격시키기 위해서 메쉬형지지틀체를 ㄷ자 형으로 절곡하고;
절곡된 지지틀체의 ㄷ자 끝부분을 벽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격자형 지지틀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수수단은; 상기 안착시트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물공급관; 상기 물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노즐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생육기반부재는 외피와, 상기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 토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주머니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종에 따라 다른 성분의 토양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식물종에 따라 토양의 종류를 다르게 식생주머니 내부에 투입함으로써, 발육 특성이 상이한 여러 종의 식물을 각자의 특성에 맞는 토양에서 재배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최소한의 토양을 투입하게 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종횡으로 설치규모를 확대 연결하는 것도 자유로우며, 설치규모가 크지 않아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은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며 특히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의 지지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의 지지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의 지지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의 생육기반부재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 실시예를 설명하되 필요한 곳에서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는 건물의 외벽, 내벽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벽체가 없는 곳에도 직립하게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는 지지틀체(20), 지지틀체(2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틀체 설치수단(10,10'), 지지틀체(20)에 안착되는 안착시트(30), 안착시트(30)에 채워지는 생육기반부재(40) 및 물을 공급하는 관수수단을 포함한다.
지지틀체(20)는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횡바(21)와,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종바(22)가 직교하여 연결 고정됨으로써 망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틀체(20)는 공지의 매쉬망체를 그대로 또는 개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다. 지지틀체(20)는 합성수지로써 사출성형할 수도 있고, 금속선재를 용접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지지틀체 설치수단(10,10')은 지지틀체가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각종 시설 내지 수단을 일컫는다. 지지틀체(20)는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사각 공간(S)을 제공한다.
하나의 공간(S)의 폭(W)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안착시트(30)는 종바(22)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구획되는 하나의 열에 설치된다. 즉 안착시트(30)는 각 열마다 설치되는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여러 공간(S)에 연속적으로 끼워져 안착되되 좌우로 가장자리가 서로 포개지도록 안착된다. 안착시트(30)는 직물,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된 것으로서 롤형태로 제공된 것을 사용한다. 안착시트(30)는 지지틀체(20)의 횡바(21)에 물결무늬와 같이, 즉 옆에서 볼 때 제이(J) 또는 유(U)자 형태로 안착되어 식생주머니(31)를 형성하도록 끼워져 안착된다. 식생주머니(31)는 식재공간(M)을 제공한다. 안착시트(30)는 펠트 또는 부직포가 더 적당한데, 이는 물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고르게 확산되어 식물(F)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틀체(20)에 횡으로 마련된 공간(S)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안착시트(30)가 지지틀체(20)에 안착된다. 이웃하는 안착시트(30)는 서로 10 ~50mm 정도 겹치도록(overlap)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착시트의 양쪽 가장자리(34,35)는 개구부를 가지게 될 것이며, 이 가장자리(34,35)는 재봉 등으로 밀폐될 수도 있다.
안착시트(30)를 물결모양으로 접어서 거취하는 것만으로도 봉제나 접착 혹은 다른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아주 간단히 식생주머니(31)가 형성된다. 다만 식물이나 부직포가 메쉬 간격보다 작거나 아주 얇고 부드러운 것은 쉽게 처지거나 풀려 반드시 접착하거나 기타의 고정방법을 적용해야 하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노력과 비용을 포함할 필요없이 현장에서 간단히 시공 가능하게 한다.
횡바(21)에 안착된 안착시트(3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착시트(30)를 횡바(21)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안이 강구될 수 있다. 접착제나 고정핀이 사용될 수도 있고 재봉(32)을 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종으로 한 열에만 안착시트(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공간(S)에도 안착시트(30)를 안착시킴으로써,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식생주머니(31)가 마련되는 것이다. 식생주머니(31)의 크기 등은 어떠한 식물을 식재할 것인지 등의 사정에 따라 조정될 것이다.
한편, 안착시트(30) 사이의 겹쳐진 부분의 틈을 통해 뿌리가 자연스럽게 자랄 수 있어 뿌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다.
식물을 위한 토양을 제공하는 생육기반부재(40)가 안착시트가 마련하고 있는 각 식생주머니(31)에 투입된다. 생육기반부재(40)는 외피와, 상기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 토양으로 구성되는 토낭(41, 도 8 참조)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종에 따라 다른 성분의 토양으로 만들어진 토낭(41)을 이용한다. 즉 각각의 식생주머니(31)에 적용되는 식물의 생리, 생태에 알맞는 토양 성분을 가진 각기 다른 토낭(41)을 투입한다. 토양은 작물에 따라 피트모스, 펄라이트, 퇴비, 비료, 모래, 마삭토, 점토 등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고, 토낭(41)에 의해 작업자가 혼돈되지 않도록 토낭은 그 토양의 성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토낭(41)의 부피는 예를 들어 50 ~ 200ml가 될 수 있다. 성분이 다른 토양을 담은 토낭(41)은 식물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식생주머니(31)에 여러 개가 혼합되어 투입될 수도 있고, 한 종류로만 투입될 수도 있다.
토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산성을 좋아하는 철쭉은 우선 철쭉뿌리를 부직포 식생주머니로 감싸고 다음 표준토양으로 이루어진 토낭으로 뿌리주변을 감싸고 산성토양성분이 들어간 토낭과, 약간의 수분을 좋아하므로 물을 잘 흡수하는 토낭을 배치한다. 그리고 알카리토양과 물빠짐이 좋은 토양을 좋아하는 회양목은 별도포장된 표준토양으로 뿌리를 감싸고 알카리토양 및 물빠짐이 잘되는 마사토양의 토낭을 채워준다. 이 경우 물을 주게 되면 물을 좋아하는 식물은 물을 충분히 흡수하는 토양이 물을 많이 가지게 되고 물을 싫어하는 식물의 토양은 물을 빨리 배출하게 된다. 토양산도는 각 토양이 갖는 기본적 성질을 이용한다. 그리고 표준토양이 물을 머금게 되면 3배 이상 부풀어 오르면서 뿌리를 잡아주게 되고 양분은 또 다른 토낭에 포장되어 비료를 많이 요구하는 식물에게는 자주 많이 주고 비료를 적게 요구하는 식물은 가끔 천천히 주면 된다. 이들 토낭은 모두 다른 색으로 구분되어 쉽게 작업이 가능하며, 이렇게 토낭을 이용하면 작업중 토양이 땅에 떨어져 지저분하게 되거나 벌레가 많이 생기는 문제로부터 안전하게 된다.
관수수단은 안착시트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물이 확산되어 상기 토양에 공급되도록 한다. 관수수단은 안착시트(30)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물공급관(50)과, 물공급관(50)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노즐공(5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물공급관(50)은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안착시트(30)의 상단을 둥글에 말아 고정시킴으로써 마련되는 터널 내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노즐공(51)에서 분출되는 물은 모세관현상에 의해 고르게 확산되어 각 식생주머니(31)에 공급되며 잔여량은 아래로 흘러 떨어지게 된다. 물공급부(52)는 물공급관(50)에 물을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공급한다.
안착시트(30)의 하단에는 위에서 낙수되는 물을 받기 위한 것으로서 유(U)자 또는 제이(J)자의 단면 형태를 갖는 물받침대(6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물받침대(60)는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구배를 주어 한쪽으로 흘러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틀체 설치수단(10,10')은 안착시트(30)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 유사하게 직립 설치하거나 건물 외벽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지지틀체 설치수단은 지지틀체(20)로 하여금 신문자판대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70 ~ 90˚의 각도로 경사지게끔 지면에 직립 설치되도록 하는 자립설치대(10)로 구성된다. 자립설치대(10)는 수직기둥(11), 받침대(12), 상부횡대(14) 및 중간 지지대(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틀체(20)는 자립설치대(10) 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 고정된다. 받침대(12) 또는 수직기둥(11)은 앵커수단 등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틀체 설치수단의 다른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방식이 제안된다. 지지틀체 설치수단은 지지틀체(20)의 상하단에 고정되는 벽체지지대(10')와, 벽체지지대(10')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버팀고정대(15)로 구성된다. 버팀고정대(15)는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18)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18)에는 고정용 못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버팀고정대(15)는 도시된 것처럼 두개의 파이프(16,17)가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하여 벽체와 지지틀체(20)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안착시트(30)를 각종 벽체에 걸어놓거나 지면에 직립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틀체(20), 자립설치대(10) 및 벽체지지대(1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시트(30)를 주름식으로 걸어놓기 위한 지지수단의 형태는 설치환경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로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도 5는 6면체 구조물 형의 지지틀체(2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벽면에 고정되되 벽면으로부터 입체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틀체(20)의 배면에 방수포(70)가 덧대어질 수 있다. 이 방수포(70)는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벽체를 타고 흘러 벽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방수포(70)에 의하면 물이 증발되지 않고 토낭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방수포(70)는 지지틀체(2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위에 것이 아래 것의 윗면에 올라오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식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식물(F)을 심을 때는 우선 식물 뿌리를 감쌀 수 있는 부직포낭이나 모기장과 같은 것으로 원래 식물의 뿌리가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토양과 식물뿌리를 주머니(41)로 감싸는 형태로 하여 각각의 식생주머니에 안착시킨다(도 8 참조). 식물을 식생주머니 내부에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생육을 좋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각각의 식생주머니에 토양을 채우는 방식을 이용한다.
식물(F)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다른 토양을 공급하기 위해서 토양산도(산성, 중성, 알카리성)와 수분을 좋아하는 식물과 건조를 좋아하는 식물을 위한 수분 보유력, 통기력, 양분을 저장하는 보비력이 각각 다른 토양과 비료를 담은 토낭을 준비한다. 토낭에는 성분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토낭은 뿌리가 통과될 수 있는 부직포 혹은 망사형 봉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주머니에 준비된 각각의 식물을 거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각 식물이 원하는 토낭을 이용하여 뿌리주변에 고정하면, 각각의 토양이 각각의 식물이 선호하는 토양산도와 수분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토낭을 색으로 표시하고, 다양한 식물은 그룹별로 나눔으로써, 설치시에 간단하게 토낭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마다 물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종류가 있고, 산성토양, 알칼리토양, 중성토양을 좋아하는 식물들이 각각 있는바, 부직포 토낭에 토양을 담아 구성할 때 PH별(코코피트는 산성, 펄라이트는 산성, 화산석은 알칼리성 등)로 또 물빠짐특성(마사토, 황토 등, 많은 수분이 필요한 경우 흡습제를 더 첨가할 수도) 별로 각각 담아 색상을 달리 구성해놓은 상태에서 식물을 배치할 때 식물의 특성에 맞게 토양을 선택하여 상부로부터 동일한 양으로 관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식물들이 모두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게 한다. (예] 철쭉-산성토양, 회양목, 향나무-알칼리토양, 왕원추리, 단풍-물을 좋아하고, 향나무, 패랭이-물을 싫어하고, 대부분은 중성토양을 선호함)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자립설치대 10' : 벽체지지대
11 : 수직기둥 15 : 버팀고정대
20 : 지지틀체 21 : 횡바
22 : 종바 30 : 안착시트
31 : 식생주머니 32 : 재봉(선)
40 : 생육기반부재 41 : 토낭
50 : 물공급관 51 : 노즐공
60 : 물받침대 70 : 방수포
F : 식물

Claims (6)

  1. 복수 개의 횡바와 종바에 의해 메쉬 형태를 갖게 되는 지지틀체;
    상기 지지틀체가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틀체 설치수단;
    직물,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바에 의해 구획되는 각 열의 폭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좌우 가장자리가 겹쳐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틀체의 횡바에 안착되면서 물결무늬와 같이 제이(J) 또는 유(U)자 형태의 식생주머니를 형성하는 안착시트;
    상기 안착시트에 의해 각 횡바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주머니에 투입되어 식물을 위한 토양을 제공하는 생육기반부재;
    상기 안착시트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물공급관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노즐공을 통해 상기 안착시트에 물을 공급하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확산되도록 하여 상기 토양에 공급되도록 하는 관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체 설치수단은;
    상기 지지틀체를 건물의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상기 지지틀체의 상하단에 고정되는 벽체지지대(10')와;
    상기 벽체지지대(10')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버팀고정대(15)로 구성되되;
    상기 버팀고정대(15)는 두개의 파이프(16,17)가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하여 벽체와 상기 지지틀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시트의 하단에는 위에서 낙수되는 물을 받기 위한 것으로서 유(U)자 또는 제이(J)자의 단면 형태를 갖는 물받침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기반부재는 외피와, 상기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 토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주머니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종에 따라 다른 성분의 토양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KR1020160087003A 2016-07-08 2016-07-08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KR10182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03A KR101828846B1 (ko) 2016-07-08 2016-07-08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03A KR101828846B1 (ko) 2016-07-08 2016-07-08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85A KR20180006185A (ko) 2018-01-17
KR101828846B1 true KR101828846B1 (ko) 2018-02-13

Family

ID=6102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003A KR101828846B1 (ko) 2016-07-08 2016-07-08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9823A1 (en) * 2019-12-20 2021-06-24 2225615 Alberta Ltd. Modular plant growth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673B1 (ko) * 2020-11-11 2023-02-27 김건우 버섯배지 침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51B1 (ko)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벽체 녹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51B1 (ko)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벽체 녹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9823A1 (en) * 2019-12-20 2021-06-24 2225615 Alberta Ltd. Modular plant growt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85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3098C (en) Plant growing assembly
AU2008337673B2 (en) Live plant box
US20110219689A1 (en)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KR100835721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JPWO2006073001A1 (ja) 緑化仮設構造体
KR101726567B1 (ko)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US20080209805A1 (en) Wall Planted with Vegetation and Constituent Elements
KR101828846B1 (ko)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US20110296751A1 (en) Self contained system for growing perennial flowers in a rock-like or other ornamental planter
JPH06253684A (ja)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WO2017064338A1 (es) Sistema modular versátil para jardines verticales y horizontales
SA98190305B1 (ar) طريقة وجهاز لزراعة النبات
JPH048750Y2 (ko)
JP2004254565A (ja) 垂直面緑化のための緑化装置
JPH05184215A (ja) 多目的植物栽培法及び自然滴下式自動給液システム
JP3379937B2 (ja) 植物の袋栽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袋
JP2005323589A (ja) 緑化設備
DE69922401T2 (de) Vorrichtung zum umpflanzen und pflegen von bäumen, sträuchern und blumen
TW446538B (en) High level cultivation device
JP3796578B2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方法
EP1185159B1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CN210275443U (zh) 一种应用于石斛栽培的温室立体栽培装置
US4138802A (en)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roots of a live osmunda fern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JP3472946B2 (ja) 陸生植物の水上園芸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