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673B1 - 버섯배지 침봉장치 - Google Patents

버섯배지 침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673B1
KR102504673B1 KR1020200150444A KR20200150444A KR102504673B1 KR 102504673 B1 KR102504673 B1 KR 102504673B1 KR 1020200150444 A KR1020200150444 A KR 1020200150444A KR 20200150444 A KR20200150444 A KR 20200150444A KR 102504673 B1 KR102504673 B1 KR 10250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edium
chimbong
mushroom
wat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197A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0015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673B1/ko
Priority to PCT/KR2021/012386 priority patent/WO2022102935A1/ko
Publication of KR2022006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배지 침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섯배지 속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침봉침이 상기 버섯배지의 외주면을 충입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배지 침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봉침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로 구비하여, 복수 개의 버섯배지에 수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버섯배지 침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배지 침봉장치 {A moisture supply device in mushroom medium}
본 발명은 버섯배지 침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버섯배지 속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섯배지 침봉기기에 관한 것이다.
버섯의 재배 특성상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므로 대부분 시설재배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목이 아닌 배지 방식의 버섯재배 농가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배지 방식의 경우에는, 버섯 생산 때마다 물을 강제로 주입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큰 수조에 담그는 침지방식, 배지를 일일이 침공구로 찌르는 침봉방식이 전부인 상황에서 버섯 농가의 수요에 맞는 성능과 효율적인 침봉기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침봉방식은 긴 침봉 침으로 버섯배지의 길이방향으로 충입시켜 강제로 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물의 압력과 침봉침을 찌를 때 생기는 힘에 의해 배지가 파손되거나 터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긴 침봉침이 왕복운동 하면서 작업자의 관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버섯배지 톱밥배지용 휴대용 침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톱밥배지를 이용한 버섯재배 공정중 침봉작업을 위한 침봉장치에 있어서, 버섯재배 공정중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하던 침봉작업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기구를 적용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침봉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버섯재배 톱밥배지용 휴대형 침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발명으로 인한 버섯배지 톱밥배지용 휴대용 침봉장치는 휴대한 상태로 현장에서 신속하게 침봉작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지만, 침봉침이 버섯배지를 찌를 때 파손되거나 터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01056호 (2017. 11. 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섯배지 속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침봉침이 상기 버섯배지의 외주면을 충입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봉침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로 구비하여, 복수 개의 버섯배지에 수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버섯배지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및 상기 수분 공급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버섯배지를 충입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침봉침, 상기 침봉침이 상기 버섯배지에 충입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침봉침을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배지 침봉장치는 복수 개의 버섯배지로 수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버섯배지에 침봉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섯배지의 외주면을 충입하도록 구성되어, 버섯배지의 내부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섯배지를 손상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의 침봉침이 가압판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에 버섯배지 받침대가 구비되어, 버섯배지가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의 침봉침이 가압판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에 버섯배지 받침대가 구비되어, 버섯배지가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 침봉장치(10)는 버섯배지(1A) 속에 수분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구성되며, 본체부(100), 이송부(200), 수분 공급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버섯배지(1A)는 통상적인 버섯배지와 같은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버섯배지(1A)는 버섯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적당한 삼투압 및 pH를 맞추어 주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은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의 모습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아크릴판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가이드판(11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판(110)은 상기 이송부(200)에 인접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부터 내부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10)은 상기 버섯배지(1A)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섯배지(1A)가 상기 이송부(200)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다가, 상기 수분 공급부(30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이송부(20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110)은 상기 이송부(200)에서 이탈된 상기 버섯배지(1A)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미끄러지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10)은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될 수 있어, 상기 버섯배지(1A)에서 낙하하는 물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물 받침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물 받침대(120)는 상기 본체부(100)과 동일하게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바닥에 안착된다.
상기 물 받침대(120)는 상기 가이드판(110)의 직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분 공급부(300)에서 상기 버섯배지(1A)로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물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홀을 통해 상기 버섯배지에서 낙하하는 물이 동시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받침대(12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비울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 마련된 아크릴판을 탈거한 상태에서 상기 물 받침대(120)를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 받침대(12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비우거나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측으로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은 상기 물 받침대(120)로 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섯배지 침봉장치(10)는 상기 수분 공급부(3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분 공급부(30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 받침대(120)에 수용된 물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물을 강제로 가져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받침대(120)에 수용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으로 상기 수분 공급부(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 받침대(120)는 상기 버섯배지(1A)로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물을 수용하면서, 상기 버섯배지(1A)로 다시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물이 낭비되지 않고 계속해서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바퀴(130)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지면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퀴(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무게를 용이하게 분산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무게에 따라 개수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바퀴(130)는 상기 바퀴(13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송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섯배지(1A)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버섯배지(1A)를 안착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1A)에 수분을 공급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섯배지(1A)의 길이방향은 상기 이송부(200)의 진행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는 제 1모터(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모터(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제 1모터(21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후술할 이송대(220)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는 이송대(22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대(220)는 상기 제 1모터(210)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이송대(220)는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버섯배지(1A)를 연속 운반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대(220)는 벨트를 롤러에 걸어진 상태로, 롤러를 회전시켜 구동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이송대(220)는 롤러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롤러만 회전하는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대(220)는 상기 버섯배지(1A)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는 구동 벨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벨트(230)는 상기 제 1모터(210) 및 상기 이송대(22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모터(21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대(220)로 제공한다. 상기 구동 벨트(2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제 1모터(210)의 구동력을 용이하게 상기 이송대(22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분 공급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상기 이송부(200)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1A)로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와 같이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20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송부(200)가 통과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상기 버섯배지(1A)로 수분 공급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쉽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제 2모터(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모터(310)는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 2모터(31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장치로 구성되며, 후술할 가압판(32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가압판(3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320)은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판(320)은 상기 제 2모터(310)와 일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가압판(320)은 상기 제 2모터(3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후술할 침봉침(330)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가압판(320)은 일측으로 후술할 침봉침(330)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침봉침(330)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 받침대(120)에 수용된 물이거나, 별도로 구비된 장치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침봉침(330)을 포함한다. 상기 침봉침(330)은 상기 가압판(32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침봉침(330)은 상기 버섯배지(1A)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상의 침봉침 구조로 형성되며, 단부에는 상기 버섯배지(1A)를 충입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된다. 상기 침봉침(330)은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침봉침(330)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판(320)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침봉침(330)은 상기 버섯배지(1A)를 충입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침봉침(330)은 상기 가압판(320)의 승강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버섯배지(1A)를 충입하면서 동시에 상기 침봉침(330)의 내부에 있는 물이 후술할 분사홀(331)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봉침(330)은 상기 버섯배지(1A)의 측면을 충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32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1A)의 내부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봉침(330)은 복수 개의 상기 버섯배지(1A)로 수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320)의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침봉침(330)은 상기 버섯배지(1A)에 침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봉침(330)은 분사홀(331)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홀(331)은 상기 침봉침(33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분사홀(331)은 상기 침봉침(33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 및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 1모터(210)의 회전력이 상승하면, 상기 이송대(220)이 회전하는 속도가 상승하고, 상기 제 1모터(210)의 회전력이 하강하면, 상기 이송대(220)이 회전하는 속도가 하강한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판(320)은 일측으로 상기 물 받침대(12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상기 침봉침(330)으로 전달하는 것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침봉침(330)이 상기 버섯배지(1A)를 완전히 충입하는 순간에는 상기 가압판(320)은 상기 침봉침(330)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분사홀(331)을 통하여 상기 버섯배지로(1A)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침봉침(330)이 상기 버섯배지(1A)에서 이탈되는 순간에는 상기 가압판(320)은 상기 침봉침(330)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부(300)는 상기 이송대(22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가압판(320)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움직임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대(220)의 회전 속도가 상승하면, 상기 가압판(320)이 승강되는 속도도 함께 빨라지고, 상기 이송대(220)의 회전 속도가 하강하면, 상기 가압판(320)이 승강되는 속도도 함께 하강된다.
종합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버섯배지(1A)를 상기 이송부(200)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면서 상기 수분 공급부(300)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이송부(200) 및 상기 수분 공급부(300)의 작동을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섯배지 침봉장치(10)는 버섯배지 받침대(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섯배지 받침대(1B)는 상기 버섯배지(1A)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버섯배지 받침대(1B)는 상기 버섯배지 침봉장치(10)에 인접한 바닥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수용된 상기 버섯배지(1A)가 밀려나오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1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버섯배지(1A)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밀려나오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버섯배지 침봉장치
1A : 버섯배지
1B : 버섯배지 받침대
100 : 본체부
110 : 가이드판
120 : 물 받침대
130 : 바퀴
200 : 이송부
210 : 제 1모터
220 : 이송대
230 : 구동 벨트
300 : 수분 공급부
310 : 제 2모터
320 : 가압판
330 : 침봉침
331 : 분사홀
400 : 제어부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원통으로 형성되는 버섯배지를 종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외주면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및 상기 수분 공급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버섯배지의 외주면을 충입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침봉침;
    상기 침봉침이 상기 버섯배지의 외주면에 충입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침봉침을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침봉침은,
    상기 침봉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분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은, 상기 침봉침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모터;
    상기 제 1모터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대; 및
    상기 제 1모터 및 이송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대로 전달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침봉침은, 상기 가압판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내부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침봉침은, 복수 개의 상기 버섯배지로 수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의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안착되는 물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이송부에 인접한 상기 본체부의 상부부터 내부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섯배지가 상기 이송부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다가 상기 수분 공급부를 통과한 후에 상기 이송부에서 이탈된 상기 버섯배지를 지지하되,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미끄러지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판에는, 상기 버섯배지에서 낙하하는 물이 빠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고,
    상기 물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판의 직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분 공급부에서 상기 버섯배지로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물과 상기 가이드판의 홀을 통해 상기 버섯배지에서 낙하하는 물이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 침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0444A 2020-11-11 2020-11-11 버섯배지 침봉장치 KR10250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44A KR102504673B1 (ko) 2020-11-11 2020-11-11 버섯배지 침봉장치
PCT/KR2021/012386 WO2022102935A1 (ko) 2020-11-11 2021-09-13 버섯배지 침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44A KR102504673B1 (ko) 2020-11-11 2020-11-11 버섯배지 침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197A KR20220064197A (ko) 2022-05-18
KR102504673B1 true KR102504673B1 (ko) 2023-02-27

Family

ID=8160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44A KR102504673B1 (ko) 2020-11-11 2020-11-11 버섯배지 침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4673B1 (ko)
WO (1) WO20221029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516B1 (ko) * 2001-10-13 2004-01-13 대한민국 액체 버섯종균 자동접종장치
KR101367987B1 (ko) * 2011-05-16 2014-02-27 이상호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KR101246238B1 (ko) * 2011-11-29 2013-03-21 안용호 버섯 종균 접종 장치 및 그 방법
CN104718994B (zh) * 2015-04-12 2017-06-06 连云港国鑫食用菌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菌棒的自动接种机
CN104838893A (zh) * 2015-06-03 2015-08-19 常州大学 一种菌棒注水装置
KR101845481B1 (ko) * 2015-06-23 2018-04-06 삼광버섯영농조합법인 압력을 이용한 수분공급장치
KR101801056B1 (ko) 2016-01-20 2017-11-27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버섯재배 톱밥배지용 휴대형 침봉장치
KR101828846B1 (ko) * 2016-07-08 2018-02-13 박공영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KR101822289B1 (ko) * 2016-07-21 2018-03-08 황재석 버섯 배지용 종균 자동접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935A1 (ko) 2022-05-19
KR20220064197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987B1 (ko)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CN108870879B (zh) 一种烘干系统
CN205892276U (zh) 一种收卷机全自动穿管装置用上纸管装置
KR101849161B1 (ko)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
CN203737525U (zh) 料盒移动装置及其全自动点机传动装置
KR101341168B1 (ko) 버섯 재배용 배지 입봉장치
KR102504673B1 (ko) 버섯배지 침봉장치
JP5054752B2 (ja) 液体種菌接種装置
KR102369710B1 (ko) 순환식 버섯재배 자동시스템
CN204011096U (zh) 自动含浸机
CN108517263B (zh) 焖料机
CN207692355U (zh) 自动播秧机构
CN208790722U (zh) 一种新型封片机的进料输送机构
KR100648191B1 (ko) 주유형 체인링크의 오일주입장치
CN211482258U (zh) 一种便于菌棒催蕾装置
CN108043658A (zh) 一种板材涂胶装置
CN209403333U (zh) 一种全自动取盒输送机
CN106809683A (zh) 一种布料存储设备以及储存方法
CN205874460U (zh) 四工位自动油边机
CN105667850B (zh) 一种植物营养培植液自动分流罐装机
CN110972818A (zh) 一种便于菌棒催蕾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49162B1 (ko)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터너 컨베이어 유닛
CN206188798U (zh) 一种微藻接种装置
KR100507772B1 (ko) 주사기 외통용 실리콘 코팅 장치
CN114051802B (zh) 一种锐尖山香圆幼苗移苗用装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