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372B1 -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 Google Patents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372B1
KR101828372B1 KR1020170164485A KR20170164485A KR101828372B1 KR 101828372 B1 KR101828372 B1 KR 101828372B1 KR 1020170164485 A KR1020170164485 A KR 1020170164485A KR 20170164485 A KR20170164485 A KR 20170164485A KR 101828372 B1 KR101828372 B1 KR 10182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connection
metal body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민수
Original Assignee
남도전기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도전기공업(주) filed Critical 남도전기공업(주)
Priority to KR102017016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372B1/ko
Priority to US16/206,195 priority patent/US1063718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 H01C7/126Means for protecting against excessive pressure or for disconnecting in case of fail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1Connections using shape memory materials, e.g. shape memory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피뢰기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구조인 금구 바디의 결합부에 대하여 금구 캡과 바이트가 탈부착되면서 리드선을 포함한 각종 전선케이블(5m PDC 등)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 및 통전되도록 하는 바, 이는 금구 바디(또는 결합소켓)를 기준으로 금구 캡 내부에 장착된 탄성 가압식 물림 해제 구조의 쐐기형 바이터(Biter)가 각종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전선케이블(5m PDC 등)의 통전 연결(결속)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의 삽입(누름동작)만으로도 간편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재푸싱 동작에 의해 전선케이블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용 공구 없이도 비숙련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바, 이는 편의성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성이 우수하여 사후 강풍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시에도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어 전선케이블의 결선이나 끊김 등에 의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One-touch Connector for electric wire}
본 발명은 피뢰기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구조인 금구 바디의 결합부에 대하여 금구 캡과 바이트가 탈부착되면서 리드선을 포함한 각종 전선케이블(5m PDC 등)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 및 통전되도록 하는 바, 이는 금구 바디(또는 결합소켓)를 기준으로 금구 캡 내부에 장착된 탄성 가압식 물림 해제 구조의 쐐기형 바이터(Biter)가 각종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전선케이블(5m PDC 등)의 통전 연결(결속)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의 삽입(누름동작)만으로도 간편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재푸싱 동작에 의해 전선케이블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용 공구 없이도 비숙련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바, 이는 편의성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성이 우수하여 사후 강풍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시에도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어 전선케이블의 결선이나 끊김 등에 의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접속단자는 피뢰기, 컷아웃스위치, 주상변압기용 절연애자(1차 고압부싱과 2차 저압부싱 등) 또는 산업용 전기설비류 중 어느 하나의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전선케이블(5m PDC 등)의 결속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접속금구에 대하여 통전과 연결 고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접속단자는 통상적인 실시예로서 목적한 전기설비류나 특정 생산품의 전기적 단자대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조여지는 한 쌍의 클램프 사이에 전선케이블을 위치시키고 이들(볼트, 너트)을 조여서 고정한 뒤 통전상태를 확보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케이블과 접속단자 간 연결시에는 구부러진 전선케이블을 펴서 작업하는 과정도 어렵지만 필연적으로 볼팅 작업용 치공구(스패너, 드라이버 등)가 요구되어 조립, 체결, 결합작업 자체가 상당히 불편하였으며, 특히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 본인뿐만 아니라 공구 추락에 따른 보행자의 안전에도 적지 않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열악하고 위험한 작업 과정에 의해 접속단자의 취부 불량을 야기하게 되고, 이에 접속불안과 함께 통전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반대로 조임 과다 발생시에는 전선케이블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 또한 발생됨)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508호(2003.02.13. 등록)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822호(2002.12.0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피뢰기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구조인 금구 바디의 결합부에 대하여 금구 캡과 바이트가 탈부착되면서 리드선을 포함한 각종 전선케이블(5m PDC 등)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 및 통전되도록 하는 바, 이는 금구 바디(또는 결합소켓)를 기준으로 금구 캡 내부에 장착된 탄성 가압식 물림 해제 구조의 쐐기형 바이터(Biter)가 각종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전선케이블(5m PDC 등)의 통전 연결(결속)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성이 우수하여 사후 강풍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시에도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어 전선케이블의 결선이나 끊김 등에 의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뢰기(20)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21)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구조인 금구 바디(100)의 결합부(130)에 대하여 탈부착되도록 일측에 조립부(21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용홈(120)과 연통되도록 개구공(2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개구공(220)은 전선케이블(10)이 유입되는 바깥 방향을 따라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금구 캡(200)과; 상기 수용홈(120)과 개구공(220)에 조인트 홀더(310)가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310)는 쐐기식 중공관 형태로서 축선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에는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코일형 탄성스프링(320)이 끼워지면 수용홈(120) 내에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조임면(312)을 갖는 압착부(313)가 형성되어 개구공(220)에 내장시 압착부(313)의 외측단 일부가 개구공(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바이터(300: Biter)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금구 바디(100)는 피뢰기, 컷아웃스위치, 주상변압기용 절연애자(1차 고압부싱과 2차 저압부싱 등) 또는 산업용 전기설비류 중 어느 하나의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일측 체결부(110: 수직형 원터치 단자, 수평형 원터치 단자)가 조립 및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110)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수용홈(120)을 갖는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10)이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구 바디의 체결부(110)는 수직형 원터치 단자, 수평형 원터치 단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인트 홀더의 압착부(313)는 개구공(220)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콘 형태 또는 원뿔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걸림턱(311)과 연결된 최대 직경부(314)는 개구공(220)의 유입단(221)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 홀더의 조임면(312)은 전선케이블(10)의 외주면에 대하여 물림성이 배가되도록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요철(31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금구 바디의 결합부(130)와 금구 캡의 조립부(210)는 서로 나사체결 방식으로 탈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조인트 홀더의 압착부(313) 외측단에는 잠금해제 부싱(4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잠금해제 부싱(400)은 일측에 누름판(4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인출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과 인출부를 잇는 내측에는 관통공(430)이 형성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케이블(10)의 동선이 삽입되면 조임면(312)으로 유도되면서 내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313)와 맞닿는 인출부(420)의 외경은 개구공(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스프링(320)의 신축시 인출부(420)가 개구공(220)으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뢰기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구조인 금구 바디의 결합부에 대하여 금구 캡과 바이트가 탈부착되면서 리드선을 포함한 각종 전선케이블(5m PDC 등)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 및 통전되도록 하는 바, 이는 금구 바디(또는 결합소켓)를 기준으로 금구 캡 내부에 장착된 탄성 가압식 물림 해제 구조의 쐐기형 바이터(Biter)가 각종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전선케이블(5m PDC 등)의 통전 연결(결속)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의 삽입(누름동작)만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재푸싱 동작에 의해 전선케이블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용 공구 없이도 비숙련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편의성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금구 바디와 금구 캡이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신속한 탈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바이터의 조인트 홀더나 탄성스프링의 교환 교체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인트 홀더는 조임면 내측에 기어치차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어 전선케이블에 대한 물림성이 배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잠금해제 부싱이 더 부설되어 전선케이블의 삽입과 해제(분리)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일반형 피뢰기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피뢰기에 적용시 상부전극 일체형(커버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피뢰기에 적용시 상부전극 일체형(커버분리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피뢰기에 적용시 상부전극 분리형(커버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피뢰기에 적용시 상부전극 분리형(커버분리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수직형 원터치 단자 방식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수평형 원터치 단자 방식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수평형 원터치 금구에 L자 절곡물을 삽입하여 전선케이블 수직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의 일 예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해제 부싱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의 금구 캡을 나타낸 일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단자가 리드선 부착형 피뢰기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예시 사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뢰기(20)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21)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금구 바디(100)와 금구 캡(200) 및 바이터(300)로 크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 중 피뢰기에 적용시 다양한 타입으로 나누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피뢰기의 상부전극 일체형 구조는 상부전극 상단에 결합소켓이 구비되어 후술되는 금구 캡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소켓의 세부 구성은 후술되는 금구 바디의 기본 구성(체결부를 제외한 수용홈, 결합부, 물빠짐용 배수공 등)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금구 바디(100)는 상부전극 분리형 구조를 기본으로 재질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에 체결부(110: 수직형 원터치 단자, 수평형 원터치 단자)가 형성되어 피뢰기, 컷아웃스위치, 주상변압기용 절연애자(1차 고압부싱과 2차 저압부싱 등) 또는 산업용 전기설비류 중 어느 하나의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조립 및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외측으로 분기된 볼트 형태이거나 내측으로 성형된 나사홈이거나 수평형 원터치 단자 플렌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형태 또는 수직형 원터치 단자 플렌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결합관계 역시 일체형과 분리 조립형으로 구분하여 적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위에서 언급된 체결부는 상부전극 일체형(커버일체형), 상부전극 일체형(커버분리형), 상부전극 분리형(커버일체형), 상부전극 분리형(커버분리형), 수직형 원터치 단자 직결 방식, 수평형 원터치 단자 직결 방식, 수평형 원터치 금구에 L자 절곡물을 삽입하여 전선케이블을 수직체결 가능한 방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150)는 금구 캡 또는 금구 바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피뢰기의 상부전극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구 바디(100)는 상기 체결부(110)와 대향되는 타측에 수용홈(120)을 갖는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10)이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금구 바디의 수용홈(120)은 외주면 일측에 내외측이 관통된 물빠짐용 배수공(121)이 형성되어 빗물 유입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수공은 수용홈으로부터 내외측이 관통된 통공으로서 최소 1개 이상 복수로 형성되어 결합부를 통해 인입된 빗물들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구 캡(200)은 재질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금구 바디의 결합부(130)에 대하여 탈부착되도록 일측에 조립부(21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용홈(120)과 연통되도록 개구공(2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개구공(220)은 전선케이블(10)이 유입되는 바깥 방향을 따라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에는 후술되는 바이터의 조인트 홀더 중 걸림턱 부분이 수납되는 것으로, 탄성스프링이 걸림턱 선상에 끼워지면서 동시에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스프링은 조인트 홀더의 길이방향(축선 방향)으로 신축 작용이 발생되면서 조인트 홀더를 상시 바깥측으로 밀어내도록 하되, 전선케이블의 인입시에는 수용홈 격벽 측으로 탄성스프링을 압착하여 분할된 조인트 홀더의 내부 중공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은 기본 상태에서 조인트 홀더를 상시 바깥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분할된 조인트 홀더의 중공 직경이 좁아지면서 전선케이블의 외주연을 조이도록 형성된다.
이는 결국 바이트의 조인트 홀더 외측단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전선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되, 재푸싱시에는 전선케이블의 탈거 해제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이터(300: Biter)는 상기 수용홈(120)과 개구공(220)에 조인트 홀더(310)가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310)는 쐐기식 중공관 형태로서 축선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 홀더의 일측에는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코일형 탄성스프링(320)이 끼워지면 수용홈(120) 내에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조임면(312)을 갖는 압착부(313)가 형성되어 개구공(220)에 내장시 압착부(313)의 외측단 일부가 개구공(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 홀더는 최소 1/2 분할된 일종의 소형관 형태로서 양측이 개구된 상태이고, 내주면에는 조임면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임면은 전선케이블과 대응되는 반구 형태로서 복수의 조인트 홀더를 서로 대칭되게 맞닿으면 원통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반으로 분리된 조인트 홀더는 금구 바디의 수용홈과 금구 캡의 개구공에 내장되도록 하되, 조인트 홀더의 걸림턱은 탄성스프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수용홈에 수납되고, 압착부는 개구공 유입단(221)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 홀더의 압착부(313)는 개구공(220)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콘 형태 또는 원뿔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걸림턱(311)과 연결된 최대 직경부(314)는 개구공(220)의 유입단(221)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바깥측으로의 이탈은 방지하되, 개구공 내에서 축선 방향으로 들고 나면서 내부 조임면의 직경을 확장시키거나 조이면서 전선케이블의 압착 고정을 도모하게 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 홀더의 조임면(312)은 전선케이블(10)의 외주면에 대하여 물림성이 배가되도록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요철(31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요철은 기어치차 형태 또는 산과 골이 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전선케이블에 대한 밀착을 더 강하게 압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홀더는 단면이 반구 형태인 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조이고 펴질 때 탄성력이 더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구 바디의 결합부(130)와 금구 캡의 조립부(210)는 서로 나사체결 방식으로 탈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와 조립부는 암수 나사산 결합 구조로 형성되어 바이트의 조인트 홀더나 탄성스프링의 파손 등 문제 발생시 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환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조인트 홀더의 압착부(313) 외측단에는 잠금해제 부싱(400)이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 부싱(400)은 일측에 누름판(4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인출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과 인출부를 잇는 내측에는 관통공(430)이 형성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케이블(10)의 동선이 삽입되면 조임면(312)으로 유도되면서 내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압착부(313)와 맞닿는 인출부(420)의 외경은 개구공(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스프링(320)의 신축시 인출부(420)가 개구공(220)으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전선케이블의 용이한 연결과 해제를 도모하기 위함으로 잠금해제 부싱의 단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T'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누름판의 형태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L자형 손잡이가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전선케이블 20 ... 피뢰기
21 ... 결합소켓
100 ... 금구 바디 110 ... 체결부
120 ... 수용홈 121 ... 물빠짐용 배수공
130 ... 결합부 150 ... 커버
200 ... 금구 캡 210 ... 조립부
220 ... 개구공 221 ... 유입단
300 ... 바이터 310 ... 조인트 홀더
311 ... 걸림턱 312 ... 조임면
313 ... 압착부 314 ... 최대 직경부
315 ... 요철 320 ... 탄성스프링
400 ... 잠금해제 부싱 410 ... 누름판
420 ... 인출부 430 ... 관통공

Claims (7)

  1. 피뢰기(20)의 상부전극 일체형 결합소켓(21) 또는 상부전극 분리형 금구 바디(100)의 결합부(130)에 대하여 탈부착되도록 일측에 조립부(21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용홈(120)과 연통되도록 개구공(2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개구공(220)은 전선케이블(10)이 유입되는 바깥 방향을 따라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금구 캡(200)과;
    상기 수용홈(120)과 개구공(220)에 조인트 홀더(310)가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홀더(310)는 쐐기식 중공관 형태로서 축선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일측에는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코일형 탄성스프링(320)이 끼워지면 수용홈(120) 내에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조임면(312)을 갖는 압착부(313)가 형성되어 개구공(220)에 내장시 압착부(313)의 외측단 일부가 개구공(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바이터(300: Biter)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 바디(100)는 피뢰기, 컷아웃스위치, 주상변압기용 절연애자(1차 고압부싱과 2차 저압부싱 등) 또는 산업용 전기설비류 중 어느 하나의 접속금구(부싱 터미널, 단자 클램프, 부스바형 단자대 등)에 대하여 일측 체결부(110: 수직형 원터치 단자, 수평형 원터치 단자)가 조립 및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110)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수용홈(120)을 갖는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10)이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구 바디의 체결부(110)는 수직형 원터치 단자, 수평형 원터치 단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홀더의 압착부(313)는 개구공(220)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콘 형태 또는 원뿔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걸림턱(311)과 연결된 최대 직경부(314)는 개구공(220)의 유입단(221)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홀더의 조임면(312)은 전선케이블(10)의 외주면에 대하여 물림성이 배가되도록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요철(31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 바디의 결합부(130)와 금구 캡의 조립부(210)는 서로 나사체결 방식으로 탈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홀더의 압착부(313) 외측단에는 잠금해제 부싱(4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잠금해제 부싱(400)은 일측에 누름판(4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인출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과 인출부를 잇는 내측에는 관통공(430)이 형성되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케이블(10)의 동선이 삽입되면 조임면(312)으로 유도되면서 내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313)와 맞닿는 인출부(420)의 외경은 개구공(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스프링(320)의 신축시 인출부(420)가 개구공(220)으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 바디의 수용홈(120)은 외주면 일측에 내외측이 관통된 물빠짐용 배수공(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KR1020170164485A 2017-12-01 2017-12-01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KR10182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85A KR101828372B1 (ko) 2017-12-01 2017-12-01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US16/206,195 US10637184B2 (en) 2017-12-01 2018-11-30 One-touch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able to industrial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lightning arre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85A KR101828372B1 (ko) 2017-12-01 2017-12-01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372B1 true KR101828372B1 (ko) 2018-02-12

Family

ID=6122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485A KR101828372B1 (ko) 2017-12-01 2017-12-01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37184B2 (ko)
KR (1) KR101828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39B1 (ko) * 2019-01-16 2019-06-25 진종신 철탑 배전선로의 피뢰기 접속단자
US10637184B2 (en) 2017-12-01 2020-04-28 Ndelectric Co., Ltd. One-touch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able to industrial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lightning arrestor
CN118017426A (zh) * 2024-04-02 2024-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鄄城县供电公司 一种电缆避雷器安装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4244A1 (zh) * 2019-07-08 2021-01-14 陕西和硕电气有限公司 一种自动脱扣和防坠避雷器及避雷熔断一体化组合装置
CN112072555A (zh) * 2020-09-11 2020-12-1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带电作业分公司 一种带电安装35kV架空线路避雷器作业方法
CN114898956B (zh) * 2022-05-26 2022-12-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青阳县供电公司 一种基于智慧台区的配电网供电线路用避雷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7400A (en) * 1923-12-08 1925-02-24 Frankel Connector Co Inc Cable tap
US2463144A (en) * 1945-09-15 1949-03-01 Buchanan Electrical Prod Corp Cable lock connector
US4199213A (en) * 1976-12-17 1980-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constructing an electrical connector switching module
US4293178A (en) * 1979-08-03 1981-10-06 Hop Lee Coupling for an electric cable
IT8423688V0 (it) * 1984-11-02 1984-11-02 Douglas Marine Srl Organo per il fissaggio rapido delle estremita' di cavi, funi e simili.
GB8602112D0 (en) * 1986-01-29 1986-03-05 Bowthorpe Emp Ltd Electrical surge arrester/diverter
US4930039A (en) * 1989-04-18 1990-05-29 Cooper Industries, Inc. Fail-safe surge arrester
CA1314949C (fr) * 1989-08-16 1993-03-23 Michel Bourdages Parafoudre pourvu de tuteurs mobiles de maintien de ses varistances
US6626610B1 (en) * 2002-04-02 2003-09-30 Ben L. Seegmiller Cable bolt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for mines
KR200305508Y1 (ko) 2002-09-18 2003-03-03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피뢰기의 접속단자
KR200298822Y1 (ko) 2002-09-30 2002-12-27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배전선로용 피뢰기의 접속 단자 구조
JP2010027671A (ja) * 2008-07-15 2010-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避雷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01320B2 (ja) * 2009-03-02 2013-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雷器
JP2013229362A (ja) * 2012-04-24 2013-11-07 Toshiba Corp ポリマー避雷器
JP2013239651A (ja) * 2012-05-16 2013-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避雷器
KR101828372B1 (ko) 2017-12-01 2018-02-12 남도전기공업(주)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7184B2 (en) 2017-12-01 2020-04-28 Ndelectric Co., Ltd. One-touch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able to industrial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lightning arrestor
KR101992839B1 (ko) * 2019-01-16 2019-06-25 진종신 철탑 배전선로의 피뢰기 접속단자
CN118017426A (zh) * 2024-04-02 2024-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鄄城县供电公司 一种电缆避雷器安装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37184B2 (en) 2020-04-28
US20190173226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372B1 (ko)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CN105518366B (zh) 快速锁定管固定系统
CN109038434B (zh) 一种楔形直通耐张线夹
CN101611519A (zh) 拼接电连接器
US3783176A (en)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conduit and enclosure, and method
CN103001016A (zh) 一种多功能单向电缆线夹
CN111480026A (zh) 安装夹具
CN106972291B (zh) 一种插接式电表接线夹
KR20130058198A (ko) 압축인류클램프
CN102544776A (zh) 接线装置
KR102047511B1 (ko) 볼트 프리 컷 아웃 스위치
KR102011918B1 (ko) 송전선로용 활선 바이패스 장치
KR100361083B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CN107799964B (zh) 一种连接结构、可分离式电缆连接器及其安装方法
KR20210089844A (ko)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CN103001017B (zh) 一种多向转动连接电缆线夹
KR101939067B1 (ko) 접속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KR200401403Y1 (ko) 전차선로용 직선클램프
CN205811066U (zh) 一种便于夹线操作的输配电线夹
US20070161299A1 (en) Structure for firmly combining cables with clamping element
JP5020108B2 (ja) 耐張クランプ用分岐アダプタ
EP2814119B1 (en) An electrical component
JP5951735B2 (ja) ケーブル架設用取付金具
US1478066A (en) Lighting and power fixture
CN210404701U (zh) 一种一体式内螺旋电缆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