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521B1 -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 Google Patents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7521B1 KR101827521B1 KR1020160060030A KR20160060030A KR101827521B1 KR 101827521 B1 KR101827521 B1 KR 101827521B1 KR 1020160060030 A KR1020160060030 A KR 1020160060030A KR 20160060030 A KR20160060030 A KR 20160060030A KR 101827521 B1 KR101827521 B1 KR 1018275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vowel
- displayed
- consonant
- cent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를 제공한다.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제1 자음, 제1 모음 및 획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자음 구성 요소 및 제1 모음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획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제1 자음과 다른 제2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과 다른 제2 모음을 생성한다.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은 상기 제1 자음,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블록, 사각형의 판, 스티커, 투명 판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orean language learning paradigm using the principle of Hunminjeonggeum discipleship. Wherein the Hangul learning parish has at least two components, each of the at least two components each representing one of a first consonant, a first vowel, and a stroke, and the first consonant component and the first vowel component And combining the stroke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of the stroke components to generate a second vowe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and the first vowel. The at least two components may be any one of a block displaying one of the first consonant, the first vowel, and the stroke, a rectangular plate, a sticker, and transparent plates.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글 학습 도구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제자 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learn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learning tool using a disciple principle.
일반적으로 유아, 어린이 또는 외국인의 한글 학습용 교구는 대부분 블록 등으로 만들어진 한글 자모음을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영어 학습 시 알파벳을 나열하여 결합하는 방식과 다를 바 없다. Generally, most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araphernalia of infants, children, or foreigners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angul characters composed of blocks. This method is no different from the way in which alphabetical letters are combined and combined in English learning.
상기와 같은 방식은 한글의 제자 원리, 즉, 한글의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과 기본 모음(, ㅡ, ㅣ)에서 확장되는 원리를 설명하지 못하는 자모음의 단순 암기를 통한 학습으로 학습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 above method is based on the discipleship principle of Hangul, that is, the basic consonants (a, b, k, g, o) , ㅡ, ㅣ) that can not explain the principle of expanding the learning through the simple memorization of the vowe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learning.
또한, 기존 한글 학습 도구는 각각의 한글 자모 블록 등을 붙여서 활용하는 형태를 지니고 있어 한글의 제자 원리를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xisting Hangul learning tools have the form of using Hangul Zombie blocks and so 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press the principle of discipleship of Hangul.
한글은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표음문자이나, 조합형과 나열형 문자라는 특성에서 알파벳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조합형 문자의 특성에 맞는 한글 학습 교구가 거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angul, like the alphabet, is a typical phonetic alphabet, but it has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lphabet in characteristics such as combinational type and array typ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very few Korean language teaching parlor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mbination character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803호에서는 한글 자모 조합 체계에 의한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단순 조합에 의한 한글 구성 방식을 택하고 있어 한글이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으로부터 확장되는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9803, a Block Diagram for Hangul Learning by the Hangul Zemo Composition System has been disclosed, but the Hangul is selected from a simple combination and understands the principle that Hangul extends from the basic consonant and basic vowel Can not be explained easily.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으로부터 확장되는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표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글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한글 교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parish which expresses the principle of Hunminjeongeum disciples extending from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through various methods and facilitates learning of Hangul by using th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를 제공한다.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제1 자음, 제 1모음 및 획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자음 구성 요소 및 상기 제1 모음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획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제1 자음과 다른 제2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orean language teaching paradigm using the principle of Hunminjeonggeum. Wherein the Hangul learning parish has at least two components, each of the at least two components each representing one of a first consonant, a first vowel, and a stroke, the first consonant component and the first vowel component And generates a second vowe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sonant and a second vowel different from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angul learning paradig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제1 자음 구성요소가 뒷면에 요철 부분을 가지는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음 구성요소가 뒷면에 요철 부분을 가지는 기본 모음('ㅡ', 'ㅣ') 블록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획 구성요소가 뒷면에 요철 부분을 가지고 상기 기본 자음 블록들 및 상기 기본 모음 블록들 중 어느 하나에 가획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획(짧은 획(-), 긴 획(ㅡ))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기본 자음 블록, 상기 기본 모음 블록 및 상기 기본 획 블록들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기본 자음 블록, 상기 기본 모음 블록 및 상기 기본 획 블록들의 요철 부분과 반대의 요철을 앞면에 가지는 배경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gul learning parish includes basic consonants ('a', 'b', 'k', 'g', 'o') blocks having a concave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first consonant component, Wherein the element comprises a basic vowel ('?', '?') Block having a concave / convex portion on the back side, and the stroke component has a concave / Wherein the block includes basic blocks (short stroke (-), long stroke (?)) Blocks capable of displaying a stroke on one of the basic consonant blocks, the basic vowel block and the basic stroke blocks A basic vowel block, and a background plate having front and back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pposite to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basic stroke block.
추가적으로, 상기 배경 판에 연결된 블록들이 올바른 자음 및 올바른 모음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delivering an error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methods when the blocks connected to the backplane do not display either a correct consonant or a correct vowel.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제1 자음 구성요소가 가획이 될 수 있는 위치에 요철 부분을 가지는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음 구성요소가 가획이 될 수 있는 위치에 요철 부분을 가지는 기본 모음('ㅡ', 'ㅣ') 블록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획 구성요소가 상기 기본 자음 블록들 및 상기 기본 모음 블록들의 요철 부분과 반대의 요철 부분을 가지고 상기 기본 자음 블록 및 상기 기본 모음 블록에 상기 반대의 요철 부분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가획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획(짧은 획(-), 긴 획(ㅡ)) 블록들(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gul learning parish includes basic consonants ('a', 'b', 'k', 'g', 'o') blocks having an uneven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nsonant component can be cut ('?', '?') Blocks having a concave / convex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owel component can be cut out, and the stroke component includes a basic vowel block A basic stroke (a short stroke (-), a long stroke (-), and a long stroke (-) that are connected to the basic consonant block and the basic vowel block using the opposite concave / ) ≪ / RTI > blocks 22).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제1 자음 구성 요소 및 제1 모음 구성요소가 배경 판에 고정되는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 및 기본 모음('ㅡ', 'ㅣ')이고, 상기 획 구성요소는 배경 판에 부착되는 스티커로 구성되는 기본 획(짧은 획(-), 긴 획(ㅡ))이며, 상기 획 구성요소를 떼어 가획 과정을 역으로 확인하며 학습할 수 있다. The Hangul learning parish may include a basic consonant ('a', 'b', 'k', 'g', 'o') and a basic vowel And the stroke component is a basic stroke (a short stroke (-), a long stroke (ㅡ)) composed of a sticker attached to a background plate, Inversely, you can learn and learn.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 각각이 투명 판에 표시될 수 있다. In the Hangul learning escape, each of the at least two components may be displayed on a transparent plate.
추가적으로,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투명 판들을 층층이 끼울 수 있도록 3개의 판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내부 옆 면이 층을 이루는 요철 부분을 가지는 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gul Learning Equipments may further include a frame having three flat plates connected at right angles so as to sandwich the transparent plates, and having a concavo-convex portion in which the inner side faces are layered.
추가적으로, 상기 투명 판들이 겹쳐져 생성되는 음절이 올바른 음절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to at least one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methods when the syllable generated by superimposing the transparent plates does not display a correct syllable.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 각각이 사각형의 판 위에 표시되며, 상기 사각형의 판들이 하나로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판들 사이의 경계 부분이 분리되거나 특정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In the Hangul Learning Equipments, each of the at least two components is displayed on a rectangular plate, the rectangular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rectangular plates are separated or folded in a specific direction.
추가적으로, 상기 사각형의 판들 중 적어도 하나가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 판이고 상기 기본 자음 판의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기본 자음으로부터 가획 또는 병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들을 뒷면에 표시한 판을 연결하고, 상기 기본 자음 판의 우측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기본 모음('ㅡ', 'ㅣ') 판을 연결하고 상기 기본 모음 판의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기본 모음에 가획을 할 수 있는 획들을 뒷면에 표시한 판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된 판들을 접으며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rectangular plates may be a basic consonant ('a', 'b', 'k', 'g', 'o' Connecting a plate showing back consonants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basic consonants by a cut or a syllable and connecting a basic vowel ('?',? ') Plate to at least one of the right and bottom ends of the basic consonant plate It is possible to connect plate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basic vowel plates in at least one of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to display the back side of the basic vowels.
추가적으로, 상기 한글 학습 교구는 초성과 중성만으로 이루어진 음절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절 판의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종성으로 올 수 있는 자음 판을 연결하여 받침 결합을 학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gul learning parish may further include a syllable plate composed of only the preliminary and neutral syllables, and the consonant combination may be learned by connecting consonant plates which can be longitudinally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of the syllable plate.
추가적으로, 상기 한글 학습교구는 상기 연결 판 중 하나를 비어 있는 판으로 하여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직접 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gul Learning Diocese can make one of the connection boards as a blank board and write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directly.
본 발명의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는 학습자가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에 가획이 되면서 새로운 자음과 모음이 생성되고 발음이 달라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게 한다.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aradigm using the Hunminjeonggeum discipleship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earners to naturally learn the principle that new consonants and vowels are generated and pronunciation is changed as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basic vowels are divided.
도 1은 기존 한글 학습 블록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따른 한글 학습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인인 ㈜가온 한국어에서 디자인권 출원을 한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의한 한글 자모음의 생성 원리를 나타내는 자음표 및 모음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한글 교구의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한글 교구의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한글 교구의 또 다른 예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판들로 구성된 한글 교구의 예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Hangul learning block and a Hangul lear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of a note and a vowel table showing the principle of generation of a Hangul letter vowel by the Hunmin Jung-eum disciple principle of a design applicatio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Gaon Korean.
3A to 3D are examples of various Hangul paraho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hrough 4H are examples of a folding Hangul par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show still another example of a foldable Hangul par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an example of a Korean-language diagonal consisting of transparent pl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을 포함하는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the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entry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entry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글의 자음은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에 획이 추가되거나 자음이 병서되어 글자가 생성되는 제자 원리를 가진다. 이는 동일한 발음 위치에서 발음의 세기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나는 것을 표현하는 것으로 한글의 우수한 제자 원리를 엿볼 수 있다. Hangul consonants have a discipleship principle in which strokes are added to the basic consonants (a, b, ㅁ, ㅅ, ㅇ) or consonants are sickened to produce letters. This shows that different sounds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pronunciation at the same pronunciation position, which shows the excellent principle of discipleship of Hangeul.
한글의 모음은 기본 모음(, ㅡ, ㅣ)에서 확장하여 초출자(ㅏ, ㅓ, ㅗ, ㅜ)와 재출자(ㅑ, ㅕ, ㅛ, ㅠ)가 생성되는 제자 원리를 가진다. Hangul is a collection of basic vowels ( (,, ㅓ, ㅗ, ㅜ) and the re-investors (ㅑ, ㅕ, ㅛ, ㅠ) are created.
도 1은 기존 한글 학습 블록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의 기존 한글 학습 블록은 모든 자음과 모음이 각각의 블록으로 표현되어 있어 단순히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한글을 생성하는 방법만 학습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1의 하단의 한글 학습 블록은 기본 자음, 기본 모음 및 획들을 각각의 블록으로 표현하고,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 블록의 가획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연결 홈(요철 부분)을 만들었다. 이 연결 홈을 이용하여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에 가획을 하는 방식을 통해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이용하여 한글이 생성되는 원리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Hangul learning block and a Hangul lear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since all consonants and vowels are represented by respective blocks in the existing Hangul learning block at the top, only a method of generating Hangul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learned. However, in the Hangul learning block at the bottom of FIG. 1, the basic consonants, basic vowels, and strokes are represented by respective blocks, and connection grooves (concave / convex portions) are formed at locations where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 blocks can be separated. Using this connection groove, it is possible to easily learn the principle of generating Hangul by using the principle of Hunminjeonggeum disciples through the method of making the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도 2는 본 출원인인 ㈜가온 한국어에서 디자인권 출원을 한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의한 한글 자모음의 생성 원리를 나타내는 자음표 및 모음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of a note and a vowel table showing the principle of generation of a Hangul letter vowel by the Hunmin Jung-eum disciple principle of a design applicatio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Gaon Korean.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자음표와 모음표의 중앙에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이 표시되어 있다. 중앙의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으로부터 가획 또는 병서를 통해 나머지 자음과 모음이 생성되는 원리를 외곽의 원 위에 표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a basic consonant and a basic vowel are displayed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note marks and the vowel table. The principle that the remaining consonants and vowels are generated from the basic consonant and the basic vowel in the center are displayed on the outer circle.
또한, 당사의 등록 특허 10-1573262(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과 당사의 특허 출원 10-2015-0046824(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는 상기 디자인권 출원된 자음표와 모음표의 생성원리를 이용한 한글 교육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3262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the Korean consonant disciple principle, Hangul input devic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our patent application 10-2015-0046824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Hangul compilation principle, Input syste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us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he letter notes and the vowel table is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 출원 및 등록 특허 등의 내용을 한글 교구 형태로 적용하여 한글 창제 원리를 표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the principle of creating a Korean language by applying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nd the registered patent in the form of a Korean paradigm.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한글 교구의 예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한글의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에 획이 추가되어 다른 자음과 모음이 생성되는 원리를 학습하기 위해 레고와 같이 한 면에 요철 부분을 가지는 배경 판(11)에 기본 자음/기본 모음 블록(12) 및 획 블록(13)을 끼우도록 하는 방식의 한글 교구를 제시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배경 판(11)에는 올바른 위치에 가획을 하지 않은 경우나 한글 자음이나 모음이 제대로 완성되지 않은 경우에 오류 메시지 등의 시각적 경고, 경고음 등의 청각적 경고 및 진동 등의 촉각적 경고를 주도록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 출력부(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될 수도 있다.3A to 3D are examples of various Hangul paraho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in order to learn the principle that a basic consonant of Hangul and a stroke are added to a basic vowel to generate another consonant and a vowel, a basic consonant / basic The
도 3b를 참조하면, 도 1의 하단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블록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블록은 한글 기본 자음/기본 모음 블록(21), 그리고 획 블록(22)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기본 자음/기본 모음 블록(21)은 획을 추가할 수 있는 위치에 요철 부분(예를 들어, 음각 부분)을 가져 획 블록(22)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획 블록(22) 또한, 기본 자음/기본 모음 블록(21)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반대의 요철 부분(예를 들어, 양각 부분)을 가진다. 상기 요철 부분의 음각 부분과 양각 부분은 기본 자음/기본 모음 블록(21)과 획 블록들(22)이 반대로 가질 수도 있다. 도 3b의 한글 교구의 경우 가획이 가능한 부분에만 요철이 있어 그 부분에만 연결이 가능하므로 어린이 또는 외국인 등의 한글 학습자가 올바른 한글 자음 및 모음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 block such as that shown at the bottom of FIG. 1 is presented. The block is composed of Korean basic consonant /
도 3c를 참조하면, 가획의 원리를 제시하기 위해 접이식 한글 교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접이식 한글 교구는 기본 자음/기본 모음이 도시된 정사각형 판(31)에 다른 정사각형 판(또는 정사각형 판을 분할한 판)(32)들이 연결된다. 상기 판들은 경계 부분이 분리되어 있거나 특정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예를 들어, 종이,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다른 정사각형 판(또는 정사각형 판을 분할한 판)들(32)은 그 이면에 획이 도시되어 있어, 접으면 기본 자음에 가획이 되어 새로운 자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C, a foldable Hangul parish has been proposed to show the principle of covering. In the foldable Hangul parish, another square plate (or a plate in which a square plate is divided) 32 is connected to a
도 3d를 참조하면, 가획의 원리를 제시하기 위해 스티커 방식의 한글 교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스티커 방식의 한글 교구는 가획의 원리를 역으로 보이기 위해 배경 판(43)의 최종 자음/모음으로부터 스티커로 된 획(43)을 하나씩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기본 자음 또는 기본 모음(42)이 남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D, a sticker-style Hangul parish is presented to show the principle of the compaction. The sticker-type Hangul parish can finally remove the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한글 교구의 또다른 예이다. 상기 접이식 한글 교구는 한글 모음의 위치가 자음의 하변과 우변에 위치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자음 판에 연결된 모음 판들이 자음의 글자 방향에 따라 우변 모음('ㅏ', 'ㅓ', 'ㅑ', 'ㅕ', 'ㅣ' 등) 또는 하변 모음('ㅗ', 'ㅜ', 'ㅛ', 'ㅠ', 'ㅡ' 등)으로 활용되는 특성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자는 모음의 대칭성 및 이동성에 따른 발음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FIGS. 4A and 4B show still another example of a folding Hangul par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ding Korean parish, the vowel plates connected to the consonant plate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position of the Korean vowel is located on the lower and right sides of the consonant, the right vowels ('ㄱ', 'ㅓ', 'ㅑ' (ㅕ),. ('),. ('), Etc.), or a lower-end vowel (ㅗ, ', ㅛ, ㅠ, In this way, the learner can check pronuncia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symmetry and mobility of vowels.
도 4a는 자음에 연결된 모음들이 우변 모음으로 사용되는 예이다.4A is an example in which the vowels connected to the consonants are used as a right-side vowel.
도 4a를 참조하면, 중앙이 자음 'ㄱ' 판(51)이고 그 오른쪽에 모음 'ㅣ' 판(53)이 연결되어 있다. 자음 'ㄱ' 판(51)의 상하 또는 왼쪽에는 다른 자음들 'ㅇ', 'ㅎ', 'ㅋ' (52)이 이면에 표시된 판들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천지인이 결합되어 모음이 형성되는 한글의 모음 제자 원리를 반영하기 위해 모음 'ㅣ' 판(53)의 상하에 분할된 판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의 접이식 한글 교구는 좌측, 상단 또는 하단 판을 접으면 다른 자음이 중앙에 오게 되어 다른 자음으로 바꾸어 가며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모음 'ㅣ'판(53)의 상단 또는 하단의 좌우 판(54)을 하나씩 접으면 자음 우측에 위치하는 'ㅣ'계열 모음('ㅣ', 'ㅏ', 'ㅓ', 'ㅑ', 'ㅕ')을 바꾸어가며 학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center is the 'A'
예를 들어, 도 4a의 자음 'ㄱ'의 하단 판(52)을 접으면 이면에 표시된 'ㅋ'이 중앙에 오게 되고, 모음 'ㅣ'의 상단 왼쪽 판(54)을 접으면 재출자 'ㅕ'를 나타내게 된다. 즉, '기'에서 '키'를 거쳐 '켜'가 생성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도 4b는 자음에 연결된 모음들이 하변 모음으로 사용되는 예이다. 4B is an example in which the vowels connected to the consonants are used as the lower vowel.
도 4b를 참조하면, 중앙이 자음 'ㄱ' 판이고 그 아래쪽에 모음 'ㅡ' 판이 연결되어 있다. 자음 'ㄱ' 판의 좌우 또는 위쪽에는 다른 자음들 'ㅇ', 'ㅎ', 'ㅋ'이 이면에 표시된 판들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음 'ㅡ' 판의 좌우에 천지인이 결합되어 모음이 형성되는 한글의 모음 제자 원리를 반영하기 위해 분할된 판들이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B, the center is the 'a' plate and the vowel '-' plat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nsonant 'a' plate, there are connected the plates with the other consonants 'ㅇ', 'ㅎ', and 'ㅋ' on the back. In addition, divided plates are connected to reflect the principle of vowel disciples of Hangul, in which vowel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owel 'ㅡ' plate.
도 4b의 자음 'ㄱ'의 왼쪽 판을 접으면 이면에 표시된 'ㅋ'이 중앙에 오게 되고, 모음 'ㅡ'의 상단 오른쪽 판을 접으면 재출자 'ㅛ'를 나타내게 된다. 즉, '그'에서 '크'를 거쳐 '쿄'가 생성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When the left plate of the consonant 'A' of FIG. 4B is folded, 'KE' displayed on the back side comes to the center, and when the upper right plate of the vowel '' is folded, it shows' In other words, you can see the process of creating 'Kyou' through 'Ke' from 'him'.
도 4c 및 도 4d는 중앙이 기본 자음 중 하나인 'ㄴ'이고 이로부터 가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들인 'ㄷ', 'ㅌ' 및 'ㄹ' 판이 'ㄴ' 판에 연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변 모음 및 하변 모음의 연결은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하다.4C and 4D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enter is 'b' which is one of the basic consonants and 'c', 'e' and 'd' consonants which can be generated by the subtraction are connected to the 'b' FIG. The connection of the right-hand side vowels and the lower side vowels is the same as in Figs. 4A and 4B.
도 4e 및 도 f는 중앙이 기본 자음 중 하나인 'ㅁ'이고 이로부터 가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들인 'ㅂ' 및 'ㅍ' 판이 'ㅁ' 판에 연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변 모음 및 하변 모음의 연결은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하다.FIGS. 4E and 4F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center is one of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ß' and 'Ê', which can be generated by the subtraction, are connected to the 'ㅁ' plate. The connection of the right-hand side vowels and the lower side vowels is the same as in Figs. 4A and 4B.
도 4g 및 도 h는 중앙이 기본 자음 중 하나인 'ㅅ'이고 이로부터 가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들인 'ㅈ' 및 'ㅊ' 판이 'ㅅ' 판에 연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변 모음 및 하변 모음의 연결은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하다.FIGS. 4G and 4H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the center is one of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V' and 'V' consonants, which can be generated by the subtraction, are connected to the 'V' plate. The connection of the right-hand side vowels and the lower side vowels is the same as in Figs. 4A and 4B.
도 4a 내지 도 4h는 초성과 중성으로 구성되는 글자만을 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자음 판들을 더 연결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되는 글자의 표현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FIGS. 4A to 4H show only letters consisting of a prefix and a neutra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consonant plates to represent letters consisting of a prefix, a neutral, and a consonant.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한글 교구의 또 다른 예이다.5A to 5D show still another example of a foldable Hangul par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도 4a 내지 도 4h의 경우와 달리 분할된 판들을 접어 다른 모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모음 판 자체가 연결되어 있다. 중심 자음 판이 기본 자음 중 하나인 'ㄱ'이고 이로부터 가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인 'ㅋ'과 기본 자음인 'ㅇ' 및 이로부터 가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인 'ㅎ' 판이 중심 자음 판에 연결된다. 중심 자음 오른쪽에 모음 'ㅏ' 판이 연결되고, 상기 모음 판에 모음 'ㅑ' 'ㅓ' 및 'ㅕ' 판이 연결된다. 중심의 'ㄱ' 판 아래 판을 접으면 '카'가 되고, 모음 'ㅏ' 판 위의 판을 접으면 '캬'가 된다. Referring to FIG. 5A, unlike the case of FIGS. 4A to 4H, FIG. 5A does not use a method of folding divided boards to create different vowels, but other vowel plates themselves are connected. The central consonant plate is' a ', which is one of the basic consonants, and' ㅋ 'which is a consonant which can be generated by the subtraction from this,' ㅇ 'which is a basic consonant and' It is connected to a consonant plate. The vowel 'a' plate is connected to the right of the center consonant, and the vowels 'ㅑ' 'ㅓ' and 'ㅕ' plate are connected to the vowel plate. If you fold the plate under the center 'a' plate, it becomes 'ka', and when you fold the plate on the vowel 'a' plate, it becomes 'ky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 내지 도 4h의 예와는 달리 중심 자음 'ㄱ' 판의 상하 좌우가 아닌 대각선 방향에도 자음 판들(예를 들어, 'ㄲ' 판)을 연결하여 더 많은 자음 판을 나열할 수 있다. 또한, 모음 판 또한 모음 'ㅣ' 판의 대각선 방향에도 모음 판들(예를 들어, 'ㅏ' 및 'ㅑ' 판)을 더 나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unlike the examples of FIGS. 4A to 4H, consonant plates (for example, 'ㄲ' plates) are connected to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enter consonant ' ≪ / RTI > In addition, vowel plates can also be further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vowel 'I' plate (for example, 'a' and 'v' plates).
도 5c를 참조하면, 자음 및 모음 중 어느 하나가 없이 빈 판이 연결되어 필요한 자음 또는 모음을 자유롭게 쓸 수도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자음 'ㄱ' 판과 그에 연결된 'ㅋ', 'ㅇ' 및 'ㅎ' 판이 있고 나머지는 빈 판이 연결된다. 상기 빈 판에 원하는 모음을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C, a blank plate may be connected without any consonant or vowel to freely use necessary consonants or vowels. As shown in FIG. 5C, there are a 'center' consonant 'a' plate and 'k', 'o' and 'he' plates connected thereto, and the rest are connected to a hollow plate. And may be configured to write and erase a desired vowel in the blank plate.
도 5d를 참조하면, 단순히 자음과 모음만 판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초성 및 중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이 판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음절에 종성인 받침이 붙어 다른 음절을 생성하도록 판을 접어 표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D, not only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on a plate, but syllables having a preliminary and a neutral are displayed on a plate. These syllables may also be folded to produce another syllable, with a pedestal attached to it.
도 5a 내지 도 5d의 예들에 도시된 것과 달리 연결된 판 수가 더 많거나 더 적을 수도 있으며, 각각의 판에 들어가는 글자도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Unlike the examples shown in Figs. 5A to 5D, the number of connected plates may be more or less, and the letters entering each plate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판들로 구성된 한글 교구의 예이다. 상기 투명판 한글 교구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위치가 규칙을 가지고 조합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도 6a의 상단과 같이 사각형의 투명 판(61)에 각각의 자음과 모음(획도 표시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도 6a의 하단과 같이 상기 투명 판들을 겹쳐 음절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판 한글 교구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식으로 내부 옆 면이 층을 이루는 요철 부분을 가지는 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b에서는 상기 틀이 3단의 층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더 많은 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틀의 요철 부분에 투명 판들(61)을 층별로 끼워 음절을 생성할 수 있다. 6A and 6B show an example of a Korean-language diagonal consisting of transparent pl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Hangul parish uses the property that the positions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with rules.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6A, each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which can also be displayed as a stroke) is displayed on the
상기 투명판 한글 교구에는 투명 판들이 겹쳐진 결과가 올바른 음절이 아닌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 등의 시각적 경고, 경고음 등의 청각적 경고 및 진동 등의 촉각적 경고를 주도록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 출력부(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될 수도 있다.When the result of superimposing transparent plates on the transparent plate is not a correct syllable, the transparent plate is provided with an output unit including a speaker, a display, and the like for giving a tactile warning such as a visual warning such as an error message, Not included).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 예가 기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들이 또한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술된 단계들의 일부는 순서 독립적이므로 기술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A number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Nevertheles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other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some of the step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described, since they are order independent.
Claims (12)
자음, 모음, 획 및 초성과 중성으로만 구성된 음절 중 어느 하나가 전면 또는 후면에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사각형의 판들이 연결된 것으로서,
'ㄱ'(아음), 'ㄴ'(설음), 'ㅁ'(순음), 'ㅅ'(치음), 'ㅇ'(후음) 및 'ㄹ'(이체자) 중 어느 하나가 전면에 표시된 중앙판; 및
상기 중앙판의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획을 후면에 표시한 획판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판이 'ㄱ'(아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ㅋ'(아음)이 표시되도록 상기 중앙판이 좌측에 긴 가로획이 표시된 획판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이 'ㄴ'(설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ㄷ'(설음) 또는 'ㅌ'(설음)이 표시되도록 상기 중앙판에 각각 긴 가로획이 표시된 두 개의 획판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이 상기 'ㅁ'(순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ㅂ'(순음) 또는 'ㅍ'(순음)이 표시되도록 상기 중앙판의 상단에 두 줄의 짧은 세로획이 표시된 획판과 상기 중앙판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두 줄의 짧은 가로획이 표시된 획판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이 상기 'ㅅ'(치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ㅈ'(치음) 또는 'ㅊ'(치음)이 표시되도록 상기 중앙판에 긴 가로획이 표시된 획판과 짧은 가로획이 표시된 획판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이 상기 'ㅇ'(후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ㅎ'(후음)이 표시되도록 상기 중앙판의 상단에 짧은 가로획과 긴 가로획이 표시된 획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구.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aradigm using the principle of Hunminjeonggeum,
Consonants, vowels, strokes, and syllables each consisting of a prefix and a neutral are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rectangular plates display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Any one of the 'a', 'd', 'd', 'd', 'd', 'o'; And
And a plate coupled to at least one of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enter plate,
When the center plate is a center plate indicating 'a' (a minus), the center plate is coupled with a long plate displayed on the left side so that 'k' (not) is displayed when the plate is folded,
When the center plate is a center plate displaying 'b' (tallness), the center plate has two long strokes marked with 'c' (tall) or 't' (tall) Plates are combined,
When the center plate is the center plate displaying the 'ㅁ' (pure tone), the center plate is provided with two rows of short trapezoids at the top of the center plate so that 'ß' (pure tone) or ' And a plurality of short strips each having two short lines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plate,
When the center plate is the center plate indicating the 'g' (chisel), a long plate is displayed on the center plate so as to display 'X' (chisel) or ' A steganogram is displayed,
When the center plate is the center plate indicating the 'o' (the rear), a short plate and a long plate are display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late so that a 'h' (rear) is displayed when the plate is folde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aradigm characterized by.
자음, 모음, 획 및 초성과 중성으로만 구성된 음절 중 어느 하나가 전면 또는 후면에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사각형의 판들이 연결된 것으로서,
'ㄱ'(아음), 'ㄴ'(설음), 'ㅁ'(순음), 'ㅅ'(치음), 'ㅇ'(후음) 및 'ㄹ'(이체자) 중 어느 하나가 전면에 표시된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우측에 결합된 기본 모음 'ㅣ' 가 전면에 표시된 제1 모음판 또는 상기 중앙판의 하단에 결합된 기본 모음 'ㅡ' 가 전면에 표시된 제2 모음판; 및
상기 제1 모음판 또는 상기 제2 모음판에 결합된 획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음판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ㅓ','ㅕ','ㅏ' 또는'ㅑ'가 표시되도록 짧은 가로획 또는 두줄의 짧은 가로획이 후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획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모음판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획판을 접었을 때 'ㅗ','ㅛ', 'ㅜ' 또는 'ㅠ'가 표시되도록 짧은 세로획 또는 두줄의 짧은 세로획이 후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획판이 결합되는, 한글 학습 교구.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aradigm using the principle of Hunminjeonggeum,
Consonants, vowels, strokes, and syllables each consisting of a prefix and a neutral are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rectangular plates display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Any one of the 'a', 'd', 'd', 'd', 'd', 'o';
A first vowel plate having a basic vowel '?'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plate, a second vowel plate having a basic vowel '?'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enter plate; And
And a plate coupled to the first collection plate or the second collection plate,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vowel plate may have at least one short stroke or two short short strokes displayed on the back so that when the plate is folded, 'ㅓ', 'ㅕ', 'a' or 'ㅑ' Plates are combined,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llection boar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hort stroke or two short short strokes displayed on the back so that 'ㅗ', 'ㅛ', 'ㅜ' Korean language learning paradigm combined with edition.
자음, 모음, 획 및 초성과 중성으로만 구성된 음절 중 어느 하나가 전면 또는 후면에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사각형의 판들이 연결된 것으로서,
'ㄱ'(아음), 'ㄴ'(설음), 'ㅁ'(순음), 'ㅅ'(치음), 'ㅇ'(후음) 및 'ㄹ'(이체자) 중 어느 하나가 전면에 표시된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중앙판에 표시된 자음에 가획 또는 병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자음을 후면에 표시한 자음판; 및
상기 중앙판의 우측에 결합된 기본 모음 'ㅣ' 가 전면에 표시된 제1 모음판 또는 상기 중앙판의 하단에 결합된 기본 모음 'ㅡ' 가 전면에 표시된 제2 모음판을 포함하되
상기 자음판은 상기 'ㄱ'(아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ㅋ'(아음) 또는 'ㄲ'(아음)을 표시한 자음판이고, 상기 'ㄴ'(설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ㄷ'(설음), 'ㅌ'(설음) 및 'ㄸ'(설음)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 자음판이고, 상기 'ㅁ'(순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ㅂ'(순음), 'ㅍ'(순음) 및 'ㅃ'(순음)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 자음판이고, 상기 'ㅅ'(치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ㅆ'(치음) 'ㅈ'(치음), 'ㅉ'(치음), 'ㅊ'(치음)을 표시한 자음판이며, 상기 'ㅇ'(후음)을 표시한 중앙판인 경우에는 'ㅎ'(후음)을 표시한 자음판인, 한글 학습 교구.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aradigm using the principle of Hunminjeonggeum,
Consonants, vowels, strokes, and syllables each consisting of a prefix and a neutral are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rectangular plates display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Any one of the 'a', 'd', 'd', 'd', 'd', 'o';
A consonant plate on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plate, on which consonants that can be generated by compilation or syllable are display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sonants displayed on the center plate; And
A first vowel on the front side of which is displayed a basic vowel 'ㅣ', or a second vowel on the front side of which is displayed a basic vowel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vowel,
The consonant plate is a consonant plate displaying 'ㅋ' or 'ㄲ' when the center plate indicates the 'a', and the center of the ' , And in the case of a center plate displaying 'ㅁ' (pure tone), it is a consonant plate displaying any one of 'ㄷ', 'ㅌ' Is a consonant plate displaying any one of 'g' (pure tone), 't' (pure tone) and 'ㅃ' (pure tone) Is a consonant plate displaying the letters 'I' (chisel), 'ㅉ' (chisel) and 'Ji (chisel)'. One consonant plate, Korean learning paris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0030A KR101827521B1 (en) | 2016-05-17 | 2016-05-17 |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0030A KR101827521B1 (en) | 2016-05-17 | 2016-05-17 |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9391A KR20170129391A (en) | 2017-11-27 |
KR101827521B1 true KR101827521B1 (en) | 2018-02-08 |
Family
ID=6081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0030A KR101827521B1 (en) | 2016-05-17 | 2016-05-17 |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752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426B1 (en) | 2020-11-26 | 2021-11-12 | 김대웅 | basic Korean language teaching aids |
KR102368473B1 (en) * | 2021-09-17 | 2022-02-28 | 김연희 | Apparatus for studying korean language |
KR20220143403A (en) | 2021-04-16 | 2022-10-25 | 최지원 | Hangeul learning materi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0681B1 (en) * | 2018-10-22 | 2020-11-19 | 김현신 | Apparatus of learning hangul |
KR20200001061U (en) | 2018-11-16 | 2020-05-26 | 유지연 | Apparatus for Educating Korean Alphabet |
KR102097249B1 (en) * | 2019-11-08 | 2020-04-06 | 송제욱 |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9625Y1 (en) * | 2000-08-24 | 2001-01-15 | 이규주 | Korean Puzzle Card |
KR200405251Y1 (en) * | 2005-10-25 | 2006-01-11 | 박세균 | Hangul teaching (learning) textbook by folding design |
-
2016
- 2016-05-17 KR KR1020160060030A patent/KR10182752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9625Y1 (en) * | 2000-08-24 | 2001-01-15 | 이규주 | Korean Puzzle Card |
KR200405251Y1 (en) * | 2005-10-25 | 2006-01-11 | 박세균 | Hangul teaching (learning) textbook by folding desig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426B1 (en) | 2020-11-26 | 2021-11-12 | 김대웅 | basic Korean language teaching aids |
KR20220143403A (en) | 2021-04-16 | 2022-10-25 | 최지원 | Hangeul learning material |
KR102368473B1 (en) * | 2021-09-17 | 2022-02-28 | 김연희 | Apparatus for studying korean langu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9391A (en) | 2017-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7521B1 (en) |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 |
KR102035323B1 (en) | Block teaching aid for language learning | |
US9666096B2 (en) | Tactile spelling totems | |
KR102192379B1 (en) | Stereoscopic book read by fingertips | |
KR101042596B1 (en) | Korean teaching tool | |
JP5594738B2 (en) | English learning jigsaw puzzle | |
KR20170051831A (en) | Educational tool set using storytelling and tactile impression | |
KR100602590B1 (en) | Block toy | |
KR200472467Y1 (en) | English studying materials for infants and the handicapped | |
KR20200097145A (en) | Young children's writing learning parish | |
US7549864B2 (en) | Method and apparatuses for teaching a metacognitive approach to writing | |
Makarova et al. | Teaching English to bvi learners | |
KR20100114285A (en) | Puzzle game devices for learning | |
KR20160142536A (en) | Block-set making specific structure for introducing korea | |
KR101620603B1 (en) | Educational puzzle apparatus for a blind person | |
CN104637368A (en) | Chinese teaching method and device | |
KR101550230B1 (en) | Character study device of blind | |
JP7411274B1 (en) | English teaching materials | |
KR101238744B1 (en) | Textbook for learning hangul by means of coordinat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CN211181282U (en) | Crawler-type pyramid teaching aid | |
KR100645974B1 (en) | Materials for teaching a foreign language | |
KR20220028479A (en) | Hangul Learning Diocese and its Method of Learning | |
Lipika et al. | Tactile Diagrams for Science and Mathematics: Design, Production and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Blindness | |
KR200291779Y1 (en) | Puzzle For Studying Korean Language | |
KR20120072583A (en) | Teaching tools for studying chil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