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56B1 -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56B1
KR101825656B1 KR1020160013543A KR20160013543A KR101825656B1 KR 101825656 B1 KR101825656 B1 KR 101825656B1 KR 1020160013543 A KR1020160013543 A KR 1020160013543A KR 20160013543 A KR20160013543 A KR 20160013543A KR 101825656 B1 KR101825656 B1 KR 10182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chor chain
lifting
transfer plat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330A (ko
Inventor
손창수
구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6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는, 앵커 체인이 안착되는 이송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인양하는 제1인양크레인과, 상기 앵커 체인을 인양하여 선체 기둥에 삽입시키는 제2인양크레인을 포함하는 크레인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Lifting Apparatus for Loading Anchor Chain}
본 발명은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플레이트와 크레인유닛을 통해 앵커 체인의 탑재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박의 위치를 일정 범위 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앵커는 선박에 앵커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앵커 체인은 앵커의 위치를 조절하고, 앵커와 함께 파주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앵커 체인(W)은 선박의 건조 과정 중, 크레인(10)을 통해 인양되어 지상으로부터 선체(H)에 구비된 기둥(T) 내측으로 삽입된다. 다만, 앵커 체인(W)은 그 특성 상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선체 기둥(T)에 정해진 길이만큼 삽입하는 과정이 복수 회에 걸쳐 이루어진다.
즉 크레인(10)은 지상에 위치된 앵커 체인(W)의 일부를 인양하여 선체 기둥(T)으로 이송시킨 뒤, 선체 기둥(T) 내에 투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크레인(10)의 반복 작업으로 작업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앵커 체인(W)의 탑재 시공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레인(10)의 이송 과정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12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앵커 체인을 선박에 탑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는, 앵커 체인이 안착되는 이송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인양하는 제1인양크레인과, 상기 앵커 체인을 인양하여 선체 기둥에 삽입시키는 제2인양크레인을 포함하는 크레인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선체에 구비되는 제1고정모듈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모듈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모듈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 체인의 소정 지점을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앵커 체인 전체를 인양하여 선체 기둥에 인접한 위치에서 탑재 과정이 진행되므로, 크레인유닛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 크레인의 반복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던 연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크레인 반복 이송에 따른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있어 앵커 체인을 선박 기둥 내에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에 있어서, 제1고정모듈 및 제2고정모듈 간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에 있어서, 제2인양크레인을 통해 앵커 체인을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는 이송플레이트(200)와, 크레인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200)는 앵커 체인(W)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송플레이트(200) 상에는 앵커 체인(W)이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의 일측 및 타측을 교대로 왕복하도록 형성되어 전체 길이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에는 고정모듈(210)과 고정지그(2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크레인유닛(100)은 상기 이송플레이트(200) 및 앵커 체인(W)을 인양 및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의 인양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유닛(100)은, 상기 이송플레이트(200)를 인양하는 제1인양크레인(120b, 120c)과, 상기 이송플레이트(200) 상에 거치된 앵커 체인(W)을 인양하여 선체에 탑재시키는 제2인양크레인(120a)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인양크레인(120b, 120c)은 와이어(121)를 통해 상기 이송플레이트(200)를 인양하게 되며, 또한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인양크레인(120b, 120c) 및 상기 제2인양크레인(120a)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크레인 지지대(11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200)를 지상으로부터 목표 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에 있어서, 제1고정모듈(220) 및 제2고정모듈(210) 간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H)에 형성된 선체 기둥(T)에 앵커 체인(W)을 탑재하도록 하며, 이때 목표가 되는 선체 기둥(T)의 인접 지점에는 제1고정모듈(230)이 구비된다. 이는 전술한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의 제2고정모듈(210)과 상호 결합되어, 앵커 체인(W)의 탑재 과정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고정모듈(230)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모듈(210)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2)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2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삽입부(212)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2) 사이에 끼워져 상기 이송플레이트(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2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212)에는 상기 고정홀(23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1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212)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2)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돌기(215)는 상기 고정홀(235)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제2고정모듈(210)이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1고정모듈(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모듈(210)의 삽입부(212) 양측에는, 상기 삽입부(212)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232) 측면을 감싸는 플랜지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14)는 상기 제2고정모듈(210)이 상기 제1고정모듈(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횡 방향의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1고정모듈(230) 및 제2고정모듈(210)은, 본 실시예의 형태 외에도 상호 결합 및 고정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에 있어서, 제2인양크레인(120a)을 통해 앵커 체인(W)을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모듈(230) 및 상기 제2고정모듈(210)을 결합하여 이송플레이트(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후, 앵커 체인(W)의 탑재 작업이 수행된다.
본 과정에서는 상기 제2인양크레인(120a)을 이용하여, 상기 앵커 체인(W)을 상기 이송플레이트(200)로부터 인양하고, 선체 기둥(T)의 내측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인양크레인(120a)은, 상기 앵커 체인(W)의 양단부 중 어느 일측 부분을 인양 및 이송하여 상기 선체 기둥(T)에 삽입하게 된다.
다만, 본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 중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의 높이가 상기 선체 기둥(T)과 비슷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앵커 체인(W)의 삽입 과정 중 일정 시점부터는 상기 선체 기둥(T) 내측에 삽입된 부분의 자중에 의해 제어가 불가능해질 정도로 삽입 속도가 가속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에는, 고정지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2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 체인(W)의 소정 지점을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지그(2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의 둘레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 체인(W)의 소정 지점을 고정시키는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지그(22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0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에 상기 앵커 체인(W)을 고정하도록 자물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앵커 체인(W)의 방향 전환 지점을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앵커 체인(W)의 일측을 상기 선체 기둥(T)에 삽입할 경우, 상기 앵커 체인(W)이 자중에 의해 삽입 속도가 증가되더라도 상기 고정지그(220)가 체결된 지점까지만 삽입되므로, 단위 길이 별로 순차적으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앵커 체인(W)의 복수 지점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앵커 체인(W)을 지상에서부터 인양하였던 종래와 달리, 이송플레이트(200)를 통해 앵커 체인(W) 전체를 인양하여 선체 기둥(T)에 인접한 위치에서 탑재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유닛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크레인유닛 110: 크레인 지지대
120a: 제2인양크레인 120b, 120c: 제1인양크레인
121: 와이어 200: 이송플레이트
210: 제2고정모듈 212: 삽입부
214: 플랜지부 215: 삽입돌기
220: 고정지그 230: 제1고정모듈
232: 고정부 235: 고정홀
H: 선체 T: 선체 기둥
W: 앵커 체인

Claims (5)

  1. 앵커 체인이 안착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인양하는 제1인양크레인과, 상기 앵커 체인을 인양하여 선체 기둥에 삽입시키는 제2인양크레인을 포함하는 크레인유닛;
    선체에 구비되는 제1고정모듈;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모듈은, 서로 대향되어 사이에 상부가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모듈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 공간의 개구를 통해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모듈은,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측면을 감싸 상기 제2고정모듈의 횡 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 체인의 소정 지점을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더 포함하는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KR1020160013543A 2016-02-03 2016-02-03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KR10182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43A KR101825656B1 (ko) 2016-02-03 2016-02-03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43A KR101825656B1 (ko) 2016-02-03 2016-02-03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30A KR20170092330A (ko) 2017-08-11
KR101825656B1 true KR101825656B1 (ko) 2018-03-22

Family

ID=5965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43A KR101825656B1 (ko) 2016-02-03 2016-02-03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903B1 (ko) 2018-01-02 2019-09-11 김황수 페이스 커터 견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30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685B1 (ko)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EP2012616B1 (en) Assembly for and method of housing an object, such as fuel cell balance of plant equipment, for transport to and storage at a user location
KR101825656B1 (ko) 앵커 체인 탑재용 인양장치
KR20160026240A (ko) 수직반송기
KR20170000881U (ko) 선박의 사이드 쉘 블럭 탑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2494A (ko) 로로선의 리프터블 카 데크 설치방법
US20190330029A1 (en) A lifting system and a carrier element for such a lifting system
KR102238909B1 (ko) 기판 반송 로봇의 승강부 프레임
KR101807768B1 (ko) 슬링 어셈블리
CN107250501A (zh) 悬挂支架
KR20130006534U (ko) 지게차 포크 부착형 지그
KR101429551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CN106892224A (zh) 罐式集装箱及其端框
CN206375163U (zh) 托架装置及具有其的运输装置
KR102123316B1 (ko) 알루미늄프레임의 피막처리공정 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KR101634988B1 (ko) 심 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지지 장치 및 방법
KR20170092325A (ko) 파이프 리프팅장치
CN210424455U (zh) H型钢构件强度增强结构
JP5558173B2 (ja) キャニスタ格納方法
KR101426026B1 (ko) 드릴쉽 운반 테스트용 운반기구
US20060072998A1 (en) Cargo lifting device
KR200328314Y1 (ko)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KR20170045991A (ko) 쓰러스터 고정을 위한 쓰러스터 스탠드 및 이를 이용하여 쓰러스터를 고정하는 방법
KR200407470Y1 (ko) 전기 판넬 이송 시 변형 방지를 위한 이송용 체인 지그
JP2018141324A (ja) 運搬治具および該運搬治具を用いた吊り荷の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