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796B1 - 조리판 - Google Patents

조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796B1
KR101824796B1 KR1020160034009A KR20160034009A KR101824796B1 KR 101824796 B1 KR101824796 B1 KR 101824796B1 KR 1020160034009 A KR1020160034009 A KR 1020160034009A KR 20160034009 A KR20160034009 A KR 20160034009A KR 101824796 B1 KR101824796 B1 KR 101824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ll
cooking plate
oil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101A (ko
Inventor
치캉 후
Original Assignee
치캉 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캉 후 filed Critical 치캉 후
Publication of KR2017001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조리판으로서, 조리판 본체를 포함하며, 조리판 본체 바닥쪽 가운데에는 회전축이 있고, 조리판 본체 가운데에는 회전축 바깥쪽 위치에 조리판 본체의 위 표면과 아래 표면을 통과하는 기름 구멍 여러 개가 있으며, 조리판 본체 아래 표면은 기름 구멍 방향으로 오목하고, 기름 구멍은 조리판 본체의 중심을 둘러싼 환형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기름 구멍의 아래쪽에는 아래로 확장되는 기름 유도벽이 있고, 각 기름 구멍의 기름 유도벽 사이에는 강화벽으로 반복 연결되고, 강화벽은 기름 유도벽과 함께 강화링을 형성하며,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리판 본체는 각 기름 구멍의 기름 유도벽 사이가 강화벽으로 반복 연결되고, 강화벽은 기름 유도벽과 함께 강화링을 형성하여, 기름 구멍 부위의 조리판의 구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생산 제조 또는 사용 시에 조리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품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고, 또 한편으로 강화링이 형성되어 차단된 안쪽 구역이 사용 시에 기름기가 밖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름기를 받침대의 기름통 속에 떨어지게 하여 받침대의 기름통 바깥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판{A cooking tray}
본 발명은 열원이 장착된 전기 구이 장치 기술 영역에 속하며, 구체적으로 일종의 조리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열원이 장착된 전기 구이 장치는 버너, 받침대와 조리판을 포함하며, 조리판은 받침대 위에 설치되고, 조리판의 회전축과 받침대의 축 구멍은 회전식으로 연결되며, 버너는 지지암을 통해 조리판의 상방에 지지된다. 작동 시에, 버너가 조리판으로 복사열을 전달하여 조리판 위에 놓인 음식을 조리한다. 조리판은 수동이나 전동 방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식을 꺼내고 놓을 수 있다.
조리판의 위 표면은 가운데로 오목하고, 가운데 부분에는 기름 구멍이 있어서 음식이 조리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기름기를 기름 구멍으로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서, 음식을 조리하는 효과가 더욱 좋다. 기존 조리판의 기름 구멍 설치 방식은 보통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중심 기름 구멍 구조로서, 회전축이 중공 구조이다. 다른 하나는 측면 기름 구멍 구조로서, 회전축 바깥쪽의 위치에 조리판 위 표면과 아래 표면을 통과하는 여러 개의 기름 구멍을 만드는 구조이다. 전자의 장점은 기름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좋고, 조리판의 구조가 간단하지만, 기름 구멍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구멍이 막히기 쉽고, 전동 방식을 사용할 때 받침대의 구동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후자는 기름 구멍이 여러 개가 있기 때문에 구멍이 잘 안막히고, 전동 방식을 사용할 때 그 회전축이 받침대 위의 구동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 방식이 더 간단하기 때문에, 두번째 기름 구멍 방안의 조리판을 사용하는 업체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회전축 바깥쪽의 위치에 여러 개의 기름 구멍이 있기 때문에 조리판 그 부위의 구조 강도가 약해지고, 조리판을 생산 제조하거나 사용 시에 변형되기가 쉬우며, 제품의 합격률과 사용 수명도 낮아진다. 다른 한편으로, 측면 기름 구멍 구조 방식을 사용한 조리판의 열원 장착식 전기 구이 장치는 받침대 위에 기름 구멍 하부가 대응하는 위치에 기름통를 설치해서 각 기름 구멍에서 나오는 기름기를 수집해야 하고, 기름통에는 기름통과 연결되는 기름 통로가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기름기는 일정한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기름 구멍에서 나온 기름기가 기름 구멍 아래쪽의 가장자리에 스며들어 기름통 바깥쪽에 떨어지면서 받침대의 기타 위치를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구조 강도가 우수한 측면 기름 구멍의 조리판의 제공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사용한다.
일종의 조리판은 조리판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판 본체 바닥쪽 가운데에는 회전축이 있고, 상기 조리판 본체 가운데에는 상기 회전축 바깥쪽 위치에 상기 조리판 본체 위 표면과 아래 표면을 통과하는 여러 개의 기름 구멍이 있으며, 상기 조리판 본체 위 표면은 기름 구멍 방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기름 구멍은 상기 조리판 본체의 중심을 둘러싼 환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름 구멍의 아래쪽에는 아래로 확장되는 기름 유도벽이 있다. 각 기름 구멍의 기름 유도벽 사이는 강화벽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화벽과 상기 기름 유도벽은 강화링을 형성한다.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리판은 기름 구멍의 기름 유도벽 사이는 강화벽으로 연결되고, 강화벽과 기름 유도벽은 함께 강화링을 형성하여 기름 구멍 부위 조리판의 구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조리판의 변형을 방지하며, 제품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 한편으로 강화링이 형성되어 차단된 안쪽 구역이 사용 시에 기름기가 바깥쪽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름기가 받침대의 기름통으로만 떨어져서 받침대의 기름통 바깥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기름 구멍은 콩팥형이며, 상기 기름 유도벽의 외측벽과 상기 강화벽으로 된 강화링은 모두 곡률이 동일한 궁형 벽이고, 상기 강화벽의 양단은 상기 기름 유도벽의 외측벽의 양단과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을 형성한다. 콩팥형의 기름 구멍을 사용하면 기름 구멍의 길이를 증대시켜서 기름을 배출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강화벽의 양단은 상기 기름 유도벽의 외측벽의 양단과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을 형성하여 구조 강도가 더 좋고, 제품 제조가 편리한 동시에, 기름기를 차단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기름 구멍은 콩팥형이며, 상기 기름 유도벽 내측벽과 상기 강화벽은 모두 곡률이 동일한 궁형 벽이고, 상기 강화벽의 양단은 상기 기름 유도벽의 내측벽의 양단과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을 형성한다.
제 3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기름 구멍은 콩팥형이며, 상기 강화벽의 양단은 상기 기름 유도벽 양단의 가운데 부분과 연결된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강화벽의 높이와 상기 기름 유도벽의 높이는 동일하며, 그 목적은 제품의 편리한 제조에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조리판 본체의 위 표면에는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에서 가운데로 확장되는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점착 방지 스트립이 있다. 그 목적은 조리된 음식물을 점착 방지 스트립에 놓아서 음식물이 조리판 본체의 위 표면과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서로 이웃한 점착 방지 스트립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있다. 그 목적은 조리할 음식물이 조리판 본체 가운데 부분으로 미끄러져 음식물이 겹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균일하게 익혀서 조리 효율을 더 높이는 데에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 스트립 근처의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의 한쪽에는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이 있으며, 상기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과 상기 미끄럼 방지 스트립은 T형 구조로 연결된다.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은 점착 방지 스트립의 분포 밀도를 증가시켜서, 조리판의 점착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상기 조리판 본체 위 표면 중심에는 볼록대가 있으며, 상기 볼록대 주변에는 기름통가 있고, 상기 기름 구멍은 상기 기름통 위에 있다. 그 볼록대를 설치하는 목적은 기름기가 조리판 본체 위 표면 중심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고, 기름통의 목적은 기름기를 더 원활하게 기름 구멍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서로 이웃한 점착 방지 스트립 사이에는 기름 유도통이 있으며, 그 목적은 음식물에서 발생한 기름기를 편리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판의 조감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판의 저면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판의 조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판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판의 단면도이다.
아래는 도면을 통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대한 설명이다.
도 1에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리판은 조리판 본체(1)를 포함하며, 조리판 본체(1)의 바닥면 가운데에는 회전축(109)이 있고, 조리판 본체(1) 가운데 부분에는 회전축(109) 바깥쪽의 위치에 조리판 본체(1)의 위 표면과 아래 표면을 통과하는 여러 개의 기름 구멍(102)이 있으며, 조리판 본체(1)의 위 표면은 기름 구멍 방향으로 오목하고, 기름 구멍(102)은 조리판 본체(1)의 중심을 둘러싼 환형으로 배치되며, 기름 구멍(102)의 아래쪽에는 아래로 확장되는 기름 유도벽(1021)이 있다. 각 기름 구멍(102)의 기름 유도벽(1021) 사이는 강화벽(1081)으로 반복 연결되고, 강화벽(1081)과 기름 유도벽(1021)은 함께 강화링(108)을 형성한다.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리판은 기름 구멍(102)에 인접한 기름 유도벽(1021) 사이에 강화벽(1081)이 연결되고, 강화벽(1081)과 기름 유도벽(1021)은 강화링(108)을 형성하여 기름 구멍(102) 부위의 조리판의 구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조리판의 생산 제조나 또는 사용 시의 변형을 방지하며, 제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 한편으로 강화링(108)이 형성되어 차단된 안쪽 구역(1020)은 사용 시에 기름기가 바깥쪽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름기가 받침대의 기름통 속으로 떨어지게 하여 기름통 바깥쪽을 깨끗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조리판이 무동력으로 구동되는 적외선 조리장치에 적용되면, 회전축(109)과 적외선 조리장치의 받침대 위의 설치 구멍이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사용 과정 중에 수동 회전 방식으로 통해 조리판의 위치를 전환시킴에 따라서 음식물을 편리하게 꺼내고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판이 또 동력으로 구동되는 적외선 조리장치에 적용되면, 적외선 조리장치의 받침대에는 회전축(109)과 연결되는 구동 출력부가 있고, 회전축(109)과 구동 출력부는 원주 방향으로 포지셔닝 연결되며, 회전축(109)은 구동 출력부가 회전 구동시켜서 조리판을 회전시킨다. 회전축(109)은 외주에 포지셔닝 구조를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회전축(109)이 다변형 축, D자형 축 등으로 설치되고, 구동 출력부에는 대응하는 다변형 축 구멍, D자형 축 구멍 등을 설치된다. 또는 회전축(109)이 다변형 축 구멍(1091), D자형 축 구멍 등으로 설치되고, 구동 출력부에는 대응하는 다변형 축, D자형 축 등을 설치한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기름 구멍(102)은 콩팥형이며, 기름 유도벽(1021)의 외측벽(10211)과 강화벽(1081)은 모두 곡률이 동일한 궁형 벽이고, 강화벽(1081)의 양단은 기름 유도벽(1021)의 외측벽(10211)의 양단과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108)을 형성한다. 콩팥형의 기름 구멍(102)을 사용하면 기름 구멍(102)의 길이를 증대시킴에 따라서, 기름을 배출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강화벽(1081)의 양단은 기름 유도벽(1021)의 외측벽(10211)의 양단과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108)을 형성하여 구조 강도가 더 좋고, 제품의 제조가 편리한 동시에, 기름기를 차단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강화 링(108)의 일종의 변형 방안으로서, 기름 구멍(102)은 콩팥형이며, 기름 유도벽(1021)의 내측벽과 강화벽(1081)은 모두 곡률이 동일한 궁형 벽이고, 강화벽(1081)의 양단은 기름 유도벽(1021)의 내측벽의 양단과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108)을 형성한다.
강화링(108)의 또 다른 일종의 변형 방안으로서, 기름 구멍(102)은 콩팥형이며, 강화벽(1081)의 양단은 기름 유도벽(1021) 양단의 가운데 부분과 연결된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강화벽(1081)의 높이는 기름 유도벽(1021)의 높이와 동일하며, 그 목적은 제품의 편리한 제조에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조리판 본체(1)의 위 표면에는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확장되는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점착 방지 스트립(1031)이 있다. 그 목적은 조리된 음식물을 점착 방지 스트립(1031) 위에 놓아서 음식물이 조리판 본체(1)의 위 표면과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점착 방지 스트립(1031)근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스트립(1041)이 있다. 그 목적은 조리할 음식물이 조리판 본체(1) 가운데 부분으로 미끄러져 음식물이 겹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균일하게 익혀서 조리 효율을 더 높이는 데에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미끄럼 방지 스트립(1041) 근처의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105)의 한쪽에는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105)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1042)이 있으며,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1042)과 미끄럼 방지 스트립(105)은 T형 구조(104)로 연결된다.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1042)은 점착 방지 스트립의 분포 밀도를 증가시켜서 조리판의 점착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조리판 본체(1) 위 표면 중심에는 볼록대(101)가 있으며, 볼록대(101) 주변에는 기름통(100)이 있고, 기름 구멍(102)은 기름통(100) 위에 있다. 볼록대(101)을 설치하는 목적은 기름기가 조리판 본체(1) 위 표면 중심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고, 기름통(100)의 목적은 기름기를 더 원활하게 기름 구멍(102)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점착 방지 스트립(1031) 근처 사이에는 기름 유도용 슬로트(1032)가 있으며, 그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기를 편리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이다. 미끄럼 방지 스트립(1041)을 설치할 때, 기름 유도용 슬로트(1032)를 미끄럼 방지 스트립(1041) 양단의 바깥쪽에 설치하면, 미끄럼 방지 스트립(1041)이 기름 유도용 슬로트(1032)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점착 방지 스트립(1031)의 바깥면은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105)로 확장되고, 점착 방지 스트립(1031)의 바깥면은 위로 돌출되는 시프팅 블록(10311)이 있으며, 사용 과정에서 시프팅 블록(10311)을 젖혀서 조리판을 회전시키고, 조리판의 위치를 전환시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식물을 놓고 꺼낼 수 있다.
일종의 최적화 방안으로서, 조리판 본체(1) 바닥쪽 강화링(108) 바깥쪽의 위치에는 링 모양의 강화 리브(106)가 있어서 조리판 본체(1)의 구조 강도를 더욱 강화시킨다. 링 모양의 강화 리브(106)는 간격을 두고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리판 본체(1)의 바닥쪽 반경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하면, 조리판 본체(1)의 구조 강도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링 모양의 강화 리브(106) 사이에는 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강화 리브(107)를 설치할 수 있어서 조리판 본체(1)의 구조 강도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서의 지시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속한 영역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 방식에 대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 밝히고 설명한 구체적 실시 방식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수정과 변경 역시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따라서 비록 본 설명서 중에 특정한 용어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그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사용했을 뿐이므로, 본 실용 신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초래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조리판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판 본체 바닥쪽 가운데 부분에는 회전축이 있고, 상기 조리판 본체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 바깥쪽의 위치에 상기 조리판 본체 위 표면과 아래 표면을 통과하는 여러 개의 기름 구멍이 있으며, 상기 조리판 본체 위 표면은 기름 구멍 방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기름 구멍은 상기 조리판 본체의 중심을 둘러싼 환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름 구멍의 테두리 아래쪽에는 아래로 확장되는 기름 유도벽이 있는 조리판에 있어서,
    각 기름 구멍의 기름 유도벽 사이는 강화벽으로 반복 연결되고, 상기 강화벽이 상기 기름 유도벽과 함께 강화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름 구멍은 콩팥형이며, 상기 기름 유도벽의 외측벽과 상기 강화벽은 모두 곡률이 동일한 궁형 벽이고, 상기 강화벽의 양단과 상기 기름 유도벽의 외측벽의 양단이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름 구멍은 콩팥형이며, 상기 기름 유도벽의 내측벽과 상기 강화벽은 모두 곡률이 동일한 궁형 벽이고, 상기 강화벽의 양단과 상기 기름 유도벽의 내측벽의 양단이 연결되어 원형의 강화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름 구멍은 콩팥형이며, 상기 강화벽의 양단과 상기 기름 유도벽 양단의 가운데 부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벽의 높이가 상기 기름 유도벽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 본체의 위 표면에는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확장되는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점착 방지 스트립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점착 방지 스트립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스트립 근처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의 한쪽에는 조리판 본체 가장자리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이 있으며, 상기 제 2 점착 방지 스트립과 상기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T자형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 본체 위 표면 중심에는 볼록대가 있으며, 상기 볼록대 외주에는 기름통이 있고, 상기 기름 구멍이 상기 기름통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10.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 방지 스트립 근처 사이에 기름 유도용 슬로트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KR1020160034009A 2015-07-29 2016-03-22 조리판 KR101824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58289.6A CN105125092B (zh) 2015-07-29 2015-07-29 一种烹调盘
CN201510458289.6 201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101A KR20170015101A (ko) 2017-02-08
KR101824796B1 true KR101824796B1 (ko) 2018-02-01

Family

ID=5471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009A KR101824796B1 (ko) 2015-07-29 2016-03-22 조리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4796B1 (ko)
CN (1) CN105125092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1287A (ja) * 1998-04-10 2002-04-16 ツァン クェン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卓上グリル
CN202801306U (zh) 2012-06-27 2013-03-20 浙江好玩家居用品有限公司 热源上置式电烤炉的烤盘
CN104586280A (zh) 2015-02-13 2015-05-06 胡启康 一种光波烹调器主机
CN104665618A (zh) 2015-02-13 2015-06-03 胡启康 一种光波烹调器
CN204427813U (zh) * 2015-02-13 2015-07-01 胡启康 一种光波烹调器主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06Y1 (ko) * 2013-11-05 2015-04-14 주식회사 홈파워 적외선 조사부의 회전이동이 가능한 적외선 가열 구이기
CN203828758U (zh) * 2014-04-16 2014-09-17 高亮 一种食品电烤炉的烤盘及其电烤炉
CN204889694U (zh) * 2015-07-29 2015-12-23 胡启康 一种烹调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1287A (ja) * 1998-04-10 2002-04-16 ツァン クェン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卓上グリル
CN202801306U (zh) 2012-06-27 2013-03-20 浙江好玩家居用品有限公司 热源上置式电烤炉的烤盘
CN104586280A (zh) 2015-02-13 2015-05-06 胡启康 一种光波烹调器主机
CN104665618A (zh) 2015-02-13 2015-06-03 胡启康 一种光波烹调器
CN204427813U (zh) * 2015-02-13 2015-07-01 胡启康 一种光波烹调器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5092B (zh) 2018-04-20
KR20170015101A (ko) 2017-02-08
CN105125092A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3042A (en) Method of making plastic plate with rolled edge rim
CN105559620B (zh) 一种光波烹调器的烤盘
CN206371930U (zh) 一种高能效空气炸锅
US20150327724A1 (en) Cylindrical cooker
CN109875418A (zh) 具有炸锅功能的烹饪器具
US2327988A (en) Pie pan
CN204743712U (zh) 一种带有搅拌装置的锅
KR101824796B1 (ko) 조리판
CN203828758U (zh) 一种食品电烤炉的烤盘及其电烤炉
CN106859378A (zh) 烤盘组件及电烤箱
US9327874B2 (en) Water collection pan for appliances
CN104921606B (zh) 带有搅拌装置的锅
WO1996011786A1 (en) Method of making plastic plate
CN204353017U (zh) 离心脱油机
EP3285603B1 (en) Potato peeler
CN204889694U (zh) 一种烹调盘
US2476213A (en) Removable segment for waffle irons
CN205125979U (zh) 用于微波烹饪装置的烹饪盘和微波烹饪装置
CN214841037U (zh) 用于烹饪设备的搁架装置和烹饪设备
KR200365229Y1 (ko) 고기구이장치
US2048572A (en) Cooking device
CN203400047U (zh) 烤盘和具有该烤盘的煎烤机
KR102636563B1 (ko)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
CN107049051B (zh) 一种光波烹调器主机
CN208339404U (zh) 立式电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