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389B1 -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389B1
KR101824389B1 KR1020150120024A KR20150120024A KR101824389B1 KR 101824389 B1 KR101824389 B1 KR 101824389B1 KR 1020150120024 A KR1020150120024 A KR 1020150120024A KR 20150120024 A KR20150120024 A KR 20150120024A KR 101824389 B1 KR101824389 B1 KR 10182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flange
layers
radial direction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729A (ko
Inventor
게이스링거 마티아스
게이스링거 코넬리우스
쿠르체 로타르
Original Assignee
엘레르곤 안트리에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레르곤 안트리에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레르곤 안트리에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3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disc or flat ring,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upling parts, different sets of spots of the disc or ring being attached to each coupling part, e.g. Hardy coupl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by clamping together two face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e.g. with bolted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16D3/725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with an intermediate member made of fibre-reinforced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16D3/7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the intermediate member or members being made of rubber or other rubber-like flexibl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는 상이한 감쇠능 및 강성의 소재의 상호 적층된 2 이상의 층 (5, 6, 7)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플랜지 (4) 를 포함한다. 플랜지 (4) 의 적어도 일 부분 (8) 은 반경 방향에서 연속하여 배열되고 반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 2 이상의 플랭크 (11, 12, 13, 14) 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연속적인 플랭크 (11, 12, 13, 14) 는 모서리 (15, 16, 17) 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서로 어우러진다. 본 고체 전파음 흡수체는 회전 기기부를 통한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에서의 진동의 확산을 감소시킨다. 보상 커플링 (2) 과의 조합은 소음 방산을 방지하는 고탄성 커플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Device for absorbing structure-borne sound}
본 발명은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 및 대응 구동 라인의 작동은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에서 원치않는 진동에 의해 종종 악화되곤 한다. 강 (steel) 유사 소재는 소재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를 적은 감쇠량으로 허용하는 낮은 감쇠능을 갖는다. 특정 엔진 및 기어박스 마운트는 고정 지지 구조로의 소리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소리는 또한 구동 라인 내의 회전 구성 요소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선박의 프로펠러와 같은 구동 구성 요소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라인은 구동 라인의 회전부 사이에서 축 방향 및 각 방향 변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상 커플링의 일례는 미국특허공보 US 7,677,980 B2 로부터 알려져 있다. 본 커플링은 회전하는 동안 변형되기 위해 축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골형 멤브레인을 갖는다. 이러한 멤브레인 및 유사 구조는 들뜬 상태가 되었을 때 음향학적 소음을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 기기부를 통한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에서의 진동의 확산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술적 문제점은 청구항 1 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이한 감쇠능 소재의 상호 적층된 2 이상의 층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의 적어도 일 부분은 반경 방향에서 연속하여 배열되고 반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 2 이상의 플랭크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리고 연속적인 플랭크는 모서리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서로 어우러지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를 제공한다.
감쇠능은 감쇠를 야기하는 소재의 볼륨 내에서 열로 전환되는 기계적 에너지의 양을 나타낸다. 감쇠능에서 뚜렷한 변화는 층간 경계에서 기계적 임피던스의 급격한 변화를 의미한다. 기계적 임피던스의 큰 차이에 기인하여 진동 에너지의 대부분은 한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전달되기보다는 경계에서 반사된다.
유사하게, 들쭉날쭉한 프로파일 내의 모서리는 플랜지 내에서 고체 전파음의 음파의 반사를 야기하고 따라서 바람직한 전달 손실을 향상시킨다.
게다가, 들쭉날쭉한 프로파일은 고체 전파음의 음파가 소재의 각 단계에서 플랜지를 통과해야할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이는 감쇠를 더욱 향상시킨다.
그 결과, 회전부 사이에서 고체 전파음의 확산은 비틀림 방향 및 축 방향 강성에 대한 실질적 영향없이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는 이하 청구항에서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연속하는 플랭크는 고체 전파음의 내부 반사를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높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서리에서 80 내지 100°의 각을 갖는다.
또한, 플랭크는 60°내지 120°범위 내의 절댓값을 갖는 양과 음의 각으로 반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든 가능한 플랭크 쌍에 있어서 반정수 (half-integer) 의 정수배 길이비는 배제됨으로써 플랭크는 길이에 있어서 상이하다.
특히, 모든 가능한 플랭크 쌍에 있어서 길이비는 상이한 소수에 의해 규정됨으로써 플랭크는 길이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
이는 플랜지가 약하게 드러나는 고유 모드 (Eigen mode) 를 갖도록 하고 음파의 증폭을 피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랜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2 개의 외층 및 2 개의 외층 사이에 위치하고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내층을 포함하고, 외층은 내층에 의해 이격된다. 외층은 서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엘라스토머 소재에 의해 이격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엘라스토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진행하는 음파는 음파의 확산을 감쇠시키는 미세 마찰을 야기한다. 본 유형의 고체 전파음 흡수체는 8 내지 10배 더 무거운 고무 플랜지의 전달 손실에 상당하는 전달 손실을 갖게 되고 따라서 상기한 기술적 문제점에 대해 특히 경량의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엘라스토머 층은 모든 방향에 있어서 추가적인 감쇠 효과를 제공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층의 두께는 반경 방향에서 플랭크를 따라, 예를 들어 섬유 강화 플라스틱 내에서 섬유 층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변화한다. 이는 음파의 추가적인 내부 반사를 야기하고 따라서 바람직한 방법으로 기계적 임피던스를 증가시킨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체 반경 방향 범위에 걸쳐 소재 내의 동일한 인장 및 전단 응력을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층의 두께는 반경 방향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랜지는 제 1 회전부와의 연결을 위해 하나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림 부분 및 제 2 회전부와의 연결을 위해 다른 하나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림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장치는 상기 양 회전부 사이에서 음향학적 흡수체로서 작용한다. 회전부에 대해 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결 수단, 예를 들어 금속 볼트 따위는 미세 마찰뿐만 아니라 반사에 의해 음파를 감쇠하기 위한 추가적인 소재 경계를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2 이상의 플랜지는 축 방향에서 연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는 회전부를 통한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에서의 진동의 전파를 감쇠시키기 위해 어떠한 유형의 2 개의 회전부 사이에서도 채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장치의 플랜지는 연결 수단에 의해 회전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회전 구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및 비틀림 진동 댐퍼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커플링은 2 개의 회전 구성 요소의 회전축의 축 방향 및/또는 각 방향 변위의 보상을 위한 보상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체 전파음 흡수체는 회전 기기부를 통한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에서의 진동의 확산을 감소시킨다. 보상 커플링과의 조합은 소음 방산을 방지하는 고탄성 커플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동반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의 실시예의 반단면도 (semi cross sectional view) 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 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2 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엔진 및 피구동요소 사이의 구동 라인에서,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1) 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1) 는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 즉 약 10 내지 20,000 ㎐ 범위 내의 주파수 내에서 진동의 확산을 약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장치 (1) 는 2 개의 회전부 (2, 3) 사이의 배열을 위한 토크 전달 플랜지 (4) 를 포함한다. 도 3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치 (1) 는 보상 커플링 (2) 을 구동 샤프트 (3) 에 구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1) 는 반경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4) 를 포함한다. 플랜지 (4) 는 다층 구조를 가지며 상이한 감쇠능 (damping capacity) 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호 적층된 2 이상의 층 (5, 6, 7) 을 포함한다. 외층 (5, 7) 은 내층 (6) 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외층은 서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상호 분리되어 있다.
도 1 은 제 1 소재로 이루어진 2 개의 외층 (5, 7) 및 제 2 소재로 이루어진 내층 (6) 을 갖는 3 층 구조를 나타낸다. 내층 (6) 의 소재는 외층 (5, 7) 의 소재보다 더 높은 감쇠능 및 상이한 강성을 갖는데, 즉 이는 내부 마찰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고 기계적 에너지를 열로 전환함에 있어 보다 우수한 성능을 말한다.
특히 내층 (6) 소재의 감쇠능은 외층 (5, 7) 소재의 감쇠능에 비해 적어도 2 배, 바람직하게는 10 배에 해당함으로써 인접 층 사이의 경계에서 기계적 임피던스의 상당한 변화를 야기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층 (5, 7) 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 (FRP) 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내층 (6) 은 외층 (5, 7) 사이에서 결합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소재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층 (5, 7) 은 금속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4) 는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다시 말해서 반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또는 톱니 모양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8), 및 회전부와의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부분 (9, 10) 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서,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부분 (8) 이 외측 림 부분 및 내측 림 부분을 연결함과 함께, 추가적인 부분 (9, 10) 은 외측 림 부분 (9) 및 내측 림 부분 (10) 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자세하게, 외측 림 부분 (9) 은 일방의 외층 (7) 에 의해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내측 림 부분 (10) 은 타방의 외층 (5) 에 의해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단면 프로파일은 반경 방향에서 연속하여 배열되고 플랜지 (4) 의 반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 2 이상의 플랭크 (11, 12, 13, 14) 를 포함한다. 도 1 은 2 개의 이 (teeth) 를 갖는 톱니 구조를 나타낸다. 플랜지 (4) 의 직경에 따라 이의 수는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들쭉날쭉한 프로파일의 연속적인 플랭크 (11, 12, 13, 14) 는 모서리 (15, 16, 17) 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서로 어우러진다. 인접하는 플랭크 (11, 12, 13, 14) 는 모서리 (15, 16, 17) 에서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5°내지 95°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을 갖는다.
또한, 플랭크 (11, 12, 13, 14) 는 60°내지 120°범위 내의 절댓값을 갖는 양과 음의 각으로 반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다.
다층 구조가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부분 (8) 의 전체 반경 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플랭크 (11, 12, 13, 14) 는 음파가 동일 소재를 통하여 전파될 수 있는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모서리 (15, 16, 17) 는 음파의 내부 반사를 야기하는 반면 이는 소재에 의해 내부 감쇠를 증가시킨다. 양 효과는, 즉 전달 손실을 증가시키는 음향학적 관련 진동의 확산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플랭크 (11, 12, 13, 14) 는 길이에 있어서 상이하고, 상기 길이는 플랭크 (12, 13) 에 대해서는 2 개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또는 플랭크 (11, 14) 에 대해서는 하나의 모서리와 림 부분 (9, 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규정된다. 모든 가능한 플랭크 쌍에 있어서 반정수의 정수배 길이비는 배제된다. 예를 들어, 모든 가능한 플랭크 쌍에 있어서 길이비는 상이한 소수 (prime number) 쌍에 의해 규정된다. 도 1 은, 단지 예를 들자면, 2 : 3 : 5 : 7, 즉 상이한 소수에 기초한 플랭크 (11, 12, 13, 14) 의 길이비를 나타낸다. 또한, 3 : 5 : 7 : 11 과 같은 다른 비도 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비에서 소수의 순서는, 가령 2 : 5 : 3 : 7 처럼 변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수는 아니지만 최내각 플랭크는 가장 짧고 최외각 플랭크는 가장 길다. 이러한 비는 확연한 고유 모드를 피하고 소재 내에서 음파의 증폭을 피한다.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단면 프로파일의 플랭크 (11, 12, 13, 14) 는 곧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곡률 반경이 플랜지 (4) 의 외각 직경의 반경보다 바람직하게는 더 크면서 상기 플랜지는 살짝 굴곡질 수 있다.
더욱이, 음파의 추가적인 반사를 일으키기 위해, 외층 (5, 7) 의 플랭크 (11, 12, 13, 14) 는 두께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림 부분 (10) 을 형성하는 외층 (5) 에서 층 (5) 의 두께는 플랭크 (11) 부터 플랭크 (14) 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감소할 수 있고, 반면 외측 림 부분 (9) 을 형성하는 외층 (7) 에서 층 (7) 의 두께는 플랭크 (14) 부터 플랭크 (11) 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변화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내에서 섬유 층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소재 내에서 인장 및 전단 응력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내층 (6) 의 두께는 반경 방향으로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소재의 최대 두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층의 최대 두께의 2 배보다 작다. 엘라스토머 내층 (6) 의 하나의 주목적은 외층 (5, 7) 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다. 자체 탄성 때문에 엘라스토머 내층 (6) 이 소정의 축 방향 감쇠를 제공할 수 있으나, 고체 전파음의 감쇠는 음파 내부 반사, 특히 상이한 소재 층 사이의 경계에서 기계적 임피던스의 급격한 변화에서의 음파 내부 반사에 의해, 들쭉날쭉한 프로파일, 특히 플랭크 (11, 12, 13, 14) 길이의 특정 형태와 조합되는 연이은 플랜지의 좁아드는 두께를 비롯한 플랭크 사이의 모서리에 의해 주로 달성된다.
탄성 소재의 더 두꺼운 내층 (6) 은 감쇠 물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엘라스토머 소재는 보통 섬유 강화 소재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과중한 형상을 야기하게 된다. 더욱이, 기계적 진동 에너지가 고무 내에서 열로 전환되기 때문에 고무로 이루어진 음향 흡수체는 고무가 해체되기 시작하는 온도까지 가열되는 경향이 있다.
보상 커플링 (2) 의 골형 멤브레인 (18) 과 대비해 볼 때,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1) 의 플랜지 (4) 는 축 방향에서 오히려 딱딱하다. 이는 역시 높은 축 방향 및 비틀림 강성을 나타내고 회전부 (2, 3) 의 회전축 (A, B) 사이에서 축 방향, 반경 방향 또는 각 방향 변위의 어떠한 잠재적 보상도 제공하지 않는다.
필요시에는, 2 이상의 플랜지 (4) 가 축 방향에서 연속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플랜지 (4) 는 직접 또는 축 방향 스페이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금속 볼트를 통한 연결은 음파의 반사를 위한 상이한 감쇠능의 소재 사이의 추가적인 경계를 도입한다. 게다가, 이러한 연결에서의 미세 마찰은 진동의 추가적인 확산을 약화시킬 수 있다. 직렬의 몇몇 플랜지 (4) 는 외측 및 내측 림 부분 (9, 10) 에서 교대로 연결된다. 외측 림 부분 (9) 및 내측 림 부분 (10) 의 형상은 도 1 에서 나타난 것과는 다를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1) 는 어떠한 유형의 회전부와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 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나타낸 것이다. 회전 구성 요소는 커플링 및 비틀림 진동 댐퍼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외측 및 내측 림 부분 (9, 10) 을 통해 미리 규정된 기계적 인터페이스로 모듈식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치수화 될 수 있다.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1) 는 금속 볼트 (19) 및 너트 (20) 와 같은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도 3 은 일예로 회전 구성 요소로서의 보상 커플링 (2) 을 나타낸다. 보상 커플링은 2 개의 회전부의 회전축 (A, B) 의 축 방향 및/또는 각 방향 변위의 보상을 위한 축 방향 가요성 골형 멤브레인 (18) 을 갖게 되어 결국 양 측의 결합인, 보상 커플링 (2) 및 앞서 기술한 고체 전파음 흡수체가, 소음 방산을 방지하는 고탄성 커플링을 달성한다. 도 3 에서 나타나지는 않지만 양 구성 요소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일반 부재를 공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커플링 (2) 을 마주하는 음향 흡수체 (1) 의 외층 (7) 및 멤브레인 (18) 의 반대편에 배열된 층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기술한 고체 전파음 흡수체 (1) 는 다른 유형의 커플링과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 및 변형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었다. 특히,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한 현재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더라도, 이후의 것과는 독립적인 다른 기술적 특징과 함께 기술되는 개별 기술적 특징 및 다른 개별 기술적 특징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4)

  1.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인 10 내지 20,000 ㎐ 범위 내의 주파수 내에서 진동의 확산을 약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상이한 감쇠능, 강성 및 기계적 임피던스의 소재의 상호 적층된 2 이상의 층 (5, 6, 7)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플랜지 (4) 를 포함하고,
    플랜지 (4) 의 적어도 일 부분 (8) 은 반경 방향에서 연속하여 배열되고 반경 방향으로 교대로 경사진 2 이상의 플랭크 (11, 12, 13, 14) 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으로 들쭉날쭉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리고
    연속적인 플랭크 (11, 12, 13, 14) 는 모서리 (15, 16, 17) 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서로 어우러지고,
    연속적인 플랭크 (11, 12, 13, 14) 쌍은 모서리 (15, 16, 17) 에서 80°내지 100°의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랜지 (4) 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2 개의 외층 (5, 7) 및 2 개의 외층 (5, 7) 사이에 위치하고 상이한 기계적 임피던스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며, 고체 전파음의 흡수를 수행하는 내층 (6) 을 포함하고, 외층 (5, 7) 은 내층 (6) 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내층 (6) 의 최대 두께는 외층 (5, 7) 의 최대 두께의 2 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체 전파음의 감쇠는 상이한 소재의 층 (5, 6, 7), 들쭉날쭉한 프로파일 및 플랭크들 사이의 모서리 (15, 16, 17) 사이의 경계에서 기계적 임피던스의 변화에서의 음파 내부 반사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가능한 플랭크 쌍에 있어서 반정수 (half-integer) 의 정수배 길이비는 배제됨으로써 플랭크 (11, 12, 13, 14) 는 길이에 있어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가능한 플랭크 쌍에 있어서 길이비는 상이한 소수 (prime number) 에 의해 규정됨으로써 플랭크 (11, 12, 13, 14) 는 길이에 있어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층 (5, 7) 의 두께는 반경 방향에서 플랭크를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내층 (6) 의 두께는 반경 방향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랭크 (11, 12, 13, 14) 는 곧거나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 (4) 는 제 1 회전부와의 연결을 위해 하나의 외층 (7) 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림 부분 (9) 및 제 2 회전부와의 연결을 위해 다른 하나의 외층 (5) 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림 부분 (10)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이상의 플랜지 (4) 는 축 방향에서 연속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9. 2 개의 회전부의 회전축의 축 방향 및 각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위의 보상을 위한 보상 커플링 (2), 및
    음향학적 관련 주파수인 10 내지 20,000 ㎐ 범위 내의 주파수 내에서 진동의 확산을 약화시키도록 구성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1)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1) 의 플랜지 (4) 는 연결 수단에 의해 보상 커플링 (2)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1) 는 상기 보상 커플링 (2) 보다 높은 축 방향, 반경 방향, 비틀림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20024A 2014-09-30 2015-08-26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KR101824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6989.1 2014-09-30
EP14186989.1A EP3002475B1 (en) 2014-09-30 2014-09-30 Device for absorbing struture-borne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729A KR20160038729A (ko) 2016-04-07
KR101824389B1 true KR101824389B1 (ko) 2018-03-14

Family

ID=5165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24A KR101824389B1 (ko) 2014-09-30 2015-08-26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8962B2 (ko)
EP (1) EP3002475B1 (ko)
JP (1) JP6278522B2 (ko)
KR (1) KR101824389B1 (ko)
CN (1) CN105465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5108A1 (en) * 2013-05-08 2016-03-17 Hervey Tremblay Acoustic insulating panel
US10403328B2 (en) * 2016-01-29 2019-09-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Acoustic attenuation in data storage enclosures
US10597118B2 (en) 2016-09-12 2020-03-24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542989B2 (en) * 2017-11-30 2023-01-03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Coupling device for rotably coupling a shaft with a gearbox in a geared turbo fan engine
GB2571716A (en) * 2018-03-05 2019-09-11 Lentus Composites Ltd Flexible composite material component
US11066147B2 (en) * 2018-07-10 2021-07-20 Rohr, Inc. Structured panel with integrated skin and sidewalls
US10946939B1 (en) 2020-04-22 2021-03-16 Kai Concepts, LLC Watercraft having a waterproof container and a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11897583B2 (en) 2020-04-22 2024-02-13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ulsion system
US11485457B1 (en) 2021-06-14 2022-11-01 Kai Concepts, LLC Hydrojet propulsion system
US11878775B2 (en) 2021-07-13 2024-01-23 Kai Concepts, LLC Leash system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3717A1 (en) * 2000-06-15 2001-12-20 Ellergon Antriebstechnik Gmbh Coupling member
JP2008064305A (ja) * 2006-09-08 2008-03-21 Geislinger Gmbh 膜補償継手およびホールアンカー接続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5272A (en) * 1921-06-17 1923-02-13 Edwin R Gill Universal joint for power transmission
US3024628A (en) * 1961-02-06 1962-03-13 Dodge Mfg Corp Flexible coupling
CH406748A (fr) * 1962-04-05 1966-01-31 Findusco S A Accouplement élastique
US3808837A (en) * 1972-09-06 1974-05-07 Zurn Ind Inc Flexible disc coupling for tandem coupling assembly
DE2626414C3 (de) * 1976-06-12 1982-05-13 Ilie 4690 Herne Chivari Elastische Wellenkupplung zur schwingungshemmenden Übertragung von Drehmomenten
NL7713521A (nl) * 1976-12-18 1978-06-20 Thyssen Industrie Bij draaien elastische, stoten en trillingen dempende koppeling.
US4385025A (en) * 1979-10-22 1983-05-24 Barry Wright Corporation Method of coinjection molding of thermoplastic and thermoplastic elastomer
JPS6275135A (ja) * 1985-09-27 1987-04-07 Koei Spring Kogyo Kk 緩衝軸継手
DE3710390C2 (de) * 1987-03-28 1996-07-18 Hackforth Gmbh & Co Kg Elastische Wellenkupplung
AT395639B (de) * 1991-09-24 1993-02-25 Geislinger Co Schwingungstechn Kupplungsglied
DE20213666U1 (de) * 2002-09-02 2004-01-29 Centa-Antriebe Kirschey Gmbh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rehmomenten zwischen zwei Maschinenteil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3717A1 (en) * 2000-06-15 2001-12-20 Ellergon Antriebstechnik Gmbh Coupling member
JP2008064305A (ja) * 2006-09-08 2008-03-21 Geislinger Gmbh 膜補償継手およびホールアンカー接続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2475B1 (en) 2019-03-06
JP2016070491A (ja) 2016-05-09
US9758962B2 (en) 2017-09-12
JP6278522B2 (ja) 2018-02-14
EP3002475A1 (en) 2016-04-06
CN105465197A (zh) 2016-04-06
US20160090735A1 (en) 2016-03-31
KR20160038729A (ko) 2016-04-07
CN105465197B (zh)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389B1 (ko) 고체 전파음 흡수용 장치
US8276720B2 (en) Double path torsional damper
JP6781791B2 (ja) ダンパ装置
JP6479182B2 (ja) ダンパ装置
JP6344525B2 (ja) ダンパ装置
JP6269847B2 (ja) ダンパ装置
JP6311792B2 (ja) ダンパ装置
JP6609028B2 (ja) ダンパ装置
JP6341286B2 (ja) ダンパ装置
WO2016208764A1 (ja) ダンパ装置
JP6399094B2 (ja) ダンパ装置
US10364864B2 (en) Damper device
JPWO2017159776A1 (ja) ダンパ装置
JP4468522B2 (ja) 歯車変速機用ケース
JPWO2017159808A1 (ja) ダンパ装置および発進装置
JP2018054062A (ja) ダンパ装置
KR101618097B1 (ko) 동력 전달축
JP6567392B2 (ja) 防振装置
RU22801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момента
JPWO2017159809A1 (ja) ダンパ装置
JPH0612729U (ja) エンジンとトルクコンバータとの連結装置
WO2012017195A1 (en) Vehicle driv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