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030B1 -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030B1
KR101824030B1 KR1020160141608A KR20160141608A KR101824030B1 KR 101824030 B1 KR101824030 B1 KR 101824030B1 KR 1020160141608 A KR1020160141608 A KR 1020160141608A KR 20160141608 A KR20160141608 A KR 20160141608A KR 101824030 B1 KR101824030 B1 KR 10182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earthquake
sens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석
최영락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씨
Priority to KR102016014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과 스마트기기가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주방에서 가스레인지 앞에 서서 음식 냄새를 맡으며 요리하지 않아도, 음식을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놓은 뒤 스마트기기의 시간설정모듈을 이용하여 화력과 시간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렌지후드 조절모듈을 통하여 렌지 후드의 환풍 팬을 조절하여 열기와 음식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를 통해 조리되고 있는 음식을 실시간으로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보면서, 가스레인지와 렌지 후드를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으며, 혹여, 센서부에서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렌지후드의 환풍 팬, 가스 차단 밸브을 작동시켜 가스 누출 수위를 주시하다가 소정 시간 내에 임계값 이내로 가스 감지 값이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 경보부를 작동시키고, 스마트기기로 가스검출을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센서부의 오작동에 무분별한 장치 작동을 방지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발명은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 및 누출 가스 흡입 및 환풍을 위한 환풍 팬을 포함하고, 가스레인지 상부에 위치한 렌지 후드;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동작하는 가스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스 기기에 부착되는 가스 차단 밸브; 센서부의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온도, 가스 검출, 지진의 추이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를 하는 경보부; 및 제어부와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요리 시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고, 가스 검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 조명부, 환풍 팬의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렌지후드 조절모듈, 렌지후드 조절모듈을 통해 조절하면서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진 조리할 음식에 대해 가하는 화력의 정도와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 및 제어부에서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가스검출 알림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과 스마트기기가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주방에서 가스레인지 앞에 서서 음식 냄새를 맡으며 요리하지 않아도, 음식을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놓은 뒤 스마트기기의 시간설정모듈을 이용하여 화력과 시간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렌지후드 조절모듈을 통하여 렌지 후드의 환풍 팬을 조절하여 열기와 음식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를 통해 조리되고 있는 음식을 실시간으로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보면서, 가스레인지와 렌지 후드를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으며, 혹여, 센서부에서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렌지후드의 환풍 팬, 가스 차단 밸브을 작동시켜 가스 누출 수위를 주시하다가 소정 시간 내에 임계값 이내로 가스 감지 값이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 경보부를 작동시키고, 스마트기기로 가스검출을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센서부의 오작동에 무분별한 장치 작동을 방지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지진 감지 센서와 제어부,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무선통신하는 스마트기기를 구비함으로써, 가스 누출이 우려되는 지진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에도 인명피해를 대비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통신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사물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인터넷 통신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M2M: Machine to Machine)의 기술이 점차 실용화됨에 따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예를 들어 냉장고, 보일러,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각종 기구들에 대해서도 사물인터넷 솔루션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주방 내에서 스마트기기와 같은 무선 통신기기를 통해 원격지의 조리시간, 화력 정도 조절 등 조리에 대한 조건에 따라 음식이 조리되도록 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면 상당히 편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스가 누출되었을 경우 상당히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적은 양의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나 후각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누출을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 누출 여부를 쉽게 점검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가스 누출 위험이 있는 부위에 비눗물이나 점검액을 발라 기포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주로 호스와 배관의 연결부와 같은 접속 부위만을 점검하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곳에서 발생하는 가스 누출을 점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스 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일정한 농도 이상의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고 가스를 차단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가스 검출은 지진을 포함하는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가스가 검출될 위험도가 상승하나, 이러한 시스템은 구현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2097호(2012.2.2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음식을 조리할 경우 가스레인지를 제어하고, 가스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더라도 가스 차단 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가스의 유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 가스 유출이 우려되는 자연재해에도 대비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은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 및 누출 가스 흡입 및 환풍을 위한 환풍 팬을 포함하고, 가스레인지 상부에 위치한 렌지 후드;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동작하는 가스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스 기기에 부착되는 가스 차단 밸브; 센서부의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온도, 가스 검출, 지진의 추이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를 하는 경보부; 및 제어부와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요리 시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고, 가스 검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 조명부, 환풍 팬의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렌지후드 조절모듈, 렌지후드 조절모듈을 통해 조절하면서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진 조리할 음식에 대해 가하는 화력의 정도와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 및 제어부에서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가스검출 알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지진과 같은 지각변동으로 발생하는 진동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진동으로 소정 진동 값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지진으로 판단하고, 지진의 단 구간 평균과 장 구간 평균, 각 구간의 최대, 최소 값을 산출하며, 경보부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마트기기는 제어부에서 임계값 이상의 지진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와 제어부에서 산출된 지진의 단 구간 평균과 장 구간 평균, 각 구간의 최대, 최소 값을 알려주는 지진감지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센서부의 가스 감지 센서로부터 가스 감지 값을 수신받되, 가스 감지 값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1차적으로 렌지 후드의 환풍 팬을 작동시키고, 환풍 팬이 가동 되어도 소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 2차적으로 가스 차단 밸브를 통해 가스를 차단시키며, 가스 차단 밸브를 통해 가스를 차단시켜도 가스 감지 값이 소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만 경보부, 스마트기기의 가스검출 알림모듈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 가스레인지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거나 센서부의 오작동으로 발생한 것으로 가스검출 알림모듈이나 경보부의 동작을 방지하는 딜레이타임(delay time)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주방에서 가스레인지 앞에 서서 음식 냄새를 맡으며 요리하지 않아도, 음식을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놓은 뒤 스마트기기의 시간설정모듈을 이용하여 화력과 시간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렌지후드 조절모듈을 통하여 렌지 후드의 환풍 팬을 조절하여 열기와 음식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를 통해 조리되고 있는 음식을 실시간으로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보면서, 가스레인지와 렌지 후드를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부에서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렌지후드의 환풍 팬, 가스 차단 밸브을 작동시켜 가스 누출 수위를 주시하다가 소정 시간 내에 임계값 이내로 가스 감지 값이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 경보부를 작동시키고, 스마트기기로 가스검출을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센서부의 오작동에 무분별한 장치 작동을 방지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진 감지 센서와 제어부,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무선통신하는 스마트기기를 구비함으로써, 가스 누출이 우려되는 지진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에도 인명피해를 대비할 수 있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100)은 센서부(10), 렌지 후드(20), 가스 차단 밸브(30), 제어부(40), 경보부(50), 및 스마트기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센서부(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는 온도 감지 센서(11), 가스 감지 센서(12), 및 지진 감지 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온도 감지 센서(1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온도 감지 센서(11)는 가스레인지 주변에 설치되어 가스레인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일례로,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40)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40)에서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보부(5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모듈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마트기기(60)의 가스검출 알림모듈(64)을 통해 사용자에게 화재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가스 감지 센서(12)는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된 값을 제어부(40)로 송출한다.
지진 감지 센서(13)는 지진과 같은 지각변동으로 발생하는 진동 지진을 감지하며, X축센서, Y축센서, Z축센서에 해당하는 3축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구성된 X축센서, Y축센서, Z축센서 중 어느 하나로 지진시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센싱하고, 센싱한 값을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부(40)로 송출한다.
렌지 후드(20)는 가스, 전기레인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열기나 냄새를 흡입해주는 장치로 가스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열 제품이 위치한 곳의 싱크대 상단에 설치하며 주방을 환기하거나 제품에 탑재된 조명을 이용하여 조리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렌지 후드(20)는 표준 음식 조리 시간이 내장되어 있어 조리 시간이 임계값 이상 진행될 경우,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50)에서 가스 차단 밸브(50)를 작동시켜 가스를 차단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렌지 후드(20)는 카메라부(21), 조명부(22), 및 환풍 팬(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카메라부(2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21)는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데이터를 제어부(40)로 송신한다.
또한, 카메라부(21)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60)의 시간설정모듈(63)을 통해 특정 요리를 원격으로 제어할 때 카메라부(21)의 실시간 영상을 참고할 수 있어 조리 시 뜨거운 불 근처에 가지 않아도 편하게 가스레인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 과정을 담은 레시피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각 단계별로 사진을 번거로움 없이 찍을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조명부(22)는 음식 조리 시 조명을 제공한다.
일례로, 카메라부(21)와 같이 사용하여, 더 멋진 요리 사진 및 동영상을 찍을 수 있고, 야간에 주방을 사용 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환풍 팬(23)은 누출 가스 흡입 및 환풍을 위해 렌지 후드(20)에 설치된다.
특히, 조리 시에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운 초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황을 포함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가열된 기체상태의 기름, 냄새, 악취, 수증기, 연기 등이 발생하기에 렌지 후드(20)의 환풍 팬(23)을 이용하여 밀폐된 부엌에서도 쾌적한 조리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부 누출되는 미량의 가스를 흡입함으로써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가스 차단 밸브(30)는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동작하는 가스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스 기기에 부착되어 필요에 따라 가스를 차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10)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부(40)의 제어신호로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센서부(10)의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온도, 가스 검출, 지진의 추이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센서부(10)의 가스 감지 센서(12)를 통해 감지된 누출된 가스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렌지 후드(20)의 환풍 팬(23)을 동작시키고, 스마트기기(60)의 가스검출 알림모듈(64)을 통해 가스 검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지진 감지 센서(13)를 통해 감지된 진동으로 소정 진동 값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지진으로 판단하고, 지진의 단 구간 평균과 장 구간 평균, 각 구간의 최대, 최소 값을 산출하며, 스마트 기기의 알림모듈과 경보부(50)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와 지진에 대한 센싱 값을 안내 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센서부(10)의 가스 감지 센서(12)로부터 가스 감지 값을 수신받되, 가스 감지 값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1차적으로 렌지 후드(20)의 환풍 팬(23)을 작동시키고, 환풍 팬(23)이 가동 되어도 소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 2차적으로 가스 차단 밸브(30)를 통해 가스를 차단시키며, 가스 차단 밸브(30)를 통해 가스를 차단시켜도 가스 감지 값이 소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만 경보부(50), 스마트기기(60)의 가스검출 알림모듈(64)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 가스레인지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거나 센서부(10)의 오작동으로 발생한 것으로 가스검출 알림모듈(64)이나 경보부(50)의 동작을 방지하는 딜레이타임(delay time)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보부(50)는 제어부(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기기(60)는 제어부(40)와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대표적인 기능으로 요리 시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고, 가스 검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 가스 누출의 위험이 있는 자연재해인 지진 발생 시 제어부(40)로부터 지진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조리 편의 기능뿐 아니라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60)는 PC(Personal Computer), 빔프로젝터와 스크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60)는 렌지후드 조절모듈(61), 디스플레이모듈(62), 시간설정모듈(63), 가스검출 알림모듈(64), 및 지진감지 알림모듈(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렌지후드 조절모듈(6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렌지후드 조절모듈(61)은 스마트기기(60)는 렌지 후드(20)의 카메라부(21), 조명부(22), 환풍 팬(23)의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제어부(40)로 송출한다.
디스플레이모듈(62)은 렌지후드 조절모듈(61)을 통해 조절하면서 렌지 후드(20)의 카메라부(21)로부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간설정모듈(63)은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진 조리할 음식에 대해 가하는 화력의 정도와 시간을 설정한다.
가스검출 알림모듈(64)은 제어부(40)에서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이를 알려준다.
지진감지 알림모듈(65)은 제어부(40)에서 임계값 이상의 지진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제어부(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와 제어부(40)에서 산출된 지진의 단 구간 평균과 장 구간 평균, 각 구간의 최대, 최소 값을 알려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센서부
11 - 온도 감지 센서
12 - 가스 감지 센서
13 - 지진 감지 센서
20 - 렌지 후드
21 - 카메라부
22 - 조명부
23 - 환풍 팬
30 - 가스 차단 밸브
40 - 제어부
50 - 경보부
60 - 스마트기기
61 - 렌지후드 조절모듈
62 - 디스플레이모듈
63 - 시간설정모듈
64 - 가스검출 알림모듈
65 - 지진감지 알림모듈
100 -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Claims (3)

  1.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 센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 및
    지진과 같은 지각변동으로 발생하는 진동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 감지 센서
    를 포함하는 센서부;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 및 누출 가스 흡입 및 환풍을 위한 환풍 팬을 포함하고, 가스레인지 상부에 위치한 렌지 후드;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동작하는 가스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스 기기에 부착되는 가스 차단 밸브;
    센서부의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온도, 가스 검출, 지진의 추이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를 하는 경보부; 및
    제어부와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요리 시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고, 가스 검출 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 조명부, 환풍 팬의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통신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렌지후드 조절모듈,
    렌지후드 조절모듈을 통해 조절하면서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가스레인지 상부에 올려진 조리할 음식에 대해 가하는 화력의 정도와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
    제어부에서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가스검출 알림모듈, 및
    제어부에서 임계값 이상의 지진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와 제어부에서 산출된 지진의 단 구간 평균과 장 구간 평균, 각 구간의 최대, 최소 값을 알려주는 지진감지 알림모듈
    을 포함하며,
    조리 전, 시간설정모듈로 화력 정도와 시간을 설정하고, 조리 시 렌지 후드의 카메라부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모듈로 확인하여 렌지후드 조절모듈로 원격으로 가스레인지를 조절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부는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진동으로 소정 진동 값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지진으로 판단하고, 지진의 단 구간 평균과 장 구간 평균, 각 구간의 최대, 최소 값을 산출하며, 경보부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경고음,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를 하도록 하고,
    센서부의 가스 감지 센서로부터 가스 감지 값을 수신받되, 가스 감지 값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1차적으로 렌지 후드의 환풍 팬을 작동시키고, 환풍 팬이 가동 되어도 소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 2차적으로 가스 차단 밸브를 통해 가스를 차단시키며, 가스 차단 밸브를 통해 가스를 차단시켜도 가스 감지 값이 소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 이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만 경보부, 스마트기기의 가스검출 알림모듈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이 가스레인지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거나 센서부의 오작동으로 발생한 것으로 가스검출 알림모듈이나 경보부의 동작을 방지하는 딜레이타임(delay time)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60141608A 2016-10-28 2016-10-28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KR10182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08A KR101824030B1 (ko) 2016-10-28 2016-10-28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08A KR101824030B1 (ko) 2016-10-28 2016-10-28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030B1 true KR101824030B1 (ko) 2018-01-31

Family

ID=6108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08A KR101824030B1 (ko) 2016-10-28 2016-10-28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03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230A (zh) * 2018-09-29 2018-12-1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具手势控制视觉检测功能的炉具及油烟浓度检测方法
EP3553390A3 (en) * 2018-04-13 2019-12-11 Faber S.p.A. Suspended multi-purpose hood for domestic extraction with built-in projector-image detector
KR20200076235A (ko) 2018-12-19 2020-06-29 유재경 인공지능형 상업용 주방 소화 시스템
KR20200116606A (ko) 2019-04-02 2020-10-13 신재훈 스마트 소스 시스템
CN111981540A (zh) * 2020-08-26 2020-11-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的运行控制方法及吸油烟机
CN112902236A (zh) * 2020-12-18 2021-06-04 东本电气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物联网燃气灶具及防泄漏方法
KR20210117443A (ko) * 2020-03-19 2021-09-29 최성훈 착탈식 에어 스크린 생성장치
KR20220048243A (ko) * 2020-10-12 2022-04-19 인투카오스 주식회사 IoT 기반의 가스 차단, 제어 장치 및 누출 검지 고도화를 위한 장치 및 이의 운용 제어 방법
CN115996236A (zh) * 2023-03-23 2023-04-21 广东海新智能厨房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灶的安全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3101056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세이프텍 Iot 기반의 가스 안전 차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7497A (ja) 2011-02-25 2012-09-13 Panasonic Corp レンジフード
KR101342448B1 (ko) 2013-06-27 2014-01-10 박한영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7497A (ja) 2011-02-25 2012-09-13 Panasonic Corp レンジフード
KR101342448B1 (ko) 2013-06-27 2014-01-10 박한영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390A3 (en) * 2018-04-13 2019-12-11 Faber S.p.A. Suspended multi-purpose hood for domestic extraction with built-in projector-image detector
CN109028230A (zh) * 2018-09-29 2018-12-1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具手势控制视觉检测功能的炉具及油烟浓度检测方法
KR20200076235A (ko) 2018-12-19 2020-06-29 유재경 인공지능형 상업용 주방 소화 시스템
KR20200116606A (ko) 2019-04-02 2020-10-13 신재훈 스마트 소스 시스템
KR20210117443A (ko) * 2020-03-19 2021-09-29 최성훈 착탈식 에어 스크린 생성장치
KR102361903B1 (ko) * 2020-03-19 2022-02-10 최성훈 착탈식 에어 스크린 생성장치
CN111981540A (zh) * 2020-08-26 2020-11-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的运行控制方法及吸油烟机
KR20220048243A (ko) * 2020-10-12 2022-04-19 인투카오스 주식회사 IoT 기반의 가스 차단, 제어 장치 및 누출 검지 고도화를 위한 장치 및 이의 운용 제어 방법
KR102526029B1 (ko) 2020-10-12 2023-04-26 인투카오스 주식회사 IoT 기반의 가스 차단, 제어 장치 및 누출 검지 고도화를 위한 장치 및 이의 운용 제어 방법
CN112902236A (zh) * 2020-12-18 2021-06-04 东本电气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物联网燃气灶具及防泄漏方法
WO2023101056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세이프텍 Iot 기반의 가스 안전 차단 시스템
CN115996236A (zh) * 2023-03-23 2023-04-21 广东海新智能厨房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灶的安全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996236B (zh) * 2023-03-23 2023-09-01 广东海新智能厨房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灶的安全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030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조리지원이 가능한 가스누출 안전 시스템
US9109805B2 (en) Range hood with temperature detection and notification
US938902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heating appliance
JP2007280167A (ja) 空気調和機
JP2015094513A (ja) 空気調和機
JP6598527B2 (ja) 加熱調理器用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095203B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KR101987675B1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JP5412474B2 (ja) ガス器具
KR101546226B1 (ko) 수면 감지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TW201342312A (zh) 智慧型廚房監控系統
KR101562481B1 (ko) 절전 및 환경 감시 시스템
KR101122097B1 (ko) 가스 누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926269A (zh) 廚房狀態警示方法及廚房狀態警示系統
US20220010964A1 (en) Stovetop safety system
KR102204896B1 (ko)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CN104115065A (zh) 投影型影像显示装置
JP6866090B2 (ja) 警報器
KR20110011793U (ko) 가스불 켜짐 알림 경보장치
JP6808404B2 (ja) 警報器
JP2022126212A (ja) 音声出力システム
JP6804902B2 (ja) 警報器
KR20190069354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US20240033548A1 (en) Fire prevention system
JP6808403B2 (ja) 警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