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354A -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354A
KR20190069354A KR1020190065286A KR20190065286A KR20190069354A KR 20190069354 A KR20190069354 A KR 20190069354A KR 1020190065286 A KR1020190065286 A KR 1020190065286A KR 20190065286 A KR20190065286 A KR 20190065286A KR 20190069354 A KR20190069354 A KR 2019006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or
unit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9354A/ko
Publication of KR2019006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FIRE DETECTOR CONNECTED VIA MESH NETWORK AND METHOD FOR INSTALLING FIRE DETECTOR}
본 발명은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여 위험을 알리는 장치로서, 모든 건물에 필수적인 소방도구이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피해를 막고 조속하게 화재진압을 하는데 일조한다. 그러나 이처럼 중요한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건물에 설치된 대부분의 화재감지기는 화재가 발생하면 단순히 사이렌을 울려 소리로 화재의 위험만 전달할 뿐 실질적인 인명피해 방지 및 화재확대 방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화재감지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다른 화재감지기로 위험을 알려 탈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알림 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화재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건물에 사전 매립된 조명장치용 전기선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상기 건물에 매립된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에 연결되었던 부분은 단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에 연결되어 있던 조명장치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조명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를 켜거나 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조명장치를 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연동허가를 받으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통신 장치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미리 지정된 화재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은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레이저 빔으로 출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화재상황에 따라 탈출에 적합한 출구를 선택하여 상기 레이저 빔으로 해당 출구를 표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화재상황에 따라 탈출에 부적합한 출구를 선택하여 상기 레이저 빔으로 해당 출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정보의 생성기록 통계를 통해 상기 출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빔은,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소화기의 위치, 소화기의 사용방법, 또는 화재 시 행동요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화재 위치, 건물 내부 약도, 출구의 위치 또는 대피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상기 출구를 통과한 후 대피해야 할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건물, 층, 및 호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상기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자동 연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알림부의 서로 대응되는 수단을 제어하여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조명장치나 냉난방 장치를 제어하여 발생된 열에 의한 온도차 또는 낮과 밤의 온도차와, 상기 감지부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조명장치 또는 레이저를 제어하여 발생된 조도의 차이와 상기 감지부의 조도센서 또는 연기센서에서 측정된 조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스피커를 제어하여 발생된 소리와 상기 감지부의 마이크에서 측정된 소리를 기초로 상기 오작동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리모콘 신호를 조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다른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에 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외부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긴급 구호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재실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소정의 외부 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작동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 시스템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화재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건물에 사전 매립된 조명장치용 전기선과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에 연결된 조명장치 간의 연결을 끊는 단계,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상기 조명장치에 연결되었던 부분을 화재감지기의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화재감지기의 조명장치용 전원 출력 단자를 상기 조명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과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에 연결된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 간의 연결을 끊는 단계, 상기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상기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에 연결되었던 부분을 단락하는 단계, 상기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무선통신하는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를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 스위치가 제거된 위치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화재감지기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다른 화재감지기로 위험을 알려 탈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알림 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화재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주택의 네트워크 접속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a)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전 조명장치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방법에 따라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후 조명장치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가 레이저 빔으로 출구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네트워크 연동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주택의 네트워크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는 감지부, 알림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연기센서, 가스센서, 불꽃센서, 및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열전쌍, 온도측정 저항체, 서미스터, 금속식 온도계, 서미스터 감온 페라이트, 금속식 온도계, NQR(핵4중극공명), 초음파 또는 광섬유를 사용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광전지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연기센서는 연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광원(예를 들면 LED)과 수광소자(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를 대향시켜 배치하여 흡수산란에 의해 수광소자의 광량이 감소되는 감광현상을 이용한 감광식이거나, 또는 광이 산란되어 소정 각도가 떨어진 곳에서 빛이 관측되는 현상을 이용한 광산란식일 수 있다.
가스센서는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가스 성분량에 의해 신호를 발신할 수 있으며, 전기 화학적 방법(용액 도전 방식, 정전위 전해 방식, 격막 전극법), 광학적 방법(적외선 흡수법, 가시부 흡수법, 광간섭법), 전기적 방법(수소 이온화법, 열전도법, 접촉 연소법, 반도체법) 등의 가스 검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적외선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안티몬화인듐(InSb) 또는 텔루르화수은카드뮴(HgCdTe)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양자형 또는 열형 방식일 수 있으며, 전기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는 서미스터형과 표면 전하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초전형(재료로는 TGS, PbTiO3, LiTaO3 등)일 수 있다. 감지부(110)는 이러한 센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리적 환경 정보의 변화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른 화재감지기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른 화재감지기와 화재의 발생여부, 발생위치, 발생시간, 화재정도, 또는 화재종류 등이 포함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P2P(peer to peer) 통신을 기반으로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100)는 통신부(150)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의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300) 또는 외부 장치(4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통신부(15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PLC), 적외선 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전 조명장치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방법에 따라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후 조명장치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조명장치(200)용 전기선의 건물에 매립된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에 연결되었던 부분은 단락되고, 화재감지기(100)는 건물에 사전 매립된 조명장치(200)용 전기선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는 조명장치(200)용 전기선에 연결되어 있던 조명장치(200)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는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210)와 무선통신하여 조명장치(2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장치(200)를 켜거나 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1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조명장치용 전기선과 조명장치(200) 간의 연결을 끊는 단계,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조명장치(200)에 연결되었던 부분을 화재감지기(100)의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화재감지기(100)의 조명장치용 전원 출력 단자를 조명장치(200)에 연결하는 단계, 조명장치용 전기선과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 간의 연결을 끊는 단계,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에 연결되었던 부분을 단락하는 단계,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화재감지기와 무선통신하는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를 조명장치의 점등 스위치가 제거된 위치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조명장치(200)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천장에 사전 매립된 조명장치용 전기선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을 끊고,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조명장치(200)에 연결되었던 부분을 화재감지기(100)의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그 후, 화재감지기(100)의 조명장치용 전원 출력 단자를 조명장치(200)에 연결하고, 조명장치용 전기선과 조명장치용 전기선에 연결되고 벽에 설치된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 간의 연결을 끊는다. 조명장치용 전기선의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에 연결되었던 부분을 단락하고 조명장치 점등 스위치를 벽에서 제거한다. 화재감지기(100)와 무선통신하는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210)를 조명장치(200)의 점등 스위치가 제거된 위치에 부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명장치(200)가 설치된 전기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재감지기(100)를 설치할 수 있고, 화재감지기(100)에 별도의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배선작업을 하지 않고 조명장치(200)와 화재감지기(100)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가 레이저 빔으로 출구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알림부(130)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알림부(130) 후술하듯이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화재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화재의 발생여부, 발생위치, 발생시간, 화재정도, 또는 화재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레이저, 스피커, 및 경광등과 같은 위험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화재가 발생하면 레이저, 스피커, 또는 경광등 등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화재를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레이저는 유도방출을 일으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장치로서, 고체레이저, 기체레이저, 액체레이저, 또는 반도체레이저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13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알림부(130)는 미리 설정된 방향 또는 임의적인 방향을 향해 레이저 빔을 출력하거나 레이저 빔의 강도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알림부(130)는 레이저의 각도를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하여 레이저 빔을 다양한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림부(130)는 회전하는 레이저 빔,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레이저 빔 또는 'X' 형태로 이동하는 레이저 빔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빔의 깜빡임을 이용하여 모스 부호(morse code)와 같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알림부(130)는 사용자에게 화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고, 사용자가 화재상황을 탈출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빔은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조사할 수 있다. 일례로, 알림부(130)는 '대피', '화재', '위험' 등의 텍스트를 레이저 빔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30)는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텍스트뿐만 아니라 도형, 그림, 또는 캐릭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긴박한 상황에서 정보 인지능력이 저하되더라도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알림부(130)는 레이저 빔으로 출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30)는 직접 출구를 향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출구에 점 또는 다양한 도형이 표시되도록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130)는 미리 설정된 출구의 위치를 통해 출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130)는 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출구의 윤곽선을 표시할 수 있는 사각형 또는 원 등의 형태로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이 꺼지고 연기가 가득 차 있는 화재상황에서 출구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구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구의 위치에 '출구' 또는 'EXIT'를 표시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출구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다.
출구의 위치는 화재감지기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화재감지기가 스스로 동작 정보의 생성기록 통계 등을 통해 출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110)가 온도 또는 적외선이 감지되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데이터의 통계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빈도가 높은 위치를 출구로 판단할 수 있다. 통계의 시간적 범위는 년, 월, 주, 일, 시간, 초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출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가 변경된 출구로 출입할 것이므로, 알림부(130)는 통계에 의해 변경된 출구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통계에 따라서 출구를 판단하기 때문에 변경된 출구를 즉시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지만, 이러한 문제는 시간적 범위를 시간 또는 초 단위로 좁혀서 설정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출입한 위치를 출구로 판단하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이동 경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판단방법을 조합하여 출구를 더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130)는 화재상황에 따라 탈출에 적합한 출구를 선택하여 레이저 빔으로 해당 출구를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30)는 화재상황에 따라 탈출에 부적합한 출구를 선택하여 레이저 빔으로 해당 출구를 표시 할 수 있다. 탈출에 적합한 출구인지 여부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또는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화재가 발생한 위치 또는 화재가 번지는 방향에 기초하여 탈출에 적합한 출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가 출구에 장애물이 있거나 일산화탄소로 가득 차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알림부(130)는 이러한 출구를 탈출에 부적합한 출구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출구에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았는데 화재 이후에 출구에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출구에 일산화탄소가 감지되지 않았는데 화재 이후 고농도의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130)는 이러한 출구를 부적합한 출구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탈출에 부적합한 출구 이외의 출구를 적합한 출구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알림부(130)는 적합한 출구를 향해 'O'를 표시를 하고, 부적합한 출구를 향해 'X'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감지기(100)는 적합한 출구를 찾아 출구의 위치에 텍스트와 출구의 테두리 형상을 동시에 표시하고 탈출에 적합한지 여부를 'O' 또는 'X'로 표시할 수 있으며, 출구의 위치를 향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 화재 발생 정도 또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등의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에 "엘리베이터를 타지 마시오."라고 표시하거나, 벽면에 건물 약도를 표시하여 비상계단 등 탈출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스피커는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이고, 경광등은 화재감지기(100)의 외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생시켜 위험를 알리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13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소화기의 위치, 소화기의 사용방법, 또는 화재 시 행동요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화재 위치, 건물 내부 약도, 출구의 위치 또는 대피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출구를 통과한 후 대피해야 할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출구를 통과한 후 대피해야 할 방향은 사용자가 출구를 나간 직후 대피해야 할 방향일 수 있다. 출구를 통과한 후 대피해야 할 방향은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또는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알림부(130)는 연기가 감지되는 방향, 온도가 높은 방향, 소리의 크기 등을 종합하여 화재의 피해가 적은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그 방향을 출구를 통과한 후에 대피해야 할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3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조명장치(200)를 켤 수 있다. 즉, 레이저 빔, 스피커 또는 경광등을 이용하여 알리는 것 이외에 연결된 조명장치(20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거나 사용자가 탈출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알림부(130)의 알림수단이 오작동으로 인해 작동되지 않더라도 조명장치(200)의 작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화재의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알림부(130)는 이러한 다양한 수단들을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면서 일부 또는 전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알림부(130)는 제어부(170)에 의해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작동할 수 있는데, 이 때 미리 지정된 화재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은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을 수 있다. 즉, 화재감지기를 미리 지정하면, 그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도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미리 지정된 화재감지기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되거나, 후술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되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화재감지기(100)는 미리 지정된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화재감지기와의 거리나 동일 건물 여부, 동일 단지 여부 등에 따라 알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자주 오작동을 일으키는 화재감지기를 미리 지정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화재 알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가 후술할 자가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고장을 판단한 경우 이를 다른 화재감지기로 알릴 수 있고, 다른 화재감지기는 이러한 고장 정보를 기초로 해당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한 처리를 달리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재감지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자동으로 다른 화재감지기와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연동허가를 받으면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치 않는 화재감지기(100)와의 네트워크 연동을 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10)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또다른 화재감지기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100)는 주변에 있는 화재감지기로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연쇄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결국 위험반경에 있는 건물 모두에 화재의 위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서버 없이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어떤 화재감지기와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화재감지기들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고, 위치확인 수단을 통해 위치 정보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단지, 건물, 층, 호수, 또는 실내 세부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와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연동된 화재감지기로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정확한 세부 주소를 전달하여 화재발생 상황에 있는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구조하거나 주변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탈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해당 화재감지기와 P2P로 자동 연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인근에 위치하는 이웃 또는 인근에 위치한 상가 등 위험 반경 내에 있는 모든 화재감지기(100)를 자동으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통신부(15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를 다른 화재감지기와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동 당시에 위치 정보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화재가 발생한 당시에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부(110)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통신 장치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통신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스마트폰, 해당 건물의 관리사무소, 관할 소방서, 또는 경찰서 등 특정 기관의 서버나 전화기, 또는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소방관 단말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 장치로 화재상황을 알려 화재를 조속히 알리고 진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부(110) 및 알림부(130)의 서로 대응되는 수단을 제어하여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례로, 알림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알림을 울리고, 이를 통해 감지부(110)가 알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제어부(170)는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가 알림부(130)로 명령한 값와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대응되는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수단을 체크할 필요 없이 대응되는 수단만 체크하여 화재감지기(100)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와 알림부(130) 중 어떤 구성이 오작동을 일으키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체크할 수 있다. 감지부(110)의 오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복수의 감지수단과 하나의 알림수단을 각각 대응하여 어떤 감지수단이 오작동을 일으키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가 하나의 알림수단을 제어하여 25도의 온도를 출력했을 때, 모든 감지수단이 25도의 온도를 감지하면 제어부(170)는 모든 감지수단을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든 감지수단이 동일한 시점에 고장날 확률은 적기 때문에, 모든 감지수단이 동일한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모든 감지수단을 정상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의 감지수단이 다른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그 어느 하나의 감지수단이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과반수 개수의 감지수단이 감지한 값을 정상 값으로 판단하고, 그 값과 다른 값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알림부(130)의 오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복수의 알림수단과 하나의 감지수단을 대응하여 어떤 알림수단이 오작동을 일으키는지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알림부(130)를 통해 조명장치(200)나 냉난방 장치를 제어하여 발생된 열에 의한 온도차 또는 낮과 밤의 온도차와, 상기 감지부(110)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알림부(130)를 통해 소정 온도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감지부(110)를 통해 소정 온도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여 알림부(130)의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알림부(130)를 통해 조명장치(200) 또는 레이저를 제어하여 발생된 조도의 차이와 감지부(110)의 조도센서 또는 연기센서에서 측정된 조도를 이용하여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례로, 조명장치(200) 또는 레이저를 제어하여 소정의 빛을 발생시키고, 감지부(110)의 조도센서 또는 연기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빛이 감지되는지를 통해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알림부(130)를 통해 스피커를 제어하여 발생한 소리와 감지부(110)의 마이크에서 측정된 소리를 기초로 오작동을 체크할 수 있다. 일례로, 스피커를 제어하여 소정의 소리를 발생시키고, 감지부(110)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해당 소리가 감지되는지를 통해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네트워크 연동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100)는 조명장치(200),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210), 외부 장치(400), 또는 사용자 단말(300) 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400)는 TV, 에어컨, 선풍기 등의 가전제품, 다른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 또는 보일러 제어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무선으로 제어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화재감지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화재감지기(100)로 송수신하고 출력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personal comput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소방관제서버에 접속된 소방관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일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일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기(100)는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므로, 화재감지기(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다른 화재감지기로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로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된 화재감지기(100)는 입력된 메시지를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로서 다른 화재감지기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화재감지기는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구조요청 메시지("화재 발생 A동 3층 2호 4명고립 어린이 있음 부상자 있음")를 입력하면 다른 화재감지기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구조요청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한 화재감지기(100)는 알림부(130)의 다양한 알림수단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메시지를 수신한 화재감지기(100)는 레이저 빔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내용이 담긴 텍스트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메쉬 네트워크의 현황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왼쪽의 '연동' 카테고리는 현재 연동된 화재감지기, 연동되지 않은 화재감지기 및 연동을 요청한 후 연동승낙을 대기하고 있는 화재감지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연동단계' 카테고리는 몇 번의 연동 단계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와 연동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단지', '동', '층' 및 '호'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세부적인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400)의 전원을 공급시키거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그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화재감지기(100)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정에 별도의 IoT(internet of thing) 장치나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화재감지기(100)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UTP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 LAN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40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적외선 리모콘 신호를 조사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적외선 리모콘 신호를 조사하여 TV, 에어컨 등을 켜고 끄고 채널을 바꾸거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통신 기능이 없는 종래의 가전제품들도 적외선 리모콘 기능만 있다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외부 장치(4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화재를 확대시키는 외부 장치(4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화재를 확대시키는 외부 장치(400)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가 외부 장치(400)를 작동시키고 감지부(110)로부터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화재가 악화되는지 또는 완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를 확대시키는 외부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화재가 발생하면 발열기기, 선풍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화재를 진압하거나 대피를 도울 수 있는 외부 장치(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스프링쿨러, 벨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TV와 에어컨을 작동시켜 TV의 볼륨을 최대로 높이고 에어컨의 냉방을 강하게 하며, 진동장치(이웃에 인접한 벽에 설치된 진동장치 등)를 작동시켜 이웃에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화재의 악화 또는 완화와 전혀 관계없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400)를 작동시켜 사용자 각각의 환경에 따라 다른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400)는 다른 외부 장치(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하나의 콘센트에서 동시에 복수의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multi tap) 또는 전원 분배기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유선 UTP 케이블, 전력선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이용해 유무선으로 전원공급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화재가 발생하면 전원공급 장치를 제어하여,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400)들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직접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지만, 전원공급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400)의 전원 공급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외선 리모콘 기능도 없는 가전제품, 예를 들면 오래된 선풍기와 같이 통신이 불가능한 외부 장치(400)도 전원공급 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된 명령에 따라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400)들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에 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전원공급 장치는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감지기(100)로 가스 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기가 천장에 설치돼 있더라도 바닥에 놓여진 전원공급 장치의 가스센서를 이용해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출구의 이동경로를 감지하고, 출구를 통해 들어오는 사용자와 출구를 통해 나가는 사용자를 카운트 하여 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에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가 몇 명이 있는지, 화재가 발생한 후에 몇 명이 있는지, 현재 모두가 탈출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는 사람이 모두 탈출했는지 여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0)는 이러한 정보를 다른 화재감지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화재가 발생했는데도 불구하고 감지부(110)에 의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가 아직 탈출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 후, 화재감지기(100)는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다른 화재감지기로 전송하고 다른 화재감지기는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음성 또는 레이저 빔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상황에 있는 사용자를 더 효과적으로 구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발생 여부와 별도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통신부(150)를 통해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긴급 구호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재실하는데도 불구하고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노약자의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응급 구호기능으로 이용될 수 있다. 화재감지기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맥박, 수면 상태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재실 여부에 따라 통신부(150)를 통해 소정의 외부 장치(40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 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외부 장치(400)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작동되고 있던 다른 외부 장치(40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외부 장치(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컨, 선풍기, 난방장치, 또는 TV 등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로봇 청소기, 보안장치 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가스밸브의 자동차단기, 전원공급 장치의 자동차단기 등의 외부 장치(400)를 작동시켜 다른 외부 장치(4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외출한 사용자가 돌아오면 냉난방장치나 TV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화재감지기(100)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재감지기(100)는 감지부(110), 알림부(130), 통신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알림부(130)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통신부(150)는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감지기(100)는 다른 화재감지기(100-2 내지 100-15)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화재감지기를 간단하게 설치하도록 할 수 있고, 화재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다양한 알림 수단을 통해 화재 상황을 효과적으로 알려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화재감지기 110 : 감지부
130 : 알림부 150 : 통신부
170 : 제어부 200 : 조명장치
210 : 조명장치 제어용 무선 스위치 300 : 사용자 단말
400 : 외부 장치

Claims (10)

  1.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다른 화재감지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연동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상기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화재감지기와 P2P로 자동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P2P로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부터 상기 화재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미리 지정된 화재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화재 발생은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알림부의 서로 대응되는 수단을 제어하여 오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조명장치나 냉난방 장치를 제어하여 발생된 열에 의한 온도차 또는 낮과 밤의 온도차와, 상기 감지부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조명장치 또는 레이저를 제어하여 발생된 조도의 차이와 상기 감지부의 조도센서 또는 연기센서에서 측정된 조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스피커를 제어하여 발생된 소리와 상기 감지부의 마이크에서 측정된 소리를 기초로 상기 오작동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동된 다른 화재감지기로 긴급 구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KR1020190065286A 2019-06-03 2019-06-03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190069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86A KR20190069354A (ko) 2019-06-03 2019-06-03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86A KR20190069354A (ko) 2019-06-03 2019-06-03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422A Division KR101987675B1 (ko) 2017-08-17 2017-08-17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54A true KR20190069354A (ko) 2019-06-19

Family

ID=6710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86A KR20190069354A (ko) 2019-06-03 2019-06-03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9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829B1 (ko) * 2020-12-08 2021-05-06 주식회사 엠케이탑 투광봉이 형성된 화재경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829B1 (ko) * 2020-12-08 2021-05-06 주식회사 엠케이탑 투광봉이 형성된 화재경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469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1398819B1 (ko) 무인빌딩 환경감시 통합관리시스템
KR1020457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JP2007280167A (ja) 空気調和機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CN107924607A (zh) 安全自动化系统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101901335B1 (ko) 사물지능 통신 기반의 엘이디 실내등을 이용한 재난관제 동보시스템
JP2019508791A (ja) 照明兼用火災感知装置
GB2599142A (en) Fire safety system and method
CN107851368A (zh) 安全自动化系统和操作方法
KR102335676B1 (ko)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213049122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控制系统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023800B1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20190069354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16637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101950743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20130040372A (ko) 화재감지기 연동 유도등 시스템 및 유도등의 화재감지기 연동방법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TWI667634B (zh) 偵測空氣懸浮微粒值之早期火災預警系統
KR101514897B1 (ko)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