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904B1 - Tm마운트의 스토퍼 - Google Patents

Tm마운트의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904B1
KR101823904B1 KR1020160084553A KR20160084553A KR101823904B1 KR 101823904 B1 KR101823904 B1 KR 101823904B1 KR 1020160084553 A KR1020160084553 A KR 1020160084553A KR 20160084553 A KR20160084553 A KR 20160084553A KR 101823904 B1 KR101823904 B1 KR 10182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ransmission bracket
mount
protrusi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893A (ko
Inventor
이관호
이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904B1/ko
Priority to CN201720100934.1U priority patent/CN206485200U/zh
Publication of KR2018000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돌출된 코어가 변속기브라켓과 체결되는 TM마운트에 장착되는 TM마운트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개구부와 개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홀을 통해 코어가 돌출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며, 변속기브라켓과 마주하는 면에는 변속기브라켓과의 갭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TM마운트의 스토퍼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지지력 증가되므로 파워트레인의 차폭방향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핸들링 및 스티어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TM마운트의 스토퍼{Stoper for transmission-mount}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어 변속기(트랜스미션)의 하중을 지지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방향 뿐만아니라 차폭방향의 거동 또한 제한하여 차량의 핸들링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TM마운트의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량들은 프레임바디를 대신하여 중량이 가볍고 생산성이 뛰어난 모노코크바디가 주로 사용된다. 모노코크바디는 별도의 프레임이 삭제된 구조로서 차체에 (엔진과 변속기가 결합되어 구성된) 파워트레인이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모노코크바디는 차체 자체가 프레임 기능을 하여 서스펜션 및 섀시 부품들이 각각 장착되나, 파워트레인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량 충돌시 충격을 분산하기 위하여 차량의 하부에 서브프레임(subframe) 및 마운팅부재들이 장착된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서스팬션 스트럿(strut) 및 너클 등과 같은 조향장치 및 현가장치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차체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재들은 일측의 차체멤버에 고정되어 엔진과 체결되는 엔진마운트와 타측의 차체멤버에 고정되어 변속기와 체결되는 TM마운트(트랜스미션마운트) 및 엔진이나 변속기를 서브프레임과 체결시키는 롤로드들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TM마운트는 변속기쪽에서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파워트레인으로부터 차체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절연기능을 갖는다.
즉,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의 러버식 TM마운트(3)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정의 크기로 통 모양을 갖는 하우징(4) 내에는 탄성을 갖는 재질(가령, 러버 또는 합성수재 등)로 제조된 인슐레이터(5)가 금속재 코어(6)와 결합되어 함께 내장되며, 상기 코어(6)의 일단은 하우징(4)의 일측(차체에 장착됐을 때 변속기브라켓을 향하는 측)에 형성된 개구부(4a)를 통해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코어(6)의 끝단에는 볼트홀이 타공되어 변속기(1)에 결합된 변속기브라켓(2)과 볼트체결되어, 변속기측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분담하며 인슐레이터(5)의 탄성변형에 의해 진동을 절연시킨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라 인슐레이터(5)로 전달되는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상기 인슐레이터(5) 및 하우징(4)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7)가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종래의 스토퍼(7)는 개구부(4a)와 개통되는 고리모양을 가지며 개구부(4a)의 테두리 주변에 접착되도록 장착되며, 하단 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7a)가 형성되어 코어(6)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슐레이터(5)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억제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토퍼는 코어의 하강만 제어 가능하므로 인슐레이터의 상하방향 내구성능에는 기여를 하나 변속기브라켓과 하우징 사이의 갭에 의해 발생하는 차폭방향(좌우방향)으로의 하중은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차량 핸들링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코어의 하강 뿐만아니라 코어가 차폭방향으로 과도하게 거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TM마운트의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돌출된 코어가 변속기브라켓과 볼트를 통해 체결되는 TM마운트에 장착되어 (코어와 결합된 인슐레이터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개구부와 개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홀을 통해 코어가 돌출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며, 변속기브라켓과 마주하는 면에는 변속기브라켓과의 갭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센터홀을 사이에 두고 양측 각각에 하나씩 배치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사각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양측의 수직으로 세워진 변(邊)들에서 하측 변 보다 상측 변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기 돌출부는 변속기브라켓과 마주하는 면의 표면에 다수 개의 돌기들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는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경사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다면체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되, 코어의 거동시 상기 코어와의 접촉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코어를 향하는 쪽의 일부분은 커팅되어 커팅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속기브라켓과 돌출부 사이의 갭은 1mm 내지 5mm 로(더 바람직하게는 3mm)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TM마운트의 스토퍼는 돌출부가 형성되어(종래의 구조보다 갭이 작게 형성되어) 지지력 증가되므로 파워트레인의 차폭방향(즉, 변속기브라켓이 돌출부를 가압하는 방향)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핸들링 및 스티어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는 다수 개의 돌기들을 통해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으로 변속기브라켓을 지지하므로 진동 절연성이 증대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파워트레인을 차체에 탑제할 때 간섭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부에는 커팅면이 형성되어 파워트레인의 롤링 발생시 돌출부와 변속기브라켓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엔진에서 생성된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스토퍼가 TM마운트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가 TM마운트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변속기브라켓이 아래쪽에서부터 들어올려져 TM마운트에 고정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변속기브라켓이 TM마운트에 고정됐을 때, 종래의 스토퍼가 장착된 경우에 발생되는 갭의 크기와 본 발명의 스토퍼가 장착된 경우에 발생되는 갭의 크기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5 는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라 변속기의 롤링이 발생하여 코어가 커팅면에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TM마운트(100)에 장착되어 코어(40)와 결합된 인슐레이터(30)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10)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0)는 사각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개구부(21)와 개통되도록 센터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홀(11)을 통해 코어(40)가 돌출되도록 하우징(20)에 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토퍼(10)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코어(40)가 일정길이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 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12)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변속기브라켓(2)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변속기브라켓(2)과의 갭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된 돌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는 센터홀(11)을 사이에 두고 양측 각각에 하나씩 배치된다. 즉, 상기 돌출부(13)는 양측의 수직으로 세워진 스토퍼(10)의 변(邊)들에 각각에서 배치되되 하측 변 보다 상측 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변속기브라켓(2)과 스토퍼(7) 사이의 갭이 대략 15mm 정도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13)가 형성됨에 따라 변속기브라켓(2)과 스토퍼(10)의 돌출부(13) 사이의 갭은 (대략 1mm 내지 5mm 범위 내에서) 3mm 정도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0)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되, 변속기브라켓(2)과 맞닿을 때 면접촉이 아니라 점접촉이 이뤄지도록(즉, 접촉면적을 축소하여 NVH 악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돌출부는 변속기브라켓(2)과 마주하는 면의 표면에 다수 개의 돌기들(14)이 돌출된다. 상기 돌기들(14)은 상하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열(列)을 이룬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4)의 하부는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감소하도록) 경사면(A)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1) 및 변속기브라켓(2)은 차체의 아랫쪽에서부터 윗쪽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변속기브라켓(2)이 TM마운트(100)의 코어(40)에 체결되므로 조립시 변속기브라켓(2)과의 간극을 최대한 확보하되 변속기브라켓(2)의 끝단이 상기 스토퍼(10)에 부딪치더라도 변속기브라켓(2)이 돌출부(13)와 간섭되지 않고 정위치로 맞춰질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은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면(A)의 경사각은 대략 20°내지 25°범위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3)는 다면체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되, 코어(40)의 거동시 상기 코어(40)와의 접촉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돌출부(13)에서 코어(40)를 향하는 쪽의 일부분은 커팅되어 커팅면(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급출발 급가속시에는 관성에 의하여 파워트레인의 롤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속기브라켓(2)을 통해 변속기(1)와 연결된 코어(40)도 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면과 같이 코어(40)와 스토퍼(10)의 돌출부(13)는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접촉부분을 통해 하우징(20)에 직접적으로 엔진진동이 전달되어 NVH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접촉을 지연시키되 코어(40)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커팅면(B)이 형성된다.
다만, 커팅면(B)의 면적이 증대되면 변속기브라켓(2)과 돌출부(13)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핸들링 개선 효과가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커팅면(B)은 이러한 역효과를 최소화 하기 위해 삼각형 모양을 갖도록 구성하여 면적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TM마운트(100)의 스토퍼(10)는 돌출부(13)가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구조보다 갭이 작게 형성되어 지지력 증가되므로 파워트레인의 좌우방향(즉, 변속기브라켓이 돌출부를 가압하는 방향)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핸들링 및 스티어링 성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돌출부(13)는 다수 개의 돌기들(14)을 통해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으로 변속기브라켓(2)을 지지하므로 진동 절연성이 증대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3)의 하부는 경사면(A)으로 형성되어 파워트레인을 차체에 탑재할 때 간섭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토퍼(10)는 파워트레인의 데킹(decking)시 변속기브라켓(2)과의 간극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되 변속기브라켓(2)이 돌출부(13)의 하단에 부딪치더라도 걸림 발생 없이 정위치를 용이하게 작업자가 맞출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돌출부(13)에는 커팅면(B)이 형성되어 파워트레인의 롤링 발생시 돌출부(13)와 변속기브라켓(2)의 직접적인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엔진에서 생성된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스토퍼
11 : 센터홀
12 : 리브
13 : 돌출부
14 : 돌기

Claims (8)

  1.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돌출된 코어가 변속기브라켓과 체결되는 TM마운트에 장착되는 TM마운트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개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홀을 통해 코어가 돌출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며, 변속기브라켓과 마주하는 면에는 변속기브라켓과의 갭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하부는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경사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센터홀을 사이에 두고 양측 각각에 하나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사각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양측의 수직으로 세워진 변(邊)들에서 하측 변 보다 상측 변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변속기브라켓과 마주하는 면의 표면에 다수 개의 돌기들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6. 삭제
  7.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돌출된 코어가 변속기브라켓과 체결되는 TM마운트에 장착되는 TM마운트의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개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홀을 통해 코어가 돌출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며, 변속기브라켓과 마주하는 면에는 변속기브라켓과의 갭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다면체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되, 코어의 거동시 상기 코어와의 접촉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코어를 향하는 쪽의 일부분은 커팅되어 커팅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브라켓과 돌출부 사이의 갭은 1mm 내지 5mm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20160084553A 2016-07-05 2016-07-05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182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53A KR101823904B1 (ko) 2016-07-05 2016-07-05 Tm마운트의 스토퍼
CN201720100934.1U CN206485200U (zh) 2016-07-05 2017-01-24 Tm悬置的止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53A KR101823904B1 (ko) 2016-07-05 2016-07-05 Tm마운트의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893A KR20180004893A (ko) 2018-01-15
KR101823904B1 true KR101823904B1 (ko) 2018-01-31

Family

ID=5976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553A KR101823904B1 (ko) 2016-07-05 2016-07-05 Tm마운트의 스토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3904B1 (ko)
CN (1) CN20648520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8526B2 (en) 2017-11-17 2020-05-12 Hyundai Motor Company Stopper for transmission mount
KR20220094336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664095B1 (ko) 2019-03-19 202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306B1 (ko) * 2019-09-30 2021-02-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용 서포트 브라켓
JP2022146626A (ja) * 2021-03-22 2022-10-05 住友理工株式会社 ブラケット付き防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386A (ja) 2000-03-29 2001-10-10 Tokai Rubber Ind Ltd 筒型マウント
KR101256860B1 (ko) * 2011-12-15 2013-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JP2013170627A (ja) 2012-02-21 2013-09-02 Suzuki Motor Corp 防振装置
JP2015040612A (ja) 2013-08-23 2015-03-02 倉敷化工株式会社 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386A (ja) 2000-03-29 2001-10-10 Tokai Rubber Ind Ltd 筒型マウント
KR101256860B1 (ko) * 2011-12-15 2013-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JP2013170627A (ja) 2012-02-21 2013-09-02 Suzuki Motor Corp 防振装置
JP2015040612A (ja) 2013-08-23 2015-03-02 倉敷化工株式会社 防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8526B2 (en) 2017-11-17 2020-05-12 Hyundai Motor Company Stopper for transmission mount
KR102664095B1 (ko) 2019-03-19 202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마운트
KR20220094336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485200U (zh) 2017-09-12
KR20180004893A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04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US10648526B2 (en) Stopper for transmission mount
US8950738B2 (en) Vibration-damping support device
CN101445027B (zh) 用于车辆悬架的下弹簧座安装结构
KR20170109160A (ko) 엔진마운트의 체결구조
US20130168907A1 (en) Vibration isolator
US10465761B2 (en) Coil 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JP2007303375A (ja) ボンネット衝撃変形吸収構造
JP2008196621A (ja) 車両用防振装置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9024786A (ja) 吊り型防振ゴム
KR102463448B1 (ko)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JP2009174600A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CN207956562U (zh) 军用减振运输箱
CN211231381U (zh) 一种减振器上支座、汽车减振器
JP7102230B2 (ja) 制振装置および制振装置の改造方法
JP2019209893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102187459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부시
US20240011538A1 (en) Anti-vibration mount
KR102131808B1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JPS6134163Y2 (ko)
JP2012218574A (ja) ストラットロッドの、車体側パネルへの取付け構造
US20230122959A1 (en) Strut assembly and vehicle applying same
KR20180055439A (ko) 티엠마운트
KR20170086202A (ko) 바디사이드범퍼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