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822B1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3822B1 KR101823822B1 KR1020170047985A KR20170047985A KR101823822B1 KR 101823822 B1 KR101823822 B1 KR 101823822B1 KR 1020170047985 A KR1020170047985 A KR 1020170047985A KR 20170047985 A KR20170047985 A KR 20170047985A KR 101823822 B1 KR101823822 B1 KR 101823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ganic polymer
- porous organic
- hydrogen ion
- present
- microwave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125000000542 sulf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group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KEQGZUUPPQEDPF-UHFFFAOYSA-N 1,3-dichloro-5,5-dimethylimidazolidine-2,4-dione Chemical compound CC1(C)N(Cl)C(=O)N(Cl)C1=O KEQGZUUPPQEDP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LSNNMFCWUKXFEE-UHFFFAOYSA-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XTHPWXDJESJLNJ-UHFFFAOYSA-N chlorosulfonic acid Substances OS(Cl)(=O)=O XTHPWXDJESJLN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GPRLSGONYQIRFK-UHFFFAOYSA-N hydron Chemical compound [H+] GPRLSGONYQIRFK-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20000557 Nafio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306 acid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33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66 I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4 co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71 solid-state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174 sulfo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Substances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HLIYXNTWAEBQ-UHFFFAOYSA-N 4-(4-formylphenyl)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C1=CC(C=O)=CC=C1C1=CC=C(C=O)C=C1 FEHLIYXNTWAE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48 Bronsted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PYHHZQJCSQRJY-UHFFFAOYSA-N Phloroglucin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C1=C(O)C=C(O)C=C1O JPYHHZQJCSQR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27 ion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CDYQQDYXPDABM-UHFFFAOYSA-N phloroglucinol Chemical compound OC1=CC(O)=CC(O)=C1 QCDYQQDYXPD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297 pyr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25 referen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08J9/28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the liquid phase being a solvent for the monomers but not for the resulting macromolecular composition, i.e. macroporous or macroreticular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5—Side-chains containing sulf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5—Side-chains containing sulfur
- C08G2261/1452—Side-chain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yl or sulfonate-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1—Charge transport
- C08G2261/516—Charge transport ion-conductiv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08J2201/0502—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the liquid phase being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0—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5/02—Polyphenyle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EMFC)에서 전극 전해질 접합체(MEA)에 활용 가능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Porous Organic Polymer, POP) 기반의 높은 수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수소 이온 전도 소재를 마이크로파 공정 및 산처리 공정에 의해서 단축된 공정시간과 공정비용 절감을 거두면서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간단한 합성 후 변형 과정을 통해 나피온을 대체할 수 있을만한 양성자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개발이 가능하여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수소 이온 전도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전극 전해질 접합체는 기계적 물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소 이온 전도성도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에서 전극 전해질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에 활용 가능하고, 술폰산기가 더 많이 도입될 수 있는 확장 형태의 다공성 유기 고분자(Porous Organic Polymer, POP) 기반의 높은 수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60 년대에 듀폰사에서 개발한 나피온(Nafion)은 지금까지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 분야에게 기준 물질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도 연구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나피온은 수분 조건에서 0.1 S/cm라는 높은 수소 이온 전도성 값을 보이지만 열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공성 유기 고분자는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와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물질로서 최근 연료 전지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다공성 유기 고분자 중, 나피온의 성능을 뛰어넘는 소재는 개발되지 않았다. 또한 소재의 기반이 되는 출발물질의 합성이 까다롭고 수득률이 매우 낮아 실용적인 면에서 한계를 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높은 수율로 양성자 교환막 연료 전지의 작동 범위 안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는 소재로 쉽고 간단하게 합성하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합성 후 변형 과정을 통해 나피온을 대체할 수 있을만한 우수한 양성자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개발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PEMFC의 고체 전해질 소재를 나피온 이상의 수소 이온 전도성을 보이면서도 합성이 간단하고 쉽게 확장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소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양성자 전도도 및 장기적 안정성을 보이는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전극 전해질 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하기 [화학식 1ES]로 표시된다.
[화학식 1ES]
[C11H6 .005O·S0.995O2 . 985H0 .995]n·2.61H2O
여기서, 상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90% 상대습도 하에서 30 ℃ 내지 80 ℃ 온도범위에서 양성자 전도도가 9.00 × 10-2 S/cm 내지 2.00 × 10-1 S/cm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90% 상대습도 하에서 80 ℃ 온도에서 양성자 전도도가 1.00 × 10-1 S/cm 내지 2.00 × 10-1 S/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술폰산기가 도입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 하에서 술폰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E]
[C11H7O2]n·0.6716H2O·0.2941HCl
여기서, 상기 n은 0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마이크로파-보조 용매열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보조 용매열 반응은 마이크로파 반응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이며, 상기 술폰산은 클로로술폰산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의 출력은 50 내지 300 W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의 압력은 80 내지 200 psi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수소 이온 전도 소재를 마이크로파 공정 및 산처리 공정에 의해서 단축된 공정시간과 공정비용 절감을 거두면서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간단한 합성 후 변형 과정을 통해 나피온을 대체할 수 있을만한 양성자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개발이 가능하여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의 수소 이온 전도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전극 전해질 접합체는 기계적 물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소 이온 전도성도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에 대한 적외선 분광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에 대한 결합에너지 피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 각각에 대한 온도변화에 따른 수소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Nyquist plot)이다.
도 4는 [화학식 1ES]의 화합물에 대해 80 ℃, 상대습도 90% 하에 노출시킨 후 일주일 간격으로 수소 이온 전도성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하기 도 5는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 각각에 대한 아레니우스 그래프(기울기 값을 통하여 구한 활성화 에너지 값) 및 2H solid state NMR 실험과 self-diffus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도출한 활성화 에너지 값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ES]를 이용한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구성한 이미지(개스킷, 촉매-코팅 가스 확산층 및 펠릿으로 구성된 단위전지)이다.
도 7은 80 ℃에서 작동하는 H2/O2 전기화학전지를 사용한 [화학식 1ES]의 연료전지에 대한 전류-전압 그래프(polarization plot)이다.
도 2는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에 대한 결합에너지 피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 각각에 대한 온도변화에 따른 수소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Nyquist plot)이다.
도 4는 [화학식 1ES]의 화합물에 대해 80 ℃, 상대습도 90% 하에 노출시킨 후 일주일 간격으로 수소 이온 전도성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하기 도 5는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화학식 1ES]의 화합물 각각에 대한 아레니우스 그래프(기울기 값을 통하여 구한 활성화 에너지 값) 및 2H solid state NMR 실험과 self-diffus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도출한 활성화 에너지 값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ES]를 이용한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구성한 이미지(개스킷, 촉매-코팅 가스 확산층 및 펠릿으로 구성된 단위전지)이다.
도 7은 80 ℃에서 작동하는 H2/O2 전기화학전지를 사용한 [화학식 1ES]의 연료전지에 대한 전류-전압 그래프(polarization plot)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하기 [화학식 1ES]로 표시되며, 술폰산기가 도입되어 보다 우수한 양성자 전도도를 가지며 상기 양성자 전도도에 대하여 장기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화학식 1ES]
[C11H6 .005O·S0.995O2 . 985H0 .995]n·2.61H2O
여기서, 상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90% 상대습도 하에서 30 ℃ 내지 80 ℃ 온도범위에서 양성자 전도도가 9.00 × 10-2 S/cm 내지 2.00 × 10-1 S/c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 상대습도 하에서 80 ℃ 온도에서 양성자 전도도가 1.00 × 10-1 S/cm 내지 2.00 × 10-1 S/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화학식 1ES]의 화합물이 우수한 전도도 값을 갖는 것은 유기 연결자에 강한 브뢴스테드-산 자리(-SO3H)가 존재함으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산성의 작용기들은 제한된 공간 안으로 물이 잘 흡수되는 것을 도와 친수성 영역을 조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하여 효율적인 수소이온 전달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나피온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는, 물이 매개되는 수소 이온 전도 통로로 많은 양의 수소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강산 단위체들이 공유결합으로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다공성 유기 고분자 골격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나피온(Nafion)에 상응하는 최고의 전도도 값을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술폰산기를 도입한 술폰산기가 도입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 하에서 술폰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E]
[C11H7O2]n·0.6716H2O·0.2941HCl
여기서, 상기 n은 0 내지 100의 정수이다.
이러한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전제적인 합성 과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마이크로파-보조 용매열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보조 용매열 반응은 마이크로파 반응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E]의 화합물을 제조 시 이용되는 마이크로파의 출력은 50 내지 300 W,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W이다. 마이크로파의 출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구조의 형성이 어려우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반응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E]의 화합물을 제조 시 이용되는 마이크로파의 압력은 80 내지 200 psi,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psi이다. 마이크로파의 압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다른 구조의 골격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반응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화합물의 합성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확장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의 합성과 클로로술폰산을 이용한 다량의 술폰산 기를 골격에 도입)
합성예 1.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5 mL 1,4-디옥산에 1,3,5-트리하이드록시벤젠 (0.5 g, 3.96 mmol)와 4,4’-바이페닐디카복시알데하이드 (0.625 g, 2.98 mmol)을 넣고 녹였다. 이 용액을 35 mL 마이크로파용 pyrex cell에 옮겨 담은 뒤, 35% HCl 1 mL를 첨가한 후 PTFE cap으로 입구를 닫았다. 220 ℃에서 2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CEM Discover)로 반응한 후, 생성물을 THF/H2O 200 mL에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THF와 물, 메탄올, 아세톤로 씻어준 뒤 100 ℃오븐에 잘 말린 후, 120 ℃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해 12 시간 동안 내부 공동에 존재하는 용매분자들을 제거하였다. 이에 따른 수득률은 약 68.4%였다.
합성예 2.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24 mL와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E 200 mg을 넣고 잠시 교반시켰다. 얼음물 통에 플라스크를 위치시키고 클로로설폰산 2.5 mL를 천천히 한 방울씩 떨어뜨리며 4 일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얼음과 물이 담긴 1000 mL 비이커에 결과물을 붓고 얼음이 다 녹을 때까지 교반시킨 후, 여과한 후, pH 7이 될 때까지 물과 메탄올, 아세톤으로 씻어주고 100 ℃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그 후, 120 ℃에서 12 시간 동안 펌프를 이용해 내부 공동에 존재하는 용매 분자들을 제거하였다.
시험예 1. 골격체 내의 술폰기(SO3H) 도입 확인
상기 합성예 2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1ES]의 화합물에 대해 적외선 분광법과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해 술폰산기의 도입을 평가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OH 스트레칭 피크와 O=S=O 비대칭 스트레칭 피크가 각각 884 cm- 1와 1150 cm-1에서 나타남을 적외선 분광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광전자 분광법으로 관찰하였을 때, S2s와 S2p의 피크가 확연하게 관찰되었으며, 피크의 결합에너지 값에 있어서도 SO3H의 S2p3 /2 및 S2p1 /2 상태의 결합에너지 값에 해당하는 168.01 eV 및 169.41 eV 피크가 나타남에 따라, 골격체 내에 술폰기가 도입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임피던스 장비를 이용한 온도 증가에 따른 수소 이온 전도도 값 평가
합성예 1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1E]의 화합물 및 합성예 2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1ES]의 화합물을 압축기를 이용해 각각 펠렛의 형태로 변형하였다. 이어서, 자체 제작한 백금 전극에 상기 펠렛을 놓고, 상대습도가 90%로 고정된 항온항습기에서 30 ℃ 내지 80 ℃ 범위에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임피던스 장비(Solartron SI 1260)를 이용해 수소 이온 전도성을 평가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E]의 화합물은 80 ℃에서 1.88 × 10-5 S/cm의 전도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화학식 1ES]의 화합물은 80 ℃에서 1.59 × 10-1 S/cm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현저하게 향상된 전도성은 술폰산기의 도입으로 구현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치는 나피온의 성능에 비견될만한 값이다.
시험예 3. 소재의 장시간 성능 안정성 평가
[화학식 1ES]의 최고 성능을 보였던 조건에서 장기간의 안정적인 성능의 유지가 가능한 지를 평가하기 위해, 80 ℃, 상도습도 90%의 조건에 노출시킨 후 일주일 될 때마다 시료의 양성자 전도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 측정했을 때의 성능을 11 주 넘게 유지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재가 장기적인 성능의 안정성을 지녀 실용적으로 연료전지에 충분히 잘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소재의 수소 이온 전도 메커니즘 조사
하기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레니우스 그래프를 그려서 기울기 값을 통해 활성화 에너지 값을 구해보았을 때, 0.13 eV로 계산되었다(도 5의 좌측 그래프).
이 값은 전형적인 그로투스 메커니즘(Grotthuss mechanism)을 의미하는 값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2H solid state NMR 실험과 water diffus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활성화 에너지 값(하기 도 5의 우측 그래프)을 계산해보았을 때, 각각 0.14 eV, 0.15 eV로서 거의 일치하여 같은 결론을 뒷받침한다.
시험예 5. 실제 전해질 전극 접합체 구성 및 개로 전압 테스트
하기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ES]를 이용한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구성하여 실용성을 평가하였으며, 개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을 측정하였을 때, 80 ℃, 상대습도 100%에서 약 0.72 V로 측정되었다(도 7).
Claims (9)
- 하기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
[화학식 1ES]
[C11H6 .005O·S0.995O2 . 985H0 .995]n·2.61H2O
상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90% 상대습도 하에서 30 ℃ 내지 80 ℃ 온도범위에서 양성자 전도도가 9.00 × 10-2 S/cm 내지 2.00 × 10-1 S/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는 90% 상대습도 하에서 80 ℃ 온도에서 양성자 전도도가 1.00 × 10-1 S/cm 내지 2.00 × 10-1 S/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 -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 하에서 술폰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ES]로 표시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ES]
[C11H6 .005O·S0.995O2 . 985H0 .995]n·2.61H2O
[화학식 1E]
[C11H7O2]n·0.6716H2O·0.2941HCl
상기 n은 0 내지 100의 정수이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마이크로파-보조 용매열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보조 용매열 반응이 마이크로파 반응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이며, 상기 술폰산은 클로로술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출력은 50 내지 300 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압력은 80 내지 200 p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기를 도입한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골격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985A KR101823822B1 (ko) | 2017-04-13 | 2017-04-13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PCT/KR2018/003619 WO2018190535A1 (ko) | 2017-04-13 | 2018-03-27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US16/497,081 US11407853B2 (en) | 2017-04-13 | 2018-03-27 | Expandable porous organic polymer-based hydrogen ion 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985A KR101823822B1 (ko) | 2017-04-13 | 2017-04-13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3822B1 true KR101823822B1 (ko) | 2018-01-31 |
Family
ID=6108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7985A KR101823822B1 (ko) | 2017-04-13 | 2017-04-13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407853B2 (ko) |
KR (1) | KR101823822B1 (ko) |
WO (1) | WO201819053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90535A1 (ko) * | 2017-04-13 | 2018-10-18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00121125A (ko) * | 2019-04-15 | 2020-10-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소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10083197A (ko) * | 2019-12-26 | 2021-07-0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암모니아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2722B1 (ko) * | 2004-12-21 | 2006-09-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폴리이미드 계열의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N107850848B (zh) * | 2015-07-23 | 2021-06-04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化合物及其制造方法 |
KR101823822B1 (ko) * | 2017-04-13 | 2018-01-3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7
- 2017-04-13 KR KR1020170047985A patent/KR1018238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7 US US16/497,081 patent/US11407853B2/en active Active
- 2018-03-27 WO PCT/KR2018/003619 patent/WO201819053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ANGEW. CHEM. INT. ED. 2016, 55, 16123-16126 |
CHEM. COMMUN., 2016, 52, 12294-12297 |
CHEM. MATER. 2011, 23, 1818-1824 |
J. AM. CHEM. SOC. 2011, 133, 18126-18129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90535A1 (ko) * | 2017-04-13 | 2018-10-18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US11407853B2 (en) | 2017-04-13 | 2022-08-09 |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 Expandable porous organic polymer-based hydrogen ion 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KR20200121125A (ko) * | 2019-04-15 | 2020-10-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소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93505B1 (ko) | 2019-04-15 | 2021-08-2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소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10083197A (ko) * | 2019-12-26 | 2021-07-0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암모니아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89236B1 (ko) | 2019-12-26 | 2023-01-1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암모니아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407853B2 (en) | 2022-08-09 |
US20200017630A1 (en) | 2020-01-16 |
WO2018190535A1 (ko) | 2018-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ark et al. | Chemically durable polymer electrolytes for solid-state alkaline water electrolysis | |
CN111647138A (zh) | 新型聚合物 | |
JP5740030B2 (ja) | ヒドロキシ基を含有するスルホン化ポリエーテルスルホンの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及びそれを含む膜電極接合体 | |
KR101823822B1 (ko) | 확장형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26539B1 (ko) | 폴리아릴렌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 |
Lim et al. | Sulfonated poly (ether sulfone) electrolytes structured with mesonaphthobifluorene graphene moiety for PEMFC | |
Li et al. | Novel polyamide proton exchange membranes with bi-functional sulfonimide bridg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 |
EP3340350A1 (en) | Polyphenylsulfone-based prot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proton conduct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de catalyst layer for solid polymer fuel cells,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catalyst layer for solid polymer fuel cells, and fuel cell | |
CN112563547A (zh) | 一种吡嗪基多孔共价有机框架材料、其制备方法及在燃料电池质子传导材料中的应用 | |
Tang et al. | Tailoring of microporosity of Tröger's base (TB) high 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by miscible polymer blending | |
Teixeira et al. | New proton conductive membranes of indazole-and condensed pyrazolebisphosphonic acid-Nafion membranes for PEMFC | |
JP6698148B2 (ja) | プロトン供与体とプロトン受容体を有する多面体オリゴマー型シルセスキオキサンを含むフッ素系ナノ複合膜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006055B1 (ko) |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US8436057B1 (en) | Anion exchange membrane | |
KR101649204B1 (ko) | 니켈촉매 중합을 이용한 벤조페논을 포함하는 설폰화 폴리페닐렌 고분자 | |
JP4320581B2 (ja) | イオン伝導体、並びに電気化学装置 | |
KR101773245B1 (ko) | 프로톤 주게와 프로톤 받게를 갖는 다면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나노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133338A (ko) | 2개 이상의 술폰화 방향족기로 치환된 페닐 펜던트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로부터 제조된 전해질 막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 |
KR100817554B1 (ko) | 산성 또는 염기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산/염기블랜드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산/염기 블랜드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를 채용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 |
KR20170107634A (ko) | 프로톤 주게와 프로톤 받게를 갖는 다면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불소계 나노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19052B1 (ko) |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38761B1 (ko) | 플루오로기를 함유하는 설폰화 폴리페닐렌 고분자 | |
KR20170107633A (ko) | 프로톤 주게와 프로톤 받게를 갖는 다면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나노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JP6252886B2 (ja) | パーフルオロスルホン酸ポリマー−アゾール−酸ブレンド膜及びその製造方法、パーフルオロスルホン酸ポリマー−アゾールブレンド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ロトン交換膜燃料電池 | |
KR20150142885A (ko) | N-메틸이사틴을 포함하는 설폰화 폴리페닐렌 고분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