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118B1 -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118B1
KR101823118B1 KR1020160028337A KR20160028337A KR101823118B1 KR 101823118 B1 KR101823118 B1 KR 101823118B1 KR 1020160028337 A KR1020160028337 A KR 1020160028337A KR 20160028337 A KR20160028337 A KR 20160028337A KR 101823118 B1 KR101823118 B1 KR 10182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nap ring
shaft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294A (ko
Inventor
김준호
채규천
모명술
김광중
Original Assignee
(주)삼호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호정기 filed Critical (주)삼호정기
Priority to KR102016002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1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76Pistons  the inside of the pistons being provided with ribs o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16J1/14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 F16J1/16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with gudgeon-pin; Gudgeon-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핀 검사장치, 스냅링 체결장치와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를 구비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에 피스톤핀을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 핀홀의 측부에 가공된 링홈에 스냅링을 체결하기 위한 스냅링 체결장치에서, 승강블록의 근처에 설치되고, 승강블록 보다 먼저 하강하여 커넥팅로드를 하방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제1고정블록;과 제1고정블록이 하부에 고정되고,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제1승강축;을 포함하는 피스톤핀 체결장치; 핀홀과 동심을 이루어 상측에 위치된 안내홀과, 안내홀의 내주면을 따라 평면상 환형상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자석을 구비한 안내블록을 포함하는 스냅링 체결장치;와, 인덱스테이블에 대해 비고정된 피스톤팔레트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수단과, 피스톤팔레트가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 유지와 작업 위치를 정위치에 배치하도록 설치된 정렬수단을 구비한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Piston pin inspection device and piston pin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smae}
본 발명은 피스톤핀을 조립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에 체결된 피스톤핀과 스냅링의 체결 상태를 점검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자동차 등에서 가솔린 또는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동력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회전형 기관과 왕복 기관이 있다. 여기서, 왕복 기관은 피스톤이 엔진 내부를 왕복하면서 혼합기가 흡입, 압축, 폭발, 배기과정을 진행하면서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왕복 기관의 엔진은 엔진 본체라고 할 수 있는 엔진 블록과, 엔진 블록의 보어에 조립을 이루어 혼합기에 의한 폭발에 의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이루는 피스톤,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여 설치된 커넥팅로드와,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연결하여 설치된 피스톤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스톤핀은 커넥팅로드에서 피스톤에 결합되는 소단부가 피스톤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일체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피스톤핀이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일체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수평으로 배치된 피스톤팔레트에 놓은 상태에서 피스톤핀을 거의 수직인 상태로 이동시켜 장착시킨다. 여기서, 피스톤팔레트는 인덱스테이블에 고정된 상태이다.
하지만, 피스톤핀을 체결하기 위한 공정이 장시간 반복되면 피스톤팔레트의 수평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피스톤팔레트가 고정된 인덱스테이블의 수평을 보정하게 된다. 이때, 무거우면서 넓은 면적의 인덱스테이블에 대해 수평 보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고도의 숙력된 작업자와 장시간의 노력이 요구되고, 보정 작업 동안 생산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에 장착된 피스톤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핀이 관통하는 피스톤의 핀홀 내면에 가공된 링홈을 끼우게 된다. 따라서, 핀홀의 양측에 스냅링이 장착되고, 이들 스냅링 사이에 피스톤핀이 위치함으로써, 피스톤핀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냅링은 스냅링 체결장치에 의해 링홈에 끼워진다. 여기서 스냅링 체결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된 스냅링을 직선 운동하는 승강부재로 가압하여 링홈까지 밀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스냅링은 수평인 상태로 이동하여 링홈에 끼워진다.
하지만, 외부에서 공급된 스냅링이 수평이 아닌 상태에서 하면이 평평한 승강부재의 평평한 하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수평이 이루어지는 동안 승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스냅링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피스톤핀과 커넥팅로드에 장착된 피스톤핀과, 이 피스톤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된 스냅링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피스톤핀 검사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피스톤핀 검사장치는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피스톤팔레트에 단순히 얹혀진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지므로, 검사 공정시 피스톤 또는 커넥팅로드가 움직일 수 있고, 이 경우 정확한 검사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8789호(1999.06.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2107호(1999.04.0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3618호(2013.10.1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401호(2014.10.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1476호(2002.11.1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3238호(2004.02.14.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단단히 고정시킨 후 피스톤핀과 스냅링의 체결 상태를 보다 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피스톤핀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피스톤의 핀홀에 가공된 링홈으로 이동하기 위한 스냅링이 수평을 미리 확보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스냅링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회전하는 인덱스테이블에 상하이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피스톤팔레트가 설치되어 피스톤핀 체결작업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경량이면서 소형의 피스톤테이블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면서 수평이 보장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의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핀 검사장치는, 피스톤(12) 및 커넥팅로드(13)가 장착된 피스톤팔레트(11); 승강로드(800)에 의해 1차 하강되어 상기 피스톤의 핀홀(12b)의 스냅링(300)을 가압하는 제2검사축(870) 및 상기 승강로드(800)에 의해 2차 하강되어 상기 피스톤의 피스톤핀(12a)을 가압하는 제1검사축(860)이 구비된 승강블록(810); 상기 승강블록(810)의 근처에 설치되고, 승강블록(810)의 1차 하강보다 먼저 하강하여 커넥팅로드(13)를 하방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제1고정블록(890); 상기 제1고정블록(890)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축(880); 및 상기 제1검사축(860) 및 상기 제2검사축(870)에 의한 하강압력과 상기 피스톤핀(12a) 및 상기 스냅링(300)에 의한 지지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피스톤핀(12a)과 상기 스냅링(30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핀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은, 피스톤(12) 및 커넥팅로드(13)가 장착된 피스톤팔레트(11); 상기 피스톤팔레트(11)가 장착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 및 정지하도록 설치된 인덱스테이블(10); 상기 상기 인덱스테이블(10)에 대해 비고정된 상기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시켜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 위치를 배치하는 승강수단(100) 및 정렬수단(200)이 구비된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 상기 피스톤(12)의 핀홀(12b) 상측에 위치된 안내홀(611) 및 상기 안내홀(611)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상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자석(612)을 포함하는 안내블록(610)이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핀(12a)의 양측에 스냅링(300)을 체결시키는 스냅링 체결장치; 및 전술된 피스톤핀 검사장치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고정블록이 커넥팅로드를 하방 가압함으로써, 제1,2검사축이 하강하여 피스톤핀과 스냅링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동안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패널, 제1수평패널과 제2수평패널을 통해 승강블록과 더불어 제1검사축과 제2검사축의 수직 왕복 이동이 보장되므로, 피스톤핀과 스냅링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피스톤핀과 스냅링을 검사하는 공정과 더불어 커넥팅로드의 후부에 체결된 볼트를 소켓축이 푸는 공정과, 커넥팅로드의 크랭크 조립부위를 분리하는 공정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 별도로 수행되었던 볼트를 푸는 공정 및 분리 공정에 필요한 작업 공정 및 작업 시간을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의 안내홀에 자석을 장착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스냅링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다음 승강부재에 의해 핀홀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승강부재의 하면과 밀착하면서 스냅링이 수평이 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스냅링의 변형 및 파손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안내홀에 정렬턱을 가공하여 스냅링의 수평을 재확보함으로써, 링홈까지 이동하는 동안 스냅링의 변형 및 파손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인덱스테이블에 피스톤팔레트를 고정시켜 작업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피스톤팔레트를 승강시켜 작업을 하고, 피스톤팔레트의 수평 및 정위치를 피스톤핀 삽입, 스냅링 삽입 및 피스톤핀 작업 결과를 검사하는 작업을 할 때마다 정밀하게 맞춰 작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을 보정하는 작업에 대해서 종래에는 무겁고 큰 인덱스테이블 통째로 수평을 보정해야만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볍고 작은 피스톤팔레트의 수평만 보정하면 되므로, 작업이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승된 피스톤팔레트가 수평은 물론 작업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상승시 발생할 수 있는 위치의 오차를 완전 배제하면서 정확한 작업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의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2안내부재를 배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인덱스 테이블이 제거된 상태의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유도돌기 및 유도홈의 작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스냅링 체결부에서 스냅링 체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공급로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공급로드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왕복대가 하강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안내블록 및 피스톤의 내부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내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안내블록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안내블록의 실시 예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피스톤핀 검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검사축이 하강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14에서 검사축이 스냅링과 피스톤핀을 검사하는 동작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도 14의 검사축이 상승하면서 수평 이동축의 이동과 복귀 동작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핀 검사장치, 스냅링 체결장치와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은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가 놓이는 피스톤팔레트(11), 피스톤팔레트(11)가 변두리에 다수 고정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평면상 대략 원형의 인덱스테이블(10), 피스톤핀(12a)을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에 관통하여 삽입시키는 피스톤핀 체결장치, 피스톤핀(12a)이 삽입된 피스톤(13)에 스냅링(300, 도 9 참조)을 삽입하여 체결시키는 스냅링 체결장치와, 피스톤핀(12a)이 제대로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피스톤핀 검사장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으로 피스톤핀을 조립하는 작동순서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연계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측에 스냅링(300)이 장착된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를 피스톤팔레트(11)에 배치시킨다. 이때, 피스톤팔레트(11)에 마련된 동심부재(미도시)가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에 가공된 핀홀(12b, 도 9 참조)에 삽입되도록 배치함으로써,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의 핀홀(12b)이 동심을 이루어 배치된다.
다음으로, 인덱스테이블(1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위치하면 피스톤핀 체결장치가 피스톤핀(12a)을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0)의 핀홀(12b)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피스톤핀(12a)이 삽입되면서 동심부재를 밀어낸다.
다음으로, 인덱스테이블(10)이 다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위치하면 스냅링 체결부(15)의 스냅링 체결장치가 핀홀(12b)의 일측 내면에 가공된 평면상 환형상의 링홈에 스냅링(30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핀홀(12b)에 삽입 체결된 피스톤핀(12a)의 양측에 스냅링(300)이 위치하게 되고, 피스톤핀(12a)이 완전 고정된다.
다음으로, 인덱스테이블(10)이 또다시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피스톤핀 검사장치가 핀홀(12b)에 검사축(860,870)을 이동시켜 일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이 제대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끝으로, 인덱스테이블(10)이 또다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하면,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이 조립된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를 피스톤팔레트(11)에서 반출하고, 피스톤핀(12a)을 조립하기 위한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를 피스톤팔레트(11)에 배치하여 상기된 공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에서 피스톤팔레트(11)를 인덱스테이블(10)로부터 승강할 수 있도록 별도 장착하고, 피스톤핀(12a), 스냅링(300) 및 점검시 상승시켜 수평과 정위치로 배치하도록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에 피스톤핀(12a)이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스냅링(300)이 자석(612)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채로 베이스(500)에 위치하면 체결부재(640)가 스냅링(300)을 피스톤(12)의 핀홀(12b)에 가공된 링홈(12c)에 끼우도록 이루어진 스냅링 체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을 단단히 고정한 후 각각의 압력을 가하여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의 체결을 정확하게 검사하도록 이루어진 피스톤핀 검사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피스톤팔레트(11)를 별도 설치하여 승강시키면서 수평 및 정위치시키는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스냅링(300)을 핀홀(12b)에 가공된 링홈(12c)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스냅링 체결장치와,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의 체결을 검사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이외의 장치 및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그것을 차용하고,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의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2안내부재를 배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인덱스 테이블이 제거된 상태의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유도돌기 및 유도홈의 작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의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테이블(10)의 상면에 별도 피스톤팔레트(11)가 설치되고, 이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시키면서 수평 및 정위치를 보장하도록 설치된 승강수단(100) 및 정렬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피스톤핀 조립작업'은 피스톤 핀을 체결하는 작업, 스냅링을 체결하는 작업, 장착된 피스톤핀과 스냅링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피스톤팔레트(11)는 인덱스테이블(10)에 비고정되어 승강 및 정렬수단(200)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피스톤팔레트(11)는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에 가공된 핀홀(12b, 도 9 참조)들이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동심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등 종래의 그것과 형상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피스톤팔레트(11)는 종래의 피스톤팔레트가 인덱스테이블(10)에 고정된 것과는 달리 승강수단(100)에 의해 승강하고, 정렬수단(200)에 의해 수평 및 작업 정위치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점이 다르다.
승강수단(1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피스톤팔레트(11)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축(110)과, 후술된 정렬수단(200)의 지지패널(250)에 장착된 수평조정부재(260)와 접촉하면서 동력원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축(110)은 피스톤팔레트(11)의 하부에 상단측 부위가 고정되면서 인덱스테이블(1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지지축(110)은 하측에 위치한 승강부재(120)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패널(250)과 함께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피스톤팔레트(11)를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부재이다. 이 지지축(110)은 피스톤팔레트(11)의 하부에 상단측 부위가 고정되고, 인덱스테이블(10)을 관통하여 하단측 부위에 후술된 지지패널(250)이 고정된다. 이때, 피스톤팔레트(110)의 승강 운동으로 인해 인덱스테이블(10)의 상면과 피스톤팔레트(11)의 하면들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방진부재(130)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진부재(130)는 인덱스테이블(10)에 지지축(110)이 관통한 부위에서 인덱스테이블(10)과 지지축(110) 간의 간격을 메워 승강시 지지축(11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방진부재(130)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지지축(110)에 의해 상승하는 피스톤팔레트(11)가 흔들릴 수도 있고, 이 경우 상술된 유도홈(240)과 유도돌기(220)에 의해 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120)는 후술된 수평조정부재(260)와 접촉하여 승강하면서 지지패널(250), 지지축(110) 및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시키는 부재로, 별도 설치된 동력원(미도시)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이 승강부재(120)는 수평조정부재(260)와 접촉하도록 양측에 배치된 한 쌍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각 수평조정부재(260)에 접촉하도록 수평조정부재(260)와 상응하는 개수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지지패널(250)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동력원은 승강부재(120), 수평조정부재(260)와 지지축(110)을 배제한 상태에서 삽입 또는 인출되는 로드가 피스톤팔레트(11)를 직접 승강시키도록 인덱스테이블(10)을 관통하여 다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축(110) 및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은 각 동력원의 로드의 인출되는 높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정렬수단(2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인덱스테이블(10)에 얹혀진 피스톤팔레트(11)의 양측부에 각각 입상으로 고정된 제1안내부재(210), 제1안내부재(210)의 상면에 설치된 유도돌기(220), 제1안내부재(210)의 상측에 고정된 제2안내부재(230), 제2안내부재(230)의 하면에 가공된 유도홈(240), 지지축(110)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패널(250)과, 지지패널(250)의 하면에 다수 설치된 수평조정부재(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안내부재(210)는 피스톤팔레트(11)의 양측에 양립하여 고정된다. 이 제1안내부재(210)는 피스톤팔레트(11)에 얹혀진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할 때, 상측에 위치한 제2안내부재(230)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피스톤핀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도돌기(220)는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과, 피스톤핀 조립작업을 위한 정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부재로, 제1안내부재(210)의 상면에 적어도 1개가 설치된다. 이 유도돌기(220)는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면 제2안내부재(230)의 하면에 가공된 유도홈(240)에 수용된다. 또한, 유도돌기(220)에서 유도홈(240)에 수용되는 부위는 경사지면서 상부가 하부보다 점차 작아지도록 대략 원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유도돌기(220)와 유도홈(240)이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과 정위치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제2안내부재(230)는 제1안내부재(210)의 상측에 양립하여 고정된다. 이 제1안내부재(210)는 피스톤핀 체결장치, 스냅링 체결장치와 검사장치의 외부 프레임에 하향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2안내부재(230)는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접촉하였을 때 피스톤핀(12a, 도 6 참조)을 체결시키거나 스냅링(300, 도 6 참조)을 체결시키거나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유도홈(240)은 유도돌기(220)와 연계하여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과, 피스톤핀 조립작업을 위한 정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부재로, 제2안내부재(230)의 하면에 유도돌기(220)와 상응하는 개수로 가공된다. 이 유도홈(240)에는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제2안내부재(230)와 접촉하면서 유도돌기(220)가 수용된다. 또한, 유도홈(240)의 내면은 경사지면서 대략 상부의 지름이 하부의 지름보다 점차 작아지도록 가공되어 대략 유도돌기(2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뿔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유도홈(240)에 유도돌기(220)가 정확히 일치하게 수용되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도홈(240)과 유도돌기(22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호 간의 접촉을 측정하여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유도홈(240)에 유도돌기(2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유도홈(240)의 내면과 유도돌기(220)의 외면 간의 접촉면을 접촉센서(270)가 측정하고, 유도홈(240)의 내면 전체와 수용된 유도돌기(220)의 외면 전체가 모두 접촉하면 피스톤팔레트(11)가 완전 수평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 신호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유도홈(240)의 내면과 유도돌기(220)의 외면 간의 접촉 면적이 대략 90~95% 이상 접촉되었을 때, 피스톤핀 조립작업에 부합한 정도로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 범위인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 신호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촉센서(270)는 유도홈(240)의 내면 전체와, 유도홈(240)에 수용된 유도돌기(220)의 외면 전체의 접촉면적을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접촉센서(270)는 완전 접촉을 기준으로 접촉면적을 백분율로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접촉센서(27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에 수신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정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완전하지 않거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제어부가 수신 및 판단하여 후속 작동을 정지시키면서 경고 메시지를 모니터 또는 알람 또는 경고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도홈(240)과 유도돌기(220)는 상승하는 제1안내부재(210)의 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는 동안 수직의 상승 위치가 일정 범위의 오차를 벗어날 수도 있다. 이때, 유도돌기(220)가 유도홈(240)에 수용되는 동안, 유도홈(240)의 경사 내면을 따라 유도돌기(220)의 경사 외면이 미끄러져 정확하게 유도홈(240)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제1안내부재(210)의 위치를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만약, 유도돌기(220)가 일정 범위의 오차를 크게 벗어나 유도홈(240)과의 미끄럼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인덱스테이블(10)의 회전각도 또는 인덱스테이블(10)의 수평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유도홈(240)과 유도돌기(220)를 배제한 상태에서 제1안내부재(210)의 상면과 제2안내부재(230)의 하면 간의 접촉 정도를 접촉센서(270)가 측정하여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지지패널(250)은 지지축(110)의 하단측 부위에 고정되어 지지축(110) 및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시키기 위한 중간 매개체이다. 이 지지패널(250)의 평면상 패널형상이면서 중앙 부위는 구멍이 가공되고, 이 구멍을 통해 피스톤팔레트(11)의 동심부재와 연결되어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원을 포함한 장치가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패널(250)의 하면에는 적어도 1개의 수평조정부재(260)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하면의 각 모서리에 수평조정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지지패널(250)은 지지축(110)의 하단측 부위가 고정되면서 하면에 수평조정부재(260)가 설치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막대형상 또는 지지축(110)에 상응하는 개수로 블록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평조정부재(260)는 지지패널(25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지패널(250), 지지축(110) 및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수평조정부재(260)는 지지패널(250)의 하면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례로 지지패널(250)에 풀거나 조이면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외의 삽입 또는 인출되어 고정이 가능한 통상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패널(250), 수평조정부재(260)와 승강부재(120)가 배제되고, 동력원이 직접 지지축(110)을 승강시키면서 수평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피스톤팔레트(11)에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를 배열하는 배치부(14)에서는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시키지 않으므로, 승강수단(100)에서 승강부재(120)와 동력원은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작동>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인덱스테이블(10)의 상면에 피스톤팔레트(11)가 별도 설치되고, 이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 및 정렬수단(200)으로 수평 및 정위치 조정이 가능하면서 승강하도록 된 동작순서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승강수단(100) 및 정렬수단(200)에 의한 피스톤팔레트(11)의 승강 및 정렬은 피스톤핀 체결장치, 스냅링 체결장치 및 검사장치 등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설명의 편의상 최초 위치에서 피스톤핀(12a)이 피스톤핀 체결장치에 의해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에 체결되는 작동까지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스톤팔레트(11)에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의 핀홀(12b)에 동심부재가 끼워지도록 배치한다(S10).
다음으로, 인덱스테이블(10)이 피스톤핀 체결장치까지 일정 각도 회전한다(S11).
다음으로, 동력원에 의해 승강부재(120)가 상승하면, 승강부재(120)에 접촉된 수평조정부재(260), 수평조정부재(260)가 체결된 지지패널(250), 지지패널(250)에 고정된 지지축(110), 지지축(110)에 장착된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한다(S12). 이때, 피스톤팔레트(11)에 입상으로 고정된 제1안내부재(210)가 피스톤 체결장치의 외부 프레임에 고정된 제2안내부재(230)까지 상승한다.
다음으로, 제1안내부재(210)의 상면에 장착된 유도돌기(220)가 제2안내부재(230)의 하면에 가공된 유도홈(240)에 수용된다(S13).
다음으로, 유도돌기(220)와 유도홈(240)의 접촉 정도를 접촉센서(270)가 측정하여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 및 정위치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유도홈(240)의 내면과, 유도홈(240)에 수용된 유도돌기(220)의 외면 간의 전체 면적의 접촉 또는 접촉 면적의 정도를 측정하여 피스톤핀(12a)이 체결될 수 있는 정도의 수평 및 정위치에 피스톤팔레트(11)가 배치되었는지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정위치에 위치하면 피스톤핀 체결장치가 작동하여 피스톤핀(12a)을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의 핀홀(12b)에 끼워 넣게 되고, 동시에 동심부재가 밀려나게 된다(S15). 이때,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정상 범위에 위치함을 접촉센서(270)에서 수신하여 제어부가 판단한 후 작업자에게 정상 신호를 제공하면서 피스톤핀 체결장치의 작동이 연속하도록 제어한다.
끝으로,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벗어나거나 정위치에서 벗어나면 이를 제어부가 수신 및 판단하여 후속 동작인 피스톤핀 체결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에러 메시지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S16). 여기서, 최초로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을 정렬하거나, 작업이 반복되면서 어긋난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을 재정렬하기 위해 각각의 수평조정부재(260)들을 회전시켜 지지패널(250)에 삽입 또는 인출하고, 이를 통해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을 조정한다. 또는 피스톤팔레트(11)의 정위치가 벗어나 유도돌기(220)와 유도홈(240)의 미끄럼 동작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인덱스테이블(10)의 회전각도 보정 또는 수평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 및 정위치가 조정되었음을 확인한 후 작업자에게 정상 신호를 제공하면서 피스톤핀 체결장치의 작동을 재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의 공정은 인덱스테이블(10)이 일정 각도로 반복 회전하고, 그때마다 피스톤핀(12a)에 스냅링(300)을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피스톤핀(12a)의 정상 체결을 점검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각 작업마다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 및 정위치를 확인한다.
<스냅링 체결장치>
도 6은 도 2에서 스냅링 체결부에서 스냅링 체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공급로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공급로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왕복대가 하강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안내블록 및 피스톤의 내부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내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안내블록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안내블록의 실시 예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링 체결장치는 도 2에서 스냅링 체결부(15)에 설치된 장치로, 제2안내부재(230), 스냅링 공급수단, 베이스(500)와,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안내부재(230)는 도 1, 도 4,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500)의 양측에 직접 또는 근처 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냅링 체결작업을 위해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하면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제2안내부재(230)와 맞닿으면서 유도돌기(220)가 유도홈(240)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한 후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된 바와 같다.
스냅링 공급수단은 외부의 스냅링(300)을 베이스(500)의 일측에 배치된 안내블록(610)의 안내홀(611, 도 9 참조)까지 운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스냅링 공급수단은 공급축(400)과 공급로드(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공급축(400)은 베이스(500)의 공급홈(510)의 상측에 대략 수직으로 고정된 축이다. 이 공급축(400)은 평면상 스냅링(300)의 내경과 대략 비슷한 지름을 갖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고, 공급홈(510)과는 대략 1개의 스냅링(300) 정도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공급축(400)의 상단을 통해 다수의 스냅링(300)을 차례로 끼워 적층되도록 한다. 이때, 최하위 스냅링(300)은 공급축(400)을 이탈하여 공급홈(510)의 바닥에 놓인 상태가 되고, 차하위 스냅링(300)은 최하위 스냅링(300)에 의해 받쳐져 공급축(40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최하위 스냅링(300)이 공급로드(410)에 의해 이송되면, 차하위 스냅링(300)이 자중에 의해 공급축(400)을 이탈하여 공급홈(510) 바닥에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 공급로드(410)는 도 6과 도 7a에서와 같이 별도로 설치된 동력원(미도시)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공급로드(410)의 왕복 이동거리는 공급축(400)에서 이탈한 스냅링(300)을 운반하여 안내홀(611)까지 운반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 공급로드(410)의 일측부는 스냅링(300)의 개방부에 끼워지는 중앙의 돌출부위와, 스냅링(300)의 양단부가 끼워지는 양측의 대략 뾰족한 홈을 구비한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급로드(410)는 다른 실시 예로, 도 7b에서와 같이 동력원과 연결된 로드부(411)와, 로드부(411)의 선단측 부위에 가공된 공급부(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급부(412)는 로드부(411)와 함께 이동하면서 공급홈(510)에 놓인 스냅링(300)을 일부 수용하여 미는 부위로, 일면에 스냅링(3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의 홈을 구비한다.
베이스(500)는 피스톤팔레트(11)의 상측에 고정된다. 이 베이스(500)의 선단측에 왕복대(600)가 승강하도록 배치되고, 왕복대(600)가 상승한 위치에서 왕복대(600)에 상부에 고정된 안내패널(601)의 상면은 베이스(500)의 상면과 동일 높이 또는 유사한 높이를 이루게 되며, 더욱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베이스(500)의 상면에는 제1공급홈(5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공급홈(510)은 공급축(400)에서 이탈한 최하위 스냅링(300)이 바닥면에 놓이고, 이 스냅링(300)을 공급로드(410)가 밀어서 안내블록(610)의 안내홀(611)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 깊이, 폭 등으로 가공된다. 이때, 제1공급홈(510)은 수평 이동하는 공급로드(4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은 공급로드(410)에 의해 운반된 스냅링(300)을 일시 수용하여 핀홀(12b)의 링홈(12c)에 스냅링(300)을 체결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체결수단은 왕복대(600), 왕복축(620), 고정대(630), 안내블록(610)과, 체결부재(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왕복대(600)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왕복축(620)에 장착되어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안내패널(601)이 도 6과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된다. 이 왕복대(600)는 상승시 베이스(500)의 일측단에 배치되면서 안내패널(601)의 제2공급홈(602)과 베이스(500)의 제1공급홈(510)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강시 왕복대(600)에 설치된 안내블록(610)의 하부가 도 9에서와 같이 핀홀(12b)에 끼워지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안내패널(601)은 도 9에서와 같이 왕복대(600)가 상승한 상태에서 베이스(500)의 제1공급홈(510)으로 운반되는 스냅링(300)이 지나가도록 제1공급홈(510)과 연속하게 가공된 제2공급홈(602)을 구비한다. 이 제2공급홈(602)은 안내블록(610)에 가공된 안내홀(611)까지 가공되고, 이 제2공급홈(602)은 제1공급홈(510)과 폭과 높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왕복대(600)가 상승하여 안내패널(601)이 베이스(500)의 측부에 위치할 때, 제1공급홈(510)을 지나 제2공급홈(602)에 진입하는 스냅링(300)이 걸리지 않도록 제2공급홈(602)의 바닥면은 제1공급홈(51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간 낮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안내패널(601)은 제2공급홈(602) 이외의 부위가 제2공급홈(602)보다 더 높고, 이는 제2공급홈(602)에서 안내홀(611)까지 이동하는 스냅링(300)이 제2공급홈(602)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안내홀(611)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왕복축(620)은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왕복대(600)가 고정된다. 따라서, 왕복축(620)이 승강하면서 왕복대(6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왕복축(620)은 왕복대(60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승강하도록 왕복대(600)의 변두리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고정대(630)는 왕복대(600)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왕복축(62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 고정대(630)는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왕복축(620)들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통하는 부위와 왕복축(620) 간의 유격이 거의 없게 장착된다.
안내블록(610)은 안내홀(611)과 자석(6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안내블록(610)의 하부는 도 9에서와 같이 왕복대(600)가 하강하였을 때 하부 일부위가 핀홀(12b)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를 위해 안내블록(610)의 하부의 외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제작되고, 이와 상응하여 핀홀(12b)의 상부가 외향 경사지게 제작된다.
여기서, 안내홀(611)은 제2공급홈(602)을 통해 운반된 스냅링(300)을 수용한 후 하측에 위치한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의 핀홀(12b)로 안내하는 구멍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500)의 일측에 측단면상 대략 "Y"자 형상으로 가공된다. 즉, 안내홀(611)의 하부는 핀홀(12b)의 지름과 동일하고, 상부는 하부의 지름보다 점점 더 커지게 가공된다. 이 안내홀(611)은 도 8에서와 같이 왕복대(600)가 하강하면 핀홀(12b)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냅링(300)이 공급홈(510)을 따라 이동한 후 안내홀(611)의 상부로 떨어지면 체결부재(640)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지름이 축소되어 안내홀(611)의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스냅링(300)이 밀려 이동하면서 체결부재(640)의 평평한 하면과 접촉하여 수평을 이루는 과정이 수반된다. 일례로, 스냅링(300)이 안내홀(611)의 상부에 떨어져 비스듬하게 위치하면 하강하는 체결부재(640)의 평평한 하면이 스냅링(300)과 접촉하면서 수평을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 조정 과정에서 안내홀(611)의 내면과 스냅링(300)의 외면 간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로 인해 스냅링(300)이 찌그러질 수 있고, 이 경우 핀홀(12b)의 링홈(12c)에 끼워지지 못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링홈(12c)에 끼워지더라도 형상 변형으로 인해 제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불량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자석(612)은 안내홀(611) 상부의 내면에 원주면을 따라 측면상 수평을 이루어 설치된다. 이때, 자석(612)은 원주면을 따라 평면상 환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측면상 안내홀(611)에 설치되는 자석(612)의 높이는 안내홀(611)의 상부에서 스냅링(3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름을 갖는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냅링(300)의 외면과 자석(612)의 내면이 닿게 된다. 이외에, 자석(612)의 높이는 안내홀(611)의 상부에서 스냅링(300)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을 갖는 높이이면서 자력이 스냅링(300)에 작용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석(612)의 자력으로 수평을 유지한 스냅링(300)과 자석(612)이 약간 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스냅링(300)의 수평을 완벽히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홀(611)은 도 12에서와 같이 경사진 상부의 내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정렬턱(613)과, 정렬턱(613)과 직선인 하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의 슬라이딩면(614)을 더 구비하고, 이들 정렬턱(613)과 슬라이딩면(614)은 자석(612)의 아래쪽에 평면상 환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 정렬턱(613)은 체결부재(640)에 의해 밀려 하방 이동하는 스냅링(300)이 살짝 걸쳐지도록 하여 스냅링(300)의 측면상 수평을 확인하거나 완벽히 이루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 정렬턱(613)은 수평면일 수도 있고, 하향 경사면일 수도 있다.
이때, 체결부재(640)는 스냅링(300)을 하방 이동시키는 동안 일정한 압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외에 정렬턱(613)까지 1차 압력을 제공하여 스냅링(300)이 정렬턱(613)에 걸리도록 하여 수평을 확인 또는 보정하도록 일시 정지시키고, 이후 스냅링(300)이 정렬턱(613)을 통과하도록 1차 압력보다 조금 더 높은 2차 압력을 제공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면(614)은 정렬턱(613)을 통과한 스냅링(300)이 안내홀(611)의 하부까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도록 가공된다. 이때, 슬라이딩면(614)은 직각을 기준으로 안내홀(611)의 상부 경사각과 유사하거나 좀 더 완만한 각도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체결부재(64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안내홀(611)에 수용되어 수평 상태로 배치된 스냅링(300)을 하측으로 밀도록 설치된 것으로, 안내홀(611)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체결부재(640)는 고정대(630)를 통과하여 안내홀(61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일부 구간에서 왕복대(600)와 별도로 이동할 수도 있고,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체결부재(640)의 왕복 이동 거리는 안내홀(611)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하강하여 스냅링(300)을 핀홀(12b)에 가공된 링홈(12c)까지 이동시켜 결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정도이다. 물론, 체결부재(640)는 하부가 스냅링(300)을 밀면서 안내홀(611)의 하부를 지나 핀홀(12b)을 통과하는 정도의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수직의 중심선이 안내홀(611)과 핀홀(12b)의 중심선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640)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 축회전부재(641)를 구비한다. 이 축회전부재(641)는 하부가 내측으로 굴절된 대략 "ㄴ"자 형상으로, 상호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640)의 하부에 상부에 회전축이 되도록 장착되어 하부가 탄성으로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체결부재(640)가 하강하면 축회전부재(641)가 안내홀(611)의 경사진 상부의 내면을 따라 접촉하여 접혀지면서 스냅링(300)과 접촉하는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오므라든 상태에서 축회전부재(610)의 면은 원형이고, 이 원형의 지름은 스냅링(300)을 밀면서 안내홀(611)과 핀홀(12b)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지름을 갖는다. 물론, 체결부재(640)가 상승하면 축회전부재(641)는 탄성에 의해 펼쳐지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 축회전부재(641)는 다른 예로, 대략 사각기둥 형상이고, 체결부재(640)의 하부에 상부에 회전축이 되도록 장착되어 하부가 탄성으로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체결부재(640)가 하강하면 축회전부재(641)가 안내홀(611)의 경사진 상부의 내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접혀지고, 상승하면 축회전부재(641)가 탄성에 의해 펼쳐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축회전부재(641)가 접혀진 상태에서, 축회전부재(641)의 하면은 체결부재(640)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팔레트(11) 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일례로 4개 정도의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스냅링 체결장치가 설치된다. 즉, 하나의 베이스(500)에 피스톤(12) 수와 동일하게 스냅링 공급수단과 체결수단이 설치된다.
<작동>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링 체결장치의 작동순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피스톤팔레트(11)에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가 장착되면 인덱스테이블(10)이 회전하여 피스톤팔레트(11)를 피스톤핀 체결부(14)에서 스냅링 체결부(15)까지 이동시킨다(20).
다음으로, 피스톤팔레트(11)가 승강수단(100) 및 정렬수단(200)에 의해 상승하여 수평으로 배치된다(S21). 이때, 피스톤팔레트(11)와 함께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베이스(500)에 고정된 제2안내부재(230)와 맞닿으면서 유도돌기(220)가 유도홈(240)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한 후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왕복대(600)가 상승하여 베이스(500)의 측부에 위치한다(S22). 이때, 베이스(500)의 제1공급홈(510)과 안내패널(601)의 제2공급홈(602)이 동일 평면상 또는 유사 높이가 되도록 위치한다. 물론, 왕복대(600)는 왕복축(620)과 함께 승강하고, 고정대(630)에 의해 그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급로드(410)가 스냅링(300)을 안내홀(611)까지 운반한다(S23), 자세하게는, 공급축(400)에서 이탈하여 제1공급홈(510)의 바닥에 놓인 스냅링(300)을 후방에 위치한 공급로드(4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공급홈(602)을 지나 안내홀(611)까지 이동시킨 후 떨어뜨린다. 이후, 공급로드(4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면, 스냅링(300)이 공급축(400)에서 자중에 의해 떨어져 공급홈(510)의 바닥에 놓일 수 있다.
다음으로, 안내홀(611)에 떨어지는 스냅링(300)은 자석(612)에 의해 수평을 이루어 안내홀(611) 내에 위치한다(S24). 이때, 스냅링(300)은 자석(612)과 접촉한 상태일 수도 있고, 자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자석(612)과 약간 이격된 상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왕복대(600)가 하강하여 안내블록(610)이 피스톤(12)에 접촉하여 안내홀(611)이 핀홀(12b)과 동심을 이루도록 한다(S25). 이때, 안내블록(610)의 하부 일부위가 핀홀(12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체결부재(640)가 하강하여 안내홀(611) 내의 스냅링(300)을 핀홀(12b)에 가공된 링홈(12c)까지 이동시켜 장착시킨다(S26). 여기서, 안내홀(611)에 정렬턱(613)과 슬라이딩면(614)이 가공된 경우, 체결부재(640)는 스냅링(300)을 정렬턱(613)까지 1차 이동시켜 일시 정지한 후, 다시 링홈(12c)까지 2차 이동시키도록 이동하는 2중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640)의 하부에 장착된 축회전부재(641)는 안내홀(611)의 내면을 따라 상부를 축으로 하부가 축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체결부재(640)가 상승하여 원위치한다(S27).
다음으로, 왕복대(600)가 상승하여 베이스(500)의 측부에 위치한다(S28). 이때, 단계(S20)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끝으로, 피스톤팔레트(11)가 하강하여 인덱스테이블(10)에 놓인다(S29). 이후 인덱스테이블(10)이 회전하여 다음 공정으로 피스톤팔레트(11)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스냅링(300)을 핀홀(12b)의 링홈(12c)에 장착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피스톤핀 검사장치>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피스톤핀 검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검사축이 하강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14에서 검사축이 스냅링과 피스톤핀을 검사하는 동작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도 14의 검사축이 상승하면서 수평 이동축의 이동과 복귀 동작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핀 검사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내부재(230), 피스톤팔레트(11), 고정패널(700), 검사수단과 볼트해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안내부재(230)는 도 1, 도 4, 도 5와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패널(700)의 하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피스톤핀 검사작업을 위해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하면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제2안내부재(230)와 맞닿으면서 유도돌기(220)가 유도홈(240)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한 후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된 바와 같다.
피스톤팔레트(11)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가 놓이도록 제작되고, 인덱스테이블(10)에 비고정되어 승강수단(100)에 의해 승강하면서 정렬수단(200)에 의해 수평 및 작업 정위치가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이 피스톤팔레트(1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고정패널(700)은 피스톤팔레트(11)의 상측에 고정되고, 후술된 승강블록(810), 제1승강축(880)과 제2승강축(930)이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 고정패널(700)의 하면에 제2안내부재(230)가 설치된다. 이 제2안내부재(23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이 전술되어 있다. 이 제2안내부재(230)는 상승하는 제1안내부재(210)와 면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1안내부재(210)와 함께 상승한 피스톤팔레트(11)가 수평을 이루게 된다.
검사수단은 도 13에서와 같이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에 체결된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이 제대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수단이다. 이 검사수단은 승강로드(800), 승강블록(810), 승강보조축(820), 제1수평패널(830), 제2수평패널(840), 고정축(850), 제1검사축(860), 제2검사축(870), 제1승강축(880)과 제1고정블록(8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검사수단은 승강블록(810)을 2중으로 하강하도록 설치되고, 1차 하강시 제2검사축(870)이 스냅링(300)의 체결을 확인하고, 2차 하강시 제1검사축(860)이 피스톤핀(12a)의 체결을 확인하도록 기본 구성된다. 이를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승강로드(800)는 하부에 승강블록(810)이 고정되고,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승강블록(810)은 승강로드(800)의 하부에 고정되고, 고정패널(7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승강블록(810)은 승강로드(800)에 의해 고정패널(700)을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작동한다.
또, 승강보조축(820)과 제1검사축(860)의 상부가 승강블록(810)의 하부에 양립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승강보조축(820)의 상부는 승강블록(810)과 탄성 체결되어 작업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검사축(860)의 상부는 승강블록(8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블록(810)이 2차 하강하면 승강보조축(820)의 상부는 승강블록(810)에 삽입되고, 제1검사축(860)은 더욱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검사축(860)은 도 15에서와 같이 피스톤핀(12a)에 가공된 내부홈(12`)에 삽입되고, 일정 압력을 가하여 피스톤핀(12a)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승강블록(810)이 2차 하강후 1차 상승하면 승강보조축(820)의 삽입된 부위가 승강블록(810)에서 인출되고, 제1검사축(860)이 도 14에서와 같이 상승하도록 작동한다. 이후 승강블록(810)의 2차 상승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제1검사축(860)은 상부가 승강블록(810)에 고정되면서 제1수평패널(830), 제1지지부재(831), 제2지지부재(832), 탄성부재(833), 제3지지부재(841)와 제2검사축(87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승강블록(810)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수평패널(830)은 승강블록(8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 제1수평패널(830)은 승강보조축(820)의 하부가 상부에 고정되고, 제1검사축(86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 제2수평패널(840)은 제1수평패널(8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 제2수평패널(840)은 고정축(850)의 하부가 상부에 고정되고, 제1검사축(86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수평패널(830)과 제2수평패널(840)은 승강보조축(820)과 고정축(850)에 의해 수평을 이루면서 궁극적으로는 이들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검사축(860)의 수직을 정확히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831)와 제2지지부재(832)는 각각 제1수평패널(830)의 하면과 제2수평패널(84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지지부재(831)와 제2지지부재(832)를 제1검사축(860)이 관통한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831)와 제2지지부재(832) 사이에는 탄성부재(833), 일례로 스프링이 설치된다. 이 탄성부재(833)는 승강블록(810)이 2중으로 하강하면서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더 압력이 의도치 않게 제1검사축(860)과 제2검사축(870)에 전달될 때 제1수평패널(830)과 제2수평패널(840)의 간격을 조정하여 완충시키는 부재이다.
또한, 제3지지부재(841)는 제2수평패널(840)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 제3지지부재(841)에 제2검사축(870)의 상부가 장착된다. 이때, 제2검사축(870)은 제3지지부재(841)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탄성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제2검사축(870)은 승강블록(810)과 함께 하강하면서 도 14에서와 같이 핀홀(12b)에 삽입되어 스냅링(300)을 가압하여 체결 상태를 확인하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검사수단은 제1검사축(860)과 제2검사축(870)의 하강 압력과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의 지지압력을 측정하여 체결 정상 여부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 측정부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와 체결 정상 여부를 확인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와, 이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볼트해제부는 이동축(900), 소켓축(910), 제2고정블록(920)과 제2승강축(9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이동축(900)은 수평 왕복 이동하여 소켓축(910)을 커넥팅로드(13)의 후부에 설치된 볼트까지 이동시키도록 수평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소켓축(910)은 이동축(900)에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축(900)에 의해 커넥팅로드(13)의 후부의 볼트까지 이동한 후 볼트를 풀도록 설치된다.
또, 제2고정블록(920)은 피스톤팔레트(11)에 고정된 커넥팅로드(13)의 후부 즉, 피스톤(12)에 삽입되는 소단부 반대측의 대단부 부위를 일정 압력으로 타격하도록 설치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제2고정블록(920)은 소켓축(910)이 커넥팅로드(13) 후부의 볼트를 풀어주면 제2승강축(930)과 함께 하강하여 커넥팅로드(13)의 후부를 타격하여 커넥팅로드(13)의 크랭크 조립부위를 분리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승강축(930)은 고정패널(700)을 관통하면서 하부에 제2고정블록(920)이 고정된다. 이 제2승강축(930)은 하강시 일정 속도와 압력으로 이동하여 제2고정블록(920)이 커넥팅로드(13)의 후부를 타격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축(900)이 후방으로 원위치하면 상승하도록 설치된다.
<작동>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핀 검사장치의 작동순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도 13에서와 같이, 스냅링 체결작업이 완료된 후 인덱스테이블(10)이 회전하여 피스톤팔레트(11)를 스냅링 체결부(15)에서 피스톤핀 검사부(16)까지 이동시킨다(S30).
다음으로, 피스톤팔레트(11)가 승강수단(100) 및 정렬수단(200)에 의해 상승하여 수평으로 배치된다(S31). 좀 더 자세하게는, 피스톤팔레트(11)와 함께 제1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베이스(500)에 고정된 제2안내부재(230)와 맞닿으면서 유도돌기(220)가 유도홈(240)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한 후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1승강축(880)에 의해 제1고정블록(890)이 하강하여 커넥팅로드(13)를 하방 가압하여 피스톤(12)과 커넥팅로드(13)를 단단히 고정시킨다(S32).
다음으로, 승강로드(800)에 의해 승강블록(810)이 1차 하강하여 제2검사축(870)이 핀홀(12b)의 스냅링(300)을 가압하여 체결 상태를 확인한다(S33). 좀 더 자세하게는 제1수평패널(830)과 제2수평패널(840)이 하강하고, 이들에 장착된 승강보조축(820), 제1검사축(860), 고정축(850), 제1지지부재(831), 제2지지부재(832), 제3지지부재(841)와 제2검사축(870) 등이 함께 하강한다. 이때, 도 15에서와 같이 제2검사축(870)이 핀홀(12b)에 삽입되면서 스냅링(300)을 가압하여 스냅링(30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승강로드(800)에 의해 승강블록(810)이 2차 하강하여 제1검사축(860)이 피스톤핀(12a)을 가압하여 체결 상태를 확인한다(S34). 좀 더 자세하게는 도 15에서와 같이 승강블록(810)이 2차 하강하면 제1수평패널(830)과 제2수평패널(840)은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보조축(820)의 승강블록(8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검사축(860)은 하방으로 더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한 제1검사축(860)이 도 16에서와 같이 피스톤핀(12a)의 내부홈(12a`)에서 피스톤(12)을 하방 가압하고, 이를 통해 피스톤핀(12a)의 체결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1검사축(860)과 제2검사축(870)이 피스톤핀(12a)과 스냅링(300)에 미리 설정된 압력을 가하고, 이를 감지한 센서가 압력 및 정상 체결 상태를 모니터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동축(900)이 커넥팅로드(13) 후부로 수평 이동하고, 소켓축(910)이 함께 이동한 후 커넥팅로드(13) 후부의 볼트를 푼다(S35).
다음으로, 커넥팅로드(13) 후부의 볼트가 풀리면, 제2승강축(930)에 의해 제2고정블록(920)이 하강하여 커넥팅로드(13)의 후부위를 타격한다(S36). 이때, 커넥팅로드(13)의 크랭크 조립부위가 분리된다.
다음으로, 이동축(900)과 소켓축(910)이 원위치로 이동하면 제1고정블록(890)과 제2고정블록(920)이 제1승강축(880)과 제2승강축(930)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한다(S37).
끝으로, 피스톤팔레트(11)가 하강하여 인덱스테이블(10)에 놓인다(S38). 이후 인덱스테이블(10)이 회전하여 다음 공정으로 피스톤팔레트(11)를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인덱스테이블
11: 피스톤팔레트
12:피스톤
12a:피스톤핀
12a`:내부홈
12b:핀홀
12c:링홈
13:커넥팅로드
14:피스톤핀 체결부
15:스냅링 체결부
16:피스톤핀 검사부
100:승강수단
110:지지축
120:승강부재
200:정렬수단
210:제1안내부재
220:유도돌기
230:제2안내부재
240:유도홈
250:지지패널
260:수평조정부재
270:접촉센서
300:스냅링
400:공급축
410:공급로드
411:로드부
412:공급부
500:베이스
510:제1공급홈
600:왕복대
601:안내패널
602:제2공급홈
610:안내블록
611:안내홀
612:자석
613:정렬턱
614:슬라이딩면
620:왕복축
630:고정대
640:체결부재
641:축회전부재
700:고정패널
800:승강로드
810:승강블록
820:승강보조축
830:제1수평패널
831:제1지지부재
832:제2지지부재
833:탄성부재
840:제2수평패널
841:제3지지부재
850:고정축
860:제1검사축
870:제2검사축
880:제1승강축
890:제1고정블록
900:이동축
910:소켓축
920:제2고정블록
930:제2승강축.

Claims (21)

  1. 피스톤핀 검사장치에 있어서,
    피스톤(12) 및 커넥팅로드(13)가 장착된 피스톤팔레트(11);
    승강로드(800)에 의해 1차 하강되어 상기 피스톤의 핀홀(12b)의 스냅링(300)을 가압하는 제2검사축(870) 및 상기 승강로드(800)에 의해 2차 하강되어 상기 피스톤의 피스톤핀(12a)을 가압하는 제1검사축(860)이 구비된 승강블록(810);
    상기 승강블록(810)의 근처에 설치되고, 승강블록(810)의 1차 하강보다 먼저 하강하여 커넥팅로드(13)를 하방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제1고정블록(890);
    상기 제1고정블록(890)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축(880); 및
    상기 제1검사축(860) 및 상기 제2검사축(870)에 의한 하강압력과 상기 피스톤핀(12a) 및 상기 스냅링(300)에 의한 지지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피스톤핀(12a)과 상기 스냅링(30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810)과 상기 제1승강축(880)의 수직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승강블록(810)과 상기 제1승강축(880)이 관통하도록 고정된 고정패널(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810) 하측에 배치된 제1수평패널(830);
    상기 제1수평패널(83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부가 상기 승강블록(810)의 하부에 탄성 체결되고, 상기 승강블록(810)의 1차 하강 시 함께 하강되고, 상기 승강블록(810)의 2차 하강 시 상부가 상기 승강블록(810)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블록(810)이 1차 상승 시 상부가 상기 승강블록(810)으로부터 인출되는 승강보조축(820);
    상기 제1수평패널(830)의 하측에 배치된 제2수평패널(840); 및
    상기 제1수평패널(830)과 상기 제2수평패널(840) 사이에 고정된 고정축(8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검사축(860)은 상기 승강블록(810)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수평패널(830)과 상기 제2수평패널(84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검사축(870)은 상기 제2수평패널(840)에 고정되고, 상기 제1검사축(860)이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패널(830)과 상기 제2수평패널(8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패널(830)과 상기 제2수평패널(840)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승강블록(810)의 하강 압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8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패널(830)의 하면에 고정된 제1지지부재(831); 및
    상기 제2수평패널(840)의 상면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8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833)는 상기 제1지지부재(831)와 상기 제2지지부재(83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패널(840)과 상기 제2검사축(870) 사이에 고정된 제3지지부재(8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드(13)의 후부의 볼트를 풀기 위해 왕복 이동하는 이동축(900); 및
    상기 이동축(900)과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커넥팅로드(13) 후부의 볼트를 풀도록 설치된 소켓축(9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축(910)이 상기 커넥팅로드(13) 후부의 볼트를 풀면 상기 커넥팅로드(13)에 타격을 주도록 하강되는 제2고정블록(920); 및
    상기 제2고정블록(920)이 하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패널(700)을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된 제2승강축(9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검사장치.
  9. 피스톤(12) 및 커넥팅로드(13)가 장착된 피스톤팔레트(11);
    상기 피스톤팔레트(11)가 장착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 및 정지하도록 설치된 인덱스테이블(10);
    상기 상기 인덱스테이블(10)에 대해 비고정된 상기 피스톤팔레트(11)를 승강시켜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 위치를 배치하는 승강수단(100) 및 정렬수단(200)이 구비된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
    상기 피스톤(12)의 핀홀(12b) 상측에 위치된 안내홀(611) 및 상기 안내홀(611)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상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자석(612)을 포함하는 안내블록(610)이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핀(12a)의 양측에 스냅링(300)을 체결시키는 스냅링 체결장치;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피스톤핀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00)은,
    상기 인덱스테이블(10)을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팔레트(11)의 하부에 상단측 부위가 고정된 지지축(110), 상기 지지축(110)의 하측에 배치된 승강부재(120) 및 상기 지지축(110)과 상기 승강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시키도록 연계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수단(200)은,
    상기 지지축(110)의 하단측 부위에 고정된 지지패널(250) 및 상기 지지패널(250)의 하면의 각 모서리에 하나 이상 설치된 수평조정부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200)은,
    상기 피스톤팔레트(11)의 상면에 입상으로 고정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유도돌기(220)가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팔레트(11)와 함께 상승되는 제1안내부재(210);
    상기 제1안내부재(210)에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패널(700)에 직접 또는 근처에 고정되고,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유도홈(240)이 가공된 제2안내부재(230); 및
    상기 피스톤팔레트(11)가 상승되어 상기 유도돌기(220)가 상기 유도홈(240)에 수용되면, 상기 유도돌기(220)의 외면과 상기 유도홈(240)의 내면 간의 접촉 정도를 측정하는 접촉센서(2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수단(200)은 상기 접촉센서(270)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을 판단하고,
    상기 유도돌기(220)와 상기 유도홈(240)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의 지름이 하부의 지름보다 작아지도록 경사져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13.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어긋나면,
    상기 정렬수단(200)의 상기 수평조정부재(260)가 상기 지지패널(250)의 하면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조정되거나, 상기 동력원에 의해 상기 지지축(110)의 승강 높이가 조정되어 상기 피스톤팔레트(11)의 수평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 체결장치는,
    다수의 스냅링(300)이 적층된 공급축(400);
    상기 공급축(400)의 최하위에 위치된 상기 스냅링(300)이 이탈하여 놓이는 제1공급홈(510)이 가공된 베이스(500);
    상기 제1공급홈(510)을 따라 상기 스냅링(300)을 상기 안내홀(611)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공급로드(410);
    상기 베이스(50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이동한 스냅링(300)이 떨어지는 상기 안내홀(611)을 갖는 상기 안내블록(610)이 장착된 왕복대(600);
    상기 안내홀(611)의 경사진 상부의 내면에 안쪽으로 돌출된 정렬턱(613) 및 상기 정렬턱(613)과 상기 안내홀(611)의 직선으로 형성된 하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경사진 슬라이딩면(614);
    상기 왕복대(600)가 고정되어 승강하도록 설치된 왕복축(620);
    상기 왕복축(620)의 중간 부위가 관통하도록 상기 왕복대(600)의 상측에 고정된 고정대(630);
    상기 고정대(630)를 관통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안내홀(611)의 상기 스냅링(300)을 밀어서 링홈(12c)에 체결시키도록 설치된 체결부재(640); 및
    상기 왕복대(600)의 상면에서 상기 안내홀(611) 주위로 설치되고, 상기 제1공급홈(510)을 지나 이동하는 스냅링(300)을 상기 안내홀(611)까지 안내하는 제2공급홈(602)을 구비한 안내패널(6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홀(611)은 측면상 "Y"자 형상이고, 지름이 넓은 상부에 상기 자석(612)이 설치되며,
    상기 왕복대(600)는 상승시 상기 제1공급홈(510)을 지나 이동하는 상기 스냅링(300)이 상기 안내홀(611)에 떨어지도록 위치하거나, 하강시 상기 안내블록(610)이 상기 피스톤(12)에 접촉하면서 상기 안내홀(611)이 핀홀(12b)과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640)의 하부에는 하부가 상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축회전부재(641)를 구비하고, 상기 축회전부재(641)는 상기 체결부재(640) 하강시 상기 안내홀(611)의 내면과 접촉하여 접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급로드(410)는,
    동력원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로드부(411)와, 상기 로드부(411)의 일측에 가공되면서 상기 스냅링(300)의 일부를 수용하여 밀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는 공급부(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0028337A 2016-03-09 2016-03-09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KR10182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7A KR101823118B1 (ko) 2016-03-09 2016-03-09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7A KR101823118B1 (ko) 2016-03-09 2016-03-09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94A KR20170105294A (ko) 2017-09-19
KR101823118B1 true KR101823118B1 (ko) 2018-03-08

Family

ID=6003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37A KR101823118B1 (ko) 2016-03-09 2016-03-09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081A (ko) * 2020-08-10 2022-09-26 아신유니텍 (주) 자동차용 부품의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4687B (zh) * 2018-03-15 2019-10-11 大连理工大学 一种法兰盘拉弯复合加载多螺栓松脱试验机
US10598567B1 (en) 2018-03-15 2020-03-24 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Multi-bolt loosening test machine for flange with tension, bending and torsion compound loading
WO2019173994A1 (zh) 2018-03-15 2019-09-19 大连理工大学 一种法兰盘拉弯复合加载多螺栓松脱试验机
CN108444686B (zh) * 2018-03-15 2019-10-11 大连理工大学 一种法兰盘拉弯扭复合加载多螺栓松脱试验机
CN108645609B (zh) * 2018-06-12 2023-07-11 滨州渤海活塞有限公司 活塞卡簧装配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7436538B2 (ja) * 2022-02-25 2024-0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及びコンロッドの組付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021A (ja) * 2004-10-26 2006-05-18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組付検査装置及びスナップリング組付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021A (ja) * 2004-10-26 2006-05-18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組付検査装置及びスナップリング組付検査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081A (ko) * 2020-08-10 2022-09-26 아신유니텍 (주) 자동차용 부품의 검사 장치
KR102557958B1 (ko) 2020-08-10 2023-07-20 아신유니텍 (주) 자동차용 부품의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94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118B1 (ko) 피스톤핀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KR101682562B1 (ko) 자동조심형 베어링 압입기
KR101877314B1 (ko) 스냅링 체결장치와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를 구비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KR100667421B1 (ko) 피스톤의 피스톤링 조립장치
CN109759736B (zh) 压缩机同心定位装置及具有该装置的压缩机焊接系统
KR101739041B1 (ko) 피스톤핀 조립시스템의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
CN109655684B (zh) 一种电气测试组件
CN218476302U (zh) 一种涡轮增压器装配工装
CN116944861A (zh) 一种转子和泵体热套生产线
CN110977436B (zh) 一种雨刮动力输入组件组装检测自动化系统
CN115870617A (zh) 一种镭焊作业流水线及其作业方法
CN110608943B (zh) 一种用于调节便携式微米压入仪作动杆垂直度的装置
CN112284694A (zh) 压接装置及显示面板检测设备
CN113664760A (zh) 对位工装
CN219787316U (zh) 螺丝锁附装置和螺丝锁附系统
CN218349443U (zh) 一种按键检测装置及组装设备
CN221110558U (zh) 压脚更换装置及其加工设备
CN113747668B (zh) 一种pcb板对位装置
CN220698544U (zh) 顶升定位装置及打标设备
CN220356919U (zh) 一种手动调节对位检测平台
CN220312426U (zh) 一种转子和泵体热套生产线的转子工装
CN220312427U (zh) 一种转子和泵体热套生产线的曲轴找正机构
CN220498359U (zh) 机壳组装及检测设备
CN220073844U (zh) 一种自动压pin机构
CN209969398U (zh) 一种执行器活塞铆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