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277B1 -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277B1
KR101821277B1 KR1020157011952A KR20157011952A KR101821277B1 KR 101821277 B1 KR101821277 B1 KR 101821277B1 KR 1020157011952 A KR1020157011952 A KR 1020157011952A KR 20157011952 A KR20157011952 A KR 20157011952A KR 101821277 B1 KR101821277 B1 KR 10182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mine compound
resin component
resin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324A (ko
Inventor
마사타카 아오야마
요이치 신야
Original Assignee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와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일방인 수지 성분(A)과,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B)과, 무기 필러(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검토가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몰드 디포짓이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어, 성형품의 외관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서, 특정한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그 염과 수지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203846호 공보 참조).
또한, 폴리아세탈 수지의 열안정성, 특히 성형 가공시의 용융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아세탈 수지와, 아이오노머 수지와, 요소(尿素) 또는 그 유도체 및 아미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억제제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39485호 공보 참조).
또한, 아크릴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스틸렌, 폴리올레핀, 염화비닐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등 유기 재료의 난연화제로서 유용한 화합물로서, 특정 구조의 디구아나민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202007호 공보 참조).
그러나, 수지에 대해, 상술한 구아나민 화합물이나 아미딘 유도체 등을 첨가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보아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황하에서 난연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와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일방과,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과, 무기 필러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이러한 성분 중 적어도 1개가 결여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낸다는 식견을 얻어, 이 식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와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일방인 수지 성분(A)과,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B)과, 무기 필러(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2> 함유되는 수지 성분의 전량 중에 차지하는 상기 수지 성분(A)의 비율이 80질량% 이상인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3> 함유되는 수지 성분의 전량 중에 차지하는 상기 수지 성분(A)의 비율이 90질량%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4> 상기 수지 성분(A)과 상기 아민 화합물(B)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수지 성분(A)의 양이 99질량부∼80질량부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B)의 양이 1질량부∼20질량부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5> 상기 수지 성분(A)과 상기 아민 화합물(B)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무기 필러(C)의 양이 20질량부∼100질량부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6> 상기 아민 화합물(B)의 융점이 200℃ 이상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7> 상기 아민 화합물(B)이 구아나민 구조를 가지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8> 상기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 클레이, 탤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9> 상기 수지 성분(A)이 상기 아이오노머를 포함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10> 상기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이다.
<11>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연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를 제공 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와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일방인 수지 성분(A)(이하, 단순히 「수지 성분(A)」이라고도 함)과,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B)(이하, 단순히 「아민 화합물(B)」이라고도 함)과, 무기 필러(C)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과 무기 필러(C)의 조합에 의해 현저하게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난연성의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수지 성분(A) 및 아민 화합물(B)에 더하여 무기 필러(C)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성분(A)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이, 아민 화합물(B)에 포함되는 일부의 아미노기(예를 들면, 아민 화합물(B)의 1분자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아미노기 중 1개)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상태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가교에는, 아민 화합물(B)에 포함되는 모든 아미노기가 이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일부의 아미노기만이 이용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교의 정도가 어느 정도 억제되어 있으므로,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고, 그 결과,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이 양호한 균일성으로 혼합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연소시키려고 열을 가해도, 가해진 열의 대부분은, 아민 화합물(B)에 포함되는 나머지(가교에 이용되지 않은) 아미노기와 수지 성분(A) 중의 미가교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과의 가교 반응을 위해 소비되고, 그 결과, 연소에 이르기 어렵게 되어 있다(즉, 난연성이 높아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과 무기 필러(C)의 조합에 의해 현저하게 우수한 난연성을 발현한다고 추측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A)을 상기 수지 성분(A) 이외의 기타 수지 성분(예를 들면,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으로 치환한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B)을 융점이 30℃ 미만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로 치환한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된다. 이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유로서는, 수지 성분(A)과 융점이 30℃ 미만인 아민 화합물를 용융 혼합할 때, 양자의 상용성(相溶性)이 나쁜 점이나 융점이 30℃ 미만인 아민 화합물이 휘발하는 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용융 혼합」이란, 용융 상태에 있는 수지 성분(A)과 기타 성분(예를 들면, 아민 화합물(B), 무기 필러(C) 등)과 혼합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때, 수지 성분(A)은 용융 상태로 되어 있으나, 기타 성분은 반드시 용융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융 혼합의 바람직한 형태는 용융 혼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B) 대신에 수지의 난연제로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금속 수산화물(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수지 성분(A)과 금속 수산화물을 혼합하는 것 자체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 필러(C)를 함유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과 무기 필러(C)의 조합에 의해, 난연성이 향상하는 것에 더하여 내마모성도 향상된다.
이러한 내마모성의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전술과 같이, 수지 성분(A)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이 아민 화합물(B)에 포함되는 일부의 아미노기에 의해 가교된 상태에서,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이 양호한 균일성으로 혼합되어 있어, 이것이 내마모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A)을 상기 수지 성분(A) 이외의 기타 수지 성분(예를 들면,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으로 치환한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B)을 융점이 30℃ 미만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로 치환한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 필러(C)를 함유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A),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의 바람직한 함유 비율의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수지 성분(A)의 양이 99.9질량부∼60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B)의 양이 0.1질량부∼4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지 성분(A)의 양이 99질량부∼80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B)의 양이 1질량부∼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B)의 양이 0.1질량부 이상이면,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아민 화합물(B)의 양은, 실용적인 성능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는 40질량부 이하로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A)과 상기 아민 화합물(B)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무기 필러(C)의 양은 10질량부∼2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0질량부∼1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C)의 양이 10질량부 이상이면,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다.
무기 필러(C)의 양이 200질량부 이하이면, 성형성 및 수지 물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지 성분(A)>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와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중합체(이하,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라고도 함) 및 그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일방인 수지 성분(A)을 함유한다.
상기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과 불포화카르본산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여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로서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나,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등), 무수말레산 모노에스테르(무수말레산 모노메틸, 무수말레산 모노에틸 등) 등의 탄소수 3∼8의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하프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공업적인 입수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공중합체의 전량에 대해 2질량%∼40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40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질량%∼25질량%이다.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2질량% 이상이면,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공중합체의 전량에 대해 40질량%∼98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98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질량%∼95질량%이다.
상기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는,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로서는 상기 불포화카르본산의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포화카르본산의 탄소수 2∼5의 알킬에스테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포화카르본산의 탄소수 4의 알킬에스테르(이소부틸에스테르나 n-부틸에스테르 등)이다.
상기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옥틸, 말레산 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옥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탄소수 2∼5의 알킬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게다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4의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의 탄소수 4의 알킬에스테르(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에스테르)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가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의 함유량은 공중합체의 전량에 대해 3질량%∼20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20질량%이다.
상기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에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 및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의 합계 100질량%에 대해, 0질량% 초과 3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질량% 초과 25질량% 이하의 기타 공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기타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불포화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 및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일산화탄소, 이산화유황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의 구조는, 전술한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이 베이스 폴리머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에 의해 중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금속 이온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리튬(Li) 이온, 칼륨(K) 이온, 나트륨(Na) 이온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칼슘(Ca) 이온, 마그네슘(Mg) 이온, 아연(Zn) 이온, 알루미늄(Al) 이온 등의 다가 금속 이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아민 화합물(B)과의 반응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다가 금속 이온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아연 이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에 있어서의 중화도는 10%∼90%가 바람직하고, 20%∼80%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A)은, 가공성 및 기계 강도를 고려하면,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01∼10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A)을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의 전량 중에 차지하는 수지 성분(A)의 비율은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성분(A)의 비율이 40질량% 이상인 것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 중의 대부분이 수지 성분(A)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수지 성분(A)의 비율은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9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98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00질량%(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이 상기 수지 성분(A)만으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A) 이외의 기타 수지 성분을 적어도 1종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수지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狀)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을 들 수 있다. HDPE, LDPE 및LLDPE는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난연성 및 내마모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지 성분(A)은 상기 아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성분(A)이 상기 아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수지 성분(A)의 전량에 대한 상기 아이오노머의 비율은 4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100질량%(상기 수지 성분(A)이 상기 아이오노머만으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성분(A) 중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의 비율이 40질량% 이상이면,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의 반응성이 올라가 난연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상기 수지 성분(A) 중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의 비율이 40질량% 이상이면, 내마모성도 보다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A)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수지 조성물 전량에 대해 20질량%∼99.9질량%가 바람직하고, 40질량%∼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50질량%∼8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B)>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B)을 함유한다.
아민 화합물(B)의 융점은,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00℃ 이상이 바람직하고, 2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B)의 융점이 200℃ 이상이면, 수지 성분(A)과 용융 혼합할 때 아민 화합물(B)의 용해 또는 분해가 억제되므로, 용융 상태에 있는 상기 수지 성분(A)과 보다 양호한 균일성으로 혼합된다. 이로 인해, 수지 조성물로 했을 때의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다.
아민 화합물(B)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구아나민(별명:2,4-디아미노-1,3,5-트리아진)(융점 300℃ 이상, 분자량 111.11), CTU 구아나민(별명:3,9-비스[2-(3,5-디아미노-2,4,6-트리아자페닐)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융점 270℃, 분자량 434.46), 아세토구아나민(별명:2,4-디아미노-6-메틸-1,3,5-트리아진)(융점 274℃∼276℃, 분자량 125.13), 벤조구아나민(별명:2,4-디아미노-6-페닐-1,3,5-트리아진)(융점 219℃∼221℃, 분자량 187.2), 헥사메틸렌디아민(융점 39℃∼42℃, 분자량 116.20), 2,4-디아미노톨루엔(융점 99℃, 분자량 122.17),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별명:4,4’-메틸렌디아닐린)(융점 91℃, 분자량 198.26), 4,4’-디아미노디페닐에탄(융점 136℃∼138℃, 분자량 212.2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민 화합물(B)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20384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아나민 화합물 및 그 염,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3948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요소, 요소의 유도체 및 아미딘 유도체, 및,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20200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디구아나민 화합물 중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B)로서는 트리아진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구아나민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트리아진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1분자 내에 트리아진 구조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구아나민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1분자 내에 구아나민 구조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구아나민 구조란, 하기 식(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43840111-pct00001
식(1)에 있어서,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구아나민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구아나민, CTU 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을 들 수 있다.
구아나민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도, 융점이 200℃ 이상(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구아나민, CTU 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을 들 수 있고, 구아나민, CTU 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이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B)의 분자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는 관점에서 100 이상 1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이상 6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0 이상 5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아민 화합물(B)을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아민 화합물(B)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수지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5질량%∼40질량%가 바람직하고, 0.1질량%∼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5질량%∼20질량%가 더 바람직하고, 1질량%∼20질량%가 더 바람직하며, 1질량%∼1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C)>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무기 필러(C)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무기 필러(C)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무기 필러(C)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무기 필러를 이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C)로서, 구체적으로는 탄산칼슘, 클레이, 탤크, 실리카, 강화섬유(유리섬유, 카본섬유 등), 유리 플레이크, 마이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필러(C)로서는 합성된 것을 이용해도 되고,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무기 필러(C)는,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산칼슘, 클레이, 탤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산칼슘, 클레이 및 탤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 클레이, 탤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클레이 및 탤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을 포함함으로써, 내마모성도 향상된다.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경우, 무기 필러(C)는 탄산칼슘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탄산칼슘과 다른 무기 필러(예를 들면 클레이, 탤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경우, 무기 필러(C) 전량에 대한 탄산칼슘의 양의 비율은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00질량%(상기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만으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무기 필러(C)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수지 조성물 전량에 대해 10질량%∼70질량%가 바람직하고, 10질량%∼60질량%가 바람직하며, 10질량%∼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 이외의 기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아연 등의 스테아린산 금속염), 블로킹 방지제, 가소제, 점착제, 착색제(안료, 염료), 난연제(예를 들면, 금속 수산화물(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 난연조제, 발포제, 발포조제, 다이머산(또는 그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는 관점에서는, 수지 성분(A),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의 합계량은, 수지 조성물 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230℃, 10㎏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01∼10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적어도, 수지 성분(A),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를 혼합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예로서,
(방법 1) 수지 성분(A),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및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를 용융 혼합하는 방법이나,
(방법 2) 먼저,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을 용융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에 무기 필러(C)(및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를 첨가하여 더 용융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각 성분을 보다 양호한 균일성으로 혼합시키는 관점에서는 방법 2가 바람직하다.
방법 1 및 방법 2에 있어서의 용융 혼합의 형태로서는 용융 혼련이 바람직하다.
방법 1 및 방법 2에 있어서의 용융 혼합은, 공지의 혼합 장치(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반바리 믹서, 니더 등의 혼련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에 있어서의 용융 혼합시의 수지 온도로서는 150℃ 이상 2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2에 있어서,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을 용융 혼합할 때의 수지 온도로서는 200℃ 이상 3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이상 3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0℃ 이상 3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2에 있어서, 수지 성분(A) 및 아민 화합물(B)의 혼합물과 무기 필러(C)를 용융 혼합할 때의 수지 온도로서는 150℃ 이상 2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한, 수지 성분(A)과 아민 화합물(B)을 용융 혼합할 때의 수지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체≫
본 발명의 성형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히트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용융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연신 성형 등 다양한 방법을 들 수 있다.
기술(旣述)과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당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체는 천장재, 바닥재 등의 건축, 토목 재료;자동차 부품;OA기기;전기·전자 부품, 가전 제품 부품, 태양 전지 구성 부품(예를 들면 백시트나 밀봉재 등) 또는 그들의 보관·수납 케이스;문구;일용품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또한, 원료로서의 수지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에틸렌 함량」은 공중합체 전체에 대한,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함유량(질량%)을 가리킨다(다른 「함량」과의 표기도 동일하다).
<원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원료는 이하와 같다.
-수지 성분-
·아이오노머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5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5질량%)의 아연 아이오노머(중화도=59%, MFR=0.9g/10분)
·아이오노머 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5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5질량%)의 나트륨 아이오노머(중화도=54%, MFR=0.9g/10분)
·아이오노머 3: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0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0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10질량%)의 아연 아이오노머(중화도=70%, MFR=1g/10분)
·아이오노머 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5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5질량%)의 아연 아이오노머(중화도=21%, MFR=16g/10분)
·EMAA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5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5질량%, MFR=25g/10분)
·EMAA 2: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0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0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10질량%, MFR=35g/10분)
·EMAA 3: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0질량%, 메타크릴산 함량=10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10질량%, MFR=30g/10분)
·EEA 1: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2질량%, 아크릴산 에틸 함량=18질량%, MFR=6g/10분)
·EEA 2: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4질량%, 아크릴산 에틸 함량=16질량%, MFR=1g/10분)
·EVA 1: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1질량%, 아세트산 비닐 함량=19질량%, MFR=2.5g/10분)
·EVA 2: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틸렌 함량=83질량%, 아세트산 비닐 함량=17질량%, MFR=0.8g/10분)
·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주)프라임폴리머제의 Evolue SP0511;밀도=903㎏/㎥, MFR=1.2g/10분)
상기 수지 성분 중 아이오노머 1, 아이오노머 2, 아이오노머 3, 아이오노머 4, EMAA 1, EMAA 2 및 EMAA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A)에 해당한다.
-아민 화합물-
·Aceto : 아세토구아나민(융점 274℃∼276℃)
·CTU : CTU 구아나민(융점 270℃)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융점 91℃)
·1,3-BAC :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융점 -70℃)
·에틸렌디아민(융점 9℃)
상기 아민 화합물 중 Aceto, CTU 및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민 화합물(B)에 해당한다.
-무기 필러-
·탄산칼슘(CaCO3;닛토분화공업(주)제(상품명;NCC#110))
·클레이(간토화학(주)제(상품명;카올린))
·탤크(마츠무라산업(주)제(상품명;Hi·Filler #5000PJ))
·실리카(SiO2;후지실리시아화학(주)제(상품명;Sylysia 450))
-기타 성분-
·스테아린산 아연(와코순약공업(주)제)
·수산화마그네슘(Mg(OH)2;교와화학공업(주)제의 「KISUMA 5A」)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작>
수지 성분으로서의 아이오노머 1(95질량부)과 아민 화합물로서의 Aceto(5질량부)를 수지 온도 275℃에서 15분간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100질량부)과 무기 필러로서의 CaCO3(50질량부)를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수지 온도 180℃에서 히트 프레스하여, 두께 3㎜의 시험용 시트 1(성형체)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용 시트 1로부터, 80㎜×6.5㎜×두께 3㎜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이 시험편에 대하여 난연성의 평가로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산소 지수(O.I)의 측정)
상기 시험편에 대하여, JIS K7201-1995에 준거하여 연소 시험을 행하고, 산소 지수(O.I)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산소 지수는 값이 클수록 난연성이 우수한(즉, 난연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드립의 평가)
상기 연소 시험에 있어서의 연소시, 육안에 의해 드립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드립이 없는 것은 난연성이 우수한(즉, 난연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12〕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성분의 종류 및 양, 아민 화합물의 종류 및 양, 및 무기 필러의 종류 및 양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실시예 4에 있어서, 수지 성분과 아민 화합물과 무기 필러를 동시에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 및 무기 필러를 이용하지 않고, 수지 성분으로서의 아이오노머 1을 이용하여 성형체를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17 및 20〕
비교예 1에 있어서, 수지 성분의 종류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13, 15, 16, 18, 19, 21, 22 및 23〕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성분의 종류 및 양, 아민 화합물의 종류 및 양, 및 무기 필러의 종류 및 양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여기에서, 아민 화합물의 양을 0질량부로 한 예(아민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은 예)에 있어서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과 무기 필러를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작하였다.
또한, 무기 필러의 양을 0질량부로 한 예(무기 필러를 이용하지 않은 예)에 있어서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과 아민 화합물을 수지 온도 275℃에서 15분간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수지 성분으로서의 아이오노머 1(95질량부)과 아민 화합물로서의 1,3-BAC(5질량부)를 수지 온도 200℃에서 15분간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100질량부)과 무기 필러로서의 CaCO3(50질량부)를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5043840111-pct00002
-표 1의 설명-
·각 성분의 양(부)은 질량부이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성분(A),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를 이용한 실시예 1∼13에서는, 수지 성분(A),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의 적어도 1개가 결여되어 있는 비교예 1∼23과 비교하여, 산소 지수가 높고, 난연성이 우수하였다.
상세하게는, 수지 성분(A)으로서 아이오노머 1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난연성 향상 효과는, 예를 들면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7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아이오노머 1 단독의 비교예 1(산소 지수 19.0)과 비교하여, 아이오노머 1에 아민 화합물(B)만을 가한 비교예 7(산소 지수 19.0)에서는, 산소 지수는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아이오노머 1에 무기 필러(C)만을 가한 비교예 3(산소 지수 21.5)에서도 산소 지수는 조금 증대하는 정도이다. 이에 비해, 아이오노머 1에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를 가한 실시예 2(산소 지수 28.0)에서는 산소 지수가 현저하게 증대하고 있다.
동일하게 하여, 표 1(특히 산소 지수)로부터는, 수지 성분(A)으로서 아이오노머 2, 아이오노머 3, 또는 EMAA 1을 이용한 경우의 난연성 향상 효과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분으로서 수지 성분(A)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난연성 향상 효과는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0∼13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성분(A)에 해당하지 않는 EEA 1에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의 양방을 가하여도(비교예 12), EEA 1에 아민 화합물(B) 및 무기 필러(C) 중 어느 일방만을 가한 경우(비교예 10, 11)와 비교하여, 산소 지수는 거의 증대하지 않는다.
〔실시예 14〕
수지 성분으로서의 아이오노머 3(85.5질량부) 및 PE(9.5질량부)와, 아민 화합물로서의 Aceto(5질량부)와, 무기 필러로서의 탄산칼슘(50질량부)을 동시에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고,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산소 지수는 25.5이고, 드립은 없었다.
〔실시예 15〕
수지 성분으로서의 아이오노머 1(95질량부)과 아민 화합물로서의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와코순약공업(주)제, 융점 91℃, 5질량부)을 수지 온도 200℃에서 15분간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100질량부)과 무기 필러로서의 CaCO3(50질량부)를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산소 지수는 26.0이고, 드립은 없었다.
〔비교예 24〕
수지 성분으로서의 아이오노머 1(95질량부)과 아민 화합물로서의 에틸렌디아민(와코순약공업(주)제, 융점 9℃, 5질량부)을 수지 온도 200℃에서 15분간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100질량부)과 무기 필러로서의 CaCO3(50질량부)를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산소 지수는 24.0이고, 드립은 없었다.
〔실시예 16∼19, 비교예 25∼30〕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의 제작 및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하기 표 2 중의 혼련 방법 「1」 및 「2」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혼련 방법-
「1」···실시예 13에 있어서의 혼련 방법이다. 즉, 모든 성분을 동시에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다.
「2」···실시예 1에 있어서의 혼련 방법이다. 즉, 먼저, 수지 성분과 아민 화합물을 수지 온도 275℃에서 15분간 용융 혼련하여 혼련물로 하고, 이어서, 이 혼련물과 무기 필러를 수지 온도 200℃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다.
(성형체의 제작 및 내마모성의 평가)
이러한 실시예 16∼19 및 비교예 25∼30에서는, 추가로, 이하와 같이 하여 내마모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수지 온도 180℃에서 히트 프레스하고, 두께 2㎜의 시험용 시트 2(성형체)를 얻었다.
얻어진 상기 시험용 시트 2로부터, 직경 107㎜, 두께 2㎜의 원반 형상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얻어진 원반 형상 시험편에 대하여, JIS K7204-1999를 참고로 하여, 23℃ 55% RH의 환경하에서 테이버 마모 시험기(주식회사 도요정기제작소제 로터리 아브레이션 테스터(Rotary Abrasion Tester)(형식T))를 이용하고, 마모륜으로서 CS17을 이용하여, 하중 1㎏, 회전 속도 60rpm, 회전수 1000회전의 조건에서 테이버 마모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테이버 마모 시험 전의 원반 형상 시험편의 질량으로부터 상기 테이버 마모 시험 후의 원반 형상 시험편의 질량을 제함으로써, 테이버 마모량(㎎)을 구하였다. 이 테이버 마모량(㎎)은 값이 작을수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테이버 마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5043840111-pct00003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19는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였다.
2012년 11월 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2-247484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각각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으로 또한 개별적으로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11)

  1.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와 불포화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일방인 수지 성분(A)과, 융점이 30℃ 이상이고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아민 화합물(B)과, 무기 필러(C)를 함유하고,
    상기 아민 화합물(B)는 트리아진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며 분자량이 100∼1000이고,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의 전량 중에 차지하는 상기 수지 성분(A)의 비율이 80질량% 이상이고,
    수지 조성물 전량에 대해, 상기 수지 성분(A)의 함유량은 40질량%∼80질량%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B)의 함유량은 0.05질량%∼40질량%이며, 상기 무기 필러(C)의 함유량은 10질량%∼50질량%인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의 전량 중에 차지하는 상기 수지 성분(A)의 비율이 90질량% 이상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A)과 상기 아민 화합물(B)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상기 수지 성분(A)의 양이 99질량부∼80질량부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B)의 양이 1질량부∼20질량부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A)과 상기 아민 화합물(B)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무기 필러(C)의 양이 20질량부∼100질량부인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B)의 융점이 200℃ 이상인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B)이 구아나민 구조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 클레이, 탤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A)이 상기 아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C)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
KR1020157011952A 2012-11-09 2013-11-08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101821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7484 2012-11-09
JPJP-P-2012-247484 2012-11-09
PCT/JP2013/080309 WO2014073661A1 (ja) 2012-11-09 2013-11-08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324A KR20150067324A (ko) 2015-06-17
KR101821277B1 true KR101821277B1 (ko) 2018-01-23

Family

ID=5068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952A KR101821277B1 (ko) 2012-11-09 2013-11-08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6630B2 (ko)
KR (1) KR101821277B1 (ko)
CN (1) CN104769032B (ko)
WO (1) WO2014073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5988B2 (en) 2013-12-13 2019-06-18 Power Integrations, Inc. Vertical transistor device structure with cylindrically-shaped field plates
CN111683975B (zh) * 2018-02-15 2023-03-28 三井—陶氏聚合化学株式会社 成型体用改性树脂以及高尔夫球
CN111699205B (zh) * 2018-02-15 2022-11-25 三井—陶氏聚合化学株式会社 成型体用改性树脂以及高尔夫球
CN113597415B (zh) * 2019-03-20 2023-07-04 三井-陶氏聚合化学株式会社 夹层玻璃中间膜用树脂组合物、夹层玻璃中间膜及夹层玻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251A (ja) * 2004-02-06 2005-08-1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20090270201A1 (en) * 2008-04-23 2009-10-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an amino triazine and ionomer or ionomer precursor
JP4690517B2 (ja) * 2000-03-22 2011-06-01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41A (ja) * 1985-07-22 1987-01-31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剛性にすぐれた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3597966B2 (ja) * 1997-02-18 2004-12-0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材料及びアイオノマー組成物
JPH1129672A (ja) * 1997-07-08 1999-02-0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アイオノマー組成物
JP4735340B2 (ja) * 2006-03-03 2011-07-27 日立電線株式会社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CN102196909B (zh) * 2008-10-30 2014-03-12 三井-杜邦聚合化学株式会社 多层片材、太阳能电池元件用密封材料、及太阳能电池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0517B2 (ja) * 2000-03-22 2011-06-01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JP2005220251A (ja) * 2004-02-06 2005-08-1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20090270201A1 (en) * 2008-04-23 2009-10-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an amino triazine and ionomer or ionomer precur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73661A1 (ja) 2016-09-08
CN104769032A (zh) 2015-07-08
WO2014073661A1 (ja) 2014-05-15
JP6196630B2 (ja) 2017-09-13
CN104769032B (zh) 2017-08-04
KR20150067324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72457T3 (es) Uso de poliamidas que son resistentes a la corrosión y a la fisuraci�n por tensión
JP5522904B2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1821277B1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100734131B1 (ko)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08892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91462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US20150111986A1 (en) Polyolefin intumescent phosphorous flame retardant system
KR20080040758A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WO1999048971A1 (fr)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KR20170068102A (ko) 코로게이트 튜브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성형품
US11807735B2 (en) Polyolefins halogen-free flame retardant mou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inorganic hypophosphorous acid metal salt
WO2016105554A1 (en) Novel fire-resistant compositions for the high temperature plastic materials
JP3648032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1025481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115195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7479406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CN114787280B (zh) 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及成型体的制造方法
JP7181381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134848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18177922A (ja) 難燃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WO2023212851A1 (en) Molded article
JP2018090697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134849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1348491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S61252256A (ja) 難燃性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