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69B1 -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 Google Patents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69B1
KR101819469B1 KR1020150078734A KR20150078734A KR101819469B1 KR 101819469 B1 KR101819469 B1 KR 101819469B1 KR 1020150078734 A KR1020150078734 A KR 1020150078734A KR 20150078734 A KR20150078734 A KR 20150078734A KR 101819469 B1 KR101819469 B1 KR 10181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uffer body
eggs
packer holder
p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946A (ko
Inventor
이장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469B1/ko
Priority to PCT/KR2016/005913 priority patent/WO2016195418A1/ko
Priority to JP2017562261A priority patent/JP2018520659A/ja
Publication of KR2016014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01K43/08Grading egg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65B23/08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using gripp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은 계란선별기 팩커홀더와 버켓 컨베이어 사이에 장착되는 팩커홀더 버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팩커홀더의 바스켓에 계란을 전달할 때 계란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팩커홀더버퍼에 관한 것이다. 계란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버켓컨베이어(50)로부터 상기 계란을 전달 받고 난좌에 안착시키는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상기 계란을 전달하는 팩커홀더버퍼에 있어서, 계란이 전달되면 계란이 안착되는 제1기능, 안착된 계란을 소정의 시간 동안 담지하는 제2기능, 담지된 계란을 소정의 주기에 맞춰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기능을 수행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버퍼몸체(10), 버퍼몸체(10)의 제3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A Buffer for packer holder of egg grading machine}
본 발명은 계란선별기 팩커홀더와 버켓컨베이어 사이에 장착되는 팩커홀더버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팩커홀더의 바스켓에 계란을 전달할 때 계란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팩커홀더버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란선별기 팩커홀더와 버켓컨베이어(50) 사이에 장착되는 “팩커홀더버퍼에”대한 것이다. 계란선별기는 중량에 따라 계란을 5개의 등급(왕/특/대/중/소)으로 분류하여 포장하는 축산기계로서 정렬부에서 무게가 측정된 계란은 버켓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되다가 측정된 무게에 해당하는 팩커홀더에 계란이 전달된다. 그 후 팩커홀더의 바스켓이 모두 차게 되면 팩커홀더의 하강운동에 의해 계란을 난좌에 내려 놓게 된다.
계란선별기의 버켓컨베이어(50)에서 전달된 계란이 팩커홀더의 바스켓으로 직접 전달되었는데 두 부품 사이의 낙차거리에 따라 계란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계란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팩커홀더 바스켓에 계란이 모두 차게 되면 하강운동을 하여 계란을 난좌에 내려놓고 다시 원위치 하여 다음에 버켓컨베이어(50)에서 전달되는 계란을 받는다. 팩커홀더 운동주기가 일정시간 이상 짧게 되면 계란의 파손이 발생하며 이것이 계란 선별속도를 높이는데 가장 큰 장애가 되어왔다.
따라서 계란의 충격량 감소와 팩커홀더 주기시간 증가를 위해 버켓 컨베이어와 팩커홀더 사이에 계란을 담아두고 있다가 팩커홀더가 복귀하면 계란을 낙하시키는 장치가 본 발명의 대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97868호( 발명의 명칭 : “계란 삽입용 팩커”,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 )에 양측 본체지지대에 이격 설치된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블럭과, 이동블록의 전면부를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내면에 오픈부가 함몰 형성된 왕북이동대와, 왕복이동대의 양측에 상?하로 형성된 조절장홈을 유격조절구로 관통하여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오픈제어판으로 구성된 바스켓 유격조절장치와, 양측의 이동블럭 사이에 연결된 회동축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에 가이드롤러가 형성된 오픈제어봉이 유동홈을 따라 외향으로 유동 시 개방되면서 계란을 난좌에 삽입하는 바스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009786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켓컨베이어(50)에서 전달된 계란은 기존에 이송되어온 속도와 중력에 의한 수직방향 속도가 동시에 작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이송되기 때문에 계란이 경로를 이탈해 바스켓을 벗어나는 경로이탈의 제1문제점, 계란의 낙하거리가 길어서 계란의 충격량이 커져 파손이 많다는 제2문제점, 팩커홀더바스켓(80)의 정해진 상하운동주기가 짧아 버켓컨베이어(50)의 속도를 더 이상 빨리 하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계란 선별속도가 느리다는 제3문제점을 해결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란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버켓컨베이어(50)로부터 상기 계란을 전달 받고 난좌에 이송시키는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상기 계란을 전달하는 팩커홀더버퍼에 있어서, 상기 계란이 전달되어 안착되는 제1기능, 안착된 상기 계란을 소정의 시간 동안 담지하는 제2기능, 담지된 상기 계란을 소정의 주기에 맞춰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기능을 수행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버퍼몸체(10), 상기 버퍼몸체(10)의 상기 제3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계란에 대해서 면접촉 및 선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안착부는 계란의 곡률을 따른 형상을 하고 안착부의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안착부의 높이는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버퍼몸체(10)는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제1버퍼몸체(11)는 안착홈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제2버퍼몸체(12)는 대응안착홈부(14)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홈부(13)와 상기 대응안착홈부(14)가 결합하여 계란을 안착시키는 상기 안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안착부는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동력부는 상기 버퍼몸체(10)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1버퍼몸체(11)와 상기 제2버퍼몸체(12)가 서로 반대쪽 왕복운동하게 하는 버퍼캠(23) 및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안착부 내측방향으로 움직임을 하게 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제1버퍼몸체(11)는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2버퍼몸체(12)의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버퍼캠(23) 및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안착부 내측방향으로 움직임을 하게 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버퍼몸체(10)는 1개 이상의 가변형관통홀(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상기 가변형관통홀(15)의 크기변화는 상기 버퍼몸체(10)의 부피변화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란선별기는 계란이 이송되는 버켓컨베이어(50), 계란을 팩커홀더버퍼로부터 받아 담지 하는 기능, 계란을 담지한 상태로 난좌까지 하강이동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상하운동을 하는 기능 및 난좌에 계란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팩커홀더바스켓(80)을 포함하는 팩커홀더, 팩커홀더로부터 계란이 전달된 난좌를 이송되는 난좌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버켓컨베이어(50)와 팩커홀더 사이에 계란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팩커홀더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란선별기는 팩커홀더바스켓(80)의 소정의 상하운동 주기에 맞춰 버퍼몸체(10)가 개폐운동을 수행하여 팩커홀더버퍼를 열린 상태로 만들어 계란을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란선별기를 이용하여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란을 소정의 등급으로 선별하고, 버켓컨베이어(50)에서 이송하며, 선별된 같은 등급의 계란이 상기 버켓컨베이어(50)에서 해당 팩커홀더버퍼로 전달되고, 팩커홀더버퍼에 계란이 안착 및 담지되고, 버퍼몸체(10)의 개폐운동으로 담지 되어있던 계란이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되고, 팩커홀더바스켓(80)이 전달된 계란을 담지하고, 팩커홀더바스켓(80)이 하강 이동하여 난좌에 계란을 전달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팩커홀더버퍼는 상하방향의 운동 없이 횡 방향으로 열고 닫는 동작만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계란을 담는 공간이 넉넉하여 계란이 경로를 이탈이 적다는 제1효과, 팩커홀더버퍼의 존재로 인하여 계란의 낙하거리가 짧아져 충격량을 줄여 계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2효과, 팩커홀더의 상하운동주기가 짧아 버켓컨베이어(50)의 속도를 더 이상 빨리하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계란 선별속도가 느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팩커홀더의 운동주기를 팩커홀더버퍼를 통해 길어지게 하여 종래기술1보다 계란선별속도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제3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동력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의 일체형버퍼몸체(10a)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가 포함된 계란선별기팩커홀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가 포함된 계란선별기팩커홀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의 전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란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버켓컨베이어(50)로부터 상기 계란을 전달 받고 난좌에 안착시키는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상기 계란을 전달하는 팩커홀더버퍼에 있어서, 안착부, 버퍼몸체(10) 및 동력부를 주요구성요소로 갖는다.
이하 각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버퍼몸체(10)의 안착부는 버켓컨베이어(50)로부터 계란이 전달되면 계란이 안착되는 제1기능, 안착된 상기 계란을 소정의 시간 동안 담지하는 제2기능, 담지된 상기 계란을 소정의 주기에 맞춰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기능을 수행한다.
제 1기능과 제2기능에 의해서 팩커홀더가 갖는 운동주기(팩커홀더바스켓(80)이 하강운동을 시작해서 다시 원위치 하는 시간을 팩커홀더바스켓(80)의 운동주기라고 한다.) 가 길어지게 되고 운동주기가 길어진 만큼 계란의 선별속도를 기존보다 더욱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부의 공간이 넉넉하여 계란의 이탈을 방지하며, 안착부와 계란은 면접촉 및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계란의 파손이 방지 될 수 있다. 안착부의 면은 계란의 곡률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안착부의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아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안착부의 높이는 소정의 비율을 갖추는데, 바람직하게는 계란의 장축을 높이, 단축을 폭이라고 했을 때 안착부의 높이는 적어도 계란높이30%이상의 비율을 갖출 수 있다.
분리형으로 버퍼몸체(10)를 구성할 때에는 제1버퍼몸체(11)는 안착홈부(13)를 구비하고, 제2버퍼몸체(12)는 대응안착홈부(14)를 구비하여 안착홈부(13)와 대응안착홈부(14)가 결합하여 계란을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안착부의 형상은 제1버퍼몸체(11)의 안착홈부(13)가 아치가 연접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을 하고 제2버퍼몸체(12)의 대응안착홈부(14)는 이에 상응하여 마주보고 형성된다. 물론 안착부의 형상에 대해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착부의 개수에 있어서는 포장하고자 하는 난좌의 1열의 개수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버퍼몸체(10)는 소정의 경도와 탄성계수를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합성고무,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ine rubber), BR(부타디엔 고무, 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니트릴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부틸고무(Isoprene Isobutylene Rubber),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및 멜라민(melamine) 등의 폴리머 소재를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경도와 강도가 높은 소재로 버퍼몸체(10)를 제작, 사용할 경우에는 안착부에 대하여 패드를 부착하여 계란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다. 패드의 소재에 있어서 합성고무,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eororubber), BR(부타디엔 고무, 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니트릴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부틸고무(Isoprene Isobutylene Rubber), 및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나 합성 수지로 제작된 스폰지(Sponge)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팩커홀더버퍼의 동력부는 전기모터(AC모터, DC모터), 유압모터, 기어드모터, 스테퍼모터, 서보모터, 유압모터, 및 브러쉬리스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력부는 버퍼몸체(10)의 양쪽에 설치되는데 이때 동력부의 구성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동력부에는 팩커홀더버퍼가 버켓컨베이어(50) 또는 팩커홀더에 고정설치 될 수 있는 고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몸체(10)를 분리형으로 구성할 때,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구성하는 안착부는 개폐운동하여 계란을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게 될 수 있는데, 개폐운동을 위한 동력부가 팩커홀더버퍼에 포함된다.
또한, 동력부는 버퍼캠(2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버퍼캠(23)은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하는 특수한 윤곽이나 홈이 있는 판상장치를 말한다. 이 버퍼캠(23)은 동력부에서 제공하는 회전운동력을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버퍼캠(23)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낮거나 높음으로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의 운동속도를 제어 할 수 있다. 이러한 캠프로파일(Cam Profile)로 인하여 버퍼캠(23)의 형상은 특수한 윤곽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캠에 1부위 또는 2부위에 형성되는 물방울형 또는 타원형을 사용할 수 있지만 3부위 또는 5부위 이상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설치되는 특수한 윤곽을 갖는 버퍼캠(23)의 형상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2부위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설치되는 타원형 버퍼캠(23)을 사용할 수 있다.
버퍼몸체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1버퍼몸체와 제2버퍼몸체의 구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버퍼몸체를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각 실시예에 대해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팩커홀더버퍼는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모두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동력부는 버퍼캠(23)을 이용하여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에 횡방향의 힘을 작용하여 움직이게 하고, 버퍼캠(23)은 동력부에서 제공하는 회전운동을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버퍼캠(23)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낮거나 높음으로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의 변위나 운동속도를 제어 할 수 있다. 이러한 캠프로파일(Cam Profile)로 인하여 버퍼캠(23)의 형상은 특수한 윤곽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버퍼캠(23)에 1부위 또는 2부위에 형성되는 물방울형 또는 타원형을 사용할 수 있지만 3부위 또는 5부위 이상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설치되는 특수한 윤곽을 갖는 버퍼캠(23)의 형상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2부위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설치되는 타원형 버퍼캠(23)을 사용할 수 있다.
동력부 구성의 일실시예로서, 제1모터(21)와 제2모터(22)는 버퍼몸체(10) 양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제1모터(21)가 제1버퍼캠(231)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고, 제2모터(22)는 제2버퍼캠(232)에 대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버퍼캠(231)과 제2버퍼캠(232)은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의 왕복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력부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하나의 모터(제1모터(21))만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때는, 벨트 등 소정의 기구구조를 이용하여 제1버퍼캠(231)과 제2버퍼캠(232)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모두 움직이는 분리형의 버퍼몸체에 대해서는,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안착부의 내측방향으로 향하여 움직이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원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원탄성부재(미도시)가 버퍼몸체(10)의 내측인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 양쪽 끝단 사이에 버퍼캠(23)과 함께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복원탄성부재는 제1버퍼몸체와 제2버퍼몸체의 사이에 내향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기만 하면, 버퍼몸체(10) 외부에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하여 제2버퍼몸체(12)와 제2가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가 모두 움직이는 분리형 버퍼몸체를 구비한 팩커홀더버퍼의 개폐주기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변위가 더 적기 때문에 개폐주기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1버퍼몸체(11)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2버퍼몸체(12)만 왕복운동하는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동력부는 버퍼캠(23)을 이용하여 제2버퍼몸체(12)에 횡방향의 힘을 작용하여 움직이게 하고, 버퍼캠(23)은 동력부에서 제공하는 회전운동력을 제2버퍼몸체(12)가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버퍼캠(23)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낮거나 높음으로 제2버퍼몸체(12)의 변위 및 운동속도를 제어 할 수 있다. 이러한 캠프로파일(Cam Profile)로 인하여 버퍼캠(23)의 형상은 특수한 윤곽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캠에 1부위 또는 2부위에 형성되는 물방울형 또는 타원형을 사용할 수 있지만 3부위 또는 5부위 이상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설치되는 특수한 윤곽을 갖는 버퍼캠(23)의 형상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2부위의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설치되는 타원형 버퍼캠(23)을 사용할 수 있다.
동력부구성의 일실시예로서, 제1모터(21)와 제2모터(22)는 버퍼몸체(10) 양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제1모터(21)가 제1버퍼캠(231)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고, 제2모터(22)는 제2버퍼캠(232)에 대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버퍼캠(231)과 제2버퍼캠(232)은 제2버퍼몸체(12)의 왕복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력부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1모터만(2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소정의 축부재와 벨트를 이용하여 제1버퍼캠(231)과 제2버퍼캠(232)에 대하여 동력을 모두 전달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또한, 복원탄성부재(미도시)가 버퍼몸체(10)의 내측인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 양쪽끝단 사이에 버퍼캠(23)과 함께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복원탄성부재는 제1버퍼몸체와 제2버퍼몸체의 사이에 내향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기만 하면, 버퍼몸체(10) 외부에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하여 제2버퍼몸체(12)와 제2가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퍼가이드(30)는 전술한 버퍼몸체(10)의 개폐운동이 있을 때, 제1버퍼몸체(11)와 제2버퍼몸체(12)의 상,하,좌,우 방향의 유격으로 인한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버퍼몸체(10)상에 설치되며, 제1버퍼몸체(11) 및 제2버퍼몸체(12)의 운동방향을 고정하고 계란이 안착되고 담지 되는 기능에 대하여 파란율을 더욱 낮춰주게 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버퍼몸체(10)는 일체형으로도 제작될 수 있는데, 이때 일체형버퍼몸체(10a)는 1개 이상의 가변형관통홀(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가변형관통홀(15)은 전술한 안착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변형관통홀(15)의 형상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으며 원이 서로 연접한 형상이나 계란의 곡률에 맞춰 제작된 형상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가변형관통홀(15)이 구동되는 방법에 있어서, 공압펌프(24)를 이용하여 일체형버퍼몸체(10a)에 공기를 압축하여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일체형버퍼몸체(10a)의 부피변화를 일으켜 일체형버퍼의 가변형관통홀(15)의 너비가 변화되어 계란이 안착되고 담지 되었다가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체형버퍼몸체(10a)의 소재에 있어서는 PVC(Polyvinyl Chloride), 합성고무 또는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Rubber)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일체형버퍼몸체(10a)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란선별기는 버켓컨베이어(50), 팩커홀더 및 난좌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버켓컨베이어(50)와 팩커홀더의 중간에서 매개기능을 하는 팩커홀더버퍼로 구성된다.
이하 각 주요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버켓컨베이어(50)는 계란을 소정의 등급별로 선별하여 이송하고 팩커홀더버퍼로 계란을 전달하게 된다. 버켓컨베이어(50)는 수평프레임, 다수개의 스프로켓으로 인하여 프레임을 따라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체인, 체인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버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버켓컨베이어(50)는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센서를 포함하여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선별센서에는 압력센서를 이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란의 전달매개기능을 하는 팩커홀더버퍼가 버켓컨베이어(50) 또는 팩커홀더에 고정설치 되고, 버켓컨베이어(50)에서 전달된 계란을 안착 및 담지하는 기능과 버켓컨베이어(50)에서 전달받은 계란을 팩커홀더로 다시 전달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팩커홀더버퍼는 버퍼가이드(30), 동력부, 고정부(40) 및 버퍼몸체(10)로 구성되고,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팩커홀더는 팩커홀더동력부(60)를 구비하는데, 팩커홀더동력부(60)는 전기모터(AC모터, DC모터), 유압모터, 기어드모터, 스테퍼모터, 서보모터, 유압모터, 및 브러쉬리스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팩커홀더동력부(60)사이에는 동력부축부재(61)가 설치되어 팩커홀더동력부(60)의 동력을 팩커홀더의 양쪽에 모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팩커홀더동력부(60)는 전환링크(62)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전환링크(62)은 일종의 캠으로서,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하는 특수한 윤곽이나 홈이 있는 판상장치를 말한다. 이 전환링크(62)은 팩커홀더동력부(60)에서 제공하는 회전운동력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고, 전환된 상하운동력으로 바스켓승하강부재(63)가 팩커홀더바스켓(80)을 승하강 시켜 안착시킬 수 있다.
전환링크(62)의 길이에 따라서 팩커홀더바스켓(80)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특수한 윤곽을 갖는 전환링크(62)의 형상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전환링크(62)는 팩커홀더틀(55)상의 팩커홀더동력부(60)와 팩커홀더바스켓(80)중간에 위치하여 동력전달 매개기능을 한다.
전환링크(62)와 팩커홀더바스켓(80) 사이에는 바스켓승하강부재(63)가 설치되어 전환링크(62)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여 팩커홀더바스켓(80)이 승하강운동을 하게 한다. 이때 바스켓승하강부재(63)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팩커홀더바스켓(80)의 이동변위가 결정된다.
팩커홀더는 팩커홀더바스켓(80)을 설치하기 위한 바스켓고정부재(70)를 포함하며, 바스켓고정부재(70)는 팩커홀더틀(55) 좌우 양끝단에 걸쳐 설치된다.
팩커홀더바스켓(80)은 팩커홀더버퍼로부터 계란을 전달받아 담지 하는 기능, 계란을 담지한 상태로 난좌까지 하강이동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상하운동을 하는 기능, 난좌에 계란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팩커홀더는 계란을 담지하여 난좌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팩커홀더바스켓(80)을 구비할 수 있다.
팩커홀더바스켓(80)은 제1바스켓암(81)과 제2바스켓암(82)이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전환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바스켓고정부재(70)상에 탄성부재(83)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전환링크(62)의 상하운동에 다수개씩 공급되는 계란들을 난좌컨베이어상의 난좌로 전달한다. 팩커홀더바스켓(80)이 하강하여 계란을 전달할 때 제1바스켓암(81)과 제2바스켓암(82)은 탄성부재(83)에 의해 개폐운동을 하여 계란을 안착시킬 수 있다.
팩커홀더는 팩커홀도 하단 내측에 난좌컨베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데 난좌컨베이어설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난좌는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부터 계란을 전달받아 포장되는데 난좌가 가득 차게 되면 난좌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게 된다.
도 4와 도5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통하여 계란선별기팩커홀더에 구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팩커홀더틀(55)에는 난좌컨베이어를 설치할수 있는 난좌컨베이어설치부(90)가 포함될 수 있다.
팩커홀더바스켓(80)의 개수와 상기 팩커홀더버퍼의 안착부의 개수는 바람직하게 계란컨베이어에 대기중인 난좌의 1열의 개수와 같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팩커홀더버퍼가 구비된 계란선별기를 이용하여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여 포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계란을 소정의 등급으로 선별하고, 버켓컨베이어(50)에서 이송한다.
둘째, 선별된 계란이 버켓컨베이어(50)에서 팩커홀더버퍼로 전달된다.
셋째, 팩커홀더버퍼에 계란이 안착 및 담지된다.
넷째, 버퍼몸체(10)의 개폐운동으로 담지 되어있던 계란이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된다.
다섯째, 팩커홀더바스켓(80)이 전달된 계란을 담지한다.
여섯째, 팩커홀더바스켓(80)이 하강 이동하여 난좌에 계란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계란을 등급별로 난좌에 효과적으로 포장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버퍼몸체
10a : 일체형버퍼몸체
11 : 제1버퍼몸체
12 : 제2버퍼몸체
13 : 안착홈부
14 : 대응안착홈부
15 : 가변형관통홀
동력부
21 : 제1모터
22 : 제2모터
23 : 버퍼캠
231 : 제1버퍼캠
232 : 제2버퍼캠
24 : 공압펌프
30 : 버퍼가이드
40 : 고정부
50 : 버켓컨베이어
55 : 팩커홀더틀
60 : 팩커홀더동력부
61 : 동력부축부재
62 : 전환링크
63 : 바스켓승하강부재
70 : 바스켓고정부재
80 : 팩커홀더바스켓
81 : 제1바스켓암
82 : 제2바스켓암
83 : 탄성부재
90 : 난좌컨베이어설치부

Claims (15)

  1. 계란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버켓컨베이어(50)로부터 상기 계란을 전달 받고 난좌에 안착시키는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상기 계란을 전달하는 팩커홀더버퍼에 있어서,
    아치가 연접한 형상의 안착홈부가 형성된 제1 버퍼몸체;
    상기 안착홈부와 상응한 형상의 대응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응안착홈부가 상기 안착홈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버퍼몸체;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중심축이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버퍼캠;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가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운동방향을 고정하는 버퍼가이드; 및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가 내측 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복원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부와 상기 대응안착홈부에는 계란이 안착되어 소정의 시간동안 담지되며,
    상기 버퍼캠의 캠프로파일은, 상기 제1 버퍼몸체 및 상기 제2 버퍼몸체의 개폐 운동속도가 상기 팩커홀더바스켓이 하강운동을 시작해서 다시 원위치하는 시간인 운동주기와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 및 상기 대응안착홈부로 이루어진 안착부는 상기 계란에 대해서 면접촉 및 선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 및 상기 대응안착홈부로 이루어진 안착부는 계란의 곡률을 따른 형상을 하고 안착부의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높이는 담지되는 계란의 장축길이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1버퍼몸체(11) 및 상기 제2버퍼몸체(12)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1버퍼몸체(11)와 상기 제2버퍼몸체(12)가 서로 반대쪽 왕복운동하게 하는 버퍼캠(23) 및 상기 제1버퍼몸체(11)와 상기 제2버퍼몸체(12)가 상기 안착홈부 및 상기 대응안착홈부로 이루어진 안착부 내측방향으로 움직임을 하게 해주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버퍼몸체(11)는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2버퍼몸체(12)의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버퍼캠(23) 및 상기 제2버퍼몸체(12)가 상기 안착홈부 및 상기 대응안착홈부로 이루어진 안착부 내측방향으로 움직임을 하게 해주는 복원력을 갖는 복원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커홀더버퍼.
  11. 삭제
  12. 삭제
  13. 계란이 이송되는 버켓컨베이어(50);
    계란을 팩커홀더버퍼로부터 받아 담지 하는 기능, 계란을 담지한 상태로 난좌까지 하강이동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상하운동을 하는 기능, 난좌에 계란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팩커홀더바스켓(80)을 포함하는 팩커홀더;
    상기 팩커홀더로부터 계란이 전달된 난좌가 이송되는 난좌컨베이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켓컨베이어(50)와 상기 팩커홀더 사이에 계란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청구항1의 팩커홀더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선별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팩커홀더버퍼는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의 소정의 상하운동 주기에 맞춰 상기 제1 및 제2 버퍼몸체가 개폐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팩커홀더버퍼를 열린상태로 만들어 계란을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선별기.
  15. 청구항 13의 계란선별기를 이용하여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i) 계란을 소정의 등급으로 선별하고, 상기 버켓컨베이어(50)에서 이송하는 단계;
    (ii) 선별된 계란이 상기 버켓컨베이어(50)에서 상기 팩커홀더버퍼로 전달되는 단계;
    (iii) 상기 팩커홀더버퍼에 계란이 안착 및 담지되는 단계;
    (iv) 제1 및 제2 버퍼몸체의 개폐운동으로 담지 되어있던 계란이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으로 전달되는 단계;
    (v)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이 전달된 계란을 담지하는 단계;
    (vi) 상기 팩커홀더바스켓(80)이 하강 이동하여 상기 난좌에 계란을 전달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계란선별기를 이용한 등급별 계란선별방법.
KR1020150078734A 2015-06-03 2015-06-03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KR10181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34A KR101819469B1 (ko) 2015-06-03 2015-06-03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PCT/KR2016/005913 WO2016195418A1 (ko) 2015-06-03 2016-06-03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JP2017562261A JP2018520659A (ja) 2015-06-03 2016-06-03 鶏卵選別機パッカーホルダーバッフ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34A KR101819469B1 (ko) 2015-06-03 2015-06-03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46A KR20160142946A (ko) 2016-12-14
KR101819469B1 true KR101819469B1 (ko) 2018-03-02

Family

ID=5744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34A KR101819469B1 (ko) 2015-06-03 2015-06-03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520659A (ko)
KR (1) KR101819469B1 (ko)
WO (1) WO20161954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16B1 (ko) 2023-08-31 2024-01-16 춘천닭갈비생산자 영농조합법인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조란 분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315B (zh) * 2017-12-20 2021-06-22 天台县甬圣腾宇工业设计有限公司 智能蛋黄分离器
JP7256261B2 (ja) * 2018-10-16 2023-04-11 モバ グループ ビー.ブイ. 製品、例えば卵、の為のコンベヤ
CN112690228A (zh) * 2020-12-04 2021-04-23 罗源县洪洋乡人民政府 一种新型鸡蛋分拣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548226B (zh) * 2021-09-22 2021-12-07 江苏鹿鹿通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溏心蛋加工生产用联动式落料机构
KR20230131722A (ko) 2022-03-07 2023-09-14 김민호 계란 선별기의 중간 시스템
KR102648337B1 (ko) 2022-12-12 2024-03-14 한건수 계란 선별 포장을 위한 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411132A (nl) * 1973-08-25 1975-02-27 Auto Egg Bristol Limited Inrichting voor het verdelen van voorwerpen in bakken.
JPS6042079Y2 (ja) * 1981-12-28 1985-12-23 義盛 額賀 把持装置
JPS60110618A (ja) * 1983-11-07 1985-06-17 友末 弘 鶏卵等の移替装置
JPS63161224U (ko) * 1987-04-03 1988-10-21
US5232080A (en) * 1989-03-10 1993-08-03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Article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200906A (ja) * 2001-10-23 2003-07-15 Naberu:Kk 物品の選別包装装置
KR100818702B1 (ko) * 2006-08-04 2008-04-07 주식회사 에그텍 계란을 난좌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16B1 (ko) 2023-08-31 2024-01-16 춘천닭갈비생산자 영농조합법인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조란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46A (ko) 2016-12-14
WO2016195418A1 (ko) 2016-12-08
JP2018520659A (ja)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69B1 (ko) 계란선별기 팩커홀더 버퍼
CN107323731B (zh) 软袋立式装箱机
CN207917242U (zh) 一种轻柔层叠式的水果装箱机
AU2007245759B2 (en) A self-adjusting centring device
JPH0418210A (ja) 製品を容器の中に所定の分布にして詰める装置
AU2009236234A1 (en) Horizontal conveyor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CN109225894B (zh) 一种苹果分选装置
JP6109509B2 (ja) 物品整列供給装置
JPH0375409B2 (ko)
CN109176735A (zh) 一种菌菇种植木头钻孔装置
CN208791148U (zh) 灌装机的分段灌装装置
JPS6321A (ja) パン袋づめ装置
CN207030831U (zh) 一种六自由度升降平台
EP1344728B1 (en) Conveyor for conveying eggs and conveying unit therefor
CN206716487U (zh) 弹簧自动上料装置用轨道筛选装置
CN106938832A (zh) 一种六自由度升降平台
KR101643181B1 (ko)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CN205169681U (zh) 一种可调高度皮带机
JP2005255194A (ja) 包装袋への被包装物の自動充填装置
JP2015000014A (ja) 麺の受け渡し装置と麺の受け渡し方法
CN210212939U (zh) 夹袋传送机构
JP2004352251A (ja) 横型製袋充填機におけるエンドシール装置
CN113619826A (zh) 一种注射剂快速分装系统
CN203199287U (zh) 倒立退杯装置
CN215046025U (zh) 一种爬坡皮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