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13B1 - 연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9413B1 KR101819413B1 KR1020170022917A KR20170022917A KR101819413B1 KR 101819413 B1 KR101819413 B1 KR 101819413B1 KR 1020170022917 A KR1020170022917 A KR 1020170022917A KR 20170022917 A KR20170022917 A KR 20170022917A KR 101819413 B1 KR101819413 B1 KR 101819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oke
- cooling water
- suction means
- foreign matter
- exhaust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연기 발생부에서 연기를 흡입하여 이격된 위치로 배출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기 배출 장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체결 지지되어 연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연기에서 수분과 유증기를 응결시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흡입수단과, 일측이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흡입되는 연기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관, 그리고 상기 배기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고 연기 발생부에서 연기를 흡입하여 이격된 위치로 배출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냄새 배출장치는 가스레인지 또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원 위에 배치되어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및 유증기를 흡입하여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조리용 냄새 배출장치는 주방 또는 식당의 천정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리의 위치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서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등 조리용 냄새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다른 장소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 이를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외에서 고기를 굽는 경우 발생하는 연기에 의하여 조리에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연기를 흡입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연기를 배출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체결 지지되어 연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연기에서 수분과 유증기를 응결시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흡입수단; 일측이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흡입되는 연기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수단은, 중심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기를 냉각하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저장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탈착되게 체결되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에 의해 응축된 이물질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이물질 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이물질 받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보다 넓은 영역의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몸체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는 제1 단면적의 외경이 상기 배기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몸체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 사이로 연기가 흡입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부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를 통과하면 냉각된 후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에 체결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및 상기 이동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수단이 탈착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 따르면,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수단에 냉각수 저장부와 이물질 받이부를 구비하여 흡입되는 유증기를 냉각시켜 공기중에 함유된 오일을 응축시켜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연기가 통과하는 각 구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이 틸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연기가 통과하는 각 구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이 틸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연기 배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연기가 통과하는 각 구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연기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태도이며, 도 8은 상기 연기 배출 장치에서 흡입수단이 틸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100)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 지지되어 연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연기에서 수분과 유증기를 응결시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흡입수단(300)과, 일측이 상기 흡입수단(300)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수단(300)을 통하여 흡입되는 연기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관(400), 그리고 상기 배기관(400)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400)을 통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기(5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흡입수단(300)이 연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수단(300)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200)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부재(220)와, 상기 가이드부재(2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부재(230)와, 상기 이동부재(230)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기 가이드부재(220)에 체결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240),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수단(300)이 탈착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20)를 따라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입수단(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30)와 상기 체결부재(250)를 연결하는 부위가 절골되게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수단(300)을 틸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50)는 집게 형태로 마련되고,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수단(300)을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200)는 일 예에 해당하고, 상기 흡입수단(300)이 연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40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거나 절곡 변형될 수 있도록 자바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400)은 상기 흡입수단(300)과 상기 송풍기(500)를 연결하여 상기 송풍기(50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수단(300)으로 연기가 흡입되도록 기체의 유로로 마련되는 흡입배관(410)과, 상기 송풍기(500)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배관(410)을 통하여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체의 유로로 마련되는 배출배관(42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500)는 상기 흡입배관(410)과 상기 배출배관(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배관(410)을 통하여 유입되는 기체를 상기 배출배관(420)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기(500)는 상기 흡입배관(410)이 체결되는 흡입구(511)와 상기 배출배관(420)이 체결되는 배출구(512)가 형성된 하우징(510)과, 상기 하우징(510)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530)과, 상기 하우징(510)에 배치되어 상기 팬(530)을 회전시키는 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풍기(5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기계적 장치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수단(300)은 상기 지지부(200)에 체결되어 개구가 연기가 발생하는 측을 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송풍기(500)의 흡입력에 의하여 연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300)은 흡입되는 연기에서 수분과 유증기를 응결시켜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배기관(400)에 연결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내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기를 냉각하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저장부(320), 그리고 상기 몸체(310)의 타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탈착되게 체결되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에 의해 응축된 이물질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이물질 받이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10)는 중심이 관통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배기관(400)이 체결되는 배기관 연결부(312)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500)가 동작하면 상기 몸체(310)의 개방된 타측으로 연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기관 연결부(312)에 체결된 배기관(4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10)의 타측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가 삽입 체결되는 이물질 받이 체결부(311)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받이 체결부(311)에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가 삽입되어 끼움 체결되거나, 상기 이물질 받이 체결부(311)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가 상기 이물질 받이 체결부(311)에 탈착되게 지지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내측면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확장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냉각수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하여 유입되는 연기를 냉각시켜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와 유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때, 응축된 물과 오일은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므로, 응축된 물과 오일이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로 용이하게 낙하하도록,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는 상기 몸체(3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의 내측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의 단부에 모인 물과 오일이 보다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는 상측면에 냉각수 유입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 유입홀(321)을 통하여 냉각수를 채울 수 있고, 저장된 냉각수가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위부로 배출하여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수단(300)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31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는 제1 단면적(A),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는 제2 단면적(B), 그리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 내측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제3 단면적(C)은 적어도 같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흡입되는 연기의 유동속도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31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는 제1 단면적(A)의 외경이 상기 배기관(4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단면적(A)의 외경이 상기 배기관(4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다 넓은 영역의 연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수단(300)은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의 단부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흡입되는 연기는 상기 몸체(31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측으로 유동 방향이 급격히 변경되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유입된 연기는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 내측으로 유동 방향이 다시 한번 급격히 변경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31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유입된 연기는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측으로 유동 방향이 급격히 변경되므로, 연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기체보다 질량이 무겁기 때문에 관성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에 충돌하여 보다 용이하게 공기와 분리시켜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로 낙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유입된 연기는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 내측으로 유동 방향이 다시 한번 급격히 변경되므로, 연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관성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에 충돌하면서 축적된다.
따라서, 흡입되는 연기가 상기 흡입수단(300)에 흡입시 유동 방향이 2번 급격하게 변경되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연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상기 송풍기(500)와 상기 배기관(4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외부로 확산되는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는 응축된 물과 오일이 유입되어 저장되게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물질 받이 체결부(311)에 탈착되게 삽입된다. 즉,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에는 응축된 물과 오일이 저장되므로,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면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를 상기 몸체에서 분리시켜 저장된 물과 오일을 용이하게 버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송풍기(500)가 동작하여 상기 몸체(310)의 타측으로 연기가 유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로 연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연기는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면서 수증기와 유증기가 응축되어 물과 오일이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에 낙하하여 저장되고, 또한 유동 방향이 2번 급격하게 변경되어 연기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에 충돌시켜 보다 많은 양의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330) 사이를 통과한 연기는 상기 냉각수 저장부(3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속적으로 냉각되어 수증기와 유증기가 응축된 후 상기 몸체(310)의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되, 연기를 냉각시켜 연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 및 유증기인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필터링한 후 배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기 배출 장치(100)는 각 구성이 분리되어 상자 또는 가방 등에 보관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흡입수단(300)과, 상기 배기관(400)과 상기 송풍기(500)가 서로 분리되어 상자 또는 가방 등에 보관되어 휴대성 및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연기 배출 장치 200 : 지지부
210 : 베이스 프레임 220 : 가이드부재
230 : 이동부재 240 : 스톱퍼
250 : 체결부재 300 : 흡입수단
310 : 몸체 311 : 이물질 받이 체결부
312 : 배기관 연결부 320 : 냉각수 저장부
321 : 냉각수 유입홀 330 : 이물질 받이부
400 : 배기관 410 : 흡입배관
420 : 배출배관 500 : 송풍기
510 : 하우징 511 : 흡입구
512 : 배출구 520 : 모터
530 : 팬
210 : 베이스 프레임 220 : 가이드부재
230 : 이동부재 240 : 스톱퍼
250 : 체결부재 300 : 흡입수단
310 : 몸체 311 : 이물질 받이 체결부
312 : 배기관 연결부 320 : 냉각수 저장부
321 : 냉각수 유입홀 330 : 이물질 받이부
400 : 배기관 410 : 흡입배관
420 : 배출배관 500 : 송풍기
510 : 하우징 511 : 흡입구
512 : 배출구 520 : 모터
530 : 팬
Claims (5)
-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체결 지지되어 연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연기에서 수분과 유증기를 응결시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흡입수단;
일측이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흡입되는 연기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수단은,
중심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기를 냉각하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저장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탈착되게 체결되고, 상기 냉각수 저장부에 의해 응축된 이물질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이물질 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저장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이물질 받이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기 배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보다 넓은 영역의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몸체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는 제1 단면적의 외경이 상기 배기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몸체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 사이로 연기가 흡입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부와 상기 이물질 받이부를 통과하면 냉각된 후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에 체결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및
상기 이동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수단이 탈착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917A KR101819413B1 (ko) | 2017-02-21 | 2017-02-21 | 연기 배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917A KR101819413B1 (ko) | 2017-02-21 | 2017-02-21 | 연기 배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9413B1 true KR101819413B1 (ko) | 2018-01-17 |
Family
ID=6102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2917A KR101819413B1 (ko) | 2017-02-21 | 2017-02-21 | 연기 배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941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9368A (ja) * | 2001-10-31 | 2003-05-14 | Horkos Corp | 排気中油分除去装置 |
KR200317599Y1 (ko) | 2003-03-17 | 2003-06-25 | 조금석 |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
JP2005288207A (ja) | 2004-03-31 | 2005-10-20 | Daido Plant Kogyo Kk | 排煙浄化装置 |
-
2017
- 2017-02-21 KR KR1020170022917A patent/KR1018194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9368A (ja) * | 2001-10-31 | 2003-05-14 | Horkos Corp | 排気中油分除去装置 |
KR200317599Y1 (ko) | 2003-03-17 | 2003-06-25 | 조금석 |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
JP2005288207A (ja) | 2004-03-31 | 2005-10-20 | Daido Plant Kogyo Kk | 排煙浄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10380B2 (en) | Fan assembly | |
US11344834B2 (en) | Filter assembly | |
EP3015784B1 (en) | Air purifier | |
KR101410430B1 (ko) | 정화장치가 부착된 실험대 | |
KR101906341B1 (ko) | 공기청정기 | |
JP6790247B2 (ja) | 空気取入れ口を有する換気装置 | |
KR101913470B1 (ko) | 공기 청정기 | |
CN104764103A (zh) | 除湿器 | |
CN102348935A (zh) | 抽吸罩 | |
KR20200000159U (ko) | 정화 기능을 구비한 기류팬 | |
KR101819413B1 (ko) | 연기 배출 장치 | |
KR101460243B1 (ko) |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 |
ES2621515T3 (es) | Equipo extractor de humos | |
CA2688976A1 (en) |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 |
JP6491952B2 (ja) | ハンディ型電気掃除機 | |
KR20150103909A (ko) | 공기조화장치 | |
KR101902069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472130B1 (ko) | 연기 정화 장치 | |
KR102325563B1 (ko) |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 |
JP2002291663A (ja) | 電気掃除機 | |
CN109595647A (zh) | 一种吸油烟机 | |
KR20170136286A (ko) | 이동식 후드장치 | |
KR101970252B1 (ko) | 포터블 후드 | |
EP1630477B1 (en) | kitchen exhaust hood | |
JP2009250587A (ja) | ロースター用吸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