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470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470B1
KR101913470B1 KR1020160136259A KR20160136259A KR101913470B1 KR 101913470 B1 KR101913470 B1 KR 101913470B1 KR 1020160136259 A KR1020160136259 A KR 1020160136259A KR 20160136259 A KR20160136259 A KR 20160136259A KR 101913470 B1 KR101913470 B1 KR 10191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fan
rotation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503A (ko
Inventor
박재균
하현필
문영철
배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청정 모듈의 상측에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기어모터;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제 2 기어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의 원주방향으로부터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향하는 흡입유로와, 공기 청정기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중심으로 상방, 전방 및 좌우 방향을 향하여 토출기류가 용이하게 발생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공기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이 증가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심팬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필터의 정화능력을 개선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청정 모듈의 상측에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기어모터;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제 2 기어가 포함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에는, 상기 제 2 기어에 연동하는 제 2 랙을 가지는 회전가이드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랙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고정가이드 부재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면을 가지는 고정가이드 본체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에는, 상기 제 2 기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기어삽입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기어는 상기 제 2 기어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랙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전선관통부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의 양측을 지지하는 2개의 측면지지부; 및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를 연결하는 후면지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기어모터가 장착되는 장착공간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측면지지부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이드베어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베어링; 및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면베어링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면베어링과 상기 하면베어링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이동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의 제 1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베어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제 2 전선관통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2 전선관통부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조절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와 상기 팬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 서포터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므로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고,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케이스의 구조적인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흡입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은 케이스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향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국,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제 2 송풍장치를 통하여 공기의 상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송풍장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에 의하여 공기의 전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특히, 유동 조절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제 2 송풍장치의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전방 상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유동 조절장치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좌우방향으로의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결국,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 토출이 가이드 되고, 공기 청정기로부터 먼 거리까지 토출기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공기청정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토출기류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동 조절장치에는, 좌우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기구 및 상하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기구가 구비되므로, 상기 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제 2 가이드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 또는 세워져 있는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 조절장치에는 제 3 팬이 구비되므로, 제 2 송풍장치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상기 제 3 팬에 의한 유동력을 더하여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한 토출기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기류가 도달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기구 또는 상기 제 2 가이드기구에는, 각각 기어모터 및 기어가 포함되므로, 유동 조절장치의 상하방향 회전 또는 좌우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공기 청정기의 운전정보가 외부에 쉽게 인식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유동 조절장치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는 경우는 물론,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에 잘 노출되어 공기 청정기의 운전정보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동 조절장치에는 토출그릴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그릴의 중심부에는 함몰부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의 둘레를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에 방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송풍장치가 제공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심팬 및 상기 원심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므로, 원심팬을 통과하여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송풍장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공기유동 상호간에 서로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터부재는 필터 프레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재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팬에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 팬이 포함되므로, 풍량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와 결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와 유동 조절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 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와, 유동 조절장치의 상하방향 회전을 위한 제 2 가이드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 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각각 "제 1 공기청정 모듈(100)", 제 2 공기청정모듈(2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하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제 1 분리부(1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2 참조)의 제 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방향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제 2 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테두리부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으로서의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으로서의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으로서의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5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의 상측에 놓여진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제 1 팬유입부(151)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된다.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 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 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과,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유로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유로의 상측에는, 제 1 토출부(105)가 배치된다.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40) 및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필터부재(220) 및 상기 지지장치(240)를 지지하는 레버장치(242)가 포함된다(도 4 참조).
상기 제 2 송풍장치에는, 상기 레버장치(242)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PCB 장치(500)가 위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제 3 공간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공간부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43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200)에는, 레버 지지장치(560), 레버장치(242), 지지장치(240),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하우징(250) 및 제 2 팬(260)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221) 및 상기 필터본체(221)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2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22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필터파지부(221a)가 구비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221)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221)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222)을 통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구성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도 원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를 구성하는 면은 경사면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구획판(43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제 2 공간부(458)를 제공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턱(566)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레버장치(242)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장치(2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2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2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243)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절개부(24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레버본체(2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242)가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243)의 외주면에는, 제 2 핸들(24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2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제 2 핸들(244)에 결합되는 제 1 핸들(24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2 핸들(241,2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 및 지지장치(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24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2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2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565)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2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필터프레임(2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231) 및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23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2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2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필터지지부(2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센서장치(2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2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23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237a) 및 가스센서(237b)는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제 2 프레임(2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2 팬하우징(2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에는, 제 2 팬(2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 2 팬(260)의 구성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 2 팬(260)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2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2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2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58)은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이오나이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37)와 상기 이오나이저(25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237)와 상기 이오나이저(25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와 결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와 유동 조절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 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벽(271) 및 상기 외벽(2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벽(2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2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2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2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75)는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2 팬모터(2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2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2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일측에는 모터결합부(2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266)는 상기 제 2 팬모터(265)를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276,277)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76,277)에는, 상기 모터수용부(273)에 구비되는 제 1 랙(276) 및 축가이드 홈(277)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기어(360)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모터수용부(27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곡률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276)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어(360)에 연동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하방향 또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에는, 상기 제 1 기어(360)의 제 1 기어축(36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외벽(281) 및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내벽(282)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은 상기 토출내벽(2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과,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제 2 공기유로(282a), 즉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75)가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로(272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유로(282a)에 배치되는 제 2 토출그릴(288)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토출유로(282a)의 하측으로 손가락을 집어넣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내벽(282)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판(283)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내주면 일부으로부터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절개부(286)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86)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내측 공간을 전부 덮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86)는 상기 제 1 랙(276)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랙(276)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가이드 한다. 즉,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결합되면,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절개부(286)를 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구비되는 제 1 기어(3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축삽입부(28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축삽입부(284)에는, 상기 회전축(354)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284a) 및 상기 축 삽입공(28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 결합되는 보강리브(284b)가 포함된다.
상기 보강리브(284b)는 상기 회전축(354)이 상기 축삽입부(284)에 결합되어 회전할 때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리브(284b)는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리브(284b)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축 삽입공(284a)으로부터 다수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축삽입부(284)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축삽입부(28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베어링 홈(28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 홈(285)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홈(285)은, 상기 제 1 베어링(35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수용되는 제 3 팬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은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본체(311) 및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311)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312)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팬(160) 및 상기 제 2 팬(260)을 "메인 팬"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 3 팬(330)을 "서브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2 팬(160,260)을 "송풍팬", 상기 제 3 팬(330)을 "유동조절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하우징본체(3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311) 및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함께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팬(33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 3 팬(330)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유로에 배치되는 블레이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블레이드(333)의 회전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공간을 거쳐 제 2 토출부(305)로 배출된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상측에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 토출부(305)를 형성하는 토출그릴(315)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토출그릴(315)에는, 상기 토출그릴(315)의 대략 중앙부에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지지하는 함몰부(318)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318)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팬(260),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1 공기유로(272a)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유로(282a)를 거쳐 상기 제 3 팬(330)을 향하여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에서 토출되어,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 모터인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축(336)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가지는 허브(331) 및 상기 허브(331)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제 3 팬(3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 3 모터하우징(335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 참조).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모터(165),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친 공기를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3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의 공기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325)이 포함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제 2 토출그릴(288)의 형상은, 상기 유입그릴(325)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3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 결합되는 가이드 본체(351)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는, 상기 제 1,2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는 하면부(351a) 및 상기 하면부(351a)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테두리부(351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의 모터 축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1 기어(360)로부터 하방으로, 즉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기어축(36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1 랙(276)에 기어 결합되며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랙(276)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기어(360)는 회전하여, 상기 제 1 랙(276)에 연동한다. 이 때,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랙(27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 가이드홈(27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홈(277)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회전축(354)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354)은 후술할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 1 회전반경"이라 이름한다.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351d)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관통부(351d)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축삽입부(284)는 상기 관통부(351d)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354)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축삽입부(284)에 구비되는 체결부재(289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하여, 상기 축 삽입부(284)에 구비되는 체결부재(289a) 및 중앙베어링(289b,289c)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축(354)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축 삽입공(284a)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재(289a)는 상기 회전 가이드판(283)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축(35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축(354)과 상기 체결부재(289a)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89a)에는, 상기 회전축(354)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부(289d) 및 상기 체결부(289d)의 하측에 구비되는 헤드부(289e)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354)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재(289a)는 상기 회전축(35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베어링(289b,289c)은 상기 회전축(354)의 외측 또는 상기 체결부재(289a)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54) 및 상기 체결부재(289a)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이해된다. 상기 중앙베어링(289b,289c)은 상기 축 삽입공(284a)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중앙베어링(289b,289c)에는, 상기 회전축(35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중앙베어링(289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중앙베어링(289b)은, 상기 회전축(354)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축 삽입공(284a)의 상부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354)의 움직임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중앙베어링(289b,289c)에는, 상기 체결부재(289a)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중앙베어링(289c)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중앙베어링(289c)은, 상기 회전축(354)의 하단부와 상기 헤드부(289e)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재(289a)의 움직임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량 또는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회전하는 원주방향 거리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어(36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랙(27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축(36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 홈(277)의 단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축(362) 및 제 1 기어(360)는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세로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제 1 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353,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353,355)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의 하면부(351a)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베어링(353)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하면부(35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베어링(353)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35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353a)는 설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베어링(353)이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되는 베어링홈(285)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 1 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 2 회전반경"이라 한다. 상기 제 2 회전반경은, 상기 제 1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354)으로부터 상기 제 1 베어링(353)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354)으로부터 상기 제 1 기어축(362)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면부(351a)는,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축(362)이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축(362)과 상기 제 1 베어링(35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축가이드 홈(277)의 설정된 곡률과, 상기 베어링 홈(285)의 설정된 곡률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테두리부(35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51b)에는,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삽입부(351c)는 상기 테두리부(351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 내벽(28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은, 상기 제 2 베어링(355)의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방향 회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작동하면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모터(363)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360) 및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360) 및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1 기어(36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베어링 홈(285)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좌우 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와, 유동 조절장치의 상하방향 회전을 위한 제 2 가이드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하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 부재(352)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51)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면에, 상기 중심축(3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356)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지지부(356)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지지부(356)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56a) 및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356b)가 포함된다. 상기 측면지지부(356a)는 2개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356a)의 사이에, 상기 후면지지부(356b)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이라 함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전방"이라 함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하방으로 회전할 때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356)의 내부에는, 제 2 기어모터(367)가 장착되는 장착공간부(356c)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부(356c)는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356a)와 상기 후면지지부(356b)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356a)와 상기 후면지지부(356b)의 내측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지지부(356)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은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356a)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베어링(359a) 및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면베어링(359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은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356a)가 구비되므로, 2개의 상면베어링(359a) 및 2개의 하면베어링(35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베어링(359a)과 상기 하면베어링(359b)는 전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하측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고정가이드 본체(352a)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352a)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면(352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을 위하여, 제 2 기어(36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기어삽입부(352b)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35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365)는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352a)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기어(36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기어모터(367)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의 제 2 기어축(366, 도 23 참조)은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기어축과 상기 제 2 기어(365)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전선관통부(352c)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전선관통부(352c)는,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35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PCB 장치(미도시)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가이드 본체(37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이드 본체(371)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352a)의 제 1 가이드면(352f)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면(37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은, 상기 회전가이드 본체(371)의 저면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면(352f)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랙(374) 또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은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의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면(352f)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베어링(375)에 의하여,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은 상기 제 1 가이드면(352f)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이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본체(371)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2 전선관통부(378)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전선관통부(378)는, 상기 회전가이드 본체(371)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상기 제 1 전선관통부(352c) 및 상기 제 2 전선관통부(378)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선이 상기 제 1 전선관통부(352c) 또는 상기 제 2 전선관통부(378)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2 전선관통부(352c,378)은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상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 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하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 전선관통부(352c,378)는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전선관통부(352c,378)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본체(37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서포터(380, 도 18 참조)를 지지하는 지지부(37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부(376)는 상기 회전가이드 본체(371)의 대략 중앙부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 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에 결합되는 체결부(377a,377b,377c)가 포함된다. 상기 체결부(377a,377b,377c)에는,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377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체결부(377a)는 상기 지지부(376)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의 서포터 체결부(3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77a,377b,377c)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에 결합되는 제 2,3 체결부(377b,377c)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77b)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제 1 하우징체결부(339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체결부(377c)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후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제 2 하우징체결부(339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체결부(339a)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체결부(339b)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77a,377b,377c)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 및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는 제 2 랙(37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365) 및 상기 제 2 랙(374)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 이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 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방향 회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기어(365)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기어(36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 랙(374)은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즉 하방으로 내려오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랙(3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및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팬 하우징(3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1과 같은 누워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기어(36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 랙(374)은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즉 상방으로 올라오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랙(3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및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팬 하우징(3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23과 같은 세워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하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고정가이드 부재(352),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와,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상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서포터(380) 및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3 팬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할 때, 즉 반경 방향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 및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다수의 체결부(377a,377b,377c)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 및 상기 제 3 팬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서포터(380)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제 2 가이드면(37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서포터지지부(381)가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지지부(381)는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3 팬모터(335)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 하우징(310)에는, 제 3 팬(330)이 설치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제 3 팬모터(335)에 결합되는 허브(331) 및 상기 허브(331)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336)을 가지는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제 3 팬(3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 3 모터하우징(335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6)은 상기 제 3 모터하우징(335a)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회전축(336)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체결부(339a) 및 상기 제 2 하우징체결부(339b)는 상기 제 3 모터 하우징(335a)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2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266)는 상기 제 3 팬모터(335)를 상기 제 3 모터하우징(335a)에 고정시킨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 즉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팬 하우징(310)이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에, 도 1 및 도 2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즉,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B"의 방향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여, 상기 제 1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면에 안착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1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2 팬(160,260)은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제 1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2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제 2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과 제 2 유동은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330)은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이 작동하면, 상기 제 2 유동은 더욱 강력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팬(260) 및 제 3 팬(33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서의 강한 토출기류가 발생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3 팬(330)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방으로 60도 회전하여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2 팬(160,260)은 회전하여 상기 제 1,2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330)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유로(282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팬(330)을 거쳐 상기 제 2 토출부(305)에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도달될 수 있다(도 23 참조).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A 방향). 일례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좌측 45도에서부터 우측 45도까지 반복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각도는 약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원거리까지 토출기류를 보낼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 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조절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제 2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3 팬(330)이 구동하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서 배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전방 상측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후방 상측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후방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단순히 상방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을 향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공간을 향하는 기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별도의 제 3 팬(330)이 구비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1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향하여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가 일반운전 모드(제 1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가 구동하여, 독립된 다수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가 구동하면, 상기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제 1 필터부재(120) 및 제 1 팬(160)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장치(200)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제 2 필터부재(220) 및 제 2 팬(260)을 통과하며, 상기 제 3 팬(330)을 경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상방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팬(330)은 오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향한 토출기류를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팬(330)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방향 회전을 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양측 방향으로 기류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유동 조절모드(제 2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유동 조절모드에서,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의 구동은 일반운전 모드에서의 제 1,2 송풍장치(100,200)의 구동모습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330)은 구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팬(26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유로(282a)을 통과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상측 또는 후방 상측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10 : 공기 청정기 20 : 베이스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50 : 제 1 팬하우징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30 : 제 2 필터프레임 250 : 제 2 팬하우징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 조절장치
310 : 제 3 팬하우징 320 : 유동 가이드부
330 : 제 3 팬 350 : 회전 가이드장치
400 : 구획장치 430 : 구획판
60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5)

  1.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 및 축 삽입부를 형성하는 회전가이드 판과, 상기 회전가이드 판의 둘레를 따라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유로가 구비되는 토출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모듈;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청정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그릴 및 상기 유입그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유동조절 팬이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하측에 편심 결합되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랙을 가지는 회전가이드 부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관통부를 형성하는 고정가이드 본체;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2개의 측면지지부 및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를 연결하는 후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지지부;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랙의 이동경로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면 및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축 삽입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고정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기어모터;
    상기 기어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랙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기어; 및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장착공간부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가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지되면, 상기 기어모터는 상기 장착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에는,
    상기 기어가 삽입될 수 있는 기어삽입부가 포함되며,
    상기 기어는 상기 기어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랙에 결합되는 공기 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 본체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전선관통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2개의 측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이드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베어링; 및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면베어링이 포함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면베어링과 상기 하면베어링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이동되는 공기 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제 2 전선관통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2 전선관통부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조절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와 상기 팬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체결부에 결합되는 서포터 체결부를 가지는 가이드 서포터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KR1020160136259A 2016-10-20 2016-10-20 공기 청정기 KR10191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59A KR101913470B1 (ko) 2016-10-20 2016-10-20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59A KR101913470B1 (ko) 2016-10-20 2016-10-20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03A KR20180043503A (ko) 2018-04-30
KR101913470B1 true KR101913470B1 (ko) 2018-10-30

Family

ID=620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259A KR101913470B1 (ko) 2016-10-20 2016-10-20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198B1 (ko) * 2018-11-14 2020-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479436B1 (ko) * 2018-11-14 2022-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466879B1 (ko) * 2018-12-12 202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205719B1 (ko) * 2018-12-1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205715B1 (ko) * 2018-12-1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471335B1 (ko) * 2020-06-03 2022-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960A (ja) * 2007-02-06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情報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960A (ja) * 2007-02-06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情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03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470B1 (ko) 공기 청정기
KR101985537B1 (ko) 공기 청정기
KR101897353B1 (ko) 공기 청정기
US9914082B2 (en) Air cleaner
KR20180000121A (ko) 공기 청정기
KR10182893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70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11B1 (ko) 공기 청정기
KR101861012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111320A (ko) 공기청정기
KR20180040903A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10B1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69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00287A (ko) 공기 청정기
KR20180000285A (ko) 공기 청정기
KR101855008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9674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9675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58431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4044A (ko) 공기 청정기
KR101854998B1 (ko) 공기 청정기
KR101924470B1 (ko) 공기 청정기
KR10193153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