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330B1 -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 Google Patents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330B1
KR101819330B1 KR1020160045971A KR20160045971A KR101819330B1 KR 101819330 B1 KR101819330 B1 KR 101819330B1 KR 1020160045971 A KR1020160045971 A KR 1020160045971A KR 20160045971 A KR20160045971 A KR 20160045971A KR 101819330 B1 KR101819330 B1 KR 10181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powder
crush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342A (ko
Inventor
강대순
김양겸
이수경
Original Assignee
강대순
김양겸
이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순, 김양겸, 이수경 filed Critical 강대순
Priority to KR102016004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3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02C7/13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for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6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Abstract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대량의 투입 대상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Dual type Powder machine}
본 발명은 열매 또는 곡식과 같이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투입 대상물을 분말로 가공할 때 복수개의 분쇄부를 이용하게 다량의 알갱이를 분말로 가공하기 위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갱이는 작고 동그랗게 형성되거나, 불 특정한 형태를 갖는 열매 또는 곡식을 가리킨다. 상기 열매 또는 곡식은 분말 상태로 가공할 경우 알갱이 상태에 비해 섭취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판매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갱이는 쌀, 밀, 보리, 옥수수, 귀리와 같은 곡류와, 각종 열매를 수확한 후에 동결 건조 시킨 블루베리 또는 아로니아와 같은 베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곡류 또는 열매는 알갱이 형태로 최초 수확되므로 사람이 섭취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분말 형태로 가공해야만 하며, 상기 알갱이를 분말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를 이용하여 가공하고 별도의 포대에 담아서 보관하고 있다.
상기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는 다량의 알갱이가 공급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소정의 온도로 열이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 경우 알갱이가 분말로 분쇄되면서 서로 간에 덩어리 형태로 뭉치거나, 상기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로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도어를 오픈하고, 부착된 다량의 분말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각종 베리류는 분말로 분쇄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온도로 열이 발생되는데, 이 경우 분말화 되는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로 보다 쉽게 뭉쳐질 수 있으므로 다량의 알갱이를 분말화 하는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로 뭉치지 않고 분말 상태로 가공하기 위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643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분말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에 뭉치거나, 본체부의 내측에 들러 붙지 않도록 냉각 공기와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안정적으로 분말을 분리할 수 있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는 알갱이 형태의 투입 대상물이 투입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투입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투입 대상물에 외기가 혼합되도록 일단이 대기와 연통되고 상기 투입부의 하측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공기 흡입구가 각각 형성된 제1,2 공기 흡입부;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위치된 본체부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를 경유하여 이동된 알갱이에 대한 분쇄를 위해 구비된 제1,2 분쇄부; 상기 제1,2 분쇄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1,2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분쇄부를 통해 분쇄된 다량의 분말이 걸러지도록 소정의 메쉬(Mesh)로 형성된 제1,2 필터부; 상기 제1,2 분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외측을 향해 오픈 또는 클로즈되며 상기 제1,2 공기 흡입구의 하단과 연통된 제1,2 도어부; 상기 제1,2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말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부를 향해 연장된 노즐을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과 연결되고 다량의 분말을 연직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로 이동된 다량의 분말이 서로 간에 뭉치지 않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송풍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분말을 이동시키는 분말 공급부; 및 상기 분말 공급부를 경유하여 이동된 분말과 공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분쇄부는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알갱이를 상기 제1,2 분쇄부로 각각 공급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분쇄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관의 내측 중앙에 구비된 연장축; 상기 연장축의 길이 방향 중 상기 투입구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공기 흡입부를 향해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스크류; 상기 연장축의 길이 방향 중 상기 투입구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를 향해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의 하측 중앙으로 연장된 연장 경로 중의 임의 의 위치에 슬릿 형태로 개구된 슬릿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로 이동하는 알갱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공기 흡입부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제1 분쇄부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과 혼합된 외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제1 쿨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기 흡입부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제2 분쇄부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과 혼합된 외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2 쿨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쿨러부는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팬을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와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 부를 통해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제1 공기 흡입부의 하단과 연통된 제1 유입 홀;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위치된 제1 도어부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1 분쇄판; 제1 분쇄판의 전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어부의 내측에 위치된 제2 분쇄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분쇄부는 상기 제2 공기 흡입부의 하단과 연통된 제2 유입 홀; 제2 모터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도어부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3 분쇄판; 제3 분쇄판의 전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부의 내측에 위치된 제4 분쇄판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분쇄판은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 블레이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외측을 향해 제1 연장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분쇄판 회전시 상기 제1 공기 흡입부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등 간격으로 서로 간에 이격된 제2 블레이드; 상기 제2 블레이드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 연장길이(L2)로 연장된 제3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또는 제3 블레이드 에서 분쇄되지 않은 투입 대상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하기 위한 제4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분쇄판은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5 블레이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외측을 향해 제1 연장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분쇄판 회전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등 간격으로 서로 간에 이격된 제6 블레이드; 상기 제6 블레이드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 연장길이(L2)로 연장된 제7 블레이드; 상기 제5 블레이드와 제6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5 블레이드 또는 제7 블레이드 에서 분쇄되지 않은 투입 대상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하기 위한 제8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필터부의 좌우 상측 위치에서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압축 공기 공급부; 상기 제1,2 필터부의 좌우 하측 위치에서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압축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압축 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1,2 필터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압축 공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유닛에는 상기 필터부를 향해 다수개의 단위 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안내부의 내측을 기준으로 좌우측벽에서 하측을 향해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3 압축 공기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 공급부는 상기 안내부의 하측과 연통된 연통관으로 소정의 압력을 갖는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를 경유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통관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 작동시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소정의 체적으로 이루어진 공기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분말 공급부와 상기 분리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블로워를ㄹ 통해 가압된 다량의 분말을 상기 분리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연결관이 상측에 연결되고 원뿔 형태로 하측을 향해 연장된 분리 탱크; 상기 분리 탱크의 하측과 연결되고 다량의 분말이 수납되는 포대; 상기 분리 탱크의 하측과 상기 포대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상기 분리 탱크를 경유하여 상기 포대로 이동하는 분말의 공급량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관찰창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분리 탱크의 내측을 통해 분사된 분말을 포함한 송풍 공기가 상기 분리 탱크의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하강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의 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 탱크의 상부에서 내측 하부를 연장되고 상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만을 상기 분리 탱크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분쇄부로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하강시킬 수 있어 알갱이가 분말로 분쇄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에 뭉치거나 본체부에 들러붙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듀얼 타입의 분쇄부를 이용하여 다량의 알갱이에 대한 신속한 분말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 속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분쇄부를 통해 분말화 하는 과정에서 데드 존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한정된 분쇄부의 면적을 최대로 활용하여 다량의 알갱이를 분말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고압의 압축 공기를 본체부 내부로 공급하여 뭉치는 현상을 예방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분말과 송풍 공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다량의 분말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말 가공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의 부분 종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3 분쇄판의 정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분쇄판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4 분쇄판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압축 공기 공급부와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압축 공기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의 분리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는 각종 베리류(아로니아, 블루베리) 또는 곡류와 같은 알갱이 형태의 투입 대상물을 가루 형태의 분말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화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에 뭉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포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알갱이를 신속히 분쇄하고 분말로 가공하기 위해 듀얼 타입으로 구성된 제1,2 분쇄부를 이용하여 최단 시간에 분말로 가공 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알갱이 형태의 투입 대상물(2)이 투입되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 투입부(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부(10)로 투입된 투입 대상물(2)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100)에서 이송된 투입 대상물(2)에 외기가 혼합되도록 일단이 대기와 연통되고 상기 투입부(10)의 하측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공기 흡입구(210)가 각각 형성된 제1,2 공기 흡입부(200, 200a)와, 상기 이송부(100)의 하측에 위치된 본체부(50)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200, 200a)를 경유하여 이동된 알갱이에 대한 분쇄를 위해 구비된 제1,2 분쇄부(300, 300a)와,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본체부(50)의 내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를 통해 분쇄된 다량의 분말이 걸러지도록 소정의 메쉬(Mesh)로 형성된 제1,2 필터부(400, 400a)와,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50)의 전면에 외측을 향해 오픈 또는 클로즈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210)의 하단과 연통된 제1,2 도어부(500, 500a)와,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에서 분쇄된 분말이 상기 본체부(50)의 내측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50)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부(400, 400a)를 향해 연장된 노즐(601)을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600)와, 상기 본체부(50)의 하측과 연결되고 다량의 분말을 연직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부(700)와, 상기 안내부(700)로 이동된 다량의 분말이 서로 간에 뭉치지 않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송풍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분말을 이동시키는 분말 공급부(800)와, 상기 분말 공급부(800)를 경유하여 이동된 분말과 공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9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2 분쇄부는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는 상기 본체부(50)를 기준으로 상부에 투입부(10)와 이송부(100)가 배치되고, 하부에 안내부(700)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700)와 이웃하여 측면에 분리부(900)가 위치된다.
상기 투입부(10)는 본체부(50)의 상부에 위치되고 알갱이 형태의 투입 대상물(2)이 투입되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1)는 상면 면적이 하면 면적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되게 이루어지며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이 후술할 이송부(100)로 손쉽게 낙하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투입부(10)의 하측 중앙으로 연장된 연장 경로 중의 임의 의 위치에 슬릿 형태로 개구된 슬릿 홀(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200, 200a)로 이동하는 알갱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30)이 구비된다.
상기 슬릿 홀(12)은 알갱이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알갱이의 두꼐 보다 작은 크기로 개구되므로 상기 슬릿 홀(12)을 통한 알갱이의 외부 누출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차단판(30)은 상기 슬릿 홀(12)의 단면과 대응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릿 홀(12)을 경유하여 투입부(10)의 하측 중앙을 일시적으로 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부(10)의 하측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30)은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슬릿 홀(12)로 삽입 또는 인출 하도록 손잡이(32)가 구비되어 있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차단판(30)은 제1,2 분쇄부(300, 300a)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2)이 너무 많거나, 일시적으로 투입 대상물(2)에 대한 공급을 중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슬릿 홀(12)에 삽입시켜 투입 대상물(2)의 추가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투입 대상물(2)의 공급 만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의 작동 상태 또는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고장 발생으로 인한 작동 중지 사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발명은 다량의 투입 대상물(2)에 대한 신속한 분말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이송부(100)에 두 개의 스크류를 설치하여 단일 스크류를 통한 분말 작업에 비해 속도 향상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부(100)는 투입부(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부(10)로 투입된 투입 대상물(2)을 이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100)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공기 흡입부(200)와 연통되고 상기 본체부(50)의 상부에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관(101)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관(101)의 내측 중앙에 연장축(110)이 위치된다.
상기 연장관(101)은 후술할 제1,2 공기 흡입부(200, 200a)를 향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축(110) 또한 연장관(101)의 중앙에 위치된다.
연장축(110) 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알갱이를 후술할 제1,2 분쇄부(300, 300a)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11)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제1 공기 흡입부(200)를 향해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스크류(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축(110)의 길이 방향 중 상기 투입구(11)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200a)를 향해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스크류(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크류(120)는 도면 기준으로 제1 공기 흡입부(200)가 위치된 좌측으로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을 이송시키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된다.
제2 스크류(130)는 도면 기준으로 제2 공기 흡입부(200a)가 위치된 우측으로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을 이송시키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된다.
상기 연장축(110)은 일 방향으로 회전되나, 상기 제1 스크류(120)와 제2 스크류(130)가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투입 대상물(2)은 상기 제1,2 스크류(120, 130)에 의해 이송 방향이 변경되어 제1 분쇄부(300)와 제2 분쇄부(300a)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이 제1,2 공기 흡입부(200, 200a)를 경유하여 제1,2 분쇄부(300, 300a)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어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을 분말화 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막힘 현상 또는 정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연장축(110)은 제1 모터(M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체인 또는 벨트 또는 다른 구성물이 연결되고, 상기 제1,2 스크류(120, 13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모터(M1)는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제어부(10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0)는 다량의 투입 대상물(2)에 대한 분말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제1 모터(M1)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켜 상기 연장축(110)이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속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을 제1,2 분쇄부(300, 300a)로 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 속도가 향상된다.
제어부(1000)는 제1 모터(M1)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감소시켜 상기 연장축(110)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속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정량의 투입 대상물(2) 만을 제1,2 분쇄부(300, 300a)로 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 안정성이 향상된다.
제1,2 공기 흡입부(200, 200a)는 상기 이송부(100)에서 이송된 투입 대상물(2)에 외기가 혼합되도록 일단이 대기와 연통된 관 형태의 공기 흡입구(210)가 형성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1,2 도어부(500, 500a)의 중앙과 연통된다.
제1,2 공기 흡입부(200)는 후술할 제1,2 분쇄부(300, 300a)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기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각각 유입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210)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직경이 후술할 노즐(601)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다량의 외기가 제1,2 분쇄부(300, 300a)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흡입구(210)로 유입되는 유량은 상기 공기 흡입구(210)의 직경과 제1,2 분쇄부(300, 300a)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유속에 비례하므로 상기 직경과 유속이 증가될수록 보다 많은 양의 외기가 제1,2 분쇄부(300, 300a)로 유입될 수 있어 분쇄에 따라 발생된 마찰열을 하강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2 분쇄부(300, 300a)의 직경이 커질 경우 본체부(50)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공기 흡입구(210)의 직경을 증가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2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L자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된 상측에 유입되는 외기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판은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개구된 공기 흡입구(210)의 상면 면적이 감소되므로 손쉽게 유입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공기 흡입부(200)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제1 분쇄부(300)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2)과 혼합된 외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제1 쿨러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기 흡입부(200a)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제2 분쇄부(300a)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2)과 혼합된 외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2 쿨러부(20a)가 구비된다.
상기 제1,2 쿨러부(20, 20a)가 설치되는 이유는 후술할 제1,2 분쇄부(300, 300a)를 통해 다량의 투입 대상물(2)이 분쇄될 경우 작은 알갱이 형태로 분쇄되면서 마찰에 따른 마찰열이 발생된다.
상기 마찰열은 본체부(50)의 내부에서 즉시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어려우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외기를 상기 본체부(50) 중 투입 대상물(2)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제1,2분쇄부(300, 300a)로 공급하여 투입 대상물(2)이 분말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온도 하강을 도모하여 서로 간에 뭉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투입 대상물(2)은 분쇄와 동시에 유입된 외기에 의해 온도 하강이 이루어져 후술할 제1,2 필터부(400, 400a)에 들러 붙거나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다량의 투입 대상물(2)에 대한 뭉침을 예방하여 안정적으로 분말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투입 대상물(2)에 대한 분말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신속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뭉침으로 인한 작업 중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투입 대상물(2)에 대한 안정적인 분말 작업이 가능하여 상품성 향상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고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의 고장도 예방할 수 있어 장비의 수명도 향상 시킬 수 있다.
제1,2 쿨러부(20, 20a)는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팬(22, 22a)을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와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 부(24, 24a)를 통해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하강된다. 상기 흡입 팬(22, 22a)은 구동을 위한 팬 모터 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 부(24, 24a)는 공기 흡입구(210)의 연장된 경로 중 상기 공기 흡입구(210)로 유입되는 외기와 충분한 열교환을 위해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이 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된 길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 부(24,24a)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고 전체적인 형태는 나선 형태 또는 핀 튜브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로 냉매가 이동된다. 상기 냉매는 저온의 유체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적 냉매가 모두 사용가능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0)는 직경이 노즐(60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개구 되며 이는 외기를 보다 많이 흡입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노즐(601)은 분말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므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필터부(400, 400a)를 향해 고압의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것이 부착 확률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상기 공기 흡입구(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2 도어부(500, 500a)는 제1,2 분쇄부(300, 300a)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50)의 전면에 외측을 향해 오픈 또는 클로즈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210)의 하단과 연통된다.
제1,2 도어부(500, 500a)는 본체부(50)의 전면에서 오픈 될 경우 작업자가 육안으로 내부에 위치된 제1,2 분쇄부(300, 300a)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후술할 필터부(400, 400a)의 장착과 분리를 실시하고자 할 경우 또는 점검을 위해 본체부(50)의 외측으로 오픈된다.
제1,2 도어부(500, 500a)는 본체부(50)에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 록킹되도록 고정 클램프가 구비되므로 분말 가공을 실시하는 동안 안정적으로 본체부(50)에 록킹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안내부(700)는 상기 본체부(50)의 하측과 연결되고 제1,2 분쇄부(300, 300a)에서 분쇄된 다량의 분말이 연직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안내부(7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되고 좌우 양측벽이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상기 분말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특정 위치에서 낙하되지 못하고 뭉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안내부(700)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좌우 양측벽이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분말이 경사진 좌우 양측벽을 따라 하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2 분쇄부(300, 300a)에서 가공된 다량의 분말은 본체부(50)의 하측에 위치된 안내부(700)로 낙하되는데, 이 경우 부분적으로 상기 안내부(700)의 경사진 내측에 분말이 부착되거나 덩어리 형태로 잔존하지 않도록 좌우측벽에서 하측을 향해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3 압축 공기 공급부(71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압축 공기 공급부(710)는 노즐 형태로 이루어져 고압의 압축 공기를 상기 안내부(700)의 내측 중 좌우측벽을 향해 분사하여 다량의 분말이 하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되게 유도한다.
제3 압축 공기 공급부(710)는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되고, 고압의 압축 공기가 좌우 양측벽을 향해 분사되므로 압축 공기의 분사 방향은 경사진 좌우 양측벽면을 향해 분사된다. 이 경우 안내부(700)의 좌우 양측벽을 따라 하강되는 분말의 하강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특정 위치에서 덩어리 형태로 부착되거나 들러 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분말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 또는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분쇄부(300)는 제1 공기 흡입부(200)의 하단과 연통된 제1 유입 홀(311)과, 제2 모터(M2)에서 연장된 회전축(5)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부(500)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1 분쇄판(310)과, 상기 제1 분쇄판(310)의 전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어부(500)의 내측에 위치된 제2 분쇄판(320)을 포함한다.
제1 분쇄부(300)는 투입 대상물(2)인 알갱이에 대한 분쇄를 실시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회전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다수개의 알갱이와 마찰을 통해 작은 알갱이로 분쇄하고 최종적으로 분말로 가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분쇄부(300)는 본체부(50)의 일측에 위치된 제2 모터(M2)에서 연장된 회전축(5)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50)의 정면에 위치된 제1 도어부(500)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1 분쇄판(310)과, 제1 분쇄판(310)의 전면(도면 기준 좌측)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어부(500)의 내측에 위치된 제2 분쇄판(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분쇄판(310)은 일 예로 원판 형태로 구성되고 제2 분쇄판(320) 또한 상기 제1 분쇄판(310)과 대응되는 크기로 서로 마주보며 제1 도어부(500)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 분쇄판(310)은 후술할 제2 모터(M2)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2 분쇄판(320)은 고정되므로 상기 제1 분쇄판(310)의 회전에 의해 다량의 알갱이가 마찰에 의해 분말 형태로 가공된다.
제1 분쇄판(310)은 제1 도어부(500)를 향해 후술할 제1 내지 제4 블레이드(312, 314, 316, 318)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2 모터(M2)의 회전 속도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회전된다.
제1 분쇄판(310)은 본체부(50)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50)의 내측과 제1 분쇄판(310) 사이에 제1 제1,2 필터부(400, 400a)가 위치된다.
제1 분쇄판(310)은 배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319)가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319)를 통해 알갱이에 대한 분말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2 분쇄부(300, 300a)는 회전축(M2)을 동축으로 하고, 상기 제2 모터(M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는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 다량의 알갱이를 신속하게 분말화 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5)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5)이 회전될 경우 제1,2 분쇄부(300, 300a)가 회전되므로 단일 회전축(5)을 이용하여 분말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최단 시간에 다량의 알갱이를 분말화 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으로 인한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회전축(5)에는 제2 모터(M2)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분쇄부(300) 또는 제2 분쇄부(300a)로 전달할 때 서로 다른 직경비와 개수로 구성된 복수개의 제1 기어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기어부(30)는 스퍼 기어가 사용되나 다른 기어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1 기어부(30)는 일 예로 2개의 스퍼 기어가 사용된다. 상기 제1 기어부(30)는 도면 기준으로 회전축(5)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스퍼 기어가 우측에 위치된 스퍼 기어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치형 개수 또한 많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기어부(30)에 직경과 치형이 상이한 복수개의 스퍼 기어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2 모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분쇄부(300, 300a)의 회전 속도를 고속 또는 중속으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속도 조정이 용이해져 분말 가공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과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된 위치에 변속축(6)이 구비되고, 상기 변속축(6)에 상기 제1 기어부(30)와 치합되는 제2 기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기어부(40)는 전술한 제1 기어부(30)와 같이 동일 구조의 스퍼 기어로 구성되거나, 다른 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어부(30)와 상이한 직경과 치형 개수를 갖는 기어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별도의 변속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기어와 치형의 조합으로 특정 변속비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M2)의 회전력이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로 전달될 때 다양한 회전속로 전환이 용이해져 알갱이를 분말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속도 조절이 용이해져 분말 가공 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2)는 제1 분쇄판(310)의 중앙에서 반 경 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에 위치되고 일 예로 제1 이격거리로 이격 되는데, 상기 제1 이격거리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중앙을 기준으로 도면에 도시된 거리로 한정한다.
제1 블레이드(312)는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알갱이가 원주 방향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314)로 이동되기 전에 상대적으로 작은 알갱이로 분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블레이드(312)는 전체적인 형태가 사각의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중앙을 기준으로 다수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1 블레이드(312)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유는 사각의 직육면체가 제작을 위한 가공성이 가장 용이하고, 알갱이와 직접적으로 충돌이 발생되는 위치가 면(Face)이 아닌 모서리(Edge)와 충돌시켜 작은 알갱이 형태로 용이하게 분쇄시키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블레이드(312)는 사각 보다 모서리가 많은 육각 또는 팔각 형태의 직육면체로 구성 가능하며, 특별히 면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블레이드(314)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외측을 향해 제1 연장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분쇄판(310) 회전시 상기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등 간격으로 서로 간에 이격된다.
제2 블레이드(314)는 전술한 제1 블레이드(312)에 비해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일 예로 후술할 상기 제2 블레이드(314)의 제2 연장 길이(L2) 보다 2배 이상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2 블레이드(314)가 길게 연장되는 이유는 제1 분쇄판(310)이 회전되면서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할 때 필요한 흡입력을 상승시켜 냉각에 필요한 공기 유입량을 충분히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제2 블레이드(314)는 제1 분쇄판(310)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데, 상기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분쇄판(310)의 전면에 부착된 부착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유사한 길이로 연장된다.
제2 블레이드(314)는 제1 블레이드(312)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형태가 사각의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4각 이상의 다각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블레이드(314)가 120도 간격으로 모두 3개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제3 블레이드(316)는 상기 제2 블레이드(314)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 연장길이(L2)로 연장된다. 제3 블레이드(316)는 전술한 제2 블레이드(314)에서 알갱이가 분쇄된 이후에 제1 분쇄판(310)이 회전될 경우 낙하된 알갱이에 대한 추가 분쇄를 위해 구비된다.
배치 위치는 제2 블레이드(314) 사이에 1개씩 배치되며 전체적인 형태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분쇄판(310)의 원주 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제3 블레이드(316)는 제2 블레이드(314)와 함께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할 때 필요한 흡입력과 공기 유입량을 충분히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4 블레이드(318)는 상기 제1 블레이드(312)와 제2 블레이드(3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312) 또는 제3 블레이드(316) 에서 분쇄되지 않은 투입 대상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4 블레이드(318)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는 제1 분쇄판(310)의 중앙과 원주 방향 사이에 해당되는 곳으로 제1 블레이드(312)에서 분쇄된 알갱이가 제2 블레이드(314) 또는 제3 블레이드(316)에서 분쇄되지 못하고 소정 시간 머무르게 되는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제1 분쇄판(310)이 회전될 경우 알갱이는 제1 분쇄판(310)의 중앙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원심력에 의해 중앙 보다는 원주 방향을 향해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블레이드(318)에 의해 제2 블레이드(314) 또는 제3 블레이드(316)로 이동되기 이전에 한번 더 분쇄시켜 보다 쉽게 분말로 가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4 블레이드(318)가 전술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4 블레이드(318)는 제1 블레이드(312)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형태가 사각의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4각 이상의 다각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4 블레이드(318)는 각각 등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1 블레이드(312)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분쇄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쇄판(310)은 후면 반경 방향에서 방사 형태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제3 연장길이(L3)로 연장된 제5 블레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5 블레이드는 중앙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 형태로 다수개가 배치되는데, 전술한 제1 내지 제 4 블레이드(312, 314, 316, 318)에서 분쇄되지 않고 후면으로 이동된 소정의 알갱이를 분말 형태로 분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 분쇄판(320)은 제1 분쇄판(310)의 전면(도면 기준 좌측)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고 제1 분쇄판(310)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분쇄판(320)은 상기 공기 흡입구(210)의 하단이 중앙과 연통되어 개구된 제1유입 홀(311)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 형태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분쇄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제2 분쇄부(300a)는 제2 공기 흡입부(200a)의 하단과 연통된 제2 유입 홀(311a)과, 제2 모터(M2)에서 연장된 회전축(5)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도어부(500a)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3 분쇄판(310a)과, 제3 분쇄판(310a)의 전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부(500a)의 내측에 위치된 제4 분쇄판(320a)를 포함한다.
상기 제2분쇄는(300a)는 전술한 제1 분쇄부(300)의 구성과 대응되고 상기 제3,4 분쇄판(310a, 320a) 또한 전술한 제1,2 분쇄판(310, 32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필터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제1,2 필터부(400, 400a)는 제1 분쇄부(300)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본체부(50)와 상기 제1,2 분쇄부(300, 300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쇄부(300)와 제2 분쇄부(300a)를 통해 분쇄된 다량의 분말이 걸러지도록 소정의 메쉬(Mesh)로 형성된다.
상기 메쉬는 알갱이로 이루어진 투입 대상물(2)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데, 분쇄된 알갱이가 분말화되어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내측에서 외측을 경유하여 낙하시키기 위해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다.
제1,2 필터부(400, 400a)는 전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 형태가 링 형태로 이루어지나, 측면에서는 제1,2 분쇄판(310, 320)의 이격된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의 폭이 유지된다.
제1,2 필터부(400, 400a)는 본체부(50)의 내측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제1 도어부(500)가 오픈된 상태를 기준으로 내측을 바라볼 때 제1 분쇄판(310)의 측면에 구비된 홈(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 분쇄부(400a) 또한 제1 분쇄부(4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압축 공기 공급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2 또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압축 공기 공급부(600)는 제1,2 분쇄부(300, 300a)에서 분쇄된 분말이 상기 본체부(50)의 내측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50)의 외측에서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를 향해 연장된 노즐(601)을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600)는 전술한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알갱이가 분말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기를 냉각하기 위한 목적과 상기 분말의 뭉침 및 제1,2 필터부(400, 400a)의 내측 또는 외측에 부착되지 않고 후술할 안내부(700)를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분말은 제1,2필터부(400. 400a)를 경유하여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를 외측에서 감싸는 본체부(5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50)의 내측에 들러붙거나 부분적으로 뭉친 상태로 부착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600)를 통해 본체부(50)의 내측에 부착되는 현상을 예방하고자 한다.
압축 공기 공급부(600)는 제1,2 필터부(400, 400a)를 향해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데, 일 예로 노즐(601)이 사용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600)는 본체부(5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2 필터부(400, 400a)의 좌우 상측 위치에서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압축 공기 공급부(610)와,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좌우 하측 위치에서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압축 공기 공급부(620)를 포함한다.
제1,2 필터부(400, 400a)는 본체부(50)의 정면을 기준으로 다량의 분말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를 경유하여 안내부(700)로 낙하된다.
이때 메쉬 부분이 부분적으로 막히거나 온도가 상승될 경우 분말이 뭉치거나 덩어리 질 수 있으므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로 분사하여 뭉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제1 압축 공기 공급부(610)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는 망 형태의 제1,2 필터부(400, 400a)를 경유하여 제1,2 분쇄부(300, 300a)를 향해 분사되므로, 항시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이 경우 제1,2 필터부(400, 400a)에 형성된 메쉬에 분말이 일부 적층되는 경우에도 고압의 압축 공기에 의해 막힌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다량의 분말이 제1,2 필터부(400, 400a)를 경유하여 외측 하부를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된다.
노즐(601)은 배치 위치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필터부(400, 400a)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폭 방향(W)에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하지 않고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압축 공기 공급부(610)는 제1,2 필터부(400, 400a)의 좌우 상측에서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1 분쇄판(310) 또는 제3분쇄판(310a)의 회전에 의해 제1,2 필터부(400, 400a)의 좌우 상측으로 이동된 분말이 뭉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노즐(601)은 제1,2 필터부(400, 400a)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압축 공기가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주면을 향해 방사 형태로 확산되도록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601)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는 제1,2 필터부(400, 400a)의 특정 위치에만 압축 공기가 분사되지 않고 확산된 상태로 분사될 수 있어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폭 방향 및 좌우 상측 위치에서 분말이 뭉치는 현상이 예방된다.
제2 압축 공기 공급부(620)는 제1,2 필터부(400, 400a)의 하측 좌우 위치에서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를 향해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는 제1,2 분쇄부(300, 300a)의 외측을 감싸며 위치되므로 다량의 분말은 중력 방향인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 좌우 위치 및 시계 방향 기준으로 6시 방향으로 낙하된다.
이 경우 다량의 분말이 제1,2 필터부(400, 400a)에 집중되면서 부분적으로 뭉치거나 본체부(50)의 내측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 압축 공기 공급부(620)를 통해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내측 또는 외측에 분말이 부착되는 것이 예방된다.
따라서 알갱이가 분말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제1,2 필터부(400, 400a)에 부착되거나 덩어리 형태로 뭉치는 현상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어 기기 오작동 및 고장으로 인한 작동 중지 상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제2 압축 공기 공급부(620)는 전술한 제1 압축 공기 공급부(610)와 같이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이 경우 제1,2 필터부(400, 400a)에 형성된 메쉬에 분말이 일부 적층되는 경우에도 고압의 압축 공기에 의해 막힌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다량의 분말이 제1,2 필터부(400, 400a)를 경유하여 외측 하부를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된다.
노즐(601)은 배치 위치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필터부(400, 400a)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폭 방향(W)에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하지 않고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타입의 제1,2 분쇄부(400, 400a)에서 다량의 분말화되는 경우에도 막힘으로 인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의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장시간 동안 대량 생산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분말 가공기는 전술한 압축 공기 공급부와 이웃하여 분말 가공이 완료된 필터부(400)와 분쇄부(300)에 대한 세척을 위한 세척 노즐 유닛(6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세척 노즐 유닛(630)은 분말 가공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되거나, 분말 가공시 동일한 분말에 대한 가공이 아닌 서로 다른 분말을 가공할 경우 잔존하는 분말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척 노즐 유닛(630)에 의해 세척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수분 또는 물기가 본체부(50)의 내부에 잔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압축 공기 공급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제1,2 압축 공기 공급부(610, 620)는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압축 공기 공급 유닛(602)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유닛(602)에는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를 향해 다수개의 단위 노즐(604)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유닛(602)은 반원 형태 또는 소정의 반경을 갖고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단일 노즐 또는 복수개의 노즐 형태의 구성과 다르게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압축 공기 공급 유닛(602)을 통해 제1,2 필터부(400, 400a)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할 경우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대부분의 면적에서 다량의 압축 공기가 지속적으로 분사되므로 분말이 제1,2 필터부(400, 400a)의 내외측 또는 본체부(50)의 내측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1,2 필터부(400, 400a)는 제1,2 분쇄부(300, 300a)에 의해 분쇄된 알갱이가 분말로 가공되면서 전 영역에서 다량의 분말이 반경 방향으로 확산 이동되는데,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유닛(602)을 통해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의 대부분의 외측 영역을 향해 고압의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이 부분적으로 뭉칠 수 있는 데드 존(Dead zone)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2 필터부(400, 400a)는 전 영역에서 분말이 뭉치는 현상 없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어 분말의 배출 효율 향상과, 뭉침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압축 공기 공급 유닛(602)에 다수개의 단위 노즐(604)이 구비되는데, 상기 단위 노즐(604)은 상기 제1,2 필터부(400, 400a)를 향해 고압의 압축 공기를 확산시켜 분사하므로 분말이 뭉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가 장시간 연속 작동되는 조건에서도 제1,2 필터부(400, 400a)에 분말이 뭉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통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말 공급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분말 공급부(800)는 안내부(700)를 통해 낙하된 다량의 분말을 후술할 분리부(900)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분말 공급부(800)는 안내부(700)로 이동된 다량의 분말이 서로 간에 뭉치지 않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분말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부(700)의 하측과 연통된 연통관(802)으로 소정의 압력을 갖는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810)와, 상기 블로워(810)를 경유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통관(802)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810) 작동시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소정의 체적으로 이루어진 공기 탱크(820)를 포함한다.
연통관(802)은 일단이 상기 안내부(700)의 하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일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블로워(810)는 안내부(700)의 하측과 직결되지 않고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분말은 중력에 의해 안내부(700)의 하측에 구비된 연통관(802)의 내측으로 낙하되는데, 상기 낙하된 분말을 블로워(810)에서 발생된 송풍 공기에 의해 분리부(900)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부(700)와 분리부(900)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차가 유지되나, 상기 블로워(810)에 의해 다량의 분말이 이동될 수 있어 분리부(90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블로워(810)는 작동시 공기 탱크(82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다량의 분말을 이동시키므로, 이동과 동시에 상기 연통관(802)의 내부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하강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말은 상기 분리부(900)로 이동 도중 연통관(802)의 특정 위치에서 뭉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공기 탱크(820)는 블로워(810)와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고 연통관(802)의 연장된 단부에 하측이 연결된다. 공기 탱크(820)는 상부 또는 측면이 개구된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말에 혼합되지 않도록 이물질 제거 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탱크(820)는 연통관(802)의 연장된 단부가 하측에 연결되므로 블로워(810) 작동시 상기 연통관(802)으로 다량의 외부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다량의 분말을 분리부(900)를 향해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블로워(810)는 내부에 회전하는 팬(미도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통관(802)과 연결된 공기 탱크(820)를 통해 외기를 화살표 방향으로 공급하며,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부에 대해 설명한다.
분리부(900)는 본체부(50)의 일측에 위치되고, 분말 공급부(800)를 경유하여 이동된 분말과 공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분리부(900)는 분말에 포함된 공기는 외측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분말만 후술할 포대(9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작업자가 다량의 분말을 상기 포대(920)로 모으는 추가 작업 없이 편리하게 상기 분말을 수집할 수 있다.
분리부(900)는 전체적인 형태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며 하단에 포대(920)가 연결된다.
상기 분말 공급부(800)와 상기 분리부(900) 사이에는 연결관(3)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관(3)은 전술한 블로워(810)를 통해 가압된 다량의 분말을 상기 분리부(9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분리부(900)는 상기 연결관(3)이 상측에 연결되고 원뿔 형태로 하측을 향해 연장된 분리 탱크(910)와, 상기 분리 탱크(910)의 하측과 연결되고 다량의 분말이 수납되는 포대(920)와, 상기 분리 탱크(910)의 하측과 상기 포대(920)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상기 분리 탱크(910)를 경유하여 상기 포대(920)로 이동하는 분말의 공급량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관찰장(9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 탱크(910)의 상부에서 내측 하부를 연장되고 상기 연결관(3)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만을 상기 분리 탱크(9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4)을 더 포함한다.
분리 탱크(9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므로 다량의 분말이 하측을 향해 모이게 되고, 상기 포대(920)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분리 탱크(910)에 연결된 연결관(3)은 상기 분리 탱크(910)의 내측을 통해 분사된 분말을 포함한 송풍 공기가 상기 분리 탱크(910)의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하강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910)의 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관(3)이 연결될 경우 상기 송풍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탱크(910)의 내측 상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포대(920)가 위치한 하측까지 이동 방향이 가이드 된다.
상기 분말은 송풍 공기가 분리 탱크(9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될 때 상기 분말은 상기 분리 탱크(9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나선형의 이동 궤적으로 하강되고, 송풍 공기는 분말의 이동 방향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다가 후술할 배출관(4)을 통해 상기 분리 탱크(9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다량의 분말은 비중에 의해 포대(920)를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고, 송풍 공기는 상기 배출관(4)을 통해 분말과 별도로 배출될 수 있어 분말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말은 분리 탱크(910)의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하측을 향해 하강 이동되므로 이동 도중에 서로 간에 뭉치거나 들러 붙는 현상이 사전에 예방된다.
배출관(4)은 분리 탱크(910)의 내측 중앙을 경유하여 전체 길이의 2/3위치에 해당되는 곳까지 연장되며 상기 포대(920)를 바라보는 위치에만 개구되어 있어서 분말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관찰장(930)은 작업자가 현재 포대(920)로 수집되는 분말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상기 분말이 상기 포대(92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경우 다량의 분말이 투명하게 이루어진 관찰창(930)을 경유해야 하므로 불투명하게 관찰된다.
만약 작업자는 상기 관찰장(930)이 투명하게 보일 경우에 다량의 분말이 상기 포대(920)를 향해 낙하되지 않거나, 상기 분말이 분리 탱크(910)로 이동되지 못하거나, 본체부(50)의 특정 위치에서 정체된 상태로 인식하고 즉시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의 작동을 중지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관찰장(930)을 통해 이동하는 분말의 상태만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1)의 정상 작동 유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관찰장(9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이 분리 탱크(910)의 하측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별도의 브라켓이 구비되어 포대(920)와 연결된다.
관찰장(930)은 아크릴 또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특별히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2 : 투입 대상물
4 : 배출관
20 : 쿨러부
100 : 이송부
200, 200a : 제1,2 공기 흡입부
210 : 공기 흡입구
300, 300a : 제1,2 분쇄부
310, 320 : 제1,2 분쇄판
310a, 320a : 제3,4 분쇄판
312, 314, 316, 318 : 제1,2,3,4 블레이드
400, 400a : 제1,2 필터부
500, 500a : 제1,2 도어부
600 : 압축 공기 공급부
610, 620 : 제1,2 압축 공기 공급부
700 : 안내부
710 : 제3 압축 공기 공급부
800 : 분말 공급부
802 : 연통관
810 : 블로워
820 : 공기 탱크
900 : 분리부
910 : 분리 탱크
920 : 포대

Claims (18)

  1. 알갱이 형태의 투입 대상물이 투입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투입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투입 대상물에 외기가 혼합되도록 일단이 대기와 연통되고 상기 투입부의 하측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공기 흡입구가 각각 형성된 제1,2 공기 흡입부;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위치된 본체부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를 경유하여 이동된 알갱이에 대한 분쇄를 위해 구비된 제1,2 분쇄부;
    상기 제1,2 분쇄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1,2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분쇄부를 통해 분쇄된 다량의 분말이 걸러지도록 소정의 메쉬(Mesh)로 형성된 제1,2 필터부;
    상기 제1,2 분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외측을 향해 오픈 또는 클로즈되며 상기 제1,2 공기 흡입구의 하단과 연통된 제1,2 도어부;
    상기 제1,2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말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부를 향해 연장된 노즐을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과 연결되고 다량의 분말을 연직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로 이동된 다량의 분말이 서로 간에 뭉치지 않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송풍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분말을 이동시키는 분말 공급부; 및
    상기 분말 공급부를 경유하여 이동된 분말과 공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분쇄부는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알갱이를 상기 제1,2 분쇄부로 각각 공급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분쇄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관의 내측 중앙에 구비된 연장축;
    상기 연장축의 길이 방향 중 상기 투입구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공기 흡입부를 향해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스크류;
    상기 연장축의 길이 방향 중 상기 투입구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를 향해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스크류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의 하측 중앙으로 연장된 연장 경로 중의 임의 의 위치에 슬릿 형태로 개구된 슬릿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 공기 흡입부로 이동하는 알갱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흡입부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제1 분쇄부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과 혼합된 외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제1 쿨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기 흡입부에는 대기 중에서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제2 분쇄부로 공급되는 투입 대상물과 혼합된 외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2 쿨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쿨러부는,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팬을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와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 부를 통해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제1 공기 흡입부의 하단과 연통된 제1 유입 홀;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위치된 제1 도어부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1 분쇄판;
    제1 분쇄판의 전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어부의 내측에 위치된 제2 분쇄판을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쇄부는,
    상기 제2 공기 흡입부의 하단과 연통된 제2 유입 홀;
    제2 모터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도어부를 바라보며 배치된 제3 분쇄판;
    제3 분쇄판의 전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부의 내측에 위치된 제4 분쇄판을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판은,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 블레이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외측을 향해 제1 연장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분쇄판 회전시 상기 제1 공기 흡입부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등 간격으로 서로 간에 이격된 제2 블레이드;
    상기 제2 블레이드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 연장길이(L2)로 연장된 제3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또는 제3 블레이드 에서 분쇄되지 않은 투입 대상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하기 위한 제4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쇄판은,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5 블레이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외측을 향해 제1 연장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분쇄판 회전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등 간격으로 서로 간에 이격된 제6 블레이드;
    상기 제6 블레이드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 연장길이(L2)로 연장된 제7 블레이드;
    상기 제5 블레이드와 제6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5 블레이드 또는 제7 블레이드 에서 분쇄되지 않은 투입 대상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하기 위한 제8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필터부의 좌우 상측 위치에서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압축 공기 공급부;
    상기 제1,2 필터부의 좌우 하측 위치에서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압축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압축 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1,2 필터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압축 공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유닛에는 상기 제1,2 필터부를 향해 다수개의 단위 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안내부의 내측을 기준으로 좌우측벽에서 하측을 향해 각각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제3 압축 공기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공급부는,
    상기 안내부의 하측과 연통된 연통관으로 소정의 압력을 갖는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를 경유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통관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 작동시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소정의 체적으로 이루어진 공기 탱크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공급부와 상기 분리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블로워를 통해 가압된 다량의 분말을 상기 분리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연결관이 상측에 연결되고 원뿔 형태로 하측을 향해 연장된 분리 탱크;
    상기 분리 탱크의 하측과 연결되고 다량의 분말이 수납되는 포대;
    상기 분리 탱크의 하측과 상기 포대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상기 분리 탱크를 경유하여 상기 포대로 이동하는 분말의 공급량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관찰창을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분리 탱크의 내측을 통해 분사된 분말을 포함한 송풍 공기가 상기 분리 탱크의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하강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의 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탱크의 상부에서 내측 하부를 연장되고 상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만을 상기 분리 탱크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KR1020160045971A 2016-04-15 2016-04-15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KR10181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971A KR101819330B1 (ko) 2016-04-15 2016-04-15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971A KR101819330B1 (ko) 2016-04-15 2016-04-15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342A KR20170118342A (ko) 2017-10-25
KR101819330B1 true KR101819330B1 (ko) 2018-01-16

Family

ID=6029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971A KR101819330B1 (ko) 2016-04-15 2016-04-15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4954A (zh) * 2019-08-15 2019-10-22 广西叶茂机电自动化有限责任公司 一种硫磺定量粉碎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552A (ja) * 2003-08-27 2005-03-17 Tsukasa Kogyo Kk 製粉設備
KR100670756B1 (ko) * 2005-11-26 2007-01-19 김장훈 분쇄기
JP2007111574A (ja) * 2005-10-17 2007-05-10 Hosokawa Micron Corp 粉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552A (ja) * 2003-08-27 2005-03-17 Tsukasa Kogyo Kk 製粉設備
JP2007111574A (ja) * 2005-10-17 2007-05-10 Hosokawa Micron Corp 粉砕装置
KR100670756B1 (ko) * 2005-11-26 2007-01-19 김장훈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342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867B1 (ko) 곡물 및 고춧가루 제조기
CN206444886U (zh) 一种生产五谷杂粮原料机选去石去杂设备
CN107442235A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物料自动精细粉碎机
CN205971899U (zh) 一种粉剂包装机
CN106955774A (zh) 一种采用气流冲击方式进行分料的超微粉碎机
CN109745919A (zh) 一种秸秆物料颗粒加工设备及秸秆物料颗粒加工方法
CN109368155A (zh) 一种用于颗粒状物料的螺旋喂料器
KR101560225B1 (ko) 기류식 분쇄장치
KR101770508B1 (ko) 분말 가공기
CN102513199A (zh) 一种微粉碎系统及其粉碎方法
KR101819330B1 (ko)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CN107552187A (zh) 家畜饲料循环粉碎处理装置
CN100453183C (zh) 粉碎和分级装置
CN104858139B (zh) 地膜杂质分离机
US3735932A (en) System for overcoming transport-particle-flow deficiencies inherent in feed grinding and mixing machines using dust collectors for the grinder
CN218831898U (zh) 一种饲料结块干燥破碎装置
CN106944231A (zh) 一种高效精细化的药材粉碎机
CN206661386U (zh) 一种茶叶粉碎装置
CN206980519U (zh) 一种具有除尘系统的饲料添加剂搅拌设备
CN217093801U (zh) 一种流化床气流粉碎机进料装置
KR101785839B1 (ko) 분말 가공기의 제어방법
CN202527373U (zh) 容器式分离器
CN201783409U (zh) 两级粉剂回收装置
CN203438346U (zh) 一种木粉上胶送料装置
CN207102750U (zh) 一种用于制备铁皮石斛微晶粉的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