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379B1 -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 Google Patents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379B1
KR101818379B1 KR1020160159638A KR20160159638A KR101818379B1 KR 101818379 B1 KR101818379 B1 KR 101818379B1 KR 1020160159638 A KR1020160159638 A KR 1020160159638A KR 20160159638 A KR20160159638 A KR 20160159638A KR 101818379 B1 KR101818379 B1 KR 10181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fan
housing
exhaust
duc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욱 filed Critical 강태욱
Priority to KR102016015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후드의 배기팬의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팬의 고출력으로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토록 하면서 배기효율은 물론 유지비를 우수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출력의 배기팬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출력의 배기팬을 렌지후드에서 멀리 떨어진 건물의 벽체에 근접하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배기팬을 지붕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내입토록 하여 이물질로부터 보호가능토록 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배기팬이 수용된 상태에서 배기팬의 흡입구와 연통되게 연결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덕트의 선단은 렌지후드에 형성되는 흡기구에 연결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A Segregation and Mounting structure of Exhaust fans for Range hoods}
본 발명은 렌즈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팬을 고출력으로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토록 하면서 배기효율은 물론 유지비를 우수하게 한 것이다.
현재 렌지후드의 배기팬은 렌지후드에 장착되어져 가스렌지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분진등의 입자나 각종 냄새 또는 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토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렌지후드가 주부들이 조리를 할 경우에 가스렌지의 직상부에 위치되어져 주부가 서있는 상태에서 바로 머리부분에 위치되어져 배기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대부분 배기팬을 작동시키지 않고 조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가스렌지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소가스나 미세 입자들의 비산으로 인하여 가정주부 등의 폐질환의 위험성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이유로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렌지후드의 배기팬은 대부분 소형의 것을 사용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어 사용치 않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는 렌지후드의 제조자 입장에서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하기 때문이고, 특히 일정시간이 경과되면서 배기가스 등에 함유되어지는 기름성분등이 배기팬 및 렌지후드의 배기구에 부착되고 이러한 기름성분에 주변의 미세먼지등이 부착되면서 렌지후드의 배기구를 막게 되거나 또는 배기팬에 부착되면서 배기팬의 기능을 더욱 약화시키게 되고, 또한 렌지후드의 직하방으로 조리를 위한 가스렌지가 위치되어짐으로 배기팬의 작동시 이러한 이물질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팬의 작동을 꺼리게 되는 것도 사용을 하지 않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팬의 출력을 대형으로 사용할 경우에 배기효율이 우수하게 될 수 있지만 소음의 증대로 사용에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고출력의 배기팬을 사용하는 렌지후드의 대형화에 따른 유지비용과 고가의 고출력 배기팬을 기름성분이 함유된 가열된 가스와 직접접촉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고장등의 문제점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출력의 배기팬을 사용하여 배기효율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렌지후드에서의 저소음의 유지는 물론 고출력의 배기팬을 사용하면서도 유지비용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출력의 배기팬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출력의 배기팬을 렌지후드에서 멀리 떨어진 건물의 벽체에 근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배기팬을 지붕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내입토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지는 것으로부터 보호가능토록 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배기팬이 수용된 상태에서 배기팬의 흡입구와 연통되게 연결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덕트의 선단은 렌지후드에 형성되는 흡기구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기구를 통하여 흡기되어진 것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하여 배기팬의 배기구와 연통되도록 하우징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전동댐퍼가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것이다.
이때 전동댐퍼가 하우징의 개구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이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전동댐퍼가 상향되게 장착될 경우에 전동댐퍼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열기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면서 전동댐퍼 내벽으로는 발생되는 결로가 배기팬으로 유입되어 배기팬을 손상토록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댐퍼가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될 경우에 그 사이에 차단판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때 차단판은 전동댐퍼를 장착할 경우에 전동댐퍼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고출력의 배기팬의 배기구는 사각형이기 때문에 사각형에 원통형의 전동댐퍼가 연결될 경우에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으로 결로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댐퍼의 후렌지의 내측으로 중첩되어지면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모서리 부분을 차단할 수 있는 일정폭을 갖는 환테를 차단판으로 사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하우징에 내입되어 장착되는 고출력의 배기팬은 많은 소음을 발생토록 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벽으로는 흡음재를 부착토록 한 것이고, 장착할 경우에 고정볼트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진동에 따른 소음이 하우징에 전달되면서 발생될 수 있어 이러한 소음을 제거하고자 하우징에 너트축이 용접되어지고, 상기 너트축의 상단에 고무판이 위치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고무판을 관통하여 볼트로 고정토록 한 것이다.
고출력의 배기팬은 흡입구가 상면과 하면에 모두 형성되어지고 또한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과 후렌지 결합되는 점을 일정폭을 갖는 원형테로 개구부의 전방에 장착되어져 차단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출력의 배기팬을 사용함으로서 배기효율을 우수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배기팬을 렌지후드와 떨어진 벽체에 장착함으로서 실내(주방)에서의 소음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렌지후드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결로와 역류방지를 위하여는 전동댐퍼를 장착토록 하고, 그럼에도 발생될 수 있는 결로는 덕트에서의 흠음재의 사용에 의한 흡수 및 건조에 의하여 제거토록 하는 것이고, 결로에 의하여 응축수가 발생될 경우에도 전동댐퍼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2단으로 형성하여 결로에 의한 응결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배기팬이 앙카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배기팬이 벽체에 설치된 일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배기팬의 고정요소에 완충판이 위치되는 일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배기팬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일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배기팬의 배기구와 흡기구에 덕트가 연결된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덕트의 내벽에 흡음재가 부착된 일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전동댐퍼의 연결구의 2단구조의 일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구조의 일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분해도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10은 종래의 렌지후드에 배기팬이 장착된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우선 고출력의 배기팬(10)을 사용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출력의 배기팬(10)은 렌지후드(100)의 배기구(110)에서 분리되어져 가능하면 멀리 떨어져 벽체의 창가 쪽으로 근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앙카볼트(1) 또는 인서트를 설치하여 상기 앙가볼트(1) 또는 인서트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는 하우징(20)에 배기팬(10)을 수용토록 하고, 이때 상기 하우징(20)에는 고정요소(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요소(21)를 통하여 왓셔(2)와 너트(3) 등을 이용하여 앙가볼트(1) 또는 인서트에 체결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20)이 지붕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치위치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때 배기팬(10)에는 전기 누전의 위험이 없도록 전원선(도시생략)을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배기팬(10)을 수용하는 하우징(20)에는 배기팬(10)이 수용된 상태에서 배기팬의 인렛(11)과 연통되게 연결돌출관(22)이 구비되고 아웃렛과 연통되게 개구부(23)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돌출관(22)에는 덕트(30)의 일단(30a)이 연결되고, 상기와 같이 일단이 연결돌출관(22)에 연결된 덕트의 타단(30b)은 렌지후드(100)의 배기구(110)에 연결되어 가스렌지(200)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또는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등(통칭하여 배기가스라고 함)을 강제로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기가스의 흡입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렌지후드(100)의 배기구(110)를 넓은 면적으로 구비토록 하고, 상기 배기구(110)와 이격되어 근접하거나 연결되는 덕트의 타단(30b)으로는 확관부(31)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추가로 장착함으로서 흡기의 효율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덕트(30)를 통하여 배기팬(10)의 인렛(1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배기팬(10)을 구성하는 팬(12)을 통하여 아웃렛(13)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아웃렛(13)과 연통되는 하우징(20)의 개구부(23)와 연통되어 장착되어진 전동댐퍼(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기팬(10)의 인렛(11)이나 아웃렛(12)이 하우징(20)의 연결돌출관(22)이나 개구부(23)에 연통되면서 장착되는 구조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벽에는 흠음재(24)를 부착하여 배기팬(10)이 하우징(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기팬(10)의 고속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하우징(20)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된 배기팬(10)을 고정할 경우에 사용되는 고정볼트(27)에 의하여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너트축(25)을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토록 하고 그 상부로 너트축(25)의 직경보다 큰 완충판(26a)(본 발명에서는 고무판을 사용함)을 위치토록 하고, 완충판(26a)의 상측으로는 배기팬(10)의 고정요소(14)를 위치토록 하고 그 상측에 다시 완충판(26b)을 위치토록 한 후 고정볼트(27)로 이들을 관통하여 너트축(25)에 나사 조임하여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때 고출력의 배기팬(10)의 인렛(11)은 팬(13)을 수용하는 전방과 후방에 모두 형성되어지고 이는 연결돌출관(22)을 통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인렛(11)의 전방을 통하여 모두 유입되지 못하게 될 경우에 잔여량의 배기가스는 인렛(1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바닥면과 이격공간(4)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이격공간(4)은 상기와 같이 소음방지를 위하여 형성되는 너트축(25)과 완충판(26a,26b)에 의하여 생기게 되면서 인렛(11)의 후방으로도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기팬(10)의 고정요소(14)는 절곡된 후렌지형태로 이루어져 이격공간(4)을 형성하여 이격된 상태에서도 하우징(20)내에서의 고정력도 증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렌지후드(100)의 배기구(110)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배기될 경우에 즉 고출력의 배기팬(10)이 고속으로 작동될 경우에도 하우징(20)에서는 흡음재(24)에 의하여 전혀 소음을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배기가스도 덕트(30)의 타단을 통하여 빨려들어가면서 배기팬의 인렛(11)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흡입되어짐으로 배기효율 또한 우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기팬의 아웃렛(12)과 연통되는 하우징(20)의 개구부(23)는 배기팬(10)의 아웃렛(12)이 사각형인 점을 감안하여 아웃렛(12)과 동일하게 사작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전동댐퍼(40)는 대부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부(23)에 밀착되게 연통되는 전동댐퍼(40)는 상기 사각형의 개구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개구부(23)의 사각형의 모서리부분(23a)이 전동댐퍼의 원형후렌지(41)에 의하여 일정부분이 가려지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가려지는 부분으로 전동댐퍼의 토출관(42)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하여 물기가 배기팬으로 유입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동댐퍼(40)가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지붕에 장착될 경우에 전동댐퍼(40)의 토출관에서 생기는 결로에 대한 응축수가 배기팬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향되게 장착될 경우에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전동댐퍼(40)가 상향되어짐으로 결로에 의한 응축수가 배기팬(10)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아웃렛(13)의 사각모서리 부분(13a)으로 하우징의 개구부(23)의 사각모서리 부분(23a)를 통하여 유입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23)의 전단으로는 차단판(28)을 구비토록 하여 사각형의 모서리부분(23a)을 가리게 되면서 전동댐퍼(40)와 단이지게 형성함으로서 전동댐퍼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응축수가 배기팬으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결로현상은 렌지후드의 배기구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대부분 조리시 발생되는 열기는 물론 기름성분 등을 함유하게 됨으로 이러한 열기를 함유한 배기가스가 전동댐퍼의 토출관(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면서 전동댐퍼(40)의 토출관(42)의 내벽으로는 결로가 발생되어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기팬(10)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차단판(28)은 일정한 폭을 갖는 환테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테는 하우징(20)의 사각형의 개구부(23)의 모서리(23a)를 차단할 수 있는 내경을 갖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전동댐퍼(40)의 원형후렌지(41)가 밀착되어 조임수단으로 조임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차단판의 내경이 전동댐퍼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단턱테가 구비되면서 전동댐퍼의 배출관의 내벽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단턱테에 의하여 차단되면서 배기팬으로는 진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덕트(30)에도 고출력의 배기팬(10)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덕트(30)의 내벽에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흠음재(32)가 부착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다수의 기공이 구비되는 흡음재(32)는 고출력의 배기팬(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제거는 물론 온도차이에 의하여 덕트(30)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응결수를 흡수하게 되어 렌지후드의 흡기구(110)로 결로에 의한 응결수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음재(32)가 흡수하게 되는 응결수는 흡음재(32)에 일단 흡수되었다가 흡음재(32)에 흡수되어진 응결수는 배기팬(100)의 가동시 렌지후드(100)에서 배기되는 열기를 함유하는 조리열로 인하여 건조되면서 제거되어 증발되면서 전동댐퍼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동댐퍼는 배기팬(1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만 작동되어지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1:앙가볼트 2: 왓셔
3: 너트 4: 이격공간
10: 배기팬
11: 인렛 12: 팬
13: 아웃렛 13a: 사각모서리 부분
14: 고정요소
20: 하우징
22: 연결돌출관 23: 개구부
23a: 모서리부분 24: 흡음재
25: 너트축 26a: 완충판
26b: 완충판 27: 고정볼트
28: 차단판
30: 덕트
30a: 덕트일단 30b: 덕트타단
31: 확관부 32: 흡음재
40: 전동댐퍼
41: 원형후렌지 42: 토출관
100: 렌지후드 110: 배기구
200: 가스렌지

Claims (6)

  1. 고출력의 배기팬(10)을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는 소음 차단을 위해 고출력의 배기팬(10)은 렌지후드(100)의 배기구(110)에서 분리되어져 벽체의 창가부근에 설치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지붕에 앙카볼트(1) 또는 인서트를 설치하여 상기 앙카볼트(1) 또는 인서트에 왓셔(2)와 너트(3)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지는 하우징(20)에 배기팬(10)을 수용토록 하고, 상기 배기팬(10)을 수용하는 하우징(20)에는 배기팬(10)이 수용된 상태에서 배기팬의 인렛(11)과 연통되게 돌출관(22)이 구비되고 아웃렛과 연통되게 개구부(23)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돌출관(22)에는 덕트(30)의 일단(30a)이 연결되고, 상기와 같이 일단이 돌출관(22)에 연결된 덕트의 타단(30b)은 렌지후드(100)의 흡기구(110)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30)를 통하여 배기팬(10)의 인렛(11)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배기팬(10)을 구성하는 팬(12)을 통하여 아웃렛(13)으로 이동되어 배출되고, 상기의 배기가스는 아웃렛(13)과 연통되는 하우징(20)의 개구부(23)와 연통되어 장착되어진 전동댐퍼(4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가스가 배출되게 하는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벽에는 흠음재(24)를 부착하고,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된 배기팬(10) 고정을 위해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너트축(25)을 고정하고 그 상부로 너트축(25)의 직경보다 큰 완충판(26a)과 배기팬(10)의 고정요소(14)와 또 다른 완충판(26b)을 위치토록 한 후 고정볼트(27)로 이들을 관통하여 너트축(25)에 나사 조임하여 고정토록 하여 이격공간(4)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공간(4)은 배기팬(10)의 고정요소(14)는 절곡된 후렌지형태로 이루어져 크게 형성하여 이격된 상태에서도 하우징(20)내에서의 고정력도 증대토록하며,
    상기 배기팬의 아웃렛(12)과 연통되는 하우징(20)의 개구부(23)는 배기팬(10)의 아웃렛(12)이 사각형이고, 상기 전동댐퍼(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각형의 모서리부분(23a)으로 결로에 의한 응축수가 누수될 수 있는 것을 개구부(23)의 전단으로는 원형의 차단판(28)을 구비토록 하여 모서리부분을 가리게 되면서 전동댐퍼(40)와 단이지게 형성함으로서 전동댐퍼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응축수가 배기팬으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30)에도 고출력의 배기팬(10)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덕트(30)의 내벽에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흠음재(32)가 부착되고, 상기 다수의 기공이 구비되는 흡음재(32)에 흡수된 결로에 의한 응결수는 배기팬(100)의 가동시 렌지후드(100)에서 배기되는 열기를 함유하는 조리열로 인하여 건조되면서 제거되어 증발되면서 전동댐퍼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지는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KR1020160159638A 2016-11-28 2016-11-28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KR10181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38A KR101818379B1 (ko) 2016-11-28 2016-11-28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38A KR101818379B1 (ko) 2016-11-28 2016-11-28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379B1 true KR101818379B1 (ko) 2018-01-12

Family

ID=6100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638A KR101818379B1 (ko) 2016-11-28 2016-11-28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3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193A (zh) * 2018-09-27 2019-02-1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导流风道、气流驱动件以及油烟机
CN110230872A (zh) * 2019-05-24 2019-09-13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用冷凝水盘
CN112221186A (zh) * 2020-11-13 2021-01-15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箱排油烟回收装置及回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231A (ja) * 2000-07-04 2002-01-23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用送風機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231A (ja) * 2000-07-04 2002-01-23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用送風機の取付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193A (zh) * 2018-09-27 2019-02-1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导流风道、气流驱动件以及油烟机
CN110230872A (zh) * 2019-05-24 2019-09-13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用冷凝水盘
CN112221186A (zh) * 2020-11-13 2021-01-15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箱排油烟回收装置及回收方法
CN112221186B (zh) * 2020-11-13 2024-03-15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箱排油烟回收装置及回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379B1 (ko) 렌지후드용 배기팬의 결합체
EP3708913A1 (en) Zero-sum low-carbon purifying smoke extractor and purification system
RU2415637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вентиляторного блока с двигателем и вентиляторный блок с двигателем
US20220120450A1 (en) Saddle air conditioner
JP4759331B2 (ja) パッケージ型給水ポンプ装置
US6435818B1 (en) Low vibration blower housing and motor mount
JPH109135A (ja) 防音装置付き給液装置
KR20000032363A (ko) 공기조화기의 흡음재
CA2354805C (en) Inducer fan motor assembly
JP2006017096A (ja) 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2004060511A (ja) 排気管構造
KR102477151B1 (ko) 주방 후드용 환풍기
KR101493705B1 (ko) 다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케이싱
KR20030045752A (ko) 랜지후드
JPH0618699U (ja) ポンプ装置
WO2020139231A2 (en) A new hood body
KR100654730B1 (ko) 패키지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필터 장착구조
JP663170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室外機
KR20060039358A (ko) 에어커튼부를 구비한 레인지 후드
WO2023124493A1 (zh) 室外机
KR100304572B1 (ko) 에어컨실외기의소음방지구조
CN220852266U (zh) 一种降噪静音吸油烟机
CN219993931U (zh) 一种一体化螺杆风机撬装机组
CN220083137U (zh) 一种风机外置的新式抽油烟机
KR100654724B1 (ko) 패키지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필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