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70B1 -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70B1
KR101818270B1 KR1020127019097A KR20127019097A KR101818270B1 KR 101818270 B1 KR101818270 B1 KR 101818270B1 KR 1020127019097 A KR1020127019097 A KR 1020127019097A KR 20127019097 A KR20127019097 A KR 20127019097A KR 101818270 B1 KR101818270 B1 KR 10181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ccess
control unit
access control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739A (ko
Inventor
한스 코커
아스트리드 손넨모세르
데이빗 미첼
자르네 린드베르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13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고, 액세스 감시 유닛(36)은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액세스를 감시하기 위해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작동 모드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작동 모드들 간 변경에 앞서 액세스 권한을 조사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SHAFT ACCESS ENABLING DEVICE OF AN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서 EP 1 882 666 A1은 엘리베이터 카,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 또는 밑면에 대한 액세스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는 소정의 패턴으로 엘리베이터 카 호출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정비 모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에서 그리고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를 정비하는 동안 액세스 오프닝(access opening)들을 위한 간단하고 안전한 감시를 제공하는 목적에 특히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추가적인 개량들은 독립항들 및 종속항들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에 대한 작동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액세스 감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액세스를 감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 유닛(control unit)"은 특히 컴퓨터 유닛, 메모리 유닛,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갖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샤프트 액세스(shaft access)"는 특히 사람들, 사람들 중 일부, 및/또는 사람들이 보유한 물건들이 샤프트 외부로부터 샤프트의 측벽으로 둘러싸인 소정 체적의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내 오프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샤프트 액세스들은 샤프트 도어들, 정비 및 검사 오프닝들, 및 샤프트 피트(pit)에 대한 액세스 도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감시 유닛에 의한 샤프트 액세스의 감시"는 특히 샤프트 액세스가 닫힘 수단을 이용하여 닫혀졌고, 닫힘 수단은 잠금 요소를 이용하여 잠겼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시적으로, 정비 오프닝 또는 샤프트 도어는 도어에 의해 닫혀질 수 있고, 잠금 요소로서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락에 의해 잠졌을 수 있다. 대안적 일 실시예에서, 정비 오프닝은 잠금 요소로서 삼면체 키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락에 의해 잠겼을 수도 있다.
아울러, 액세스 감시 유닛은 잠금 요소의 상태를 및/또는 액세스 감시 유닛이 적어도 두 가지 작동 상태들을 채택할 수 있는 것에 의한 잠금 요소의 인에이블링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액세스 감시 유닛의 적어도 두 가지 작동 상태들은 각각 잠금 요소의 적어도 두 가지 상태들 및/또는 인에이블된 잠금 요소의 작동을 위한 인과관계의 이유이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액세스 감시 유닛의 두 가지 작동 상태들은 상기 액세스 감시 유닛의 스위칭 출력이 거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지거나 갖지 않은 결과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락이 잠금해제 또는 잠금 상태에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락은 디스에이블 상태 또는 인에이블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상기 락은 다른 방식으로 인에이블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락, 특히 삼면체에 대한 액세스는 디스에이블 상태에서 블로킹 요소로 덮여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기 락의 인에이블 상태에서, 상기 블로킹 요소는 상기 삼면체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에이블 상태에서 삼면체가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막는 인에이블링 요소에 의해 락의 인에이블링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인에이블링 요소는 상기 삼면체의 회전 실린더 내로 볼트의 형태로 삽입되었다. 상기 락의 인에이블 상태에서, 인에이블링 요소는 상기 삼면체가 회전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인에이블링 요소가 상기 삼면체의 회전 실린더로부터 제거되는 것에 의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작동 모드들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작동 모드들 간 변경에 앞서 액세스 권한을 체크하는 것이 제시된다. 이 기재에서, 샤프트 액세스 유닛의 "작동 모드"는 특히 특정 작동 상황을 위해 의도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순서의 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은 다음 작동 모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작동, 정비, 피팅, 수선, 대피.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권한을 체킹하는 것"은 특히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의 단편을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액세스 영역에 저장된 정보의 단편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자기 스트립(magnetic strip), 암호화된 키이들, 키패드 상에서 암호 입력 또는 이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유사한 방법들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두 가지 작동 모드들 간 변경에 앞서 액세스 권한에 대한 제시된 체크는 미리 판단될 수 있는 샤프트 액세스들에 대한 안전한 액세스를 허용하고 샤프트 액세스들이 권한없는 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 가지 유리한 개량에서,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적어도 한 가지 작동 모드는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의 작동 상태들에 대해 다른 규정된 목표 변수들을 가진다. 이는 유리하게도 다른 샤프트 액세스들에 대해 다른 액세스 옵션들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규정된 상기 목표 변수들은 이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작동 상태에 맞추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다수의 플로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는 내부에 정비를 위한 접근 금지 구역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접근 금지 구역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영구적으로 머물러 있는 최하부 샤프트 도어 위의 모든 샤프트 도어들은 디스에이블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위의 추락 관련 위험이 있는 샤프트 공간으로 권한이 없는 출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로의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을 나오는 정보 신호를 근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유리하게도, 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작동 상태에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미리 결정되어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메모리에 저장된 샤프트의 위치를 채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사전 필요조건들 하에서, 미리 결정된 엘리베이터 설비의 구역 내 샤프트 액세스들의 간단한 감시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경이 기본으로서 이루어진다"는 것은 특히 변경이 정보 신호의 출력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지만, 설정되어 만족되어야 하는 추가적인 조건들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를 규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의 일부에 대해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을 작동시키는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에 의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로의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을 나오는 정보 신호에 대한 기본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를 기계적으로 막기 위한 잠금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미리 결정되었고 가능하게 될 엘리베이터 설비의 작동 상황에 의존하는 샤프트의 영역에 대한 액세스의 간단한 감시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잠금 수단에 의해 샤프트 구조 또는 샤프트 도어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잠길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은 인가된 전압에 근거하여 그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샤프트 액세스 제어 유닛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의 간단하고, 안전하고 제어가능한 작동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은 락과 같은 전자기적 잠금 요소와 브레이크 접촉의 형태 또는 엘리베이터 설비 공학에서 관례적인 EP 1 471 028 B1에 따른 인에이블링 장치의 형태로 되어 있다.
특히 유리하게,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은 정비 동안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비 모드를 갖는다. 이는 샤프트 액세스들의 감시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상기 감시는 구체적으로는 정비를 위한 증가된 안전 요구 조건들과 조화를 이룬다. 특히, 미리 규정되어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메모리에 저장된 샤프트 액세스들의 인에이블링은 적절하게 설계된 엘리베이터 설비의 간략화된 정비를 위한 확장된 옵션들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유리하게, 상기 정비 모드에서,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은, 적어도 최하부 플로어의 샤프트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 및 적어도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 위의 샤프트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에 대해 “열린(Open)” 작동 상태를, 그리고 다른 모든 액세스 감시 유닛들에 대해서는 "닫힌(Closed)" 작동 상태를 저장한다. 이는 정비 동안 엘리베이터 카 위의 추락 관련 위험이 있는 엘리베이터 카 위의 샤프트 공간으로 권한이 없는 출입이 방지가능하도록 하고, 정비하는 동안 충분한 액세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이, 제어 작동들이 요구되지 않고서 소정 주기가 경과한 후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의 현재 작동 모드를 안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면, 특히 샤프트 액세스들을 위한 특히 안전한 액세스 감시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또한 개인적 사고 또는 병과 같은 예측될 수 없는 사건들의 심각한 결과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 작동을 요구하는 것"은 특히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요구된 제어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제어 작동을 위한 요구는 자동 제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은 클럭에 대한 데이터 연결부를 장착하고 있거나 갖고 있고, 정비, 수선 또는 피팅 모드에서 제어 작동들을 위해 들어오는 요구들을 기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모드는 상기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유닛의 모든 제어 순서들을 디스에이블 할 수 있고 액세스 권한에 대한 추가적인 체크 후에만 재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컨트롤 유닛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는 하부 플로어들 중 하나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지도록 제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하부 플로어"는 특히 최하부 및 그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최하부 플로어들은 건물에서 특히 쉽게 도달될 수 있는 플로어들로 간주된다. 전형적으로, 최하부 플로어들은 1층과 같이 건물의 입구 영역을 포함하는 플로어들이거나 1층 또는 지하 주차장으로부터 액세스를 포함하는 플로어이다. 하부 플로어 상에 배열되고 정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컨트롤 유닛에 의해, 인에이블 될 수 있는 소수의 샤프트 액세스들에 의해 샤프트 액세스들에 대한 안전한 액세스 감시를 제공하는 것은 특히 간단한 사항이다.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이 정비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부품들을 정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정비 위치들을 저장하면, 정비 동안 샤프트 액세스들의 안전한 감시를 제공하는 것은 특히 간단한 사항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정비 위치들 중 첫번째는 최하부 플로어와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도, 최하부 플로어와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 위의 샤프트 도어들에 대한 인에이블된 액세스는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위이자 샤프트 피트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설비의 부품들이 정비에 대해 수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의 적합한 위치제어는 사람이 권한이 없이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의 지붕 위로 올라타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정비 위치들 중 두 번째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가장 높은 플로어들 중 하나의 위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장 높은 플로어들 중 하나"는 특히 가장 높은 플로어와, 상기 가장 높은 플로어 바로 아래에 위치된 플로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유리하게도, 가장 높은 샤프트 도어와 가장 높은 샤프트 도어 바로 아래에 위치된 샤프트 도어로부터 떨어져서 모든 샤프트 액세스들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특히 정비 동안 샤프트 액세스들의 안전한 감시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엘리베이터 설비가 작동 동안 가장 높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아래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열린 측벽을 통해 정비되도록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을 가지면,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와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대하여, 정비 동안 샤프트 액세스들에 대해 특히 간단하고 안전한 액세스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모든 샤프트 액세스들이 액세스 감시 유닛들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는 동안,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액세스가 인에이블되도록 하는 하나의 샤프트 도어만으로 충분하다.
아래의 도면들의 설명들로부터 추가적인 장점들을 찾을 수 있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설명 및 청구항들은 조합된 수 많은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편의상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이들 특징들을 결합하여 유용한 추가적인 조합들을 형성할 것이다.
도 1은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의 도식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정비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가진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를 도시한다.
도 4는 닫힌 측벽과 열린 측벽을 가진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한다.
도 5는 덮힌 삼면체 액세스와 열린 삼면체 액세스를 갖는 액세스 감시 유닛을 도시한다.
도 2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shaft access enabling device), 엘리베이터 카(12), 및 샤프트(14)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10)를 도시하고,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카(12)는 샤프트 피트(pit)(3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샤프트(14)의 벽체는 도시되지 않았다. 엘리베이터 설비(10)는,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16),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18), 및 엘리베이터 카(1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0, 22)을 포함한다. 각 플로어(24) 위에 샤프트 도어(26)의 형태로 된 샤프트 액세스가 있다. 엘리베이터 카(12)가 플로어 위치에 접근하여 플로어(24)에서 멈춘 후, 엘리베이터 카(12)의 도어(28)(도 4)가 열리고, 그 결과 플로어(24) 위의 샤프트 도어(26)가 마찬가지로 열려서 엘리베이터 카(12)에 대한 액세스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플로어들(24) 위의 샤프트 도어들(26) 외에도, 엘리베이터 설비(10)는 샤프트 피트(32) 위의 샤프트 피트 액세스(30)를 포함한다. 모든 샤프트 액세스들은 공지된 형태의 보조 열림 기구를 장착하고 있고, 이러한 보조 열림 기구는 액세스 오프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삼면체(34)를 장착하고 있고, 상기 삼면체는 상기 보조 열림 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 공학에서 관례적이다. 엘리베이터 설비(10)의 각 샤프트 액세스는, 삼면체(34)를 위한 액세스 오프닝 위에서, 액세스 감시 유닛(36)과 끼워 맞추어지고, 이러한 액세스 감시 유닛은 샤프트 액세스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인가된 전압을 근거로 그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블로킹 요소(38)(도 5)를 포함하는 각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의해 이루어진다. 블로킹 요소(38)의 제1 작동 상태에서, 삼면체(34)를 위한 액세스 오프닝은 블로킹 요소(38)로 덮여있다. 제2 작동 상태에서, 삼면체(34)를 위한 액세스 오프닝은 훤히 뚫리고 사용자는 삼면체(34)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감시 유닛(36)은 블로킹 요소(38) 대신 인에이블링 요소(enabling element)를 포함한다. 이 경우, 삼면체(34)의 회전 실린더로/로부터 삽입되거나/제거될 수 있는 볼트와 같은 인에이블링 요소에 의해 삼면체(34)에 의한 회전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인에이블링 요소의 제1 작동 상태에서, 삼면체(34)에 의한 회전운동은 방지된다. 제2 작동 상태에서, 회전 작동은 삼면체(34)의 사용자를 위해 가능해진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열림 기구가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락(lock), 특히 캐치 락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삼면체(34)와 블로킹 요소(38) 또는 인에이블링 요소는 생략된다.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보조 열림 기구는, 이 경우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전자기적 보조 열림 기구의 제1 작동 상태에서, 샤프트 도어(26)의 형태로 된 관련 샤프트 액세스는 잠긴다. 반면에, 제2 작동 상태에서, 관련 샤프트 도어(26)는 잠금해제되어 사용자에 의해 열릴 수 있다.
아래의 기재는 블로킹요소(38)와 함께 삼면체(34)와 액세스 감시 유닛(36)을 갖는 보조 열림 기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상기 제1 실시예의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대안적으로, 인에이블링 요소를 가진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의해 샤프트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자유롭게 구현한다.
도 1은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0)를 위한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의 도식적 설계를 도시한다. 액세스 감시 유닛들(36)(명확성을 이유로,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36)만이 참조 부호를 제공받음) 외에도,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는 액세스 감시 유닛들(36) 각각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을 포함한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작동 상태들을 제어하기 위해 다음의 상이한 작동 모드들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정상 작동 동안 "정상 작동(normal operation)",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정비 동안 "정비(servicing)", 엘리베이터 설비(10)의 부품 교체 동안 "수선(repair)",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셋업 단계 동안 "셋업(setup), 및 엘리베이터 설비(10)의 대피의 경우 "대피(evacuation)" 정상 작동" 모드 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메모리 유닛(42)은 모든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에 대하여 "닫힌(closed)" 작동 상태를 목표 상태로서 저장한다.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모든 블로킹 요소들(38)은 삼면체(34)를 위한 각각의 액세스 오프닝을 막아서 보조 열림 기구의 권한없는 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각 작동 모드에 대한 보조 열림 기구, 메모리 유닛(42)은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에 대한 목표 상태들을 저장한다.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정비를 준비하기 위해,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정상 작동" 모드는 "정비" 모드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그의 작동 모드들 간 변경에 앞서, 사용자가 코드 워드(code word)를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무선 입력 유닛(44)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액세스 권한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코드 워드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메모리 유닛(42)에 저장된 코드 워드와 일치하면, 상기 유닛은 정비 모드로 변경된다. 정비 모드에서,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작동 상태들에 대한 서로 다른 목표 변수들이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메모리 유닛(42)에 규정된다. 정비 모드에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이 샤프트 피트 액세스(30)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36), 최하부 플로어(46)(도 2) 위의 샤프트 도어(26)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36), 및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48)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대해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메모리 유닛(42)에 저장된 "열린(open)" 작동 상태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다른 모든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에 대해서는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메모리 유닛(42)에 저장된 "닫힌(closed)" 작동 상태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정비" 모드로의 변경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을 나오는 제1 정보 신호를 근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16)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엘리베이터 설비(1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50)에 상기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 컨트롤 유닛은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16)을 작동시키고 정비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부품들을 정비할 의도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메모리 유닛(42)에 저장된 두 개의 정비 위치들(52, 54)(도 2 및 도 3) 중 하나로 엘리베이터 카(12)를 이동시키기 위한 근거로 상기 제1 정보 신호를 취한다. 더욱이,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정비" 모드로의 변경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을 나오는 제2 정보 신호를 근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12)(도 3)를 기계적으로 막기 위한 잠금 수단(56)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제2 정보 신호를 엘리베이터 설비(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50)으로 전송하는데, 이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카(12)를 기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10)의 가이드 레일(20, 22) 위에 배치된 잠금 수단(56)을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근거로 제2 정보 신호를 취한다.
엘리베이터 카(12)의 두 정비 위치들(52, 54) 중 하나는 최하부 플로어(46)와,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48)(도 3) 사이에 위치된다. 최하부 플로어(46) 위의 샤프트 도어(26)에 의해 형성된 샤프트 액세스는 알려져 있는 삼면체 키를 이용하여 열릴 수 있는데, 이는 액세스 감시 유닛(36)의 작동 상태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에 의해 "열린(open)"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 카(12)의 베이스 영역에서 정비를 요구하는 엘리베이터 설비(10)의 부품들은 이 샤프트 액세스를 통해 도달될 수 있다. 샤프트 도어(26) 또는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48)가 삼면체 키이를 사용하면 열렸으면, 엘리베이터 카 도어 드라이브와 엘리베이터 카(12)의 지붕 위에 배치된 추가적인 부품들은 정비를 위해 접근가능하다. 최하부 플로어(46)와 그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48) 사이의 엘리베이터 카(12)의 위치는 갭 높이가 엘리베이터 카(12)의 지붕과 샤프트 도어(26) 사이에 생성되도록 선택되었는데, 이는 정비를 수행하기에 충분하지만, 사람이 엘리베이터 카(12)의 지붕 위에서 걸을 수는 없도록 한다. 막힌 엘리베이터 카(12)는 샤프트 피트(32)에서 안전하게 걸어서 내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설비(10)의 부품들에 대한 정비를 수행하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1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50)은 최하부 플로어(46)로부터 또는 샤프트 피트(32)로부터 정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12)의 두 정비 위치들(52, 54) 중 두 번째는 엘리베이터 설비(10)(도 2)의 최상부 플로어(58) 위에 있다.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16)은 작동 동안 가장 높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아래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카(12)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2)의 열린 측벽(60)을 통해 정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도 4). 엘리베이터 카(12)가 제2 정비 위치(54)로 이동되었으면, 카운트웨이트(18)는 샤프트 피트(32)의 가장 낮은 지점에 있고 그 지점에서 어떠한 위험도 없이 정비될 수 있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작동 및 선택된 샤프트 액세스들에 대해서만 삼면체(34)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36)의 관련 작동의 두 가지 모드들 간 안전한 변경은 안전한 정비를 허용한다. 정비를 위한 두 개의 보호된 엘리베이터 카 위치들(52, 54),, 엘리베이터 설비(10)의 다양한 부품들의 선호하는 배열 및 엘리베이터 카(12)의 내부로부터 정비 동작들의 수행 때문에, 샤프트 액세스들의 단순하고 안전한 감시 외에도, 특별한 결과는, 위와 아래에서 알려진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12)를 정비하기 위해 제공될 필요가 있는 보호 공간들이 없어질 수 있고 유리하게도 설비 공간이 절감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입력 유닛(44)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정비를 위해 필요한 제어 동작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엘리베이터 설비(1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50)의 클럭에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고 정비, 수선 또는 피팅 모드에서 제어 동작들을 위해 입력되는 요구들을 기록한다. 앞서 설명된 주기가 제어 동작들을 위한 어떠한 요구도 없이 정비 모드에서 경과되었을 때,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정비 모드를 안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안전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안전 모드로의 변경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는 안전 모드로의 변경에 앞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으로부터 수행하도록 촉구받은 비효율적인 제어 동작을 요구하는 입력 유닛(44)을 사용할 수 있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안전 모드에서, 모든 제어 과정들은 디스에이블된다. 안전 모드는 액세스 권한에 대한 추가적인 체크 다음에만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다른 작동 모드로 재설정될 수 있다.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정비 작동 모드를 "정상 작동 모드"로 재설정하는 것은 전기 스위칭 소자(62)를 수동으로 동작(도 3)시키는 사용자를 무엇보다도 요구하고, 상기 전기 스위칭 소자는 샤프트(14) 내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을 재설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아울러, 전기 스위칭 소자(62)가 샤프트(14) 내에서 작동된 3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카 요구는, 사용자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이 재설정되는 순간에 샤프트(14) 외부에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최하부 플로어(46)와 그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48)에 대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10 엘리베이터 설비
12 엘리베이터 카
14 샤프트
16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
18 카운터웨이트
20 가이드 레일
22 가이드 레일
24 플로어
26 샤프트 도어
28 도어
30 샤프트 피트 액세스
32 샤프트 피트
34 삼면체
36 액세스 감시 유닛
38 블로킹 요소
40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
42 메모리 유닛
44 입력 유닛
46 최하부 플로어
48 다음으로 가장 높은 플로어
50 제어 유닛
52 정비 위치
54 정비 위치
56 잠금 수단
58 최상부 플로어
60 측벽
62 스위칭 소자

Claims (15)

  1.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을 갖고,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액세스 감시 유닛(36)은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액세스를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작동 모드들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작동 모드들 간 변경에 앞서 액세스 권한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을 갖고, 샤프트 액세스 제어 유닛(40)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는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동작 상태들에 대해 다른 목표 변수들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로의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을 나오는 정보 신호를 근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16)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작동 모드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로의 적어도 하나의 변경은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을 나오는 정보 신호를 근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보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12)를 기계적으로 막기 위한 잠금 수단(56)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은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38) 또는 인가된 전압을 근거로 그 작동 상태를 변경하는 인에이블링 요소를 포함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적으로 작동가능한 락(lock)이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인가된 전압을 근거로 그 작동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정비 동안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비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 모드에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적어도 최하부 플로어(46) 위의 샤프트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36) 및 적어도 두번째 플로어(48) 위의 샤프트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감시 유닛(36)에 대해 "열린(Open)" 작동 상태를, 그리고 다른 모든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에 대해서는 "닫힌(Closed)" 작동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제어 작동들이 요구되지 않고서 소정 주기가 경과한 후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현재 작동 모드를 안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12)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은 정비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설비(10)의 부품들을 정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12)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정비 위치들(52, 54)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드라이브 수단(16)은 작동 모드 동안 가장 높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아래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카(12)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2)의 열린 측벽(60)을 통해 정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세스 권한을 체킹하는 단계; 및
    요청된 작동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감시 유닛들(36)의 작동 상태에 대해 상기 요청된 작동 모드와 관련되고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액세스 영역에 저장되는 목표 변수들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감시 유닛들의 작동 상태를 규정하는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작동 방법.
  15. 제13항에 따른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의 샤프트 액세스 컨트롤 유닛(40)의 작동 모드를 재설정하기 위하여,
    샤프트(14) 내에 배치된 전기 스위칭 소자(62)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샤프트 내에서 전기 스위칭 소자(62)의 동작 후 소정 시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소정 플로어(24) 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 콜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작동 방법.
KR1020127019097A 2009-12-21 2010-12-0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KR101818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80110.0 2009-12-21
EP09180110 2009-12-21
PCT/EP2010/068583 WO2011076531A1 (de) 2009-12-21 2010-12-01 Schachtzugangsfreigabevorrichtung einer aufzug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39A KR20120138739A (ko) 2012-12-26
KR101818270B1 true KR101818270B1 (ko) 2018-01-12

Family

ID=4215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097A KR101818270B1 (ko) 2009-12-21 2010-12-0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2878B2 (ko)
EP (1) EP2516307B1 (ko)
KR (1) KR101818270B1 (ko)
CN (1) CN102753466B (ko)
CO (1) CO6511267A2 (ko)
ES (1) ES2541812T3 (ko)
WO (1) WO2011076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6619A1 (de) * 2011-03-21 2012-09-27 H. Henseler Ag Lift mit minimaler schachtkopfhöhe und mit permanentem schutzraum
FI125118B (fi) * 2013-01-07 2015-06-15 Kone Corp Hissi
EP2765108A1 (en) * 2013-02-06 2014-08-13 Kone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well access in an elevator
AU2014377913B2 (en) * 2014-01-16 2018-11-08 Kone Corporation Validity check of a license of a maintenance unit for accessing a controller of a passenger transportation/access device of a building
AU2015359627B9 (en) 2014-12-11 2018-12-20 Inventio Ag Unlocking device, elevator system having an un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actuating an unlocking device
US20170341909A1 (en) * 2014-12-12 2017-11-30 Nicolas Fonteneau Hoistway landing door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shaft
US9359171B1 (en) * 2015-01-20 2016-06-07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 lift installation and safety helmet as individual component of such a safety system
WO2016178050A1 (en) 2015-05-07 2016-11-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oistway access control
CN107810157B (zh) * 2015-06-30 2020-05-08 奥的斯电梯公司 井道中的电梯轿厢位置区域
WO2017017493A1 (en) 2015-07-28 2017-02-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from inside elevator car
EP3159295B1 (en) * 2015-10-22 2024-04-17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alarm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EP3184477B1 (en) * 2015-12-22 2019-07-24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maintenance operation of an elevator
EP3228575A1 (de) * 2016-04-04 2017-10-11 OSMA-Aufzüge Albert Schenk GmbH & Co.KG Türanordnung eines aufzugs mit verriegelung
EP3336039A1 (en) * 2016-12-15 2018-06-20 Otis Elevator Company Acces prevention systems for locks of elevator systems
US10112802B2 (en) * 2017-01-30 2018-10-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person collision protection system
EP3360837B1 (en) * 2017-02-13 2022-04-20 Otis Elevator Company Maintenance access system for elevators
EP3398900B1 (en) 2017-05-02 2019-12-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anding door lock safety system
ES2759442T3 (es) * 2017-05-05 2020-05-11 Kone Corp Sistema de ascensor y pantalla de contrapeso
US10414628B2 (en) * 2017-05-12 2019-09-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device with authorized access control
ES2817402T3 (es) 2017-06-22 2021-04-07 Otis Elevator Co Dispositivos de seguridad del bloqueo de la puerta del dintel del ascensor
ES2921228T3 (es) 2017-07-12 2022-08-22 Otis Elevator Co Dispositivo de bloqueo
US10889465B2 (en) 2017-07-31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US20190084796A1 (en) * 2017-09-15 2019-03-21 Otis Elevator Company Restricted access area safety system
CN109081213A (zh) * 2018-09-11 2018-12-25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限制区域安全监控系统
CN110424857B (zh) * 2019-07-17 2020-11-27 福建省高华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装配式钢结构竖井维修装置
ES2907860T3 (es) * 2019-09-26 2022-04-26 Otis Elevator Co Control del movimiento de una cabina de ascensor de un sistema de ascensor
BR112022011684A2 (pt) * 2019-12-17 2022-09-06 Inventio Ag Método para operar um elevador para uma inspeção
EP4274795A4 (en) * 2021-01-08 2024-01-24 Kone Corp CONTROL OF THE OPERATION OF A TRANS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0858B2 (ja) * 1992-08-07 1999-04-1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5644111A (en) * 1995-05-08 1997-07-01 New York City Housing Authority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DE19800714A1 (de) * 1998-01-09 1999-07-15 Kone Oy Verfahren zur Wartung einer Aufzugsanlage und Aufzugsanlage
US6202797B1 (en) * 1999-08-26 2001-03-20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protection of elevator mechanics
DE10108772A1 (de) * 2001-02-23 2002-11-21 Otis Elevator Co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US6630886B2 (en) * 2001-07-10 2003-10-07 Otis Elevator Company Top of elevator car inspection station with alarm
ITMI20012558A1 (it) * 2001-12-04 2003-06-04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US6847292B2 (en) * 2001-12-20 2005-01-25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unlocking of an access door of a building with an elevator
PE20040794A1 (es) * 2003-03-05 2004-12-22 Inventio Ag Prevencion de acceso no autorizado a cajas de ascensor
EP1466853A1 (de) * 2003-04-07 2004-10-13 Inventio Ag Verfahren zur Wartung eines Aufzuges
JP2007530391A (ja) 2004-03-31 2007-11-01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点検システム
JP2009511383A (ja) * 2005-10-05 2009-03-1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昇降路立入り検知に応答する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
SG139660A1 (en) * 2006-07-26 2008-02-29 Inventio Ag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car
EP1882666B1 (en) 2006-07-26 2013-10-09 Inventio AG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WO2009073001A1 (en) * 2007-12-03 2009-06-11 Otis Elevator Company Passive detection of persons in elevator hoistway
AU2011287656B2 (en) * 2010-08-04 2017-01-19 Inventio Ag Magnetic lock for an operating unit in an elevator system
RU2564433C2 (ru) * 2011-05-10 2015-09-27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Контроль за удале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подъёмной системой
US20120305340A1 (en) * 2011-05-31 2012-12-06 Ming-Yuan Wu Elevator, floor, and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41812T3 (es) 2015-07-24
EP2516307A1 (de) 2012-10-31
CN102753466A (zh) 2012-10-24
KR20120138739A (ko) 2012-12-26
US9272878B2 (en) 2016-03-01
US20120305334A1 (en) 2012-12-06
CN102753466B (zh) 2015-10-07
WO2011076531A1 (de) 2011-06-30
EP2516307B1 (de) 2015-04-01
CO6511267A2 (es)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27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샤프트 액세스 인에이블링 장치
RU232680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в шахту лифта
RU2478556C2 (ru) Схема возврата в исходное состояние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й цепи лифта
CN107108152B (zh) 解锁装置、具有解锁装置的电梯设备和用于操作解锁装置的方法
JP501009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9630804B2 (en) Method for providing well access in an elevator
EP3322661B1 (en) Deterrent device inhibition key
CN106956980B (zh) 电梯井道检修安全性
US20140076667A1 (en) Elevator with car movable in service mode
JP2017530918A (ja) 昇降路ドアのロック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
EP3230194A1 (en) Hoistway landing door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shaft
US20180171661A1 (en) Access prevention systems for locks of elevator systems
US20150075918A1 (en) Elevator
CN113213312A (zh) 带有移动紧急停止装置的电梯轿厢
US20180229967A1 (en) Elevator maintenance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EP1422182A1 (en) Safety mechanism for reduced elevator pit
US11542119B2 (en)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CN113321086A (zh) 用于控制与电梯轿厢相关的服务通道的系统
RU98284U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нормально открытым устройством преграждающим управляемым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