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47B1 -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47B1
KR101817147B1 KR1020160136294A KR20160136294A KR101817147B1 KR 101817147 B1 KR101817147 B1 KR 101817147B1 KR 1020160136294 A KR1020160136294 A KR 1020160136294A KR 20160136294 A KR20160136294 A KR 20160136294A KR 101817147 B1 KR101817147 B1 KR 10181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horizontal bar
couple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16013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7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지주대의 양쪽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지주프레임, 제1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바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방에 제1회동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부가 형성된 좌석프레임을 구비한 좌석유닛,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부와 함께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척추프레임을 구비한 등받이유닛, 상기 제1회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직바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회동부 및 상기 제2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유닛 및 척추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제3회동부 및 상기 발판유닛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Apparatus For Inversion and Stretching}
본 발명은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학생이나 직장인은 장기간 의자에 앉아서 공부나 업무를 하기 때문에 허리부분에 많은 무리가 가게 되어 허리디스크나 요통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고, 뇌의 혈류량이 감소하여 학습능률이 떨어지게 되는데,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을 하면, 디스크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고, 뇌에 잠시 동안 혈액을 보충하여 뇌혈관 질병을 앓을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꾸로 매달릴 수 있는 운동기구는 좌석과 등받이가 따로 회동되면서 기울어지는 것이 아닌 침대매트와 같은 일자형의 매트부가 전체로 기울어지는 단순한 기능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지루함을 느끼며, 굽어 있던 허리가 펴지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매트부를 기울여 사용자의 머리가 하부를 향하도록 신체 전부가 기울어지는 경우, 발걸이가 사용자의 발목을 완벽히 고정시키지 못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로부터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가 좌석부에 착석하고, 무릎을 펴서 발판유닛의 하부프레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사용자의 머리가 하부를 향하고 신체 전부가 일자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좌석유닛 및 등받이유닛이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단순히 좌석부에 착석해 있는 경우는, 스토퍼에 의해 제2발목받침부를 제1발목받침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발을 측면에서 쉽게 발판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발판유닛의 하부프레임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머리가 하부를 향하도록 신체 전부가 일자로 기울어지게 되면, 제2발목받침부가 중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제1발목받침부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이 발판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원형의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좌석유닛 및 등받이유닛이 수평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사용자가 운동기구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지주대의 양쪽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지주프레임, 제1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바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방에 제1회동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부가 형성된 좌석프레임을 구비한 좌석유닛,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부와 함께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척추프레임을 구비한 등받이유닛, 상기 제1회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직바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회동부 및 상기 제2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유닛 및 척추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제3회동부 및 상기 발판유닛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척추프레임의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좌석유닛 및 상기 등받이유닛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2수평부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발판유닛, 연결프레임, 좌석프레임 및 척추프레임이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유닛은 상단이 상기 제1회동부 및 상기 제2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에 상기 연결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회동부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에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발목받침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된 발판부 및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는 상기 고정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발목받침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발목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발판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발목받침부가 사용자의 발목을 상기 제1발목받침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맞닿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프레임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발판유닛의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부에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프레임에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좌석부에 착석하고, 무릎을 펴서 발판유닛의 하부프레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좌석유닛 및 등받이유닛이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는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고, 굽었던 허리가 일자로 펴지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발판유닛의 접힘부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이 상기 발판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원형의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좌석유닛 및 등받이유닛이 수평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사용자가 운동기구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배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발판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개략적으로, 지주프레임(100), 보조프레임(250), 좌석유닛(300), 등받이유닛(500), 메인프레임(270), 발판유닛(700) 및 연결프레임(800)으로 구성된다.
지주프레임(100)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주대(110)로부터 양쪽으로 기립되어 설치된다.
보조프레임(250)은 제1수평바(252) 및 상기 제1수평바(252)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수직바(255)로 구성되며, 상기 제1수직바(255)는 지주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수직바(255)가 지주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단은 힌지결합, 베어링결합 등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한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좌석유닛(300)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310) 및 상기 좌석부(3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석프레임(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석프레임(350)의 전단에는 제1회동부(353)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보조프레임(250)의 제1수평바(25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부(357)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회동부(353) 및 제2회동부(357)는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50)의 제1수평바(252)가 회동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과 같은 별도의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수평바(252)의 통공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타 다른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회동 또는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에는 회동 또는 회전 가능한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등받이유닛(500)은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이(560) 및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척추프레임(5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는 좌석프레임(350)의 제2회동부(357)와 함께 보조프레임(250)의 제1수평바(2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등받이유닛(500)의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 좌석프레임(350)의 제2회동부(357) 및 보조프레임(250)의 제1수평바(252)가 동일한 지점을 축으로 하여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메인프레임(270)은 좌석프레임(350)의 제1회동부(35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272) 및 상기 제2수평바(272)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바(275)로 구성되며, 상기 제2수직바(275)는 지주프레임(100)의 상부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70)의 제2수평바(27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좌석프레임(350)의 제1회동부(353)에는 후술할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의 상단도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의 상단, 좌석프레임(350)의 제1회동부(353) 및 메인프레임(270)의 제2수평바(272)가 동일한 지점을 축으로 하여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프레임(800)은 척추프레임(550)의 하단에 형성된 제3회동부(557) 및 후술할 발판유닛(700)의 제4회동부(78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좌석프레임(350), 하부프레임(710),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 및 연결프레임(800)이 사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4개의 회동부(제1,2,3,4 회동부)을 기준으로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판유닛(7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석부(310)에 안착하여,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연결프레임(800) 및 척추프레임(550)의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되므로, 결과적으로 좌석유닛(300) 및 등받이유닛(500)이 후방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 즉, 제3회동부(557)로부터 제2회동부(357)까지의 길이(L1)가 상기 제2회동부(357)로부터 척추프레임(550)의 상단까지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짧으므로, 좌석유닛(3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보다 등받이유닛(5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더 크게 된다.
그리고,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연결프레임(800)이 전방으로 회동될 때,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 부분(L1)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아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꼬리부(553) 부분(L1)은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일정 각도로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제1회동부(353)에 연결된 메인프레임(270)의 제2수평바(272) 및 제2회동부(357)에 연결된 보조프레임(250)의 제1수평바(252) 역시 일정 각도로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유닛(300)과 등받이유닛(500)이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 연결프레임(800), 좌석프레임(350) 및 척추프레임(550)이 모두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좌석부(310)에 착석하고, 무릎을 펴서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사용자의 머리가 하부를 향하고 신체 전부가 일(ㅡ)자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좌석유닛(300) 및 등받이유닛(500)이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과 역순으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혀서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다시 좌석부(310)에 착석한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고, 굽었던 허리가 일자로 펴지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판유닛(700)은 하부프레임(710), 고정부(720), 제1발목받침부(730), 발판부(740) 및 접힘부(750)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710)의 상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동부(353) 및 메인프레임(270)의 제2수평바(27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710)의 후면에는 연결프레임(80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회동부(78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800)의 타단은 척추프레임(550)의 하단에 형성된 제3회동부(557)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3회동부(557)는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를 통해 제2회동부(357)와 연동하여 회동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좌석프레임(350), 하부프레임(710), 척추프레임(550)의 꼬리부(553) 및 연결프레임(800)이 사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4개의 회동부(제1,2,3,4 회동부)를 기준으로 연동하여 회동되므로,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결과적으로 좌석유닛(300) 및 등받이유닛(500)이 후방으로 회동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발목받침부(730)는 하부프레임(7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에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발목받침부(730)는 사용자가 좌석부(310)에 착석한 경우, 발목의 뒷부분을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발목받침부(730)는 스펀지 등의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목이 움직이는 경우,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하부프레임(7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프레임(710)의 하단에는 고정부(72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발판부(740)는 사용자의 발을 안착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고정부(7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발판부(740)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7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743)에는 후술할 접힘부(750)의 플레이트부(755)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접힘부(750)는 고정부(72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레이트부(755) 및 제2발목받침부(757)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755)는 고정부(7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경사플레이트(752) 및 상기 경사플레이트(752)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753)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플레이트(752)의 상부 내측은 회동축부(759) 등의 회동 또는 회전 수단으로 고정부(72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발목받침부(757)는 전술한, 제1발목받침부(730)와 대응되는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753)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발목받침부(757)는 사용자의 발목 앞부분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발목받침부(757) 역시, 스펀지 등의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목이 움직이는 경우,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수직플레이트(7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플레이트(752)의 하부 내측에는 고정부(720)의 전단에 맞닿는 스토퍼(7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760)는 사용자가 좌석부(310)에 착석한 경우, 제2발목받침부(757)가 제1발목받침부(73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755)가 과도하게 하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토퍼(760)에 의해, 제2발목받침부(757)가 제1발목받침부(73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발을 측면에서 쉽게 발판부(740)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755)는 고정부(7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석부(310)에 착석하고, 발판부(740)에 발을 안착하고, 무릎을 전방으로 펴서,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이 전방으로 회동되면, 좌석유닛(300) 및 등받이유닛(500)이 후방으로 회동되고, 플레이트부(755) 및 제2발목받침부(757), 즉, 접힘부(750)는 중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된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755)는 가이드홈(743)을 따라 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발목받침부(757) 역시 후방으로 회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2발목받침부(757)가 사용자의 발목을 제1발목받침부(730)에 밀착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좌석부(310)에 착석해 있는 경우는, 스토퍼(760)에 의해 제2발목받침부(757)가 제1발목받침부(73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발을 측면에서 쉽게 발판부(740)에 안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머리가 하부를 향하도록 신체 전부가 일(ㅡ)자로 기울어지게 되면, 제2발목받침부(757)가 중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제1발목받침부(730)에 밀착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발목이 발판유닛(7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 즉, 사용자가 운동기구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주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에는 상기 걸림부(130)에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대(7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대(770)가 걸림부(130)에 맞닿음으로써, 발판유닛(700)의 하부프레임(710)이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원형의 손잡이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석부(310)에 착석한 경우는, 상기 손잡이부(150)의 상부를 파지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판유닛(70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좌석유닛(300) 및 등받이유닛(500)이 일정각도로 회동된 경우는 상기 손잡이부(150)의 중앙부를 파지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전부가 일(ㅡ)자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좌석유닛(300) 및 등받이유닛(500)이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룰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는 상기 손잡이부(150)의 하부를 파지함으로써, 전술한 접힘부(750)의 발목 고정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지주프레임 110: 지주대
130: 걸림부 150: 손잡이부
250: 보조프레임 252: 제1수평바
255: 제1수직바 270: 메인프레임
272: 제2수평바 275: 제2수직바
300: 좌석유닛 310: 좌석부
350: 좌석프레임 353: 제1회동부
357: 제2회동부 500: 등받이유닛
550: 척추프레임 553: 꼬리부
557: 제3회동부 560: 등받이
700: 발판유닛 710: 하부프레임
720: 고정부 730: 제1발목받침부
740: 발판부 743: 가이드홈
750: 접힘부 752: 경사플레이트
753: 수직플레이트 755: 플레이트부
757: 제2발목받침부 759: 회동축부
760: 스토퍼 770: 걸림대
780: 제4회동부 800: 연결프레임

Claims (10)

  1. 지주대의 양쪽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지주프레임;
    제1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바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단에 제1회동부가 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부가 형성된 좌석프레임을 구비한 좌석유닛;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부와 함께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척추프레임을 구비한 등받이유닛;
    상기 제1회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직바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회동부 및 상기 제2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유닛; 및
    상기 척추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제3회동부 및 상기 발판유닛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척추프레임의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좌석유닛 및 상기 등받이유닛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1수평바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2수평바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발판유닛, 연결프레임, 좌석프레임 및 척추프레임이 모두 경사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은
    상단이 상기 제1회동부 및 상기 제2수평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에 상기 연결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회동부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에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발목받침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된 발판부; 및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힘부;
    를 포함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고정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발목받침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발목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발판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발목받침부가 사용자의 발목을 상기 제1발목받침부에 밀착시키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맞닿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발판유닛의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부에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대가 더 형성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0160136294A 2016-10-20 2016-10-20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81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94A KR101817147B1 (ko) 2016-10-20 2016-10-20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94A KR101817147B1 (ko) 2016-10-20 2016-10-20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147B1 true KR101817147B1 (ko) 2018-01-11

Family

ID=6100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294A KR101817147B1 (ko) 2016-10-20 2016-10-20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7283A (zh) * 2018-12-17 2019-06-07 吉首大学 一种后空翻练习装置
KR102459992B1 (ko) * 2022-01-24 2022-10-27 주식회사 가림금속 거꾸리 운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8911A (ja) 2013-04-15 2016-06-30 チョン、テグン 椅子機能を有した逆立ち運動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8911A (ja) 2013-04-15 2016-06-30 チョン、テグン 椅子機能を有した逆立ち運動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7283A (zh) * 2018-12-17 2019-06-07 吉首大学 一种后空翻练习装置
KR102459992B1 (ko) * 2022-01-24 2022-10-27 주식회사 가림금속 거꾸리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4199B1 (da) Indretning til en stol, f.eks. en kombinationsstol
JP2019513526A (ja) エクササイズ手段を有する椅子
US4358109A (en) Adjustable exercise bench
US6543853B1 (en) Massage chair
JPS58218960A (ja) 重力利用けん引装置
JP2008220978A (ja) 折畳み型運動装置
JP5219149B2 (ja) 脊髄治療装置
KR101546974B1 (ko) 목 운동기구
US20180325338A1 (en) Adjustable footrest with book holder
KR101817147B1 (ko)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US20020183662A1 (en) Veins and arteries massager
US3379434A (en) Exercising apparatus to aid in the practice of yoga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101537195B1 (ko) 척추 견인용 다기능 의자
US5054144A (en) Tiltable and horizontally adjustable leg or foot rest
KR101319111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JP2974277B2 (ja) ストレッチング台
KR20210131123A (ko) 뱃살 운동기구
JP4347014B2 (ja) 簡易便器
KR200257057Y1 (ko) 의자용 발 받침대
JPH0123492Y2 (ko)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2587805B1 (ko)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KR200493808Y1 (ko) 런지운동머신
RU2816599C1 (ru) Комплект мебели, стол, сту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