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111B1 -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111B1
KR101319111B1 KR1020100106312A KR20100106312A KR101319111B1 KR 101319111 B1 KR101319111 B1 KR 101319111B1 KR 1020100106312 A KR1020100106312 A KR 1020100106312A KR 20100106312 A KR20100106312 A KR 20100106312A KR 101319111 B1 KR101319111 B1 KR 10131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frame
body frame
suppor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806A (ko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주)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젬텍 filed Critical (주)젬텍
Priority to KR102010010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1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8Standing on the 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수평 체결대와, 수평 체결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대를 구비하는 바디 프레임; 수평 체결대의 양단에 체결되어 바디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의 수평 체결대 체결 부분에 장착되어 바디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회동 중 수평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회동축; 및 바디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수평판과, 제1 수평판에 수평으로 밀착되며 수평 고정 상태에서 하방 절곡 또는 좌우방향 회동으로 허리 운동이 가능한 제2 수평판을 구비하는 등받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허리의 이완 운동과 아울러, 허리 꺾기와 허리 비틀기 등의 다양한 허리 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허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지루함을 제거하여 즐겁게 장시간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APPARATUS FOR HEADSTANDING PRACTICE}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홍보와 현대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섭취 칼로리를 고려한 식생활 개선과 더불어, 다양한 운동을 통하여 건강관리를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에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것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여 척추 마디 사이를 이완시켜주고 삐뚤어진 척추를 곧게 펴주며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운동기구이다.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등받이판을 지지 프레임과 회동축으로 결합하여 상하 방향 회동시키는 것으로, 척추와 허리 근육 등 허리 운동에 도움을 주고 있으나, 허리를 이완시키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허리 운동 효과가 높지 못하며, 단순 회전 및 이완 운동으로 사용자의 지루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여성과 노약자 사용시 작동 미숙과 회동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허리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성이나 노약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확보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수평 체결대와, 수평 체결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대를 구비하는 바디 프레임; 수평 체결대의 양단에 체결되어 바디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의 수평 체결대 체결 부분에 장착되어 바디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회동 중 수평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회동축; 및 바디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수평판과, 제1 수평판에 수평으로 밀착되며 수평 고정 상태에서 하방 절곡 또는 좌우방향 회동으로 허리 운동이 가능한 제2 수평판을 구비하는 등받이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회동축의 회동 상태 또는 고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와, 제2 수평판의 절곡 상태 또는 회동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과, 제어 기판의 제어 상태를 입력하고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수평 체결대에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바디 프레임의 회동시 지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손잡이와, 지지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제2 수평판의 절곡 또는 회동시 지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2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지지 프레임은 지면에 밀착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 프레임의 전측에 체결되며 후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 프레임의 후측에 체결되며 전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는 제3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좌우 양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 형상을 이루며, 제1 지지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체결 부분이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제3 지지 프레임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허리의 이완 운동과 아울러, 허리 꺾기와 허리 비틀기 등의 다양한 허리 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허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지루함을 제거하여 즐겁게 장시간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여성이나 노약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물구나무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등받판의 절곡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등받판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지지 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바디 프레임(110), 지지 프레임(120), 회동축(130) 및 등받이판(140)을 포함한다.
바디 프레임(110)은 수평 체결대(111)와, 수평 체결대(1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대(11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바디 프레임(110)은 사용자가 누워서 운동을 하기 위한 지지 수단으로, 바디 프레임(110)의 상부 전측에는 별도의 등받이판(14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받칠 수 있고, 하부의 다리 고정대(112)의 끝단에는 복수의 수평 고정대(112a)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수평 체결대(111)는 바디 프레임(110)이 거꾸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120)에 체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지지 프레임(120)은 수평 체결대(111)의 양단에 체결되어 바디 프레임(1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20)은 바디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의 지지 프레임(120a, 120b)은, 지면에 밀착되는 제1 지지 프레임(121)과, 제1 지지 프레임(121)의 전측에 체결되며 후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122)과, 제1 지지 프레임(121)의 후측에 체결되며 전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지지 프레임(122)과 체결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즉, 좌우 양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 형상을 이룸으로써, 바디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20)을 가로질러 좌우 양측의 제2 지지 프레임(122)의 중간 부분에 장착되는 회동 방지대(124)를 구비하여 바디 프레임(110)이 바로 선 상태에서는 다리 고정대(112)의 후면이 접촉되어 사용자의 전방 회동을 방지하고, 바디 프레임(110)이 거꾸로 선 상태에서는 등받이판(140)의 후면이 접촉되어 180° 회동 후, 더 이상의 사용자의 전방 회동을 방지하여, 사고를 사전에 차단한다.
회동축(130)은 지지 프레임(120)의 수평 체결대(111) 체결 부분에 장착되어 바디 프레임(11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바디 프레임(110)의 회동 중 수평 상태의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회동축(130)은 바디 프레임(110)과 지지 프레임(120)을 좌우 양측에서 연결하여 바디 프레임(110)을 180° 회동시키되, 바디 프레임(110)이 수평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동축(130)의 외주면에 수평 고정홈을 형성하고, 이와 체결되는 수평 고정돌기를 회동축(130)의 지지 구조에 형성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수평 고정홈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고정홈을 회동축(1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바디 프레임(110)의 회동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구조로서, 회동축(130)에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여 모터의 구동력과 제동력으로 각도의 조절 및 수평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회동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일부분의 회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회동축(130)에 장착되는 모터는 구동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있다.
또한, 다른 구조로서, 지지 프레임(120)을 가로질러 좌우 양측의 제3 지지 프레임(123)의 중간 부분에 장착되는 수평 지지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여, 바디 프레임(110)이 후방으로 90° 회동한 후,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수평 지지대는 본래의 물구나무서기 기능을 위해 탈착 가능한 구조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구조로서, 회동축(130) 상에 형성되며 회동 동작에 따르도록 후측 하방으로 만곡되는 제2 손잡이(152)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제2 손잡이(152)를 쥐고 지지하는 힘으로 수평 상태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등받이판(140)은 바디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제1 수평판(141)과, 제1 수평판(141)에 수평으로 밀착되며 수평 고정 상태에서 하방 절곡 또는 좌우방향 회동으로 허리 운동이 가능한 제2 수평판(14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등받이판(140)은 운동 중 사용자의 상체를 받치는 기본적인 기능을 행하며, 아울러 다양한 허리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판재(141, 142)로 구비된다. 즉, 제2 수평판(142)은 바디 프레임(110)이 수평인 상태에서 제1 수평판(141)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곡되거나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작을 한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수평 체결대(111)에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바디 프레임(110)의 회동시 지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손잡이(151)와,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제2 수평판(142)의 절곡 또는 회동시 지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2 손잡이(152)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손잡이(151)는 바디 프레임(110) 회동시 함께 회동하여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을 할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손잡이(152)는 회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되, 사용자의 회동 동작에 따르도록 후측 하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 수평판(142)을 회동시키는 허리 비틀기 운동이나, 제2 수평판(142)을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허리 꺾기 운동을 할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는 제2 손잡이(152)의 잡는 부분을 후측 하방으로 달리함으로써, 바디 프레임(110)을 서서히 회동시킬 수 있거나 회동시 안정적으로 몸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손잡이(151, 152)를 쥐고 운동을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운동할 수 있으며, 회동 중 신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허리의 이완 운동과 아울러, 허리 꺾기와 허리 비틀기 등의 다양한 허리 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허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지루함을 제거하여 즐겁게 장시간 운동할 수 있으며, 여성이나 노약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동작 특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물구나무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지지 프레임(120)에 대하여 바디 프레임(110)이 후측 하방으로 180° 회동되어 물구나무선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것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여 척추 마디 사이를 이완시켜주고 삐뚤어진 척추를 곧게 펴주며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운동이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2 손잡이(152)를 잡고 수동으로 회동하거나, 회동축(130)에 장착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물구나무선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제1 손잡이(151)를 잡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등받이판의 저면도이고, 도 4의 (b)는 등받이판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제1 수평판(141)과 제2 수평판(142)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제1 수평판(141)에 대해 제2 수평판(142)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제1 등받이 회동축(143)과, 제1 등받이 회동축(143)의 중앙에서 제1 수평판(141)에 연장되어 체결되며, 제1 수평판(141)에 대해 제2 수평판(142)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등받이 회동축(144)과, 제1 수평판(141)과 제2 수평판(142)의 후면에 장착되며, 제1 수평판(141)에 대한 제2 수평판(142)의 수평 상태를 지지하고 제2 수평판(142)의 절곡과 회동에 대한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는 등받이 지지대(145)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받이 지지대(145)는, 제1 수평판(141)의 후면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제2 수평판(142)의 후면 상으로 연장되는 지지바(145a)와, 지지바(145a)의 끝단에서 제2 수평판(142)의 후면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45b)로 구성되어 상술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지지대(145)는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등받이 회동축(143)과 제2 등받이 회동축(144)에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여 모터의 구동력과 제동력으로 자동으로 회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등받이 지지대(145)를 장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등받판의 절곡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지지 프레임(120)에 대하여 바디 프레임(110)이 후측 하방으로 90° 회동되어 수평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누워 있는 자세를 유지한 다음, 제2 수평판(142)의 하방 절곡으로 허리를 뒤로 꺾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등받이 지지대(145)가 구비된 경우, 제2 손잡이(152)를 잡고 등받이 지지대(145)의 반발력에 대응하는 허리힘으로 제2 수평판(142)을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허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등받이 회동축(143)과 제2 등받이 회동축(144)에 모터가 구비된 경우, 자동으로 허리 근육을 수축과 이완시키는 허리 꺾기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허리 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의 경우는 근육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인에게 적합하며, 후자의 경우는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노약자에가 적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등받판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지지 프레임(120)에 대하여 바디 프레임(110)이 후측 하방으로 90° 회동되어 수평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누워 있는 자세를 유지한 다음, 제2 수평판(142)의 좌우 방향 회동으로 허리 비틀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등받이 지지대(145)가 구비된 경우, 제2 손잡이(152)를 잡고 등받이 지지대(145)의 반발력에 대응하는 허리힘으로 제2 수평판(142)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허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등받이 회동축(143)과 제2 등받이 회동축(144)에 모터가 구비된 경우, 자동으로 허리 근육을 수축과 이완시키는 허리 비틀기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허리 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의 경우는 근육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인에게 적합하며, 후자의 경우는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노약자에가 적합하다.
한편, 허리 꺾기 운동과 허리 비틀기 운동은 모두 근육의 강화 또는 근육의 유연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운동 부위과 운동 효과에 일부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들 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허리 운동 효율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 상태에서 운동을 하므로, 직립 상태에서의 체중에 의한 허리 운동의 부담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지지 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제1 지지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은 체결 부분이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제3 지지 프레임(123)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 및 도 2와 같이 사용 상태에서, 제3 지지 프레임(123)을 분리한 후 제1 지지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을 서로 회동하여 접힌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회동축의 회동 상태 또는 고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과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와, 제2 수평판의 절곡 상태 또는 회동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과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모터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서 상술한, 회동축(130)에 구비되는 모터에 해당하며, 제2 모터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서 상술한, 제1 등받이 회동축(143)과 제2 등받이 회동축(144)에 구비되는 모터에 해당하므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구조적 특성 및 동작 특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과, 제어 기판의 제어 상태를 입력하고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원하는 제어 상태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운동 상태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패널로 구성할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사용자의 운동 중 조작이 용이하며,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회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바디 프레임
111 : 수평 체결대
112 : 다리 고정대
112a : 수평 고정대
120, 120a, 120b : 지지 프레임
121 : 제1 지지 프레임
122 : 제2 지지 프레임
123 : 제3 지지 프레임
124 : 회동 방지대
130 : 회동축
140 : 등받이판
141 : 제1 수평판
142 : 제2 수평판
143 : 제1 등받이 회동축
144 : 제2 등받이 회동축
145 : 등받이 지지대
145a : 지지바
145b : 탄성체
151 : 제1 손잡이
152 : 제2 손잡이

Claims (5)

  1. 수평 체결대와, 상기 수평 체결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대를 구비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수평 체결대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수평 체결대 체결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회동 중 수평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회동축;
    상기 바디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수평판과, 상기 제1 수평판에 수평으로 밀착되며 수평 고정 상태에서 하방 절곡 또는 좌우방향 회동으로 허리 운동이 가능한 제2 수평판을 구비하는 등받이판;
    상기 수평 체결대에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의 회동시 지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수평판의 절곡 또는 회동시 지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2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지면에 밀착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전측에 체결되며 후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측에 체결되며 전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는 제3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좌우 양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체결 부분이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회동 상태 또는 고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2 수평판의 절곡 상태 또는 회동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과, 상기 제어 기판의 제어 상태를 입력하고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00106312A 2010-10-28 2010-10-28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31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12A KR101319111B1 (ko) 2010-10-28 2010-10-28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12A KR101319111B1 (ko) 2010-10-28 2010-10-28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06A KR20120044806A (ko) 2012-05-08
KR101319111B1 true KR101319111B1 (ko) 2013-10-17

Family

ID=4626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12A KR101319111B1 (ko) 2010-10-28 2010-10-28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4206B1 (en) 2013-05-11 2023-12-20 Boncelj JOZE The device for general and sports physiotherapy
KR200482455Y1 (ko) * 2014-12-02 2017-01-26 모영택 타이머 기울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척추 재활 치료기
CN108704278A (zh) * 2018-04-16 2018-10-26 江西师范大学 一种新型人体倒立健身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195A (ko) * 2004-08-06 2006-02-09 김형준 운동기구
KR20060034614A (ko) * 2004-10-19 2006-04-24 김석규 물구나무서기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0661129B1 (ko) * 2004-04-06 2006-12-26 주식회사 톨플러스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70010485A (ko) * 2005-07-19 2007-01-24 최향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129B1 (ko) * 2004-04-06 2006-12-26 주식회사 톨플러스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60013195A (ko) * 2004-08-06 2006-02-09 김형준 운동기구
KR20060034614A (ko) * 2004-10-19 2006-04-24 김석규 물구나무서기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70010485A (ko) * 2005-07-19 2007-01-24 최향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06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1128B2 (en) Exercising apparatus
US6840892B1 (en) Recuperating machine
CN102284178B (zh) 倒立健身装置
CN104324480B (zh) 多功能、多固定模式综合训练器
CN205759430U (zh) 一种多功能按摩椅
TW200934553A (en) Standing-position type passive exercise machine
JP3205570U (ja) 足部リハビリ機器
TWM522050U (zh) 腰腹運動健身椅
KR101319111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TW201103604A (en) Exercise apparatus
KR10096584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130122228A (ko) 운동 장치
KR101078774B1 (ko) 물구나무 운동 겸용 다기능 운동기구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CA2485140C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CN108392781A (zh) 一种腿部锻炼健身椅
CN209236729U (zh) 多功能甩脂机
RU102304U1 (ru) Стул для развития мышц позвоночника
CN208160909U (zh) 一种腿部锻炼健身椅
CN207493117U (zh) 一种全自动健身运动椅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20160001422A (ko) 발끝 치기 기능을 구비하는 발 및 다리 운동기구
CN218484092U (zh) 一种多功能健身椅
KR101631798B1 (ko)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