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129B1 - 스트레칭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129B1
KR100661129B1 KR1020040091918A KR20040091918A KR100661129B1 KR 100661129 B1 KR100661129 B1 KR 100661129B1 KR 1020040091918 A KR1020040091918 A KR 1020040091918A KR 20040091918 A KR20040091918 A KR 20040091918A KR 100661129 B1 KR100661129 B1 KR 10066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body support
support
user
stretching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228A (ko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톨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톨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톨플러스
Publication of KR2004011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허리 부위가 승강되는 구조와 사용자의 발목을 견인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받침대와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대로 구분된 신체 받침대와, 상기 하체 받침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발목을 고정하고 견인하는 발목 고정부와, 상기 신체 받침대와 발목 고정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로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체 받침대와 하체 받침대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며, 상기 발목 고정부는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인접 부위의 좌우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상하 작동 및 상기 발목 고정부의 전, 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체 받침대, 상체 받침프레임, 연결부재, 승강수단, 신축실린더, 발목 고정부, 안마수단, 저주파 패드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기구{EXERCISE APPARATUS FOR STRETCH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안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세워 보관할 때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단계별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체 받침대 10a : 상체 받침대
10b : 하체 받침대 11 : 상체 받침매트
12 : 상체 받침프레임 12a : 고정홀
13 : 하체 받침매트 14 : 하체 받침프레임
14a : 가이드통로 15 : 연결부재
16 : 중간지지대 17 : 바퀴
18 : 손잡이 20 : 승강수단
21 : 승강부재 22 : 바퀴
23 : 스프링 24 : 로프
25 : 신축실린더 26 : 가이드핀
27 : 유압모터 30 : 발목 고정부
31 : 발목 고정부재 32 : 발목 고정받침대
33 : 슬라이딩 부재 34 : 가이드브래킷
34a : 가이드장공 40 : 고정 지지대
41 : 측면판재 42 : 연결봉
43 : 바퀴 44 : 고정홀
45 : 고정핀 50 : 저주파 자극기
52 : 저주파 패드 60 : 안마수단
61 : 안마롤러 62 : 롤러지지대
62a : 암나사공 63 : 나사봉
64 : 구동모터 65 : 안내레일
66 : 축지지구 70 : 스위치
본 발명은 키 성장을 도와주고 체형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척추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허리 부위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또한 하체의 관절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발목을 견인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 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스트레칭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 및 척추 부위의 근육이 스트레칭에 보다 잘 적응될 수 있도록 스트레칭 안마기능이 더 부가된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키가 결정되는 요인으로는 유전, 영양, 환경, 정신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며, 이중 70% 이상이 후천적인 외적 요인에 속한다. 이러한 후천적인 외적 요인에 의해 다리 장골의 발육 및 척추의 발육이 저하되거나 인체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정상적인 성장이 방해된다.
부연 설명하면, 우리 인체는 뼈의 골단과 골단 사이에 있는 성장판에서 양쪽으로 성장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바르지 못한 생활자세와, 누구나 직립보행을 하게 되고, 지구의 중력으로 자유로울 수 없어 중량의 상반신이 하체에 지탱하게 됨에 따라 허리와 등이 휘는 현상이 생기며, 아울러 성장판이 압박을 받게 되어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해 성장촉진이 저해되는 것이다.
또한 신체발육에 있어 잘못된 생활습관 및 자세로 인하여 다리가 휘어서 오다리나 안짱다리 등으로 불균형된 체형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신을 잡아 늘이듯이 하는 스트레칭 운동을 매일 일정 시간씩 꾸준히 하게 되면, 근육 및 골격의 신장 작용에 의해 체형도 바르게 교정될 수 있고, 성장판의 압박을 완화시켜 주므로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줌으로써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도와준다.
최근에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레칭 운동을 물리적으로 보조하는 각종 운동기구들이 개발된 바 있다.
일예로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탄성 밴드의 일단을 소정 고정체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발목에 묶은 다음, 손으로 탄성 밴드를 당기면서 바닥에 누워 몸무게와 늘어난 탄성 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발목을 당기는 작용을 하는 벨트 타입의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있으며, 또 다른 일예로 등받침 프레임에 대해 발목 견인 프레임이 진퇴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등받침 프레임에 상체를 결박시키고 발목 견인 프레임에 발목을 결박시킨 상태에서 핸들조작으로 수나사봉의 수동 회전에 의한 암나사의 이동에 의해 발목 견인 프레임을 이동시킴으로써 발목을 견인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크류 방식의 운동기구 등이 있었다.
그런데, 전자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팔의 힘으로 탄성밴드를 당겨야 하는 것이므로 팔 힘이 약한 어린이 등에게는 완벽한 스트레칭 효과를 볼 수 없고, 또한 사용자 자신의 힘으로 스트레칭을 하게 함으로써 힘이 들어 쉽게 싫증이 나게 되어 중도에서 스트레칭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좌우 팔 힘이 상이하여 한 쪽으로만 힘이 많이 작용하여 좌우 균일한 스트레칭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발목 견인 프레임을 등받침 프레임에 대해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핸들레버의 회전으로 나사봉이 회전되고 이 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이에 결합된 암나사가 이동되며 상기 암나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발목 견인 프레임이 발목 견인 작용하는 수동 구조로써, 이와 같은 수동 구조 는 핸들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많은 힘이 소요되고 발목의 견인시 쉽게 상체가 따라가지 못하도록 상체를 결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체 결박에 따른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장치들은 단순히 인체의 발목을 견인하는 정도로만 되어 있어 인체의 허리 및 척추 부분에 대한 유기적인 스트레칭 운동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허리 부위가 승강되는 구조와 사용자의 발목을 견인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 할 수 있는 한편 유기적인 스트레칭 작동구조를 가지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 및 척추 부위의 근육이 스트레칭에 보다 잘 적응될 수 있도록 스트레칭 안마기능이 더 구비된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부위의 성장판이 자극되도록 저주파 자극기능과 온열기능을 가지는 저주파 자극 패드를 더 구비한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상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받침대와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대로 구분된 신체 받침대와, 상기 하체 받침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발목을 고정하고 견인하는 발목 고정부와, 상기 신체 받침대와 발목 고정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로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체 받침대와 하체 받침대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며, 상기 발목 고정부는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인접 부위의 좌우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상하 작동 및 상기 발목 고정부의 전 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수단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승강수단이 상승 작동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를 더 신장하면 전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체 받침대가 상체 받침대와 하체 받침대를 접철하여 보관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체 받침대에 척추 주변을 척추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하는 안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절부위에 대한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위하여 온열기능을 추가한 저주파 자극 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안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세워 보관할 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허리 상승동작을 통하여 척추를 신장시키고, 또한 발목 견인동작을 통하여 하체의 관절(고관절, 무릅관절, 발목관절)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신체 받침대(1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상체 부위와 하체부위를 구분하여 놓일 수 있게 상체 받침대(10a)와 하체 받침대(10b)로 구성되고, 상기 상체 받침대(10a)와 하체 받침대(10b)의 사이에는 연결부재(15)에 의하여 링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5)는 승강수단(20)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체 받침대(10b)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 고정부(30)가 있으며, 상기 하체 받침대(10b)와 발목 고정부(3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목 고정부(30)는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유압실린더 등의 동력전달 수단에 의하여 전, 후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5)의 인접 부위의 좌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신체 받침대(10)에 누울 때 상체 및 하체 부위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을 수 있는 손잡이(18)가 설치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8)의 특정 위치에는 상기 승강수단(20)의 상하 작동 및 상기 발목 고정부의 전 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업(UP), 다운(DOWN) 스위치(7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상기 상체 받침대(10a)에 사용자의 척추 주변을 척추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하는 안마수단(6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관절부위에 대한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위하여 온열기능을 추가한 저주파 자극 패드(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위의 상승 동작과 발목의 견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신체 받침대(10), 승강수단(20), 발목 고정부(30) 및 고정 지지대(4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신체 받침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신체 받침대(10)는 평평한 형상으로 사용자가 누웠을 때 상체 부위가 놓이는 상체 받침대(10a)와 하체 부위가 놓이는 하체 받침대(10b)로 구성되고, 상기 상체 받침대(10a)는 상체 받침매트(11) 및 상체 받침프레임(12)로 되어 있고, 상기 하체 받침대(10b)는 하체 받침매트(13) 및 하체 받침프레임(14)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신체 받침대(10)는 중간부분이 꺾이어 굽어지거나 최대 접어질 수 있도록 상체 받침프레임(12) 및 상기 하체 받침프레임(14)은 서로 인접한 단부간에 연 결부재(15)에 의해 링크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5)는 한쪽이 상체 받침프레임(12)쪽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한쪽이 하체 받침프레임(14)쪽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체 받침프레임(12) 및 하체 받침프레임(14)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15)의 하부에는 상기 상체 받침프레임(12) 및 하체 받침프레임(14)이 지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중간지지대(16)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5)의 인접 부위의 좌우에는 사용자가 신체 받침대(10)에 누웠을 때 상체 및 하체 부위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을 수 있는 손잡이(18)가 설치된다.
상기 상체 받침프레임(12)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부재(15)가 상하로 승강 이동될 경우 상기 상체 받침대(10a)도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상체 받침대(10a)가 지면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형 바퀴(17)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17)는 이동시에 소음이 적게 나고 원활하게 이동되기 위하여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신체 받침대(10)에 사용자가 누웠을 때 허리부위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위하여 상기 상체 받침대(10a)와 상기 하체 받침대(10b)의 사이에 링크 연결된 연결부재(15)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승강수단(20)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15)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접지되며 중간부위에는 연결 바가 형성된 'H'형상으로 된 승강부재(21)와, 상기 승강부재(21)의 연결 바에 연결된 로프(24)와, 상기 로프(24)를 수 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25)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21)에서 지면에 접지되는 단부에는 상기 로프(2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면상에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형 바퀴(22)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승강부재(21)는 상기 상체 받침프레임(12)에 연결된 스프링(23)에 연결되어 있어 로프에 무부하 작용시 상체 받침프레임(12)쪽으로 탄력있게 근접된다.
상기 로프(24)가 신축 실린더(25)에 의하여 전후방향의 수평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로프(24)에 연결된 상기 승강부재(21)의 상기 바퀴(22)가 지면을 구르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21)의 상단부는 상하이동을 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승강부재(21)와 힌지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15)가 상하 이동하게 되고, 결국 신체 받침대(10)의 중간부분이 상승, 하강되어 허리부위를 신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21)는 상기 신체 받침대(1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 때에는 상기 상체 받침프레임(12)의 경사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부재(15)가 상승 이동을 진행하다가 어느 정도 위치까지 진행되면 상기 승강부재(21)가 지면과 수직 상태로 되고 이 상태가 상기 연결부재(15)의 최대 상승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승강부재(21)가 지면과 수직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신체 받침대(10)의 연결부재(15)가 최대상승 상태가 되지만, 신체 받침대(1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승강부재(21)가 역회동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상태를 이루 기 전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실린더(25)는 유압모터(27)로부터 유압유를 공급받아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로서, 하체 받침프레임(14)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모터(27)의 작동에 의하여 신축되는 신축바 부분은 상기 로프(2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신축실린더(25)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로프(24)를 당기게 되어 상기 승강부재(2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신체 받침대(10)의 연결부재(15)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신축실린더(25)의 최대 신장량은 상기 승강부재(21)의 회동이 수직상태에 근접될 때까지로 하며, 신축실린더(25)를 반대로 수축하였을 때는 상기 승강부재(21)에 연결된 스프링(23)의 탄성력 및 신체 받침대(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21)가 최초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발목 고정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목 고정부(30)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고 견인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시키는 발목 고정부재(31)와, 상기 발목 고정부재(31)를 지지하는 발목 고정받침대(32)와, 상기 발목 고정받침대(32)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체 받침프레임(14)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통로(14a)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33)와, 상기 발목 고정받침대(32)의 하부에는 상기 신축실린더(25)의 신축 바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핀(26)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장공(34a)이 형성된 가이드브래킷(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목 고정부(30)에서 발목을 견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축실린더(25)를 신장시키면 상기 신축실린더(25)의 신축 바에 형성된 가이드핀(26)이 상기 가이드브래킷(34)의 가이드장공(3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핀(26)이 가이드브래킷(34)의 단부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신축실린더(25)를 계속해서 신장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 브래킷(34)이 전진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33)가 상기 하체 받침프레임(14)의 가이드통로(14a)로부터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발목 고정부재(31)가 사용자의 발목을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목 고정부재(31)는 발목을 감싸도록 붙이는 형상으로 된 매직테이프로 되어 있으며, 발목을 견인할 때 통증 완화를 위하여 쿠션기능을 가지는 우레탄 재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상기 하체 받침프레임(14)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통로(14a)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 지지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 지지대(40)는 양쪽의 측면판재(41)와 측면판재(41)를 연결하는 연결봉(42)과 상기 측면판재(41)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 지지대(40)는 상기 신체 받침대(10)를 평평하게 펼쳤을 때 상기 발목 고정부(30)가 설치된 신체 받침대(10)의 후미 단부 양측으로 상기 양쪽의 측면판재(41)의 상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이로 인해 신체 받침대(10)의 후미는 지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거치된다.
즉 사용자가 펼쳐진 신체 받침대(10)에 누웠을 때 신체 받침대(10)의 선단은 지면에 접지되어 있고 신체 받침대(10)의 후미는 상기 고정 지지대(4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머리보다 다리가 더 높게 위치된다.
상기 고정 지지대(40)의 측면판재(41)의 상부에는 관통된 고정홀(4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44)은 상기 신체 받침대(10)를 접어서 세웠을 때(도 4 참조) 상기 신체 받침대(10)의 상체 받침프레임(12)의 측면에 마련된 고정홀(12a)과 일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홀(12a, 44)들에 고정핀(45)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신체 받침대(10)를 접어서 세워진 상태로 접철하여 보관하게 된다.
다음으로, 안마수단(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마수단(60)은 상기 신체 받침대(10)에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척추 주변을 척추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하는 것이다.
상기 안마수단(60)의 일례로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마수단(60)은 상기 상체 받침대(10a)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압하는 안마롤러(61)와, 상기 안마롤러(61)를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암나사공(62a)이 마련된 롤러지지대(62)와, 상기 롤러지지대(62)의 암나사공(62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63)과, 상기 롤러지지대(62)가 이동되도록 상기 나사봉(6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마롤러(61)의 양단은 상체 받침프레임(12) 상단에 고정된 안내레일 (65)상에 구름접촉 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봉(63)은 축지지구(66)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상기 구동모터(64)의 회전에 의한 나사봉(63)이 회전되면 암나사공(62a)에서 미끌리어 롤러지지대(62)는 이동되고 롤러지지대(62)에 지지된 안마롤러(61)가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척추 주변을 지압하며 늘려주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64)의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안마롤러(61)는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기 안마수단(60)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마수단은 사용자의 척추 주변을 척추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안마수단이면 모두 다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저주파 자극기(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50)는 사용자의 관절 등의 특정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성장판의 성장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저주파 자극기는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저주파 자극기(50)에서 저주파 패드(52)에 온열기능을 더 부가한 것이다. 상기 통상의 저주파 패드에 전열선 또는 탄소섬유 발열체와 같은 면상 발열체를 부가 설치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축실린더(25)에 의한 연결부재(15)의 승강작동 및 발목 고정부(30)의 발목 견인작동과, 안마수단(60)의 안마작동과, 저주파 자극기(50)의 저주파작동 등을 조작하기 위하여 조작패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패널은 여러 가지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장치이긴 하지만 정작 사용자가 스트레칭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들이 다 필요는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18) 부분에도 몇 개의 기능 스위치(70)를 부착하였다.
예를 들면, 좌측 손잡이에 상기 신축실린더(25)가 신장되도록 하는 스위치(UP)를, 우측 손잡이에는 상기 신축 실린더(25)가 축소되도록 하는 스위치(DOWN)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허리 부위를 상승시켜 신장시키고 싶을 때에는 좌측 손잡이의 스위치를 누르고, 상승된 허리 부위를 하강시켜 평평하게 유지하고자 할 경우는 우측 손잡이의 스위치를 누르면 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에 안마기능 스위치 또는 저주파 자극기 스위치를 더 부가하면 안마기능 또는 저주파 자극 기능도 더욱 편리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도 5a 내지 도 5c를 통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단계별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신체 받침대(10)를 펼친 후 사용자의 발목을 발목 고정부재(31)에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누워있는 초기단계가 도시되었다.
도 5b는 사용자가 손잡이(18) 또는 조작패널(미도시)의 업(UP)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신축 실린더(25)의 신장 작동에 의하여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이 꺽이어 상승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상승을 통한 척추가 신장되는 상태가 도 시되었다.
상기 도 5b의 척추 신장 과정에서 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손잡이(18) 또는 조작패널(미도시)의 업(UP) 스위치를 누르면 신축실린더(25)의 신장되는 단부의 가이드핀(26)이 가이드장공(34a)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동시에 신축실린더(25)의 신장되는 단부와 승강부재(21)를 연결하는 로프(24)를 당기게 되어 상기 승강부재(21)가 전진 이동되고 상기 승강부재(21)의 전진 이동에 의해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인 연결부재(15)가 상승되는 작동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5c는 도 5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 또는 조작패널의 업(UP) 스위치(미도시)를 계속 더 누르면 발목 고정부(30)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이 견인되어 하체 관절을 신장시키는 상태가 도시되었다.
상기 발목 고정부(30)에 의한 사용자의 발목이 견인됨으써 사용자의 하체부위의 관절(고관절, 무릅관절, 발목관절)이 중점적으로 신장된다.
상기 하체 관절의 신장 과정에서는 발목 견인과 동시에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이 더욱 꺾이어 최대 상승동작을 진행하며 이로써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는 도 5b의 상태보다 더욱 만곡되어 신장된다.
상기 도 5c의 하체 관절 신장 과정에서 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 5b의 상태에서 손잡이(18) 또는 조작패널(미도시)의 업(UP) 스위치를 계속 더 누르게 되면 신축실린더(25)가 더욱 신장되어 가이드핀(26)이 가이드 브래킷(34)을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브래킷(34)에 고정된 슬라 이딩 부재(33)가 상기 하체 받침프레임(14)의 가이드통로(14a)상에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에 고정된 발목 고정부재(31)가 사용자의 발목을 견인하여 하체 관절이 신장되는 작동과정으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신축실린더(25)의 신장에 따른 발목 견인과 동시에 로프(24)가 더 당겨지고 승강부재(21)는 더 전진 이동됨으로써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인 연결부재(15)는 최대 상승되는 작동과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도 5a 내지 도 5c 상태의 작동과정 중에는 상기 안마수단(60) 또는/및 저주파 자극기(50)를 작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스트레칭 운동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 상승에 따른 허리부위의 상승 과정과 이후 발목 고정부(30)에 의한 하체 관절 신장 과정에서는 업(UP) 스위치 조작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시간차를 두고 조작하는 것이 신체의 근육, 척추 및 각 관절에 급작스런 무리를 주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척추 신장 과정 및 하체 관절 신장과정를 진행할 때 각각 3회정도 끊어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목이 견인된 상태에서는 소정시간, 예를 들어 5분간 편안히 누워있는 상태를 지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발목이 견인된 상태로 소정시간 지속된 후, 상기 초기 단계로 되돌아오기 위하여 손잡이(18) 또는 조작패널(미도시)의 다운(DOWN) 스위치를 조작하면, 발목의 견인상태가 해제되며 상승된 허리가 하강되는 도 5b와 같은 상태를 거치며, 계속해서 손잡이(18) 또는 조작패널(미도시)의 다운(DOWN) 스위치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허리는 평평한 상태로 하강되어 도 5a와 같이 누워있는 초기단계로 되돌아온다.
상기 초기단계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장치의 작동과정으로 설명하면, 손잡이 또는 조작패널의 다운(DOWN) 스위치 조작으로 신축실린더(25)가 수축되어 상기 발목 고정부(30)의 슬라이딩 부재(33)가 하체 받침프레임(14)의 가이드통로(14a)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은 하강되어 신체 받침대(10)가 평평한 초기단계로 되돌아온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인체의 척추 및 관절 등의 급격한 수축이 되지 않도록 스위치 조작을 여러 단계로 끊어서 천천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 상승동작을 통한 척추의 신장 및 발목 견인동작을 통한 하체 관절의 신장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진행시킴으로서 신장과 수축상태를 번갈아가며 진행시키는 것이 성장판의 자극 및 압박상태를 풀어주어 인체의 신장 운동에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손잡이(18) 또는 조작패널(미도시)의 스위치 조작이 상기와 같이 진행될 수 도 있으나, 사용상의 편의를 고려하여 자동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 상승동작, 발목 견인동작, 저주파 자극동작, 척추주변 안마동작에 대해 작동시간을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고려하여 예를 들어 남자, 여자, 10대, 20대, 30대,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들에 대 해 프로그램화 시킨 후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자동스위치를 눌렀을 때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의 동작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신체 받침대(10)의 중간 연결부분의 상승작동으로 사용자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신장시키고, 발목 고정부(30)의 발목 견인작용으로 사용자의 하체 관절을 신장시키며, 특히 직립보행으로 인한 성장판의 압박상태를 풀어주고 성장판을 늘려주어 키 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는 한편 허리나 다리가 휜 경우에도 체형이 바르게 교정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관절부위의 저주파 자극과 사용자의 척추 주변의 근육에 대한 스트레칭 안마동작을 병행하여 상기 인체의 키 성장에 부가적으로 도와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연결부재(15)를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떤 형태로도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승강수단(20)이 로프(24)를 사용하지 않고 신축 실린더(25)와 상기 연결부재(15)와 직결하여 상기 연결부재(15)를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이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즉,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조 작에 의하여 허리 부위가 승강되는 구조와 사용자의 발목을 견인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 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어 싫증이 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스트레칭 안마기능에 의하여 척추 부위의 근육과 척추를 풀어주고 늘려주어 스트레칭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온열기능을 가지는 저주파 자극기를 더 구비하고 있어 관절부위의 성장판에 자극이 극대화되어 키 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상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체 받침대와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대로 구분된 신체 받침대와, 상기 하체 받침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 고정부와, 상기 신체 받침대와 발목 고정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로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체 받침대와 하체 받침대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접지되며 중간부위에는 연결 바가 형성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 연결 바에 연결된 로프와 상기 로프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축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지면과 수직 상태로 될 때 상기 연결부재의 최대 상승상태가 되고, 상기 발목 고정부는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최대 상승상태가 된 이후에 발목을 견인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인접 부위의 좌우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상하 작동 및 상기 발목 고정부의 전, 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가 설치된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승강수단이 최대 상승 작동한 상태에서 신축실린더를 더 신장하면 상기 발목 고정부가 전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받침대는 상체 받침대와 하체 받침대를 접철하여 보관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받침대에는 척추 주변을 척추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하는 안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관절부위에 대한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위하여 온열기능을 추가한 저주파 자극 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0040091918A 2004-04-06 2004-11-11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0661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67A KR20050117636A (ko) 2004-04-06 2004-04-06 성장판을 자극하는 성장발달 운동기구
KR1020040023567 2004-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28A KR20040111228A (ko) 2004-12-31
KR100661129B1 true KR100661129B1 (ko) 2006-12-26

Family

ID=372909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67A KR20050117636A (ko) 2004-04-06 2004-04-06 성장판을 자극하는 성장발달 운동기구
KR1020040091918A KR100661129B1 (ko) 2004-04-06 2004-11-11 스트레칭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67A KR20050117636A (ko) 2004-04-06 2004-04-06 성장판을 자극하는 성장발달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176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03B1 (ko) 2008-03-10 2010-12-02 임강준 내장운동겸용 허리운동기
KR101189929B1 (ko) * 2012-01-10 2012-10-10 이현석 성장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319111B1 (ko) * 2010-10-28 2013-10-17 (주)젬텍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522814B1 (ko) * 2014-04-22 2015-05-26 김영화 재활운동기구
KR20230011717A (ko) * 2021-07-14 2023-01-25 (주)씨비에이치 신체 견인 장치
KR102613154B1 (ko) 2023-08-14 2023-12-14 (주)톨스토리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79B1 (ko) * 2005-07-08 2007-06-07 이상운 스트레칭 교정 및 키 성장 촉진보조장치
KR100678659B1 (ko) * 2005-12-13 2007-02-02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스트레칭 기구
KR100670110B1 (ko) * 2005-12-29 2007-01-16 주식회사 키크기생활운동연구소 성장판 자극형 발육 촉진 운동구
KR100757046B1 (ko) * 2006-05-24 2007-09-11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운동 기구
KR100818784B1 (ko) * 2006-08-22 2008-04-01 디앤에이 주식회사 스트레칭장치
KR100957594B1 (ko) * 2008-03-17 2010-05-13 김희수 고관절 유연성 운동기구
KR101329233B1 (ko) * 2012-01-20 2013-11-15 박진묵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478917B1 (ko) * 2013-08-05 2015-01-02 이은재 누워만 있어도 살이 빠지는 운동기구
KR101717762B1 (ko) * 2016-10-21 2017-03-17 주식회사 태흥하이에츠 스트레칭 장치
KR102269719B1 (ko) * 2020-01-09 2021-06-28 장기남 관절 운동 기구
KR102311116B1 (ko) * 2020-05-22 2021-10-13 유명호 어깨 운동기구
KR102467551B1 (ko) * 2020-10-20 2022-11-15 김우준 신체 견인기구
KR102329863B1 (ko) * 2021-07-07 2021-11-23 최동경 침대형 스트레칭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03B1 (ko) 2008-03-10 2010-12-02 임강준 내장운동겸용 허리운동기
KR101319111B1 (ko) * 2010-10-28 2013-10-17 (주)젬텍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189929B1 (ko) * 2012-01-10 2012-10-10 이현석 성장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522814B1 (ko) * 2014-04-22 2015-05-26 김영화 재활운동기구
KR20230011717A (ko) * 2021-07-14 2023-01-25 (주)씨비에이치 신체 견인 장치
KR102581078B1 (ko) 2021-07-14 2023-09-22 (주)씨비에이치 신체 견인 장치
KR102613154B1 (ko) 2023-08-14 2023-12-14 (주)톨스토리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28A (ko) 2004-12-31
KR20050117636A (ko)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129B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916664B1 (ko) 키성장 자세교정기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US823587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ravity-assisted spinal stretching
KR101236281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
CN101754738B (zh) 用于自主进行物理治疗练习的器械
CN110559612B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KR102058242B1 (ko) 스트레칭 안마의자
CN106214368A (zh) 一种新型座椅机构及设有该座椅机构的轮椅车
EP1334708A2 (en) Orthopedic apparatus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CN201469591U (zh) 收放式自助拉筋凳
KR102059662B1 (ko) 재활운동기구
CN107468402A (zh) 多功能拉筋调理床
KR101649347B1 (ko)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KR102146138B1 (ko) 하체국소 안마모듈이 구비된 스트레칭 안마의자
KR100336413B1 (ko) 물리치료기
KR102079425B1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CN111714333A (zh) 新型多功能便携式足踝康复器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CN215535866U (zh) 一种用于康复训练的下肢运动器具
KR102613154B1 (ko)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JP4034013B2 (ja) 機能回復訓練装置
CN217828345U (zh) 一种神经外科用辅助行走护理装置
KR20090003272U (ko) 하체 스트레칭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