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09B1 -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09B1
KR101817109B1 KR1020160119163A KR20160119163A KR101817109B1 KR 101817109 B1 KR101817109 B1 KR 101817109B1 KR 1020160119163 A KR1020160119163 A KR 1020160119163A KR 20160119163 A KR20160119163 A KR 20160119163A KR 101817109 B1 KR101817109 B1 KR 10181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fine dust
skin
extract
natur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균
조영관
강승현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109B1/ko
Priority to CN201710656687.8A priority patent/CN10783722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전하(-)를 제공해주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공장의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의 피부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이 미세먼지와 동일한 음전하를 나타냄으로써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할 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을 차단해주어 피부 트러블 발생을 예방하거나 미세먼지와 접촉하여 발생 하는 염증반응을 방지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보호해준다.

Description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Anti-Dust and Anti-Inflamatory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전하(-)를 띠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공장의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의 피부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16년 환경성과지수(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PI)에 따르면, 한국은 공기질 부문에서 45.51점(100점 만점)으로 조사대상 180개국 중 173위라고 한다. 미세먼지는 공기질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표면으로 드러난 것이다.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대기오염 물질과 공장의 매연 및 생활주변에서의 연소 등에서 발생하는 구리, 납과 같은 중금속 이 혼재되어 있다. 2013년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미세먼지 성분은 대기 중에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인 질산염, 황산염 및 유기탄소 등이 전체의 약 7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 전농동의 미세먼지(PM10) 구성성분 분포는 유기 탄소(19.4%), 황산염 (17.2%), 금속산화물(14.9%), 질산염(14.6%) 및 원소탄소(6.4%) 순으로 나타났다. 출처: 한국환경공단). 이러한 오염물질들로 구성된 미세먼지는 신체에 닿는 것만으로도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지름 10μm 이하인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μm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일반 먼지(평균 약 20μm)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며, 이는 또한 피부 모공의 약 20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에 피부에서 차단되지 못하고 모공 속으로 쉽게 침투되어 제거가 어렵다. 한 번 흡수된 미세먼지는 피부에 각종 화학자극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각질세포와 지질막 등에 악영향을 끼쳐 피부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여드름 유발, 피부 건조, 주름 증가 및 색소 침착 등과 같은 피부 노화 현상을 더욱 가속화 시킨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노출을 미리 차단하지 못하거나 침투된 미세먼지를 깨끗하게 제거하지 못하면 모공 속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피부에서의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은 물리적 자극이나 화학물질, 세균 등에 의해 피부손상이 유발될 때 이를 방어하기 위한 작용으로서 시작되며 다양한 면역세포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이 관여한다. 미세먼지 입자는 사람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이러한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체내 염증과정에서는 과량의 NO 및 프로스타글라딘E2(PGE2) 등의 염증인자가 iNOS 및 COX-2에 의해 형성된다.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과잉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한 피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세안을 자주 하는 것과 미세먼지가 피부에 닿지 않도록 피부 청결 유지 화장품을 발라주는 방법이 있다. 종래의 미세먼지와 관련된 화장품 제품으로는 미세하고 풍성한 거품이 메이크업의 잔여물은 물론 모공 속으로 침투된 미세먼지와 노폐물까지 말끔하게 씻겨준다는 컨셉의 다양한 클렌징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피부 속으로 침투된 미세먼지는 세안을 통해 어느 정도 제거가 가능하지만, 한 번 침투된 미세먼지를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 및 침투를 감소시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6239호 (2010.5.27. 공개, 발명의 명칭: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가 공개되었으나, 이러한 다당체는 미세먼지의 흡착을 방지하지 않고 오히려 미세먼지의 흡착을 촉진하기 때문에 화장료에 포함될 경우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미세먼지가 음전하(-)를 띤다는 성질(Fa-Qin D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mineralogy and surface zeta potential of atmospheric dust fall in northwest China, 2014)에 착안하여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한 피부 흡착 방지 가능성을 인지하였다. 또한 미세먼지들의 흡착에 의하여 생기는 피부 염증반응들을 천연 식물 추출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음전하(-)를 띠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할 경우 피부에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염증반응을 고려 하여 음전하(-)를 띠는 소재들 중에서 염증반응에도 효과적인 물질들을 약 50여종의 원료들 중에서 screening 하여 선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10-0056239 A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미세먼지가 가지고 있는 음전하(-)와 동일한 음전하(-)를 띠는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 및 침투를 방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미세먼지물로부터 발생하는 피부 자극을 예방해주고, 그로 인한 피부 염증과 트러블 생성을 감소시켜주어 피부 손상을 방지해 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상기 3종의 천연 식물을 추출할 수 있다고 알려진 종래 어떤 추출방법으로도 추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는 지름 10 μm 이하의 먼지로서 황사,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매연, 생활주변 연소가스, 중금속 등 대기 오염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미세먼지의 표면 전위를 측정한 결과 음전하를 띤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음전하의 미세먼지를 반발할 수 있는 어떤 크기의 음전하도 띨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수치범위의 음전하를 띠는 3종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선택하였다. 상기 수치범위의 제타전위를 갖는 음전하 공여물질을 사용하면 최종 화장료 조성물에 미세먼지를 반발하기에 충분한 음전하를 띠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천연 식물 유래 음전하(-) 물질의 영향으로 음전하(-)를 띠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로서 -15 내지 -100 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인 천연 식물 추출물외에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또는 오일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물은 천연 식물 유래 음전하(-) 물질의 음전하가 이온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물과 오일성분의 가용화 또는 유화를 도와준다.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 또는 천연보습인자 등으로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스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프레이 또는 미스트의 형태로 피부에 간편하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음전하(-)를 띠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앞서 입도및 표면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동적광산란장치(HORIBA, SZ-100,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이용하여 실외 및 실내 미세먼지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였다. 실내 미세먼지는 평균 - 31.36 mV, 실외 미세먼지는 평균 -31.60 mV의 표면 전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 방지를 위해서는 음전하(-)를 제공해주는 성분을 사용하여 같은 극끼리 서로 밀어내는 반발력을 이용, 피부에 미세먼지가 달라붙는 것을 감소시켜주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백나무는 측백나무과의 카매시파리스 오브투사(Chamaecyparis Obtusa)를 의미한다. 상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상기 편백나무의 잎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맥문동은 백합과 연계초속에 속하는 오피오포곤 하포니쿠스(Ophiopogon Japonicus)를 의미한다.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상기 맥문동의 뿌리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똥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아르테미시아 아누아(Artemisia annua)를 의미한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상기 개똥쑥의 전초, 즉, 풀 전체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백나무 잎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한다. 추출 온도는 10 ~ 80℃가 바람직하며, 추출 시간은 6 ~ 24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통상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맥문동 뿌리에 물을 일정량 첨가한 후 환류장치 하에서 약 30분 내지 12시간 끓이며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량을 조정한 다음, 저온에서 1일 내지 12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막 여과를 실시함으로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및 1,3-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이상이면 상기 편백나무 잎 추출물에 의한 미세먼지 방지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10 중량% 이하이면 함량 증가에 비하여 효과의 증가가 유효하여 오히려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맥문동 추출물을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이상이면 상기 맨문동 추출물에 의한 미세먼지 방지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10 중량% 이하이면 함량 증가에 비하여 효과의 증가가 유효하여 오히려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이상이면 상기 개동쑥 추출물에 의한 미세먼지 방지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10 중량% 이하이면 함량 증가에 비하여 효과의 증가가 유효하여 오히려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 억제용의 용도를 가진다. 상기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및 동시에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지는 조성물에 포함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효 성분으로, 음전하를 띠는 천연 식물 추출물과 음전하의 미세먼지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하는 동시에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상기 음전하(-)를 띠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미세먼지 탈착 효과 및 염증 억제 효과(iNOS 활성 저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전하(-)를 띠는 상기 3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공장의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의 피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으로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모두 가져 미세먼지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피부트러블을 예방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보호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타 포텐샬을 측정하기 위한 동적광산란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먼지 탈착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염증 억제 효과(iNOS 활성 저해)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참고예 1>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편백나무 잎 50 g에 80% 에탄올 수용액 250 ㎖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추출된 원액의 양이 3.5 g이 되도록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2> 맥문동 추출물의 제조
맥문동 뿌리 50 g에 정제수 500 ㎖를 첨가한 후 환류장치 하에서 3시간 끓여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 500 ㎖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 ℃에서 6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45㎛ 필터로 여과한 후 추출된 원액의 양이 3.5 g이 되도록 증발 농축시켜 시료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3> 개똥쑥 추출물의 제조
개똥쑥 전초 50 g에 정제수 950 g을 섞고 12시간 동안 80 ℃ 에서 열수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1㎛ 의 필터로 여과한 후 추출된 원액의 양이 3.5 g이 되도록 증발 농축시켜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 %)을 갖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 3의 화장료 조성물(가용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는 음전하를 제공하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HCO-40)와 비극성 오일로 제조된 가용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1 ~ 3은 비교예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음전하(-)를 띠며 염증반응에 효과적인 상기 3종 천연 식물 추출물을 각각 1종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는 A상(알코올부)을 실온 용해 시킨 후, 실온의 B상(수상부)에 서서히 투입한다. 이 때, A상과 B상의 혼합물은 일정하게 교반을 한다. 그 후, C파트(방부제)를 투입하고, 여과 과정을 거쳐 각각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A HCO-40 0.2 0.2 0.2 0.2
에탄올 3.0 3.0 3.0 3.0
스쿠알란 0.02 0.02 0.02 0.02
B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3-BG 5 5 5 5
DPG 5 5 5 5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편백나무 잎 추출물 - 1
맥문동 추출물 1
개똥쑥 추출물 1
C 방부제 0.4 0.4 0.4 0.4
실험예 1 : 표면 전위 측정
음전하(-)를 띠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인 실시예들과 그 비교예에 대한 표면전위 측정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면전위는 앞서 언급한 동적광산란장치를 사용하여 관측을 수행하였다. 제조한 제형과 미세먼지와의 표면 전위 비교를 위하여 실내와 실외 미세먼지의 표면전위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추후 설명할 흡착 방지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먼지 탈착 효과에 사용된 미세먼지 대체 물질인 카본블랙의 표면전위 측정도 함께 실시하였다.
실험 항목 실내 미세먼지 실외 미세먼지 카본 블랙
Zeta potential
(mV)
-32.7 -31.9 -29.9
-32.5 -32.1 -26.9
-31.6 -32.1 -31.2
평균 -32.3 -32.0 -29.3
실험 항목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Zeta potential
(mV)
-1.3 -13.5 -28.1 -29.7
-3.2 -14.1 -35.7 -29.0
-2.1 -20.1 -34.9 -29.8
평균 -2.2 -16.9 -32.9 -29.5
그 결과, 표 3과 같이, 음전하(-)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는
-2.20mV로 실내·실외 미세먼지와 카본 블랙보다 훨씬 낮은 음전하를 나타냈다. 반면, 음전하(-)를 띠는 천연 식물 추출물이 포함된 실시예 1 ~ 3은 각각 -16.9,
-32.9, -29.5mV로 비교예보다 높고, 맥문동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의 경우 미세먼지나 카본블랙보다 높은 표면전위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2 : 미세먼지 탈착 효과
음전하(-)를 띠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의 미세먼지 탈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미세먼지 대체 물질로 미세먼지와 유사한 표면전위 및 크기를 가지는 카본블랙(표면전위: -29.3 mV, 평균입도: 8.25 μm)을 사용하였다. 탈착 효과 실험법은 비교예과 실시예를 각각 베이지 색의 인조가죽에 균일하게 도포 후, 자연건조 시킨 뒤 미세먼지 모델인 카본블랙을 그 위에 분사하여 탈착 정도를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육안평가로 실시한다. 평가 방법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분사한 카본블랙의 탈착 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며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탈착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패널평가 평균 (n=10) 3.0 7.2 8.2 7.8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음전하가 높을수록 미세먼지의 탈착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높은 음전하를 가지는 제형일수록 미세먼지와의 반발력으로 인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 방지에 더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험예3 : iNOS 활성 저해 실험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염증의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유도성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페놀-레드(phenol-red)가 들어있지 않은 10% FBS(Fetal Bovine Serum)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8 x 105 세포를 현탁시켜 24웰 배양판에 접종하여 부착시켰다. 하루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18시간 배양(incubation)한 후 1 ㎍/ml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 lipopolysaccharide, 시그마 사)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incubation) 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 ㎕씩 넣고 그리스 시약 (Griess reagent, 시그마 사)을 동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가볍게 흔들어 주어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디움 나이트리트를 표준품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각시료를 배양액 중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량을 구하였다. 대조군은 항염 iNOS 생성량(%)을 구하였다.
시 료(처리농도 100㎍/㎖) iNOS 생성량(%)
LPS 100
LPS+비교예 1 98.1
LPS+실시예 1 78.9
LPS+실시예 2 62.5
LPS+실시예 3 65.8
대조군(α-bisabolol , 40㎍/㎖) 50.6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천연 식물 추출물이 포함된 실시예 1 ~ 3을 처리하여 iNOS 생성량을 관찰한 결과, 천연 식물 추출물 모두 iNOS 생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식물 추출물은 항염 및 염증 억제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험예 5 : 피부 안전성 테스트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비교예 1과 표면 전위가 가장 높았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각 제형의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자들의 팔 전박에 20 μL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험 부위를 밀폐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과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응을 CTFA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한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시험자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1미만이면 저자극, 3미만이면 경자극, 5미만이면 중자극, 5이상이면 강자극으로 평가한다.
실험항목 비교예 1 실시예 2
피부자극지수 (PII) 0.35 0.32
상기와 같이 비교예 1과 실시예 2 모두 피부 자극은 1미만으로 제품에 사용가능한 저자극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전하(-)를 띠는 상기 3종 천연 식물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와 동일한 음전하를 나타냄으로써 입자 표면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감소시켜준다

Claims (8)

  1. 편백나무 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10 내지 -150 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과 음전하의 미세먼지 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인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은 -15 내지 -100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또는 오일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 제형의 제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9163A 2016-09-19 2016-09-19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63A KR101817109B1 (ko) 2016-09-19 2016-09-19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CN201710656687.8A CN107837220A (zh) 2016-09-19 2017-08-03 含有天然植物萃取物的防尘和抗炎的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63A KR101817109B1 (ko) 2016-09-19 2016-09-19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109B1 true KR101817109B1 (ko) 2018-01-11

Family

ID=6100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63A KR101817109B1 (ko) 2016-09-19 2016-09-19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7109B1 (ko)
CN (1) CN10783722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95B1 (ko) * 2018-11-27 2019-03-20 황민지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KR101973950B1 (ko) * 2018-01-09 2019-04-30 (주)셀트리온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KR101988489B1 (ko) 2018-06-04 2019-06-12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차단 및 피부 염증 발생억제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102022400B1 (ko) * 2019-04-30 2019-09-18 (주)진셀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38470B1 (ko) 2019-04-29 2019-10-30 이수경 미세먼지 방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5546A (ko) 2019-11-27 2021-06-04 (주)아모레퍼시픽 피루브산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KR20230039391A (ko) * 2021-09-14 2023-03-2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9887A (ko) * 2021-09-14 2023-03-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47B1 (ko) * 2008-11-19 2011-08-08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12B1 (ko) * 2009-05-29 2014-04-09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50B1 (ko) * 2018-01-09 2019-04-30 (주)셀트리온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KR101988489B1 (ko) 2018-06-04 2019-06-12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차단 및 피부 염증 발생억제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101960295B1 (ko) * 2018-11-27 2019-03-20 황민지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KR102038470B1 (ko) 2019-04-29 2019-10-30 이수경 미세먼지 방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400B1 (ko) * 2019-04-30 2019-09-18 (주)진셀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5546A (ko) 2019-11-27 2021-06-04 (주)아모레퍼시픽 피루브산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KR20230039391A (ko) * 2021-09-14 2023-03-2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9887A (ko) * 2021-09-14 2023-03-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130B1 (ko) * 2021-09-14 2023-10-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37220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109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염증반응 억제 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5447B1 (ko)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6648B1 (ko) 네오클로리스 올레오어번던스 조류의 바이오매스의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슬리밍 조성물
KR101992336B1 (ko) 적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61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73950B1 (ko)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KR101930348B1 (ko)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CN107929134B (zh) 一种苦参修复祛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83668A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19125A (ja) 皮膚老化防止・改善剤
JP3511057B2 (ja) 消臭剤
US20230015456A1 (en) Fat and/or wax activated by means of the water-insoluble fraction of carica papaya sap
KR101825377B1 (ko) 드럼스틱나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801412A (zh) 一种皮脂仿生组合物及其应用和化妆品
KR101749657B1 (ko) 황칠나무 수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2064B1 (ko)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76415B1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667901B1 (ko) 왜성정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KR102123645B1 (ko) 갯강활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164198B2 (ja) プロ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抑制剤
KR101951812B1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02665673A (zh) 敏感性皮肤用知觉过敏预防改善剂
KR102041511B1 (ko) 흑진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0655B1 (ko)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 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