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58B1 - 시브 - Google Patents

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658B1
KR101815658B1 KR1020157009782A KR20157009782A KR101815658B1 KR 101815658 B1 KR101815658 B1 KR 101815658B1 KR 1020157009782 A KR1020157009782 A KR 1020157009782A KR 20157009782 A KR20157009782 A KR 20157009782A KR 101815658 B1 KR101815658 B1 KR 10181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heave
rope groove
groov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381A (ko
Inventor
히로시 나카네
요헤이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아이 노우 머쉬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 노우 머쉬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이 노우 머쉬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8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55/50Features essential to rope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55/48Pulleys manufactured exclusively or in part of non-metallic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작업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로프를 감을 수 있는 로프 홈(20)이 외주부(4)에 형성된 금속제의 시브 본체(1)와, 로프 홈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 홈을 따라 연장되는 수지제의 홈 보호부(G)를 구비하는 시브(100, 2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브{Sheave}
본 발명은, 예컨대 데크 크레인 등의 기계 장치에 설치되는 시브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0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2-233150호를 근거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로프에 설치된 후크를 운반물에 걸어둠과 아울러, 이 로프를 감아들이고, 풀어냄으로써, 운반물을 승강시키는 데크 크레인이 넓게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 크레인 등의 다양한 크레인 장치에서는, 로프의 감아들이기, 풀기를 가이드하는 시브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시브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제의 시브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한편, 시브에 감기는 로프는 감아들이기, 풀기에 의해 시브의 로프 홈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므로, 장기간 사용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로프의 장수명화를 꾀하기 위해, 특허 문헌 2,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시브 본체를 수지로 구성한 수지제의 시브가 최근에 제안되었다. 이러한 수지제의 시브는 금속제의 시브에 비해 부드럽기 때문에, 로프가 감기는 로프 홈에서 로프와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로프의 손상이 저감되고, 로프의 장수명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4~7에도, 로프를 감을 수 있는 시브(또는 풀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2001-2639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평9-21781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공개특허 2007-177146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공개특허 소58-109761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공개특허 2000-337480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공개특허 소60-44662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공개특허 평8-24249호 공보
수지제의 시브는 금속제의 시브에 비해, 로프의 장수명화를 꾀할 수 있으나, 한편,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지제의 시브는 그 로프 홈에 로프에 의한 상흔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시브가 열화되었다는 인상을 작업자에게 주기 쉽다. 이 때문에, 내용연수에 이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브의 교환이 요구되고, 결과적으로 시브의 사용 연수가 단축되어 버릴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브의 교환 작업이 빈번히 요구되면, 새롭게 고가의 시브를 크레인 장치에 장착하게 되므로, 제조 비용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또한, 시브를 교환할 때는, 교환 전의 시브로부터 로프를 떼어내는 작업과, 교환 후의 시브에 로프를 감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번잡한 시브의 교환 작업이 빈번히 발생하면,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로프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작업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시브는, 로프를 감을 수 있는 로프 홈이 외주부에 형성된 금속제의 시브 본체와, 로프 홈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 홈을 따라 연장되는 수지제의 홈 보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홈 보호부는 시브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보호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호 부재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길이는, 시브에 홀딩된 로프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 로프 홈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호 부재는 시브 본체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프 홈은 시브 본체의 외주연(外周緣)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부와, 저면부로부터 시브 본체의 외주연까지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부를 갖는다. 또한, 보호 부재는 로프 홈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바닥부와, 로프 홈의 한쌍의 측면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측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두께는 상기 측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5 또는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제1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부에는 제2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장착부가 제1 장착부에 고정됨으로써, 보호 부재가 로프 홈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장착부는 상기 측면부의 가장자리부(緣部)에 형성됨과 동시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제2 장착부는 상기 측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돌출편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8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공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삽입 통과공이 상기 돌출편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삽입 통과공에 삽입된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돌출편이 상기 오목부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장착부는 상기 측면부에 설치되는 고정공을 가지고 있다. 제2 장착부는 상기 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삽입 통과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삽입 통과공에 삽입된 고정 부재에 의해, 제2 장착부가 제1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9 또는 제10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수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공은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수나사부가 상기 고정공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7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는 보호 부재의 바닥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로프 홈에 감겨 있는 로프보다 시브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5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면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시브 본체의 외주연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프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작업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시브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1B-1B선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시브의 로프 홈에 장착된 상태의 보호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브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a, 도 1b는, 본 실시 형태의 시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시브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1B-1B선 단면도이다.
도 1a,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시브(100)는 평면 형상이 원형인 금속제의 시브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브 본체(1)는 그 중심부에서 두께 방향(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공(2)이 형성된 보스부(3)와, 시브 본체(1)의 외주연 근방에 위치하는 외주부(4)와, 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스부(3)와 외주부(4)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부(5)가 주조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시브 본체(1)의 제조 방법은 주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삭 가공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보스부(3)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브 본체(1)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3a)에 환상 오목부(6)가 형성되고, 시브 본체(1)의 두께 방향의 타단면(3b)에 상기 환상 오목부(6)에 끼워맞춤 가능한 환상 돌기부(7)가 형성되어 있다. 크레인 등의 기계 장치에 시브(100)를 장착할 때는, 복수의 시브 본체(1)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고, 인접한 시브 본체(1)의 환상 오목부(6)와 환상 돌기부(7)을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축공(2)을 크레인 등의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또한 기계 장치에 장착되는 시브 본체(1)의 수는 로프의 감김수나 정격 하중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시브 본체(1)는 1개만 사용해도 되고, 상기와 같이 복수개를 적층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외주부(4)는 시브 본체(1)의 외주연으로부터, 보스부(3)측, 즉 시브 본체(1)의 중심측을 향해, 시브 본체(1)의 반경 1/5 정도의 범위를 차지하는 부위이다. 이 외주부(4)는 그 외주연이 보스부(3)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이며, 시브 본체(1)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포크부(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스부(3)와 외주부(4)를 서로 연결하는 부위이다. 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스포크부(5)(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다. 이 스포크부(5)는 보스부(3)로부터 외주부(4)를 향함에 따라 두께(축방향에서의 두께)가 서서히 감소하고 있고, 보스부(3)에 연결되는 부분은 이 보스부(3)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외주부(4)에 연결되는 부분은 이 외주부(4)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시브 본체(1)에는, 인접하는 스포크부(5) 사이에, 이 스포크부(5)보다 얇은 박육부(薄肉部; 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육부(8)는 다른 부위보다 박육화함으로써, 시브 본체(1)의 경량화에 기여하고 있다. 박육부(8)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부(3)측으로부터 외주부(4)측을 향해 둘레 방향의 폭이 서서히 증가하는 대략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육부(8)의 두께는 스포크부(5)의 두께보다 얇은 일정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경량화를 더욱 실현하기 위해, 박육부(8)에는 시브 본체(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살빼기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시브 본체(1)의 외주면(외주부(4))에는 로프를 감을 수 있는 환상의 로프 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로프 홈(20)에, 복수의 보호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즉, 로프 홈(20)은 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하, 시브 본체(1)의 로프 홈(20)과, 보호 부재(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도 1b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b는, 보호 부재(30)의 평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 본체(1)의 외주면에는 이 시브 본체(1)의 외주연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로프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프 홈(20)은 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의 가장 내측 위치에 설치되는 저면부(20a)와, 이 저면부(20a)로부터 시브 본체(1)의 외주연까지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측면부(20b) 사이의, 시브 본체(1)의 두께 방향에서의 거리(이격 거리)는 저면부(20a)로부터 시브 본체(1)의 외주연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즉, 대향되는 한쌍의 측면부(20b)는 저면부(20a)측의 이격 거리가 가장 작고, 로프 홈(20)의 개구측이 되는 시브 본체(1)의 외주연측의 이격 거리가 가장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로프 홈(20)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부(20b)에는 고정공(21)(제1 장착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공(21)은 로프 홈(20)의 둘레 방향(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2개) 형성되어 있다. 고정공(21)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20b)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보호 부재(30)를 로프 홈(20)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의 나사 부재(25)(접시머리 나사, 수나사부를 구비)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고정공(21)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암나사부)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 부재(25)의 수나사부가 고정공(21)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30)는 로프 홈(20)을 따라 연장되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보호 부재(3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의 로프 홈(20)의 둘레 방향 길이(전둘레의 길이)에 대해, 약 1/6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시브(100)에서는, 로프 홈(20)의 둘레 방향(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개(6개)의 보호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보호 부재(30)는 로프 홈(20)의 내면을 전 둘레에 걸쳐 덮고 있으므로, 이들 복수의 보호 부재(30)가 로프 홈(20)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로프 홈(20)을 보호하기 위한 홈 보호부(G)를 구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시브(100)는 시브 본체(1)와, 복수의 보호 부재(30)로 이루어진 홈 보호부(G)를 구비한다.
이 보호 부재(3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 홈(20)에 끼워맞춤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보호 부재(30)는 로프 홈(20)의 내면에 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 부재(30)는 로프 홈(20)의 저면부(20a)에 대향하는 바닥부(30a)와, 로프 홈(20)의 한쌍의 측면부(20b)에 각각 대향하는 한쌍의 측부(30b)를 가지고 있다. 보호 부재(30)를 로프 홈(20)에 장착한 상태에서, 보호 부재(30)는 바닥부(30a)의 외면이 저면부(20a)에 접촉하고, 측부(30b)의 외면이 측면부(20b)에 접촉하는 치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로프 홈(20)과 마찬가지로, 보호 부재(30)에 있어서의 한쌍의 측부(30b) 중 바닥부(30a)측의 이격 거리가 가장 작다. 즉, 한쌍의 측부(30b)의, 시브 본체(1)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가, 바닥부(30a)로부터 시브 본체(1)의 외주연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보호 부재(30)에 있어서의 한쌍의 측부(30b)에는 이들 측부(30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즉,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술한 나사 부재(25)(고정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31)(제2 장착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31)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호 부재(30)를 로프 홈(20)에 끼워맞춤시켰을 때, 로프 홈(20)의 고정공(2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호 부재(30)를 로프 홈(20)에 끼워맞춤시키고, 고정공(21)에 삽입 통과공(31)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삽입 통과공(31)에 나사 부재(25)를 삽입 통과시켜 나사 부재(25)를 고정공(21)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나사 부재(25)를 고정공(21)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체결력에 의해, 보호 부재(30)는 로프 홈(20)에 장착된다. 따라서, 보호 부재(30)를 교환할 때, 나사 부재(25)를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보호 부재(30)에 간단히 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보호 부재(30)는 시브 본체(1)의 로프 홈(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호 부재(30)는, 나사 부재(25)를 제거한 상태에서, 시브 본체(1)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시브 본체(1)의 일부를 떼어내거나 변형시키는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나사 부재(25)에 의해 보호 부재(30)를 로프 홈(2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나사 부재(25)가 삽입 통과공(31) 내에 완전히 매몰되거나, 나사 부재(25)의 평탄한 머리부와 측부(30b)의 내면이 하나의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로프 홈(20)에 감긴 로프가 나사 부재(25)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로프와의 마찰에 의해 나사 부재(25)가 이완되어, 그 체결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공(21)(제1 장착부) 및 삽입 통과공(31)(제2 장착부)이 보호 부재(30)의 바닥부(30a)에 접촉된 상태에서 로프 홈(20)에 감겨 있는 로프(R)(도 2a에서 파선의 원 부분)보다 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감겨 있는 로프가 접촉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제1·제2 장착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나사 부재(25)의 로프에 의한 손상이나, 그 체결력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프가 나사 부재(25)에 의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로프의 감아들이기, 풀기시에, 로프가 시브 본체(1)의 폭 방향으로 5° 정도 어긋나 측부(30b)에 올라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로프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제1·제2 장착부를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공(21)이 측면부(20b)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고정공(21)은 비관통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공(21)을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관통공으로 구성하고, 고정 부재로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공(21) 및 삽입 통과공(31)에 삽입된 볼트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이러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공(21)과 삽입 통과공(31)이 서로 고정되어 측면부(20b)와 측부(30b)가 체결된다.
도 3은, 로프 홈(20)에 장착된 상태의 보호 부재(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보호 부재(30)를, 로프 홈(20)(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로프 홈(20)이 전 둘레에 걸쳐 보호 부재(30)에 의해 피복된다. 이에 따라, 시브에 감긴 로프는 항상 수지제의 보호 부재(30)에 접촉한다. 로프나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보호 부재(30)가 압축되어 변형되면, 로프와 보호 부재(30)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금속제의 로프 홈(20)에 직접 로프를 감는 경우에 비해, 로프가 잘 손상되지 않아 로프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로프 홈(20)에만 보호 부재(30)가 설치되기 때문에, 시브 전체를 수지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해져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30)가 로프 홈(2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30)에 상처가 난 경우 등에는 보호 부재(30)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시브 전체를 교환하는 경우에 비해 러닝 코스트를 억제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30)가 로프 홈(20)의 둘레 방향에 복수로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호 부재(30)의 교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브에 감기는 로프(R)는 로프 홈(20)(홈 보호부(G))의 전 둘레에 대해 최대 절반 정도의 범위에서 접촉한다. 또한, 각 보호 부재(30)의 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시브(100)에 홀딩된 로프(R)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 로프 홈(20)의 길이(도 3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로프(R) 사이에 위치하는 로프 홈(20)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R)가 로프 홈(20)(홈 보호부(G))의 대략 절반 둘레에 걸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6개의 보호 부재(30) 중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2개의 보호 부재(30)에는 로프(R)가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하나의 시브에 대해, 일부의 보호 부재(30)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교환 대상의 보호 부재(30)가 로프(R)에 대해 비접촉이 되는 위치까지 시브를 회전시키면, 로프(R)를 시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보호 부재(30)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보호 부재(30)는 나사 부재(25)를 분리한 상태에서, 시브 본체(1)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를 시브에 감은 상태에서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시브에 대해, 모든 보호 부재(30)를 교환하는 경우라도, 로프(R)가 비접촉이 되는 위치에서 보호 부재(30)를 교환한 후, 시브를 약 60° 회전시키면, 다음의 보호 부재(30)를 동일한 방법으로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보호 부재(30)를 이용함으로써, 유지보수성 및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된 6개의 보호 부재(3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보호 부재(3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프의 배치 상황이나 작업 순서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보호 부재(30)의 재질은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구체적인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 부재(30)의 재질로는, 예컨대, 페놀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PEEK) 수지, 폴리아미드(PA)계 수지, 폴리이미드(PI)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PAI)계 수지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범용 수지 재료, 혹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널리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브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보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브(200)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시브(100)와 마찬가지로, 크레인 장치 등에 설치되고, 로프가 감긴 상태에서 사용된다. 시브(200)는 시브 본체(1)와, 시브 본체(1)의 로프 홈(20)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로프 홈(20)의 내면을 보호하기 위한 홈 보호부(G)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홈 보호부(G)는 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보호 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보호 부재(40)가 시브 본체(1)에 장착되어 있다.
보호 부재(40)를 로프 홈(2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시브 본체(1)에는 측면부(20b)의 가장자리부(직경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22)(제1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40)는, 제1 실시 형태의 보호 부재(30)와 마찬가지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보호 부재(40)는 용융한 수지를 금형 내로 사출하여 충전함으로써 수지 제품을 제조하는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삭 가공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보호 부재(40)의 시브 본체(1)의 둘레 방향에서의 길이는, 시브(200)에 홀딩된 로프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 로프 홈(20)의 둘레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보호 부재(40)는 로프 홈(20)의 저면부(20a)에 대향 접촉되는 바닥부(40a)와, 한쌍의 측면부(20b)에 각각 대향 접촉되는 한쌍의 측부(40b)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측부(40b)에는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돌출편(41)(제2 장착부)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돌출편(41)은 측부(40b)로부터 시브 본체(1)의 두께 방향(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편(41)은 측부(40b)와 일체 성형되고, 측부(40b)의 가장자리부(직경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41)은 보호 부재(40)의 로프 홈(20) 내에 장착할 때, 측면부(20b)에서의 오목부(22) 내에 배치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20b)에서의 오목부(22)의 바닥부에는 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공(2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공(23)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정공(23)은 측면부(20b)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비관통의 구멍부로 하여도 무방하다.
돌출편(41)에는 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는 삽입 통과공(42)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42)은 돌출편(41)이 오목부(22) 내에 배치되었을 때, 고정공(23)과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편(41)을 오목부(22) 내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26)(고정 부재)가 사용된다. 돌출편(41)의 삽입 통과공(42)에 삽입된 볼트(26)의 수나사부를, 오목부(22)의 고정공(23)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돌출편(41)이 오목부(22) 내에 고정된다. 즉, 볼트(26)를 이용하여 돌출편(41)이 측면부(20b)의 오목부(22) 내에 고정됨으로써, 보호 부재(40)가 로프 홈(2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편(41)의 시브 본체(1)(도 4 참조)의 둘레 방향 양단에는 보강판(43)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보강판(43)은 돌출편(41)과 측부(40b)의 외면을 연결하고 있고, 돌출편(4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측부(40b)의 가장자리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호 부재(40)에는 삽입 통과공(42)에 삽입된 볼트(26)의 머리부가 배치되는 영역과, 보호 부재(40)의 내측 영역(로프가 배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칸막이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부(44)에 의해, 로프의 볼트(26)에 의한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40a)의 두께(시브 본체(1)의 직경 방향으로의 두께)는 측부(40b)의 두께(측부(40b)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
로프 홈(20)의 저면부(20a)의,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보호 부재(40)의 바닥부(40a) 내면의,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부(40a)와 측부(40b)의 각 두께를 동일하게 설정하면, 보호 부재(40)는 로프 홈(20)의 내면에 접하여 장착되므로, 바닥부(40a) 내면의 곡률이 저면부(20a)의 곡률보다 작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보호 부재(40)는, 바닥부(40a) 내면에서의 곡률이 저면부(20a)의 곡률과 동일한 값(또는 가까운 값)이 되도록, 바닥부(40a)의 두께가 측부(40b)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호 부재(40)를 로프 홈(20)에 장착한 시브(200), 및 보호 부재(40)를 모두 제거한 시브 본체(1) 모두에 동일한 굵기의 로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크레인 장치 등의 사용 태양에 따라, 보호 부재(40)를 장착한 상태, 및 제거한 상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40)가 손상 또는 교환 시기에 이르렀지만, 새로운 보호 부재(40)의 입수가 어려운 경우, 시브 본체(1)의 로프 홈(20)에 직접 로프를 감아 크레인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보호 부재(40)는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있지만, 측부(40b)보다 두꺼운 바닥부(40a)의 성형이, 이 사출 성형에서는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금형 내에 사출된 용융 수지는 일정한 사출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금형 내의 각 부로 충전되지만,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바닥부(40a)를 성형하는 부분에서는,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함(기포의 발생, 함몰, 용융 수지의 미충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40)의 바닥부(40a) 외면에는 다수의 구멍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구멍부(45)가 바닥부(40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에 있어서의 금형의 바닥부(40a)에 해당하는 부분의 공간이 축소되고, 사출시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부(40a)에는 구멍부(45)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외면, 즉 로프 홈(20)의 저면부(20a)에 접하는 표면의 위치는 구멍부(45)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고, 바닥부(40a)의 두께가 측부(40b)보다 두꺼운 구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용의 금형으로부터 성형 후의 보호 부재(40)를 용이하게 취출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부(45)가 연장되는 방향(바닥부(40a)의 두께 방향)을 모두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보호 부재(40)에는 이하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보호 부재(40)에는 보강판(43)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보강판(43)을 설치하지 않고 돌출편(4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면, 보강판(43)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닥부(40a)의 외면에는 복수의 구멍부(45) 대신에, 복수의 홈부(46)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46)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홈부(46)를 형성함에 의해서도, 사출 성형에 있어서의 금형의, 바닥부(40a)에 해당하는 부분의 공간을 축소할 수 있어, 사출시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바닥부(40a)의 외면(로프 홈(20)과 접촉하는 면)의 면적에 관해서는 구멍부(45)를 형성한 경우의 면적이, 홈부(46)를 형성한 경우의 면적보다 많아진다. 이에 따라, 로프로부터의 압축 하중을 받는 바닥부(40a)의 높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바닥부(40a)에는 복수의 구멍부(45)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이를 수 있음은 명백하며, 그것들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시한 각 구성 부재의 제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예로서, 본 발명의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따라,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한쌍의 측면부(20b) 사이의 거리는 저면부(20a)로부터 시브 본체(1)의 외주연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쌍의 측면부(20b) 사이에 로프가 배치되는 간극을 확보한다면, 한쌍의 측면부(20b)를 서로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한쌍의 측부(30b(40b))도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 부재(40)를 로프 홈(20)에 장착 위해, 볼트(26)가 이용되고 있다. 이 볼트(26) 대신에, 고정 부재로서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오목부(22)에서의 고정공(23)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 부재를 로프 홈에 장착하기 위해 나사 부재나 볼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측부(30b)의 외면이나 돌출편(41)의 하면에 걸어맞춤 후크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부(20b)의 내면이나 오목부(22)의 바닥부에, 상기 걸어맞춤 후크를 결합할 수 있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된다. 즉, 결합부에 결합조를 결합시킴으로써, 홀딩 부재의 로프 홈으로의 장착이 완료되므로, 나사 부재 등의 고정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시브는 데크 크레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크레인 장치, 및 다른 기계 장치에 널리 적용 가능하고, 용도나 적용 가능한 기계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크레인 등의 기계 장치에 설치되는 시브에 이용할 수 있다.
1 시브 본체
4 외주부
20 로프 홈
20a  저면부
20b  측면부
21, 23 고정공(제1 장착부)
22  오목부
25  나사 부재(고정 부재)
26  볼트(고정 부재)
30, 40 보호 부재
30a, 40a  바닥부
30b, 40b  측부
31  삽입 통과공(제2 장착부)
41  돌출편(제2 장착부)
100, 200 시브
G  홈 보호부

Claims (13)

  1. 로프를 감을 수 있는 로프 홈이 외주부에 형성된 금속제의 시브 본체와,
    상기 로프 홈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 홈을 따라 연장되는 수지제의 홈 보호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 보호부는 상기 시브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보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로프 홈은,
    상기 시브 본체의 외주연(外周緣)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시브 본체의 외주연까지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로프 홈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바닥부와,
    상기 로프 홈의 한쌍의 측면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측부를 가지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내면에서의 곡률이 상기 저면부에서의 곡률과 동일한 값 또는 가까운 값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에는 제1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부에는 제2 장착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장착부가 상기 제1 장착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호 부재가 상기 로프 홈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측면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측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돌출편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시브에 홀딩된 상기 로프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 상기 로프 홈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시브.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시브 본체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두께는 상기 측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되어 있는 시브.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공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삽입 통과공이 상기 돌출편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삽입 통과공에 삽입된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돌출편이 상기 오목부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측면부에 설치되는 고정공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삽입 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삽입 통과공에 삽입된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장착부가 상기 제1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브.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공은 암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의 수나사부가 상기 고정공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보호 부재의 바닥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 홈에 감겨 있는 로프보다 상기 시브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시브.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면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시브 본체의 외주연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브.
  12. 삭제
  13. 삭제
KR1020157009782A 2012-10-22 2013-10-17 시브 KR101815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3150 2012-10-22
JPJP-P-2012-233150 2012-10-22
PCT/JP2013/078158 WO2014065183A1 (ja) 2012-10-22 2013-10-17 シ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381A KR20150058381A (ko) 2015-05-28
KR101815658B1 true KR101815658B1 (ko) 2018-01-08

Family

ID=5054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82A KR101815658B1 (ko) 2012-10-22 2013-10-17 시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015767B2 (ko)
KR (1) KR101815658B1 (ko)
CN (1) CN104736899B (ko)
WO (1) WO2014065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6164A (ja) * 2015-05-18 2016-12-22 株式会社Ihi シーブ及び該シーブを備えたデッキクレーン
JP6571479B2 (ja) * 2015-10-06 2019-09-04 株式会社相浦機械 滑車及び該滑車を備えたデッキクレーン
US11492230B2 (en) * 2018-08-20 2022-11-08 Otis Elevator Company Sheave liner including wear indicators
WO2020255285A1 (ja) * 2019-06-19 2020-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プーリ装置
CN113404845A (zh) * 2021-07-05 2021-09-17 连云港亚新钢铁有限公司 一种高炉料车绳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77564Y (zh) * 2009-03-10 2010-01-06 梁正 可保护钢丝绳滑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34A (en) * 1890-04-15 Half to charles j
GB204811A (en) * 1922-07-21 1923-10-11 Ropeway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eaves, wheels and the like
JPS4736754Y1 (ko) * 1967-11-02 1972-11-07
GB2020775A (en) * 1978-05-15 1979-11-21 Sandalbrook Ltd Improved retaining ring
JPS55142747U (ko) * 1979-03-31 1980-10-13
JPS56121071U (ko) * 1980-02-12 1981-09-16
JPS59153793A (ja) * 1983-02-14 1984-09-0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トラクシヨンシ−ブ
FR2602296B1 (fr) * 1986-08-01 1990-08-31 Ivano Frankovsk I Nefti Gaza Pouli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77564Y (zh) * 2009-03-10 2010-01-06 梁正 可保护钢丝绳滑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65183A1 (ja) 2016-09-08
KR20150058381A (ko) 2015-05-28
CN104736899A (zh) 2015-06-24
CN104736899B (zh) 2019-09-03
WO2014065183A1 (ja) 2014-05-01
JP2016188704A (ja) 2016-11-04
JP6015767B2 (ja)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658B1 (ko) 시브
US10301154B2 (en) Hoist drum and rope pulley for fiber rope drives
US7475867B1 (en) Fairleads for building platforms
ITMO20080196A1 (it) Guarnizione di tenuta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JP5351675B2 (ja) 空気入りタイヤ用ビードコア及びそのビードコア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1024626B1 (ko) 스테빌라이저 바 부싱기구
KR101574657B1 (ko) 선박 접안용 로프가이드의 무급유형 유니버셜 롤러
CN114314403B (zh) 一种带载排绳装置
KR101174456B1 (ko) 에어 샤프트
US11111963B2 (en) Transport jig and transport method for double-row self-aligning roller bearing
US20120321412A1 (en) Cover for a stud and nut assembly
KR101871074B1 (ko) 보빈
JP6228375B2 (ja) ロック装置およびリム
US20220267122A1 (en) Cable drum for a cable winch, and cable drive having such a cable drum
JP7439611B2 (ja) ウインチドラム
KR101626789B1 (ko) 래싱용품
CN213326484U (zh) 一种便于拆装的法兰盘及其卷筒组
JP2010064398A (ja) 生タイヤ保持装置
JP6064711B2 (ja) 着脱式ワーピングドラム
JP2010127387A (ja) ウエアリング及びウエアリングの製造方法
JP2021041959A (ja) 保護リングおよびそれを含むホイール保護部材セット
JP2005067861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リフトシリンダ取付構造
KR20230000102U (ko) 탈락 방지 기능이 향상된 마모방지부재를 구비한 컨베이어 구동롤러
JP2016216164A (ja) シーブ及び該シーブを備えたデッキクレーン
KR20130110451A (ko) 컨베이어용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