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41B1 - 차선 분리대 - Google Patents
차선 분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641B1 KR101815641B1 KR1020160035020A KR20160035020A KR101815641B1 KR 101815641 B1 KR101815641 B1 KR 101815641B1 KR 1020160035020 A KR1020160035020 A KR 1020160035020A KR 20160035020 A KR20160035020 A KR 20160035020A KR 101815641 B1 KR101815641 B1 KR 1018156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ut
- support
- protrusion
- groove
- lower str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고 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양 단부가 각각 지주들에 결합되고 지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로대를 포함하는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지주는, 지주의 하부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주 및 지주의 상부를 구성하고 하부 지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서 상부 지주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부 지주를 포함하고, 가로대는 그 양 단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를 에워싸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주의 상부가 그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하부 지주의 상부와 상부 지주의 하부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하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에 삽입되어 그 외측 표면이 하부 지주의 상부의 내측 표면과 맞닿고, 상부 지주의 상부는 지주로부터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서 형성되며, 상부 지주의 하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단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하부 지주의 상부에는 상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활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는 하부 지주의 돌기가 홈의 위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어 하부 지주의 돌기가 이동 제한부를 통과함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노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을 가로막는 가로대를 갖춘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차선 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과 인도 사이 등에 설치되어 사람 또는 차량이 차선 분리대를 넘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 통행의 안전을 도모하거나 사람이 차도를 무단 횡단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차선 분리대는 단순히 중앙선이나 차선과 인도 사이를 가로막는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차선 분리대에 차량이나 사람이 충돌하였을 때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가져야 하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견고함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차선 분리대는 도로 또는 도로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여러 개가 길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선 분리대는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형식과 구조의 것이 있는데, 최근 널리 사용되는 것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주와 지주들 사이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가로대를 갖춘 차선 분리대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선 분리대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차선 분리대는 지주의 하단에 볼트홀을 형성하고 노면에서 차선 분리대의 지주가 고정될 위치에 볼트를 고정 설치한 후에 지주의 볼트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노면에 설치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12344호(문헌 1)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3833호(문헌 2)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차선 분리대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유형의 차선 분리대는 한 쌍의 지주를 갖추고 지주들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횡바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횡바는 지주의 외측 표면에 마련된 브라켓에 체결되어 지주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차선 분리대는 지주의 외측 표면에 각각의 횡바를 체결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선 분리대에 차량이나 사람이 충돌할 때 체결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지주와 횡바의 결합 부위가 외부에 드러남으로써 차선 분리대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
문헌 2에 개시된 유형의 차선 분리대는 문헌 1에 개시된 유형의 차선 분리대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문헌 2의 차선 분리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문헌 2의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그 도면 부호도 그대로 사용한다.
문헌 2의 차선 분리대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2개의 지주봉(1)과 지주봉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2)이 마련된다. 가이드봉(2)의 양 단부는 중공 원통형의 설치 환봉(3)으로 구성되어 지주봉(1)의 상부가 설치 환봉(3)에 삽입되고 설치 환봉은 지주봉의 중간에 볼록하게 형성한 설치제한턱(11)에 얹혀진다. 또한, 지주봉의 상단에는 덮개(4)가 씌워진다.
지주봉(1)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수직 안내홈(12)이 마련되고 수직 안내홈의 옆쪽으로는 수평 잠금홈(13)이 연장되어 마련된다. 설치 환봉(3)의 내측 표면에는 수직 안내홈 및 수평 잠금홈에 끼워지는 잠금 돌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문헌 2의 차선 분리대에서는 설치 환봉의 잠금 돌부(13)가 지주봉(1)의 수직 안내홈(12)에 끼워지도록 지주봉(1)을 설치 환봉(3)에 삽입한 후에 지주봉(1)을 회전시켜서 설치 환봉의 잠금 돌부(13)가 지주봉(1)의 수평 잠금홈(13)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지주봉(1)을 가이드봉(2)과 결합한 후에 다른 지주봉(1)을 가이드봉(2)에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어서, 결합된 차선 분리대는 노면에 설치한 볼트에 지주봉 하단의 볼트 구멍이 끼워지도록 하여 노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문헌 2의 차선 분리대의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봉을 지주봉에 볼트 체결하는 일이 없이 지주봉을 가이드봉의 설치 환봉에 끼워 넣음으로써 양자가 결합되므로 결합 작업이 용이하고 지주봉과 가이드봉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차선 분리대의 외관의 미감이 향상된다. 따라서, 문헌 2의 차선 분리대에 의해 문헌 1에 개시된 유형의 차선 분리대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문헌 2의 차선 분리대는 이 차선 분리대를 도면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큰 문제점을 야기한다.
문헌 1 또는 문헌 2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유형의 차선 분리대를 노면에 설치하는 작업은, 노면 상의 지주의 위치와 지주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볼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볼트들에 지주 하단의 볼트 구멍을 맞추어 지주를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면에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설치할 때에는 지주의 원주 방향의 위치와 지주들 사이의 간격에 맞도록 그 간격과 위치를 정확히 맞추어야 한다.
문헌 2의 차선 분리대는 지주봉과 가이드봉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가이드봉 단부의 설치 환봉에 가이드봉을 삽입한 후에 지주봉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지주봉을 노면에 설치하기에 앞서 2개의 지주봉과 가이드봉을 완전히 결합한 후에 지주봉을 노면에 설치된 볼트에 체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노면에 설치된 볼트의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 문헌 2의 차선 분리대는 노면에 설치된 볼트와 결합되기 어렵다.
지주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볼트들을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수월한 일이지만, 가이드봉에 대한 2개의 지주봉의 원주 방향의 각도에 맞추어 하나의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볼트들 사이의 설치 각도와 다른 하나의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볼트들 사이의 설치 각도를 맞추는 것은 매우 정밀한 작업이다.
이러한 설치 각도가 맞지 않으면 차선 분리대를 이루는 각 지주의 원주 방향 위치가 의도한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되고, 이 경우에 하나의 지주에 맞추어 차선 분리대를 설치한 경우 반대쪽의 지주는 그 설치용 볼트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버린다.
그러나, 문헌 2의 차선 분리대는 2개의 지주봉과 가이드봉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고, 지주봉은 가이드봉에 대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원주 방향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문헌 2의 차선 분리대를 노면에 설치하려면 설치용 볼트를 매우 정확히 노면에 설치하여야 하지만, 도로에서의 정밀한 작업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문헌 2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유형의 차선 분리대, 즉 노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중공형의 양 단부에 지주가 삽입되어 지주와 결합되는 가로대(가이드봉)를 갖춘 차선 분리대의 구성을 개선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선 분리대를 노면에 설치할 때에 미리 차선 분리대를 결합할 필요 없이 노면에 한 쌍의 지주를 고정한 후에 지주와 가로대를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의 차선 분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를 노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들 간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차선 분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고 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양 단부가 각각 지주들에 결합되고 지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로대를 포함하는 것인 본 발명의 차선 분리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차선 분리대는 그 제1 양태로서,
각각의 지주는, 지주의 하부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주 및 지주의 상부를 구성하고 하부 지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서 상부 지주의 하부와 결합되는 상부 지주를 포함하고,
가로대는 그 양 단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를 에워싸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주의 상부가 그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하부 지주의 상부와 상부 지주의 하부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하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에 삽입되어 그 외측 표면이 하부 지주의 상부의 내측 표면과 맞닿고, 상부 지주의 상부는 지주로부터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서 형성되며,
상부 지주의 하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단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하부 지주의 상부에는 상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활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는 하부 지주의 돌기가 홈의 위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어 하부 지주의 돌기가 이동 제한부를 통과함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차선 분리대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하여 지주를 형성한다.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는 서로 결합되어 그 돌기와 홈의 결합에 의해 그 길이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하나의 지주를 이루게 된다.
가로대는 그 단부가 각각의 지주를 둘러 에워쌈으로써 지주와 결합되되, 지주에 대해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지주를 둘러싸는 것이므로, 각각의 지주를 노면에 설치할 때에 가로대에 대한 지주의 원주 방향의 각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지주는 단지 그 중심 위치만 맞추어 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노면에 지주의 고정 위치를 정확히 맞추지 않으면 설치가 곤란한 종래 기술의 차선 분리대에 비하여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주를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로 나누어 형성하므로 지주를 일체로서 길게 형성하는 종래 기술의 차선 분리대에 의해 제조가 용이하다.
일반적인 차선 분리대의 지주와 가로대는 합성 수지 등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는데, 지주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주의 금형이 매우 크고 제조 원가가 높으며 그 운반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주를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로 나누어 형성하므로 소형이고 간단한 형태의 금형을 이용하게 되므로 제조 원가가 저렴하게 되고 그 운반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 지주의 상부가 지주로부터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서 형성되므로, 종개 기술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문헌 2의 차선 분리대와 같은 종래 기술의 차선 분리대에서는 지주봉으로부터 가이드봉(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주봉과 가이드봉의 상단을 별도의 덮개로 폐쇄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 지주를 가로대의 양 단부에 삽입한 후에 상부 지주를 가로대의 양 단부에 삽입하여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결합되도록 하기 때문에, 덮개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 없이 상부 지주의 상단을 덮개로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선 분리대의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차선 분리대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상부 지주 하부의 홈에 하부 지주 상부의 돌기가 일방향으로만 통과할 수 있는 이동 제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한 후에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실시 양태로서, 이동 제한부는 홈의 측면으로부터 홈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상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하부 지주의 돌기는 하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상단면으로 갈수록 돌기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할 때에 상부 지주 및 하부 지주를 이루는 재료의 탄성 변형에 의해 하부 지주의 돌기가 상부 지주 홈의 돌출부를 통과하고, 상부 지주와 하부 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지주의 홈의 돌출부 상단면과 하부 지주의 돌기의 하단면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부 지주의 하부를 하부 지주의 상부에 활주시켜 결합할 때 하부 지주의 돌기는 상부 지주의 홈을 따라 활주하게 되는데, 돌기가 홈의 돌출부를 통과할 때에는 돌기의 경사면과 돌출부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탄성 변형되어 돌기가 돌출부를 통과하지만, 일단 돌기가 돌출부를 통과한 후, 즉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최종 결합 상태가 된 후에는 돌기의 편평한 하단면이 돌출부의 편평한 상단면과 맞닿음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분리되는 방향으로는 서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하부 지주의 상부에 상부 지주의 하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하고 상부 지주에는 홈 및 돌출부를 형성하고 하부 지주에는 이 홈을 따라 활주하고 돌출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돌기를 형성하였지만,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관련 구성을 역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차선 분리대는,
하부 지주의 상부와 상부 지주의 하부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지주의 상부가 상부 지주의 하부에 삽입되어 그 외측 표면이 상부 지주의 하부의 내측 표면과 맞닿고, 상부 지주의 상부는 지주로부터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서 형성되며,
하부 지주의 상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단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하부에는 하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활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하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는 하부 지주의 돌기가 홈의 위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어 상부 지주의 돌기가 이동 제한부를 통과함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부 지주의 상부와 상부 지주의 하부가 맞닿은 상태로 활주하는 구성, 홈에 돌기가 삽입되어 활주하는 구성 및 돌기가 홈의 돌출부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은 제1 양태와 동일하며, 단지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맞닿는 표면, 홈과 돌기가 형성되는 위치만 제1 양태의 역으로 되는 것이며, 그 작용 및 효과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돌출부 및 돌기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에 있어서도, 돌출부는 하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주의 돌기는 상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하단면으로 갈수록 돌기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할 때에 상부 지주 및 하부 지주를 이루는 재료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부 지주의 돌기가 하부 지주 홈의 돌출부를 통과하고, 상부 지주와 하부 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지주의 홈의 돌출부 하단면과 상부 지주의 돌기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및 돌기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도 돌출부와 돌기의 상하가 역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양태의 차선 분리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선 분리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선 분리대에서 일측 지주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선 분리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선 분리대에서 일측 지주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분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예의 차선 분리대의 전체적이고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선 분리대(1)는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고 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20, 30) 및 양 단부가 각각 지주들에 결합되고 지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로대(10)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지주(20, 30)는 지주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지주(20)와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지주(30)가 상하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지주를 이루고 있다. 지주들 사이에는 가로대(10)가 대체로 지면과 평행한 배치로 연장되어 있다.
가로대(10)는 지주(20, 30)에 부착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을 직접적으로 저지하는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양 단부(14)가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부(14) 사이에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가로 부재(11, 12)가 연장되고 가로 부재(11, 12) 사이에는 세로 부재(13)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로대 단부(14)의 상하측에는 그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해 약간 작은 부분(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는 차선 분리대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재귀반사 시트 등이 부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부 지주(20)는 노면에 설치되는 볼트에 고정되는 볼트홀(22)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21), 베이스(21)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절두원추형이며 중공으로 형성되는 하부(23) 및 하부(23)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중공 원통형(25)의 상부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지주의 베이스(21)와 하부(23) 역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25)와 함께 고분자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지주(20)의 외측에는 상부(25)와 하부(23)보다 큰 직경으로 가지고 돌출되는 형태의 안착부(24)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가로대의 양 단부(14)의 하단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다. 이러한 안착부(24)는 지주의 외측 표면로부터 돌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하부 지주의 하부(23)의 직경을 크게 하여 상부(25)와의 사이의 단턱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 지주(30)는 상부가 덮개(37)로서 형성되어 있고 덮개의 아래측에는 가로대(10)의 각 단부(14)의 상단과 맞닿으며, 덮개(37) 및 원통형의 상부 지주 본체(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한부(38)가 덮개(37)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주 본체(31)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아래쪽은 하부 지주(30)와 결합되었을 때에 하부 지주 상부(2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내측 표면이 하부 지주 상부(25)의 외측 표면과 맞닿은 상태로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지주 본체(31)의 하부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3개의 홈(33)이 등각도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하부 지주의 하부(23)의 중간에서부터 상측으로는 단면을 표시하고 있는데, 이해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 요소의 두께를 나타내지 않고 선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홈(33)은 상부 지주 본체(31)의 아래쪽에서 하단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횡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홈(33)은 대략 사다리꼴의 형태로 상부 지주 본체(31)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지주의 상부(25)에는 그 내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3개의 돌기(26)가 그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돌기(26)는 수평 단면에서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수직 단면에서는 상단면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단면이 편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지주 상부의 돌기(26)의 수평 단면 상의 형태는 상부 지주 본체(31)의 수평 단면 상의 형태에 부합하여, 하부 지주의 돌기(26)가 상부 지주의 홈(33)에 맞닿은 상태로 안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3에서 개략적인 형태의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대의 단부(14)에 하부 지주의 상부(25)를 끼워 넣은 후에, 하부 지주의 돌기(26)가 상부 지주의 홈(33)에 끼워 지도록 상부 지주의 본체(31)를 가로대의 단부(14)에 끼워 넣으면, 하부 지주의 돌기(26)가 상부 지주의 홈(33)에 끼워지고 상부 지주 본체(31)의 외측 표면이 하부 지주의 상부(25)의 내측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활주하여 상부 지주 본체(31)의 하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25)와 결합된다.
도 6에서는 도 2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지주 본체(31)의 홈(33)에는 홈(33)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4)가 돌기(26)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4)는 상단면(341)이 편평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경사면(34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인데, 이 도면에서는 하부 지주의 돌기(26)의 테두리 및 상부 지주의 홈(33)과 돌출부(34)의 테두리만을 도시하여 돌기(26)와 돌출부(34)의 형태와 그에 따른 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a)는 상부 지주 본체(31)를 하부 지주의 상부(25)에 삽입하면서 상부 지주 본체(31)의 홈(33)과 하부 지주 상부의 돌기(26)가 맞물린 상태에서 홈(33)이 돌기(26)에 대해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에서 보면, 돌기(26)는 하단면(262)이 편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단면으로 돌기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261)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는 상부 지주(30)를 더 하강시킴으로써 상부 지주의 홈(33)에서 돌출부(34)가 형성된 폭이 좁은 곳에서 하부 지주의 돌기(26)가 걸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돌기(26)의 경사면(261)이 돌출부의 경사면(341)에 맞닿아 있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34)의 폭이 돌기(34)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돌기(34)는 돌출부(34)에 걸리지만, 상부 지주(30)를 하향하여 압박하면 상부 지주(30)와 하부 지주(20)를 이루는 재료가 변형되고 상부 지주의 돌출부의 경사면(342)과 하부 지주의 돌기의 경사면(261)이 미끄러지면서 돌기(26)가 홈의 돌출부(34)를 통과한다.
돌기(26)가 홈의 돌출부(34)를 통과한 상태가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편평면인 돌기의 하단면(262)이 역시 편평면인 홈의 돌출부(34)의 하단면(341)과 맞닿게 된다. 따라서, 돌기(26)를 홈(34)으로부터 전술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즉 상부 지주(30)를 하부 지주(20)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매우 큰 힘이 들거나 돌출부(34) 또는 돌기(26)가 파단되지 않는 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도 7의 (c)에 도시한 상태가 상부 지주 본체(31)가 하부 지주의 상부(25)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가 되도록 돌출부(34)의 위치가 맞추어져 있다.
도 6에서 돌출부(34)는 상부 지주의 홈(33)의 상단 가까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 지주의 상부(25)에서 돌기(26)는 그 상단 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지주(30)를 하부 지주(20)에 삽입하면 하부 지주의 돌기(26)가 홈의 돌출부(34)를 통과하고, 돌기의 하단면(262)이 돌출부의 상단면(341)에 맞닿아서 상부 지주(30)를 하부 지주(20)로부터 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돌기(26)와 돌출부(34)를 각각 하부 지주의 상부(25)의 상단측 및 상부 지주의 홈(33)의 상단측에 형성하지 않고, 이들을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도 되지만, 상부 지주(30)와 하부 지주(20)가 서로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 돌기(26)와 홈의 돌출부(34)의 편평면들이 서로 맞닿는 위치에 있도록 그 위치를 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차선 분리대는 다음과 같이 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노면에는 지주들(20, 30)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각각의 지주의 베이스(21)에 형성한 볼트홀(22)의 배치에 맞추어 볼트를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이 볼트에 맞추어 하부 지주(20)를 설치하고, 각 지주의 하부 지주(20)의 상부(25)가 가로대(10)의 단부(14)에 삽입되도록 가로대를 하부 지주(20)와 결합한다. 가로대(10)는 단부(14)의 하단이 하부 지주의 돌출부(24)에 맞닿아 지지되어 하부 지주(20)에 놓인다.
이어서, 각각의 가로대(10)의 단부(14)에 상부 지주(30)를 삽입한다.
상부 지주(30)를 삽입할 때에는 상부 지주(30)를 조금씩 회전시켜가면서 상부 지주(30)의 홈(33)에 하부 지주(20)의 돌기(26)가 끼워지도록 한다.
각각의 돌기(26)가 홈(33)에 끼워지면 상부 지주(30)를 하부 지주(20)를 따라 아래로 밀어 넣는다. 이 때, 하부 지주의 돌기(26)가 상부 지주의 홈(33)의 돌출부(34)에 닿으면 상부 지주(30)에 더 큰 힘을 가한다.
이에 의해 돌기(26)가 돌출부(34)를 통과하고, 상부 지주(30)는 하부 지주(20)에 결합되며, 상부 지주(30)는 하부 지주(2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지도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부 지주의 돌출부(38)가 가로대 단부(14)의 상단에 맞닿고 상부 지주(30) 상단의 덮개(37)는 가로대 단부(14)의 상단을 덮는다.
본 실시예의 차선 분리대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고, 차선 분리대(1)를 조립한 후에 노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부 지주(20)를 노면에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지주(20)에 가로대(10)를 결합하고 여기에 상부 지주(30)를 끼워 넣어 차선 분리대(1)를 조립한다.
노면에 지주(20, 30)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각각의 하부 지주(20)를 고정할 볼트를 설치한다. 하나의 지주(20, 30)를 노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들은 그들 사이의 위치만 맞추면 되고 다른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들과의 배치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조립된 차선 분리대(1)를 노면에 설치한 볼트에 끼울 때에는 지주(20, 30)를 회전시켜 가면서 볼트에 대한 베이스(21)의 볼트홀(22)의 위치를 맞추어 결합한다. 가로대(10)는 하부 지주(20)의 둘레를 에워싸는 상태로 지주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지주(20, 30)를 회전시킬 때에 가로대(1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각각의 지주를 그 볼트 위치에 맞추어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원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의 결합에 관한 구성을 역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지주의 상부(25)에 상부 지주 본체(31)가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상부 지주 본체를 하부 지주의 상부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하부 지주의 상부가 상부 지주 본체에 삽입되어 그 외측 표면이 상부 지주 본체의 내측 표면과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부 지주에 형성한 홈은 상부 지주 본체가 아닌 하부 지주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 홈에 삽입되는 돌기는 하부 지주의 상부가 아닌 상부 지주 본체에 형성된다.
또한, 이동 제한부로서의 돌출부는 하부 지주의 상부에 형성하는 홈에 형성되고, 돌출부는 하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주의 돌기는 상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하단면으로 갈수록 돌기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할 때에 상부 지주의 돌기가 하부 지주 홈의 돌출부를 통과하게 되며, 상부 지주와 하부 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지주의 홈의 돌출부 하단면과 상부 지주의 돌기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반대 방향으로 구성하여도 그 결합 방법 및 작용은 동일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 변형례를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며, 그러한 수정과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차선 분리대 10: 가로대
20: 하부 지주 30: 상부 지주
20: 하부 지주 30: 상부 지주
Claims (5)
-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고 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양 단부가 각각 지주들에 결합되고 지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로대를 포함하는 차선 분리대로서,
각각의 지주는, 지주의 하부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주 및 지주의 상부를 구성하고 하부 지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서 상부 지주의 하부와 결합되는 상부 지주를 포함하고,
가로대는 그 양 단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를 에워싸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주의 상부가 그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하부 지주의 상부와 상부 지주의 하부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하부가 하부 지주의 상부에 삽입되어 그 외측 표면이 하부 지주의 상부의 내측 표면과 맞닿고, 상부 지주의 상부는 지주로부터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서 형성되며,
상부 지주의 하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단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하부 지주의 상부에는 상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활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는 하부 지주의 돌기가 홈의 위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어 하부 지주의 돌기가 이동 제한부를 통과함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인 차선 분리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 제한부는 홈의 측면으로부터 홈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상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하부 지주의 돌기는 하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상단면으로 갈수록 돌기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할 때에 상부 지주 및 하부 지주를 이루는 재료의 탄성 변형에 의해 하부 지주의 돌기가 상부 지주 홈의 돌출부를 통과하고,
상부 지주와 하부 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지주의 홈의 돌출부 상단면과 하부 지주의 돌기의 하단면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인 차선 분리대. -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고 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양 단부가 각각 지주들에 결합되고 지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로대를 포함하는 차선 분리대로서,
각각의 지주는, 지주의 하부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노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주 및 지주의 상부를 구성하고 하부 지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서 상부 지주의 하부와 결합되는 상부 지주를 포함하고,
가로대는 그 양 단부가 상부 지주의 하부를 에워싸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주의 하부가 그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하부 지주의 상부와 상부 지주의 하부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지주의 상부가 상부 지주의 하부에 삽입되어 그 외측 표면이 상부 지주의 하부의 내측 표면과 맞닿고, 상부 지주의 상부는 지주로부터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서 형성되며,
하부 지주의 상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단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부 지주의 하부에는 하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활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하부 지주의 각각의 홈에는 하부 지주의 돌기가 홈의 위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어 상부 지주의 돌기가 이동 제한부를 통과함으로써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인 차선 분리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 제한부는 홈의 측면으로부터 홈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하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주의 돌기는 상단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하단면으로 갈수록 돌기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할 때에 상부 지주 및 하부 지주를 이루는 재료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부 지주의 돌기가 하부 지주 홈의 돌출부를 통과하고,
상부 지주와 하부 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지주의 홈의 돌출부 하단면과 상부 지주의 돌기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하부 지주와 상부 지주가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인 차선 분리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하부 지주의 외측 표면에는 가로대 단부의 하단이 안착되는 돌출부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인 차선 분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5020A KR101815641B1 (ko) | 2016-03-24 | 2016-03-24 | 차선 분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5020A KR101815641B1 (ko) | 2016-03-24 | 2016-03-24 | 차선 분리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0799A KR20170110799A (ko) | 2017-10-12 |
KR101815641B1 true KR101815641B1 (ko) | 2018-01-30 |
Family
ID=6014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5020A KR101815641B1 (ko) | 2016-03-24 | 2016-03-24 | 차선 분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64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743Y1 (ko) | 2019-01-21 | 2019-08-01 | 주식회사 주영이앤씨 | 차선분리대 장치 |
KR102273897B1 (ko) * | 2021-01-25 | 2021-07-06 |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 조립식 차선분리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0059B1 (ko) * | 2018-05-15 | 2019-03-14 | 우드밸리 주식회사 | 다기능 목재 데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6706B1 (ko) | 2010-08-31 | 2011-02-22 | 주식회사 이도산업 |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
KR101178296B1 (ko) | 2005-11-14 | 2012-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
KR101356110B1 (ko) | 2011-10-24 | 2014-01-28 | 주식회사 동호 |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
-
2016
- 2016-03-24 KR KR1020160035020A patent/KR1018156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296B1 (ko) | 2005-11-14 | 2012-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
KR101016706B1 (ko) | 2010-08-31 | 2011-02-22 | 주식회사 이도산업 |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
KR101356110B1 (ko) | 2011-10-24 | 2014-01-28 | 주식회사 동호 |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743Y1 (ko) | 2019-01-21 | 2019-08-01 | 주식회사 주영이앤씨 | 차선분리대 장치 |
KR102273897B1 (ko) * | 2021-01-25 | 2021-07-06 |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 조립식 차선분리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0799A (ko)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5641B1 (ko) | 차선 분리대 | |
KR101683510B1 (ko) | 루프랙 구조 | |
KR101549065B1 (ko) | 데크로드 및 목교 시스템 | |
KR101913838B1 (ko) | 휀스 | |
KR101991026B1 (ko) |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03563B1 (ko) |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 |
US9453357B1 (en) | Glass fence support system | |
KR101605007B1 (ko) | 난간 구조물 | |
KR101848014B1 (ko) |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 | |
KR20150098393A (ko) |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 |
KR20150033333A (ko) | 펜스용 지주의 조립구조 | |
KR101286982B1 (ko) | 차선분리대 | |
KR101962657B1 (ko) | 조립구조가 개선된 차선분리대 | |
KR102147107B1 (ko) | 안전 난간 | |
KR101630189B1 (ko) | 플렉시블 펜스 | |
KR20200027141A (ko) | 휀스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휀스 | |
KR101818932B1 (ko) |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 |
KR101757260B1 (ko) |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816697B1 (ko) |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 |
KR200488105Y1 (ko) | 난간지주용 가로대 고정구 | |
KR102238512B1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 |
KR20160027702A (ko) |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 |
KR101489680B1 (ko) |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바 결합장치 | |
KR100995872B1 (ko) | 원터치 연결형 도로용 가드레일 | |
KR200482669Y1 (ko) | 차선 분리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