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932B1 -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932B1
KR101818932B1 KR1020170055039A KR20170055039A KR101818932B1 KR 101818932 B1 KR101818932 B1 KR 101818932B1 KR 1020170055039 A KR1020170055039 A KR 1020170055039A KR 20170055039 A KR20170055039 A KR 20170055039A KR 101818932 B1 KR101818932 B1 KR 10181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trusion
cross bar
lane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허봉락
Original Assignee
(주)일삼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삼비 filed Critical (주)일삼비
Priority to KR102017005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관체 혹은 봉체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홈이나 돌기가 설치되는 압출가공으로 제작된 본체와, 이 본체의 홈이나 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며 본체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가로대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압출지주봉 및 이 압출지주봉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 도로에서 융통성 있게 도로 곡률에 적합한 차선분리대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차선분리대의 설치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차선분리대의 가로대의 설치 높이, 갯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압출지주봉 본체는 압출가공을 통해 생산이 용이하고 압출지주봉의 다른 부재나 가로대와 결합 설치가 용이한 구성을 가지므로 저렴하고 간편하게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extrusion type road separator capable of controlling level and meandering}
본 발명은 차로의 무단횡단방지에 사용되는 펜스 혹은 차선분리대와 이를 제작하기 위해 적합한 지주봉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이에 따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및 그 제작에 적합하도록 압출가공을 통해 생산할 수 있는 압출지주봉에 대한 것이다.
차로에서 안전한 운행을 위해 운행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지 않도록 혹은 중앙선을 넘지 않도록 차선분리대가 사용된다. 차선분리대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바닥에 강재로 몇 센티메터 정도의 두께만 돌출되어 차량이 차선을 인식할 정도로만 설치될 수도 있고, 운전자에게 차선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시키고 위반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 차선이나 중앙선을 따라 일정 구간에 수십 센티메터 크기의 다수 지주봉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런 지주봉은 차량과 일부 접촉되어도 쉽게 훼손되지 않고 차 바퀴에 잠시 깔리는 경우에도 복원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이나 기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복잡하거나 위험한 도로에서 보행자나 차량의 도로 무단횡단이 있는 경우, 안전도 문제가 되고 교통사고나 혼잡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큰 데, 차선분리용 지주봉만 설치할 경우, 도로를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나 차량을 충분히 막을 수 없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형태의 차선분리용 지주봉 대신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를 설치하여 무단횡단을 방지하고 있다.
도1은 기존의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이런 제품은 크게 지주봉과 가로대로 이루어지며, 도로에 지주봉을 설치하고, 지주봉과 지주봉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설치하여 차선분리대를 이룬다. 지주봉은 가로대와 결합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로대결합부를 가지고, 지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에 지면결합부를 가지므로 몰드를 이용하여 사출가공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였다.
몰드를 이용한 사출가공은 일체로 제작할 수 있어서 지면결합부나 가로대결합부를 별도록 제작,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가 간편하지만 사출가공 비용은 압출가공에 비해 매우 커지게 되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어려움이 증가된다.
또한, 기존과 같이 몰드를 이용한 사출가공으로 지주봉을 형성하는 경우, 가로대결합부가 통상 지주봉의 좌우측면에 180도 이격 설치되어 직선 도로에는 적합하지만, 곡선 도로의 경우 지주봉을 사출가공으로 제작할 때 도로의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가로대결합부를 필요한 각도를 가지도록 여러가지 몰드를 준비하여 형성하거나, 두 개의 지주봉을 한쌍으로 묶되 가로대결합부가 필요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조절 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하는 도2의 개념적 도면과 같은 설치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런 곡선 도로 설치를 위한 구성은 같은 길이 구간에 대해 지주봉의 숫자가 훨씬 더 많이 필요하고, 설치도 번거롭게 됨으로 비용상층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60041호 :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485호 :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선 도로에서도 도로 곡률에 적합하면서 용이하게 가로대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차선분리대 및 이에 적합한 지주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로대 설치의 높이나 갯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차선분리대 및 이에 적합한 지주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출가공을 통해 생산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지주봉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은 관체 혹은 봉체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압출 방향)으로 홈이나 돌기가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홈이나 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며 본체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가로대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본체는 평단면이 8각 이상의 다각형이나 원형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다각형의 변이나 상기 원형의 원주에 복수의 홈이나 돌기가 바람직하게는 단턱 홈이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은 통상, 본체를 노면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지면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이 지면결합부를 노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압출지주봉은 본체 상단에 결합되며 본체 상단으로 가로대결합부가 단턱 홈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압출지주봉의 가로대결합부와 지면결합부는 동일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가로대에 결합되는지 노면에 결합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는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 복수 개와 상기 압출지주봉 사이에서 횡으로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압출지주봉과 가로대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가로대결합부재가 더 구비되거나, 가로대결합부의 가로대와 결합되는 단부는 가로대 단부를 단순히 끼워넣을 수 있는 오목부, 가령 홈통이나 소켓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을 이용하면 곡선 도로에서 융통성 있게 곡률에 적합한 가로대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차선분리대의 설치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대 설치의 높이나 갯수, 간격을 목적이나 주변 환경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은 압출가공을 통해 생산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이를 사용하여 저렴하고 간편하게 차선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의 기본적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2는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에 결합부재를 추가 사용한 다른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그에 대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압출지주봉에 사용될 수 있는 가로대결합부의 다른 실시예 및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적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차선분리대용 압출지지봉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4 내지 도7은 각각 가로대결합부가 압출지지봉 본체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 차선분리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선분리대는 크게 압출지주봉과 가로대(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이 실시예의 압출지주봉은, 관체(PIPE)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압출가공을 통해 연속적으로 압출기에서 뽑혀 나온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결합되는 가로대결합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측벽(11)에는 가로대결합부(20)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홈(13)이 본체 길이 방향 혹은 압출 방향(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13)은 본체(10)의 측벽 두께 내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볼 때 본체의 두께를 줄이고 리브(rib) 살처럼 기능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충돌 및 차륜 도과시에도 본체(10)의 형태 복원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홈(13)들 각각의 입구는 본체 외측면(17)에 위치하게 된다. 본체의 외측면(17)에 있는 홈 입구는 턱(15)에 의해 홈의 전반적인 폭에 비해 좁아져 홈(13)은 단턱 홈을 이룬다. 이런 단턱 홈은 몰드를 이용한 사출가공 제작에서는 쉽지 않지만 압출 가공에서는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를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자른 평단면에서 보면 본체(10)는 원형을 이루고, 그 원의 원주 전체를 따라 복수 개의 단턱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의 평단면 형상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형 대신 8각형과 같은 다각형이 될 수 있고, 단턱 홈은 다각형의 변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가로대결합부(20)의 일측 단부에는 이 단턱 홈에 정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단턱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단턱 돌기는 돌기 끝단에서 폭이 넓어진 턱부(21)와 좁은 홈 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돌기부(23)를 구비한다. 가로대결합부(20)의 다른 단부는 가로대(5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통(25) 혹은 소켓 형태로 이루어진다.
단턱 홈에 가로대결합부(2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본체(10)의 상단에서 본체(10)의 단턱 홈에 가로대결합부의 단턱 돌기를 위에서 아래로 끼워넣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단턱 돌기는 단턱 홈에 맞도록 본체 길이 방향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홈통은 모두 3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런 단턱 돌기의 턱부(21) 및 돌기부(23)와 홈통(25)은 몰드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도3과 같이 본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턱 돌기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홈통(25)을 일체로 형성하는 대신에, 길이가 짧게 형성된 턱부(21')와 돌기부(23')를 가지는 단턱돌기 하나에 하나의 홈통(25)을 가지는 가로대결합부(20') 및 스페이서바(27)를 도시한다. 도4와 같은 가로대결합부(20')를 사용하는 경우, 본체(10) 상단에서 번갈아가면서 스페이서바(27)와 가로대결합부(20')를 끼워넣어 실질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홈통(25)이 설치된 도3의 가로대결합부와 같은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도4의 단턱돌기를 형성할 때의 턱부(21')의 길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금 더 길게 형성한 턱부(21")를 형성하고, 그 길어진 부분에 나사구멍(27)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나사구멍(27)은 가로대결합부(20")를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하는 경우 몰드를 이용하여 처음부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별도의 스페이서바(27)를 설치하지 않는 상태로 턱부(21") 및 돌기부(23')를 포함하는 단턱돌기를 압출지주봉 본체(10)의 단턱홈(13)에 끼워진 상태로 적당한 높이에 놓고 나사(29)를 나사구멍(27)에 끼우고 회전시켜 가로대결합부(20"와 압출지주봉 본체(10)를 체결할 수도 있다.
이런 실시예들에서는 스페이서바(27)의 길이 조절을 통해 혹은 스페이서바 없이 나사(29)로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압출지주봉 본체(10)에서 가로대결합부(20', 20")가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본체에 결합되는 가로대결합부의 갯수와 가로대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가로대결합부의 높이 조절 특성을 이용하면 차선분리대가 설치되는 목적과 주변 환경이나 사정에 맞게 가로대의 설치 높이와 설치 갯수 및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압출지주봉 본체의 단턱 홈마다 가로대결합부를 하나씩 결합하여 주위의 어느 방향으로나 가로대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내며, 도7은 이런 상태를 만들기 위해 압출지주봉 상단에서부터 단턱 홈에 가로대결합부의 단턱돌기를 끼워넣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도 압출지주봉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압출지주봉 본체에서 가로대결합부가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로대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또한 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cover: 40) 혹은 캡(cap)이 구비된다. 커버는 반구형에 가까운 상부(43)와 본체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기둥에 가까운 하부(41)를 가지며,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40)는 본체(10)의 단턱 홈에 가로대결합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가로대결합부(20)가 위로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단턱 홈은 본체 평단면이 이루는 원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8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 차로에서는 두 개의 가로대결합부(20)가 서로 180도 (반대) 위치에 있는 단턱 홈에 끼워져 각 가로대결합부(20)의 홈통(25)에 삽입되는 가로대는 일직선상에 있게 되지만, 여기서는 단턱 홈에 결합되는 두 가로대결합부가 사이각 135도 각도로 설치되어 각 가로대결합부에 설치되는 두 가로대도 역시 사이각 135도를 이루게 된다.
물론, 본체(10)에 형성된 복수의 단턱 홈은 평단면에서 볼 때 일정한 각격으로 설치되지 않고, 도로 곡률을 감안하여 가령, 하나의 단턱 홈이 설치되고, 이 단턱 홈과 180도 사이각을 가지는 위치, 170도, 160도, 150도의 사이각을 가지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단턱 홈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체의 단턱 홈 가운데 일부에는 가로대결합부 외에도 가로대결합부의 단턱 돌기에 홈통 대신 반사표지를 대체 형성한 반사표지를 설치하여 차량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체(10)의 하단에는 지면결합부30)가 결합된다. 지면결합부(30)는 전체적으로 압출지주봉 본체(10)가 삽입되는 관체부(31)를 가지며, 이 관체부(31)의 하단에 외측으로 펼쳐져 노면과 맞닿는 플랜지(33)가 있고, 플랜지(33)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홀(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35)에는 앵커볼트(39)와 같은 노면과의 결합재료가 통과하여 노면 깊숙히 박히게 된다. 이로써 결합재료는 지면결합부(30)를 노면에 고정하고, 지면결합부(30)는 본체(10)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관체부(31)의 내측면에 가로대결합부의 단턱 돌기와 같은 형태의 고정돌기(37)들이 설치된다. 모든 단턱 홈 하부에 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가 서로 마주보는 고정돌기(37)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돌기(37)는 관체부(31) 내로 본체 하단이 위에서 아래로 삽입될 때 본체의 단턱 홈과 결합되어 본체(10)가 함부로 회전하지 않고 더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8은 압출지주봉 본체(10)에 가로대결합부가 결합되어 실제로 단위 차선분리대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8에 따르면, 두 개의 압출지주봉이 있고, 그 전방으로 가로대(50)가 도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나의 압출지주봉을 기준으로 도3의 실시예와 같은 두 개의 가로대결합부(여기서는 홈통 : 25)가 서로 135도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다음 압출지주봉에서도 두 개의 가로대결합부가 서로 135도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면 곡선 도로에 따른 곡선 형태의 가로대 배치를 이룰 수 있다.
이런 배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도로 중앙선이나 차선을 따라 직선 거리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압출지주봉을 설치한다. 먼저, 지면결합부(30)의 플랜지 부분에 있는 관통홀에 앵커볼트(39)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과시켜 노면에 고정한 후, 지면결합부(30)의 관체부 상단에 압출지지봉 본체(10) 하단을 맞추어 삽입한다. 이때, 관체부 내측면에 단턱 돌기와 같은 고정돌기가 있다면 본체 단턱 홈에 관체 내의 고정돌기를 정합시켜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로대결합부 하단을 본체(10)의 필요한 단턱 홈 상단에 맞추어 아래로 힘을 주어 단턱 홈에 가로대결합부의 단턱 돌기를 삽입한다. 단턱 돌기가 삽입되면 본체 상단에 커버(캡: 40)를 결합시켜 압출지주봉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으로는 가로대(50)를 조금 굽혀 가로대(50) 양측 단부가 양측 압출지주봉의 가로대결합부의 홈통(25)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결합수단으로 가령, 가로대 및 압출지주봉에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별도 나사를 나사홀에 죄어넣어 고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가로대결합부와 지면결합부를 같은 형태로 만들어 볼트와 같은 고정,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가로대 및 지면(노면)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체 외측면에 단턱 홈을 설치하고, 가로대결합부에 단턱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을 시키지만 반대로 본체의 외측면에 단턱 돌기를 설치하고, 가로대결합부에 단턱 홈을 형성하여 결합을 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압출지지봉 본체가 커버나 캡, 가로대결합부 및 가로대와 별도로 제작되므로 이들 가운데 일부가 부분적으로 손상이 된다면, 압출지주봉에서 이들 부분을 분리시켜 새로운 부분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차선분리대 일부가 훼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지므로 차선분리대 관리, 유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10: 본체 11: 측벽
13: 홈(단턱 홈) 15: 턱
20: 가로대결합부 21,21', 21": 턱부
23, 23', 23": 돌기부 25: 홈통
27: 나사구멍 29: 나사
30: 지면결합부 31: 관체부
33: 플랜지 35: 관통홀
37: 고정돌기 39: 앵커볼트
40: 커버(캡) 50: 가로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폴리우레탄 재질의 관체 혹은 봉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압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단턱 홈이 설치되도록 압출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기 단턱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턱 돌기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로대결합부(20)와,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면결합부(30)를 구비하며,
    상기 지면결합부(30)는 상기 본체(10)가 삽입되는 관체부(31)와, 상기 관체부(31)의 하단에 외측으로 펼쳐져 노면과 맞닿는 플랜지(33)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33)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앵커볼트(39)가 관통하는 관통홀(35)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부(31)의 내측면에 상기 가로대결합부(20)의 상기 단턱 돌기와 같은 형태의 고정돌기(37)들이 설치되어 상기 단턱 홈 하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가로대결합부의 설치 높이 조절 및 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단턱 홈 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바(spacer bar)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턱 홈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가로대결합부의 상기 단턱 돌기에 반사표지를 형성한 것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압출지주봉 복수 개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압출지주봉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가로대결합부와 결합됨으로써 횡으로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압출지주봉을 연결하는 가로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결합부와 상기 가로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9. 삭제
KR1020170055039A 2017-04-28 2017-04-28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KR10181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039A KR101818932B1 (ko) 2017-04-28 2017-04-28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039A KR101818932B1 (ko) 2017-04-28 2017-04-28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932B1 true KR101818932B1 (ko) 2018-01-17

Family

ID=6102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039A KR101818932B1 (ko) 2017-04-28 2017-04-28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50B1 (ko) * 2020-05-04 2021-01-04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오염 지하수 정화용 투수성반응벽체 카트리지
KR102309337B1 (ko) * 2021-04-28 2021-10-05 권경이 방음형 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29B1 (ko) * 2012-04-18 2012-11-09 가나금속 (주)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101724253B1 (ko) * 2016-09-08 2017-04-06 (주)태성스페이스 충격흡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29B1 (ko) * 2012-04-18 2012-11-09 가나금속 (주)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101724253B1 (ko) * 2016-09-08 2017-04-06 (주)태성스페이스 충격흡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50B1 (ko) * 2020-05-04 2021-01-04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오염 지하수 정화용 투수성반응벽체 카트리지
KR102309337B1 (ko) * 2021-04-28 2021-10-05 권경이 방음형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3400A (en) Impact resistant tongue-and-groove coupling for highway traffic barricades
KR101818932B1 (ko)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JP2013535596A (ja) ワイヤロープ安全柵用可曲性ポール
KR102115266B1 (ko) 휀스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휀스
EP3138962B1 (en) Modular separator of bicycle lanes
KR101815641B1 (ko) 차선 분리대
JP3823179B2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101307290B1 (ko)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130061790A (ko) 차선분리대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102133374B1 (ko) 시인성이 우수하고 반사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차선분리대
KR20190080673A (ko)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
KR20140060041A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230203765A1 (en) Glare screen system
KR200357076Y1 (ko) 안전 펜스
KR102278927B1 (ko) 차선규제봉
KR102057202B1 (ko) 도로 방호블록 연결기구
KR10148996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0660046B1 (ko) 차선규제봉
KR101888958B1 (ko) 차선 분리대
KR200389216Y1 (ko) 사슬을 장착한 차선규제봉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097056B1 (ko) 도로용 방호벽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