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837B1 -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837B1
KR101813837B1 KR1020170060331A KR20170060331A KR101813837B1 KR 101813837 B1 KR101813837 B1 KR 101813837B1 KR 1020170060331 A KR1020170060331 A KR 1020170060331A KR 20170060331 A KR20170060331 A KR 20170060331A KR 101813837 B1 KR101813837 B1 KR 10181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filter
raw material
cord
electronic devi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만
Original Assignee
손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만 filed Critical 손광만
Priority to KR102017006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노이즈 필터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로 된 리본형의 원소재;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형성되는 절연코팅층; 상기 절연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원소재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에 형성된 이형지;를 포함하며, 롤형태의 부착형 테이프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NOISE FILTER IMPROVED UT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SAME}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기존 전자기기 코드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발전에 따라 수 많은 전자부품들이 사용되면서 전자 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상호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기술도 더불어 발전되어 왔다. 이중 제품에서 발생되어진 불요전자파들이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받거나 하여 사고나 에러를 발생시킴에 따라 이에 대한 기술발전도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이중 전원노이즈(전원선을 따라 유입유출되는 불요전자파) 제거를 위해 전원단에는 EMI/EMC Filter(Noise Filter)나 이에 대한 대책부품(예를 들면 Line Filter 및 capacitor)등이 사용되어 불요전자파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과 간섭을 줄이기 위한 대책들이 세워진다.
하지만, 완성품 또는 설계가 완료된 상태의 전자기기에서 기기를 재설계할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미미한 불요전자파의 발생 및 간섭은 개발자들에게는 난감한 상황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대책 모듈 중 하나인 클램핑코아는 개발자들의 최종 개발 및 완성품에서의 EMI/EMC 대책 소자로서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이미 설계 완료된 전자기기에서 불요전자파에 의한 문제 발생시, 제품을 해체 보완하기 어려운 상황의 대책부품으로서 통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 페라이트(Ferrite) 재질의 클램핑 코아이다. 이러한 클램핑 코아에 대해 US7319376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노이즈 필터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재질의 노이즈 필터에 비해 노이즈상쇄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운 경우들이 산업용 전자기기등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파수대역과 온도 특성 등에 민감한 기기에 활용될 수 있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로 만들어진 클램프코아(노이즈 필터)에 대한 수요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노이즈 필터는 재료의 물성으로 인한 가공 난해성, 커팅 등의 형상변경시 부품의 자기 특성 상실 정도가 큼으로 인해, 재료 고유의 특성을 활용한 클램핑 타입의 코아나 유사한 대체부품으로 개발되기 힘들었다.
즉,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재질의 노이즈 필터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20)를 이용해 제작되는데, 이러한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20)는 취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약한 충격에도 쉽게 부셔지므로, 도 1과 같이 케이스(c1,c2) 내에 권취된 아몰퍼스 나노크리스탈 원소재(20)를 집어넣은 링형태의 노이즈 필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노이즈 필터는 사이즈가 정형화되어 있으므로, 적용될 전자기기 코드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완성품 또는 설계가 완료된 상태의 전자기기에서는 코드 주변부품이나 코드 형태에 따라 노이즈 필터를 끼우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공고특허 1995-00037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8175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5860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20-0187624 미국등록특허 US7319376 미국등록특허 US663300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부착형 테이프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직접 전자기기의 코드에 감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로 된 리본형의 원소재;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형성되는 절연코팅층; 상기 절연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원소재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에 형성된 이형지;를 포함하며, 롤형태의 부착형 테이프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코팅층은 상기 원소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원소재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은 a) 아몰퍼스나 나노크리탈로 구성된 롤타입 리본형 원소재가 권출되면서 상기 원소재의 양면에 합성수지재가 도포되는 단계; b) 상기 합성수지재가 도포된 상기 원소재에 고온의 열풍을 가해 열처리하여 상기 합성수지재를 경화시켜 상기 원소재에 양면에 절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절연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원소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접착층에 이형지를 형성시키는 단계; e) 상기 d 단계를 거친 상기 원소재를 롤타입이 되도록 권취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원소재를 수직된 형태로 이송시키면서 상부에서 상기 합성수지재를 낙류시켜 상기 원소재의 양면에 상기 합성수지재를 도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b) 단계는 60℃ 온도 조건하에서 30분 동안 열처리되거나, 75℃ 온도 조건하에서 20분 동안 열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 제조방법은 a) 아몰퍼스나 나노크리탈로 구성된 롤타입 리본형 원소재가 권출되면서 상기 원소재의 하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단계; b) 상기 원소재의 상면에 합성수지재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합성수지재가 도포된 상기 원소재에 고온의 열풍을 가해 열처리하여 상기 합성수지재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원소재에 상면에 절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상기 원소재를 롤타입이 되도록 권취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는 상기 원소재를 수평된 형태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원소재의 하면에 상기 양면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상기 원소재의 상면에 상기 합성수지재를 도포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재질의 노이즈필터 원소재의 양면 또는 일면에 연질의 절연코팅층이 형성된 구조이면서 롤타입의 부착 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노이즈 필터를 소정길이로 재단하고 전자기기의 코드에 직접 감아 부착시켜 손쉽게 설치함으로써 불요전자파의 상쇄효율은 기존과 같이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는 완성품 또는 설계 완료된 상태의 전자기기의 코드에 사용자가 직접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미 설계 완료된 제품에서 불요전자파에 의한 문제가 발생시 제품을 해체 보완할 필요 없이 코드에 직접 적용하여 불요전자파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노이즈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25)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로 된 리본형의 원소재(20)와, 이 원소재(20)의 양면에 형성되며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된 절연코팅층(21)과, 상기 원소재(20)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절연코팅층(21)에 형성되는 접착층(23)과, 상기 접착층(23)에 형성된 이형지(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노이즈 필터(25)는 권취되어 롤형태의 부착형 테이프 타입으로 구성된다.
원소재(20)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재질로 된 리본이 롤타입으로 권취된 형태로 제조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노이즈 필터용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20)는 취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코드에 직접 감아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25)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20)의 양면에 실리콘과 같은 액상의 박막형 합성수지재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연질의 절연코팅층(23)을 형성시킴으로써, 원소재(20)의 양면에 얇은 막으로 된 절연코팅층(23)에 의해 보호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의 코드에 감아주더라도 원소재(20)가 깨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25)는 원소재(20)의 양면에 형성된 절연코팅층(23) 일면에 접착층(23)과 이형지(2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형지(24)를 제거한 상태에서, 접착층(23)를 통해 노이즈 필터(25)를 직접 전자기기의 코드에 감아주면서 부착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25)는 롤형태의 리본형 접착테이프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노이즈 필터(25)를 소정길이로 잘라 전자기기의 코드에 감아주면서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간단하게 전자기기의 코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로 된 원소재(20)의 전자파 상쇄성능은 그대로 적용하면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25)를 전자기기의 코드(30)에 감아 부착시킨 후, 전자기기의 코드(30)에 감아 설치된 노이즈 필터(25)가 접착력의 약화에 의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풀림방지수단(4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풀림방지수단(40)은 한 쌍의 반원파이프(41,42)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일단부가 힌지(43)에 의해 연결되어, 한 쌍의 반원파이프(41,42)가 벌어지거나 닫혀서 원형 파이프 형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한 쌍의 반원파이프(41,42)의 서로 마주하는 타단부에는 결합홈부(45)와 결합돌기(46)로 이루어진 록킹부재(44)가 구비되어, 반원파이프(41,42)를 닫아서 록킹부재(44)를 통해 원형파이프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이즈 필터(25)를 전자기기의 코드(30)에 감아 부착시킨 상태에서, 풀림방지수단(40)으로 노이즈 필터(25)를 감싼 후, 록킹부재(44)를 고정시킴으로써, 전자기기의 코드(30)에 감긴 노이즈 필터(25)가 풀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25)를 감싸, 노이즈 필터(25)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40)이 서로 마주하는 반원파이프(41,42)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림방지수단(40-1)은 도 4와 같이, 케이블 타이 형태로 이루어져, 코드(30)를 감아준 노이즈 필터(25)의 외측으로 감싸도록 장착해 줌으로써, 노이즈 필터(25)의 풀림을 방지해 주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와 같이, 풀림방지수단(40-2)은 호스클램프 형태로 이루어져, 코드(30)를 감아준 노이즈 필터(25)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노이즈 필터(25)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의 코드(30)의 직경이 8mm 미만인 경우, 노이즈 필터(25)를 감아 부착하는 경우, 코드(30) 직경이 너무 작아 노이즈 필터(25)의 원소재가 취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코드(30)의 직경이 8mm 미만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코드(30)에 보조파이프(50)를 감싸 준 후, 이 보조파이프(50)의 외주면에 노이즈 필터(25)를 감싸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조파이프(50)는 내경이 8mm미만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라인(5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파이프(40)의 절개라인(53)을 벌려서, 보조파이프(50) 내부에 코드(30)가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보조파이프(50)가 자체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보조파이프(50)가 코드(30)에 밀착되게 감싸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보조파이프(50)가 코드(30)를 감싸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노이즈 필터(25)를 감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노이즈 필터(25)를 보조파이프(5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25)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제1권출롤러(11), 수직가이드롤러(12a), 수직가이드롤러(12b), 디스펜서(13), 히팅블로워(14), 도포롤러(15a), 제2권출롤러(17), 압착롤러(18), 권취롤러(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모든 구성은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권출롤러(11)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11)가 권출되기 위한 롤러이다. 여기서,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11)는 노이즈 필터 산업에서 시판되고 있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11)가 적용될 수 있다.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11)는 통상적으로 권취된 롤형태를 이루어고 있으며, 이 아몰퍼스나 나오크리스탈 원소재(11)는 제1권출롤러(11)에 장착되어, 원소재(11)가 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는 제1권출롤러(11)에서 권출된 원소재가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해준다.
본 발명에서 제1권출롤러(11) 및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가 모두 수직하게 설치되므로, 제1권출롤러(11)에서 수직하게 권출된 원소재(20)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 까지 세워진 상태 이송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의 후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수평가이드롤러(12b)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직가이드롤러(12a)에서 빠져나온 원소재는 90도 비틀리면서 한 쌍의 수평가이드롤러(12b)에 입력되게 된다.
디스펜서(13)는 제1권출롤러(11)와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제1권출러(11)와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의 사이에서 수직한 형태로 이송되는 원소재(20)에 흐름성이 좋은 액상의 실리콘(예를 들어 441)과 같은 액상 합성수지재(21)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직형태로 이송되는 원소재(20)에 디스펜서(13)에서 액상의 실리콘이 낙류됨으로써, 원소재(20)의 양면에 실리콘(21)이 도포되고, 원소재(20)에 도포되고 남은 잔류실리콘은 자중에 의해 원소재(2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디스펜서(13)의 하방으로 원소재(20)를 도포하고 낙하하는 잔류 실리콘을 수거하여 디스펜서(13)로 재공급하는 수거유닛을 더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히팅블로워(14)는 가열송풍기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수직가이드롤러(12a)와 한 쌍의 수평가이드롤러(12b)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실리콘(21)이 도포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소재(20)에 고온의 바람을 분사하여, 원소재(20)에 도포된 실리콘(21)을 경화시킴으로써 원소재(20)의 양면에 절연코팅층(22)이 형성시킨다. (여기서, 원소재(20)의 양면에 절연코팅층(22)이 형성된 것을 코팅원소재(22)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히팅블로워(14)에 의해 원소재(20)의 양면에 도포된 실리콘(21)에 60℃ 온도의 열풍이 30분 동안 분사되거나 75℃ 온도 조건하에서 20분 동안분사시킴으로써 원소재(20)의 양면에 절연코팅층(22)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포롤러(15a)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롤러(12b)의 후류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수평가이드롤러(12b)을 통해 빠져나와 수평되게 이송되는 코팅원소재(22)의 상면에 접착층(23)을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포롤러(15a)의 외주면에는 스펀지가 감싸지도록 구성되며, 이 도포롤러(15a)의 상부에는 접착액을 도포롤러(15a)에 배출시키는 접착액 배출수단(15c)이 구성된다. 접착액 배출수단(15c)은 접착액을 도포롤러(15a)에 주기적으로 소정량 배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포롤러(15a)는 접착액 배출수단(15c)에서 공급된 접착액이 외주면에 형성된 스펀지에 흡수될 수 있으며, 이 도포롤러(15a)의 스펀지가 코팅원소재(22)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코팅원소재(22) 상면 즉, 원소재(20)의 상면에 형성된 절연코팅층(22)의 상면에 접착액이 도포되어 접착층(23)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면에 접착층(23)이 형성된 코팅원소재(22)는 압착롤러(18)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포롤러(15a)의 하부에 지지롤러(15b)가 구성됨으로써, 도포롤러(15a)에 의해 접착층이 형성되고 있는 코팅원소재(22)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코팅원소재(22)가 쳐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제2권출롤러(17)는 롤형태의 이형지(24)가 권출되는 구성으로서, 권출된 이형지는 압착롤러(18)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압착롤러(18)는 상면에 접착층(23)이 형성된 코팅원소재(22)와 이형지(24)가 유입되어 서로 가압시킴으로서, 접착층(23)에 이형지(24)를 부착형성시킴으로써, 리본의 부착형 테이프 타입의 노이즈 필터(25)가 완성되도록 구성되며, 노이즈 필터(25)는 완성품 권취롤러(19)에 권취됨으로 롤시트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 권취롤러(19)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권취롤러(19)의 회전력에 의해 제1권출롤러(11) 및 제2권출롤러(17)로부터 원소재(20)와 이형지(24)가 권출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이필터(25)는 권출되는 원소재(20)의 양면에 액상의 실리콘(합성수지재)를 낙류시켜 도포하고, 열풍을 가해 실리콘을 경화시켜 원소재(20)의 양면에 연질의 절연코팅층(21)을 형성시키고, 이후, 일면의 절연코팅은(21)에 접착층(23) 및 이형지(24)를 형성하는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원소재(20)의 양면에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양면에 절연코팅층(21)을 형성한 후, 일면에 접착층(23)을 도포하고 이형지(24)를 부착형성시키는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소재(20)의 일면에만 절연코팅층을 형성시키고, 타면에는 절연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면테이프가 부착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노이즈 필터 제조장치는 제1권출롤러(61), 제3권출롤러(62), 부착롤러(63), 실리콘 디스펜서(64), 히팅블로워(65), 권취롤러(6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권출롤러(61)는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20)를 권출하도록 구성되며, 제3권출롤러(62)는 양면접착테이프(62)가 장착되어 권출하도록 구성된다.
부착롤러(63)는 한 쌍의 구성되어, 제1권출롤러(61) 및 제3권출롤러(62)로부터 공급된 원소재(20)와 양면접착테이프(70)를 서로 가압하면서 배출시킴으로써, 원소재(20)의 하면에 양면접착테이프(70)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양면접착테이프(7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양면접착테이프(70)의 상면은 원소재(20)의 하면에 부착되고, 양면접착테이프(70)의 하면에는 이형지(72)가 부착된 구성이다.
실리콘 디스펜서(64)는 부착롤러(63)의 후류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하면에 접착테이프(70)가 부착된 후, 이송되는 원소재(20)의 상면에 액상 실리콘(26)을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도포한다.
히팅블로워(65)는 실리콘 디스펜서(64)의 후류측에 설치되어, 원소재(20)의 상면에 도포된 실리콘(26)에 열풍을 분사하여 실리콘(26)을 경화시킴으로써, 원소재(20)의 상면에 연질의 절연코팅층(26)을 형성하여 노이즈 필터(29)가 완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노이즈 필터(29)는 권취롤러(66)에 롤형태로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권취롤러(66)는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롤러로 구성되어, 권취롤러(66)의 회전력에 의해 원소재(20)와 양면접착테이프(70)가 제1권취롤러(61) 및 제3권취롤러(62)에서 권출되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노이즈 필터(29)는 원소재를 수평형태로 이송시키면서 원소재(20)의 하면에 접착테이프(70)를 부착형성시키고, 원소재(20)의 상면에 실리콘(26)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절연코팅층(27)을 형성시킨 후, 완성된 노이즈 필터(29)를 롤형태로 권취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제1권출롤러
12a...수직가이드롤러
12b...수평가이드롤러
13...디스펜서
14...히팅블로워
15a...도포롤러
17...제2권출롤러
19...권취롤러
20...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 원소재
61...제1권출롤러
62...제3권출롤러
63...부착롤러
64...실리콘디스펜서
65...히팅블러워
66...권취롤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아몰퍼스나 나노크리스탈로 된 리본형의 원소재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형성되는 절연코팅층와, 상기 절연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원소재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형성된 접착층와, 상기 접착층에 형성된 이형지를 포함하며, 롤형태의 부착형 테이프 타입으로 구성되어, 전자기기의 코드에 감아 부착시키는 노이즈필터;
    상기 전자기기의 코드에 감겨진 상기 노이즈필터가 접착력의 약화에 의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노이즈필터를 감싸고정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벌어지거나 닫혀서 서로 원형 파이프 형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반원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반원파이프의 서로 마주하는 일단부는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타단부에는 결합홈부와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록킹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반원파이프를 닫아서 상기 록킹부재를 통해 원형파이프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코드의 직경이 작아 상기 노이즈필터가 취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기기의 코드를 감싸주는 보조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파이프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개라인을 벌려서 상기 보조파이프 내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코드가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외력을 제거하여 상기 보조파이프가 자체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보조파이프가 상기 전자기기의 코드에 밀착되게 감싸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조립체.
  6. 삭제
KR1020170060331A 2017-05-16 2017-05-16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KR10181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31A KR101813837B1 (ko) 2017-05-16 2017-05-16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31A KR101813837B1 (ko) 2017-05-16 2017-05-16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837B1 true KR101813837B1 (ko) 2017-12-29

Family

ID=6093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331A KR101813837B1 (ko) 2017-05-16 2017-05-16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9209A (ja) * 2003-09-30 2005-04-21 Mitsui Chemicals Inc 磁性基材、磁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99022B1 (ko) * 2012-12-27 2014-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자파 흡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9209A (ja) * 2003-09-30 2005-04-21 Mitsui Chemicals Inc 磁性基材、磁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99022B1 (ko) * 2012-12-27 2014-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자파 흡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3563A (zh) 复合玻璃层合物和幅材加工设备
JP6152569B2 (ja) 静電的に固定されたガラスロール、その作製方法および装置
US10151898B2 (en) Former, optical fiber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cable manufacturing method
CN105793377B (zh) 粘接带构造体及粘接带收纳体
KR101813837B1 (ko) 사용성이 향상된 노이즈 필터, 이 노이즈필터를 구비한 노이즈 필터조립체 및 이 노이즈 필터의 제조방법
JP4840350B2 (ja) 印字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5857897B2 (ja) 電線に対する保護シート材の巻き付け方法及び電線に対する保護シート材の巻き付け用の治具
US6596111B2 (en) Tail for attaching the trailing edge of one roll of tape to the leading edge of another roll of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0179922A (ja)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及び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形成方法
JP2008020856A (ja) 液晶表示パネルの保護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保護方法
CN112466620A (zh) 一种电感器固定设备
CN214165388U (zh) 一种电脑零配件包装设备的覆盖装置
KR20120121755A (ko)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제조장치
JP2023177237A (ja) 巻取りロール
JP5942903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護シート巻き機
US20230303361A1 (en) Elastic spool protector
JP2001118446A (ja) テープ縦添え方法
CN114347487A (zh) 一种铝塑膜生产设备及工艺
KR101202046B1 (ko) 연성동박적층체 경화방법
JP2016221865A (ja) 複合材パイプ及び複合材パイプの製造方法
JP2001164205A (ja) 機能フィルムへの粘着剤塗布方法と粘着剤塗布装置
JPH0664831A (ja) フィルム付smcの切断方法
RU220134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ой ленты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17077844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樹脂シートおよび該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40132004A (ko) 접착 필름의 부착 방법 및 접착 필름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