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494B1 - 이산화규소 저감화를 위한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산화규소 저감화를 위한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3494B1 KR101813494B1 KR1020170106067A KR20170106067A KR101813494B1 KR 101813494 B1 KR101813494 B1 KR 101813494B1 KR 1020170106067 A KR1020170106067 A KR 1020170106067A KR 20170106067 A KR20170106067 A KR 20170106067A KR 101813494 B1 KR101813494 B1 KR 101813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particles
- silicon dioxide
- calcium
- weight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102000002322 Egg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8010000912 Egg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3278 egg sh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8476 powdered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BRPQOXSCLDDYGP-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O-2].[Ca+2] BRPQOXSCLDDYG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2000015081 Blood Coagulation Factors Human genes 0.000 claims 1
- 108010039209 Blood Coagulation Factors Proteins 0.000 claims 1
- 239000003114 blood coagulation fa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91 magnes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19 magnes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92 magnes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ZADYMNAVLSWLEQ-UHFFFAOYSA-N magnesium;oxygen(2-);silicon(4+) Chemical compound [O-2].[O-2].[O-2].[Mg+2].[Si+4] ZADYMNAVLSWL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77 cryoprote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26 crystalline silic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quartz dust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31 tr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QCVGEOXPDFCNHA-UHFFFAOYSA-N 5,5-dimethyl-2,4-dioxo-1,3-oxazolidine-3-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1(C)OC(=O)N(C(N)=O)C1=O QCVGEOXPDFCNH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PQQTUXANYXVAA-UHFFFAOYSA-N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O-][Si]([O-])([O-])[O-] BPQQTUXANYX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189 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956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66 anti-perspi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13 antiperspi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6 cristoba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3 egg w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69 egg whi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475 hemolytic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30 hygroscop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02 jet-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47 material safety data shee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YJRXVWERLGGKC-UHFFFAOYSA-D pentacalcium;hydroxide;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OH-].[Ca+2].[Ca+2].[Ca+2].[Ca+2].[Ca+2].[O-]P([O-])([O-])=O.[O-]P([O-])([O-])=O.[O-]P([O-])([O-])=O XYJRXVWERLGGKC-UHFFFAOYSA-D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823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596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23C3/08—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addition of preservatives
- A23C3/085—Inorganic compounds, e.g. lactoperoxidase - H2O2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08—Anticak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서,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평균 입도가 1 ㎛ 내지 10 ㎛인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로 이루어지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이 30 내지 80 중량%이고,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는를 분말형 식품에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서 이산화규소 성분을 미량으로 이용하면서도 고결방지 특성은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이산화규소의 식품 첨가량을 줄이기 위한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말형 식품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규소(Si)는 자연계에 이산화규소(silica, SiO2)나 규산염(silicate)으로 주로 존재하고, 이산화규소(silica, SiO2)는 지각의 주요성분으로서, 동식물체에도 존재하고, 특히, 플랑크톤류를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이기도 하다.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이산화규소로서는 결정구조가 다른 석영(투명한 결정은 수정(crystal)이라고 함), 인규석, 크리스토발석(cristobalite)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불순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착색되어 컬러를 나타낸다(식품안전나라. 식품첨가물 기본정보 참조). 이러한 이산화규소는 유리의 원료로 사용되거나, 치약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에도 이용되고 있다.
식품의 첨가제로서 이산화규소가 포함되는 경우, 그 용도는 고결방지제 및/또는 여과보조제이어야만 하며, 이외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없고 사용 허용 농도에도 엄격한 제한이 있다. 분말유크림(자동판매기용에 한함)의 경우에는, 1%이하(규산마그네슘 또는 규산칼슘과 병용할 때에는 각각의 사용량의 합계가 1% 이하)이어야 하고, 분유류(자동판매기용에 한함)의 경우에도 1%이하(규산마그네슘 또는 규산칼슘과 병용할 때에는 각각의 사용량의 합계가 1% 이하)로 맞춰야 하며, 식염의 경우에도 2%이하(규산마그네슘 또는 규산칼슘과 병용할 때에는 각각의 사용량의 합계가 2% 이하)이며, 기타식품에는 2% 이하로 정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엄격하게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을 제한하고 있는 것은, 이산화규소의 독성 때문이다. 식품의약품 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석영 분진을 포함하여 결정질 실리카에 작업성 노출을 겪었던 작업자에게 피부경화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머티즘성 관절염, 용혈성 빈혈 및 피부다발근육염 등이 나타남이 보고된 바 있다고 한다(Robbins, 1974; koeger, 1991). 또한, 다양한 형태의 결정질 실리카 제제들은 쥐의 폐에 선암과 편평세포암을 유발하기도 하며(OHS MSDS), 이외에도 여러 논문을 통해 이산화규소의 위해성이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산화규소는, 식품, 특히 당분 함유량이 높아 흡습성을 갖는 식재료의 고결(caking)을 방지함으로써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격 대비 효율이 높아 가장 많이 이용되는 첨가제이기는 하지만, 섭취하는 식재료에 포함되는 첨가제인 만큼 이산화규소의 함량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으나, 식품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량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식품의 첨가제로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식품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보관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분말형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평균 입도가 1 ㎛ 내지 10 ㎛인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로 이루어지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이 30 내지 80 중량%이고,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칼슘계 미립자들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탄산칼슘 및 제3 인산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칼슘계 미립자들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탄산칼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30 중량%이며, 상기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이 7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칼슘계 미립자들과 상기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의 전체 평균 입도는 4 내지 7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위한 분말형 식품 조성물은 99 내지 99.9 중량%의 식재료 분체; 및 0.1 내지 1 중량%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40 내지 80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20 내지 60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가 0.5 중량%인 경우, 30℃±2℃의 온도 조건과 50%±3%의 습도 조건에서의 24시간 경과 후, 식재료 분체의 응집률이 18% 내지 4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 내지 2 중량%로 입자 크기가 10 mm 내지 100 mm 인 이산화규소 입자들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응집률에 비해,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은 25% 이하의 첨가량으로 감소된 응집률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재료 분체는 분말조미료, 분말유크림, 분유류, 식염, 스넥용 씨즈닝, 라면스프 또는 분말치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2 내지 0.4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을 0.1 내지 0.3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과 함께 이용함으로써, 응집률을 감소시켜 응집률이 40% 미만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포함되는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의 평균 입도는, 상기 식재료 분체를 구성하는 입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 따르면,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분말형 식품이 고결(caking)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고결방지 특성)을 향상시켜 분말형 식품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은 허용 기준치의 80% 이하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지만 고결방지 특성은 오히려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을 허용 기준치의 40% 수준까지 낮추면서도 고결방지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은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허용 기준치보다 낮으므로 식품 안정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수분이 제거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제조함으로써, 미립자들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함량을 거의 5%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 포함시킴에 따라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의해서 분말형 식품이 고결되는 것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샘플들의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샘플 1의 응집 상태의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샘플 2 내지 4의 응집 상태의 사진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샘플 1 내지 3과 본 발명에 따른 평가샘플 3, 4 및 7의 응집 상태의 사진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샘플 1의 응집 상태의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샘플 2 내지 4의 응집 상태의 사진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샘플 1 내지 3과 본 발명에 따른 평가샘플 3, 4 및 7의 응집 상태의 사진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30 내지 80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20 내지 70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이산화규소와 칼슘계 물질로 형성된 미립자들로 이루어진 미분체이고, 상기 미분체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평균 입도는 1 ㎛ 내지 10 ㎛ 사이의 특정 값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평균 입도가 1 ㎛ 미만인 초미립자는 제조를 위해 고비용이 들고, 저장, 수송 등의 관리가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평균 입도가 10 ㎛를 초과하는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10 내지 100 mm의 입도 크기를 갖는 기존 유통되는 이산화규소 입자들이나, 이들을 분쇄하여 얻었으나 불과 10 ㎛ 초과 100 ㎛ 수준의 입도를 갖는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만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고결방지 특성의 향상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미분체는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이 포함되기는 하지만, 이들이 모두 균일한 입도를 갖고 있어 평균 입도의 값을 갖는 미립자들이 전체 중량의 90% 이상일 수 있다. 즉, 상기 미분체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평균 입도를 x ㎛(1≤x≤10)라 할 때, x±0.1㎛ 범위에서의 그래프의 면적인 적분값이 전체 그래프 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의 평균 입도는 4 내지 7 ㎛일 수 있다.
고결방지용 첨가제에서, 미립자들의 입도는 분말형 식품을 구성하는 입자의 입도보다 작은 것이 좋다. 분말형 식품을 구성하는 입자들 사이에 고경방지용 첨가제의 미립자들이 용이하게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어 분말형 식품이 고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칼슘계 미립자들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탄산칼슘 및 제3 인산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나 식이섬유 등이 식품 내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제로 이용되고 있으나, 셀룰로오스나 식이섬유는 미립자로 만들 수 없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입도가 30 ㎛인 입자가 최소 크기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는 흡습성을 가지면서도 고압으로 용이하게 미립자의 입도로 분쇄할 수 있는 벌크형 난각칼슘, 패각칼슘, 탄산칼슘 및 제3 인산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칼슘계 미립자들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인산칼슘은 이산화규소와 함께 그 사용량이 엄격히 지정되어 있는 물질이므로, 제3 인산칼슘을 이산화규소와 함께 이용한다하더라도 이들 전체의 양이 지정되어 있는 사용량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하므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탄산칼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칼슘게 미립자들을 형성할 수 있다.
고결방지용 첨가제 100 중량%에 있어서,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이 30 내지 80 중량%를 차지하고,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70 중량%를 차지한다.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결방지용 첨가제에서 이산화규소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적어도 20%, 최대 70%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때의 고결방지 특성은 오히려 2배 이상 향상된다.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고결방지용 첨가제에서 이산화규소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율이 미미할 뿐이고 고결방지 특성도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변화가 거의 없다. 또한, 칼슘계 미립자들이 70 중량% 초과로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산화규소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는 매우 유리하지만, 이때 역시 고결방지 특성이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70 중량%로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은 3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결방지용 첨가제에서 칼슘계 미립자들과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의 중량비가 20:80 내지 50:50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칼슘계 미립자들과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의 중량비가 20:80 내지 30:7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의한 고결방지 특성은, 분말형 식품의 응집률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분말형 식품의 응집률은 특정 온도 및 수분 조건에서 분말형 식품 전체의 중량에 대한, 응집되어 거름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하는 분말의 중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0℃±2℃의 온도 조건과 50%±3%의 습도 조건에서 24시간(1일) 경과 후에 측정된 응집률이 40% 이하의 값을 나타낸다.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2 내지 0.4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을 0.1 내지 0.3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과 함께 이용함으로써, 응집률을 감소시켜 응집률이 40%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3 내지 0.4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을 0.1 내지 0.2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과 함께 이용함으로써, 응집률을 감소시켜 응집률이 30% 미만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가 60% 이상의 값을 갖는 것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은 수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샘플의 제조 및 특성 평가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와 칼슘계 벌크 입자들을 고압 분쇄 공정을 통해서 미립자로 분쇄하여 제조한다. 고압 분쇄 공정은 공기를 이용한 제트 밀(jet mill) 공정으로 수행한다. 미립자의 제조를 위한 제트 밀의 압축 공기는 6 내지 7 bar일 수 있다.
고압 분쇄 공정의 대상이 되는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와 칼슘계 벌크 입자들은, 그들의 중량비가 30:70 내지 80:20이 되도록 혼합된 상태에서 고압 분쇄 공정을 수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80:20이 되도록 혼합할 수 있다. 벌크 입자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고압 분쇄 공정을 수행하므로, 이를 분쇄한 결과물인 미분체에서도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의 중량비가 최초 혼합된 중량비와 큰 변화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와 칼슘계 벌크 입자의 경도 특성이 유사하여 동일한 고압 분쇄 공정에서 균일한 입도를 갖는 미립자들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고압 분쇄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와 칼슘계 벌크 입자들 각각이 이미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풍 건조시키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열풍 건조는, 수분이 전체 중 5 %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미분체인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제조 공정 중에서 수분이 5% 이하로 건조되어서 만들어지고, 제트 밀 공정은 수분이 제거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분쇄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원래 이산화규소 벌크 입자와 칼슘계 벌크 입자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함량을 5%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 포함시켰을 때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의해서 분말형 식품이 고결되는 것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분말형 식품, 즉, 식재료 분체와 혼합되어 분말형 식품 조성물을 구성한다. 식재료 분체는, 분말조미료, 분말유크림, 분유류, 식염, 스넥용 씨즈닝, 라면스프 또는 분말치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1 중량%으로 첨가되어, 식재료 분체는 99 내지 99.9 중량%을 차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가 최대 1 중량%로 식재료 분체에 첨가되는 것은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동량의 1 중량%의 첨가제가 첨가된다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 중에서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70 중량%를 차지하므로,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을 불과 0.3 내지 0.8 중량%로 포함되게 되며, 기존의 고결방지제 사용시보다 분말형 식품의 응집 효과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식품 조성물에서는,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 중량%만으로도 종래에 비해 응집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15 내지 0.4 중량%의 이산화규소 성분만으로도 식재료 분체의 고결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칼슘계 미립자와 함께 고결방지 특성이 향상되므로, 이산화규소 성분을 미량 이용하면서도 식재료 분체의 보관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샘플들과, 비교샘플들을 준비하고, 이들의 고결방지 특성을 비교 및 평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용 첨가제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샘플 1의 준비
풍림푸드(회사명, 한국)에서 구입하였고 크기가 20 mm 내지 80 mm 수준인 난각칼슘 2 kg을 준비하고, 이에 대해서 열풍건조를 수행하여 수분이 5% 미만이 되도록 건조하였다. 건조된 난각칼슘에, 지앤에프(회사명, 한국)에서 구입하였고 크기가 10 mm 내지 100 mm 수준인 이산화규소 분말 8 kg을 균일하게 혼합하였고, 이를 에어제트밀을 이용하여 6 내지 7 bar 기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미분쇄하여, 평균입도가 6 ㎛인 난각칼슘 미립자와 이산화규소 미립자가 혼합된 미분체를 샘플 1로서 준비하였다.
샘플 2 내지 샘플 6의 준비
난각칼슘 2.5 kg과 이산화규소 분말 7.5 kg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통해서 샘플 2를 준비하였다.
샘플 3은 난각칼슘 3 kg과 이산화규소 분말 7 kg을 이용하였고, 샘플 4는 난각칼슘 5 kg과 이산화규소 분말 5 kg을 이용하였으며, 샘플 5는 난각칼슘 6 kg과 이산화규소 분말 4 kg을 이용하여, 샘플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준비하였다. 또한, 샘플 6은 난각칼슘 7 kg과 이산화규소 분말 3 kg을 이용하여, 샘플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통해서 준비하였다.
샘플 7 내지 9의 준비
난각칼슘 대신 탄산칼슘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3의 제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샘플 7을 준비하였으며, 샘플 8은 패각칼슘으로, 샘플 9는 제3인산칼슘으로 샘플 3의 난각칼슘을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평가샘플 1 내지 9의 준비
상기에서 준비된 샘플 1을 0.1 g을 취하여 치즈분말 19.9 g과 혼합하여, 샘플 1이 0.5 중량%를 차지하는 평가샘플 1을 준비하였다.
동일하게 샘플 2 내지 9 각각에서 0.1 g을 취하여 치즈분말 19.9 g과 혼합하였고, 이를 통해 평가샘플 2 내지 9를 준비하였다.
비교샘플 1 내지 4의 준비
치즈분말 20 g을 비교샘플 1로 준비하였으며, 샘플 1의 제조를 위해서 이용한 이산화규소 분말 0.1 g과 치즈분말 19.9 g을 혼합한 분체를 비교샘플 2로 준비하였다.
또한, 이산화규소 분말 0.2 g과 치즈분말 19.8 g을 혼합한 분체를 비교샘플 3으로, 이산화규소 분말 0.4 g과 치즈분말 19.4 g을 혼합한 분체를 비교샘플 4로 준비하였다.
고결방지 특성 평가: 응집률
상기와 같이 준비된 평가샘플 1에 대해서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30℃±2℃의 온도 조건과 50%±3%의 습도 조건에서 24시간(1일)동안 방치하였다. 방치한 후,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거름망 직경이 30 messh 체반을 이용하여 체친 후에 체반 위에 잔류하는 분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응집률을 최초 무게인 20 g과 잔류하는 분체의 무게의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구분 | 고결방지제 | 고결방지제 함량 |
응집률 |
평가샘플 1 | 난각칼슘 20 wt% 이산화규소 80wt% |
0.5 wt% | 18% |
평가샘플 2 | 난각칼슘 25 wt% 이산화규소 75wt% |
0.5 wt% | 19% |
평가샘플 3 | 난각칼슘 30 wt% 이산화규소 70wt% |
0.5 wt% | 20% |
평가샘플 4 | 난각칼슘 50 wt% 이산화규소 50wt% |
0.5 wt% | 29% |
평가샘플 5 | 난각칼슘 60 wt% 이산화규소 40wt% |
0.5 wt% | 35% |
평가샘플 6 | 난각칼슘 70 wt% 이산화규소 30wt% |
0.5 wt% | 40% |
평가샘플 7 | 탄산칼슘 30 wt% 이산화규소 70wt% |
0.5 wt% | 19% |
평가샘플 8 | 패각칼슘 30 wt% 이산화규소 70wt% |
0.5 wt% | 20% |
평가샘플 9 | 제3인산칼슘 30 wt% 이산화규소 70 wt% |
0.5 wt% | 34% |
비교샘플 1 | × | × | 61% |
비교샘플 2 | 이산화규소 분말 100 wt% | 0.5 wt% | 57% |
비교샘플 3 | 이산화규소 분말 100 wt% | 1.0 wt% | 47% |
비교샘플 4 | 이산화규소 분말 100 wt% | 2.0 wt% | 41% |
고결방지 특성 평가를 위한 "응집률"은 식재료 분체의 응집이 많이 일어날수록 높은 값을 갖고, 식재료 분체의 응집이 방지될수록 낮은 값을 가지며, 고결방지 특성은 응집률이 낮은 값을 가질수록 좋은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고결방지제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루만에 60% 정도가 고결되는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 평가샘플 1 내지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결방지제를 이용한 경우 40% 이하, 특히 18~20% 수준으로 매우 낮은 응집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샘플 3이나 4의 경우, 표 1의 결과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샘플 2와 비교하여 이산화규소 분말의 함량이 전체 식품 조성물에서 많아질수록 응집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비교샘플 4와 같이 전체 식품 조성물에서 2 중량%를 차지하도록 사용하는 것은 독성이 있는 이산화규소를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식품으로 사용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샘플 3의 절반 수준의 고결방지제만을 이용하면서도, 즉, 고결방지제 함량을 전체 식품 조성물 중량에 대해서 0.5 중량%만을 이용하면서도 응집률은 40% 이하의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결방지용 첨가제 전체 중량에 대해서 칼슘계 미립자를 20 내지 70 중량% 포함시킴으로써 이산화규소 미립자의 함량은 줄이면서도 응집률은 40% 이하의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응집되는 양이 매우 적음을 도 4의 비교샘플 1 내지 3의 응집 상태와 평가샘플 3, 4 및 7의 응집 상태를 통해서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비교샘플 1 내지 3의 경우에는 뭉침이 매우 많은 것을 볼 수 있고, 평가샘플 4는 평가샘플 3이나 7보다는 응집되는 양이 많아 보이지만 비교샘플 1 내지 3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평가샘플 3이나 7의 경우에는 거의 초기 상태와 같이 분말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99.5 중량%이고, 분말유크림, 분유류 및 치즈분말 중 어느 하나인 식재료 분체; 및
0.5 중량%의 고결방지용 첨가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고결방지용 첨가제 전체 중량에 대해서 40 내지 80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난각칼슘 또는 패각칼슘을 포함하는 20 내지 60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는 벌크형 난각칼슘 또는 벌크형 패각칼슘에 포함된 수분 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열풍건조시킨 후에 벌크형 이산화규소와 혼합하여 고압 미분쇄함으로써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의 전체 평균 입도가 4 ㎛ 내지 7 ㎛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 분체에 혼합되고,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 전체 중량에 대해서 20 내지 60 중량%의 상기 칼슘계 미립자들이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상기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함께 포함됨으로써, 고결방지용 첨가제 0.5 중량% 중에서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이 차지하는 중량이 40 중량% 내지 80 중량%로 감소된 동시에,
0.5 중량%의 벌크형 이산화규소와 99.5 중량%의 식재료 분체로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에서 30℃±2℃의 온도 조건과 50%±3%의 습도 조건에서의 24시간 경과 후, 식재료 분체의 응집률이 41%인 것과 비교하여, 30℃±2℃의 온도 조건과 50%±3%의 습도 조건에서의 24시간 경과 후의 식재료 분체의 응집률이 18% 내지 35%로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계 미립자들을 고결방지용 첨가제로 이산화규소 미립자와 함께 이용하여 이산화규소 미립자가 차지하는 함량은 줄이면서도 식재료 분체의 응집률을 낮춘, 분말형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가 0.5 중량%이고,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가 고결방지용 첨가제 전체 중량에 대해 50 내지 80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난각칼슘 또는 패각칼슘을 포함하는 20 내지 50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로 이루어지는 경우,
30℃±2℃의 온도 조건과 50%±3%의 습도 조건에서의 24시간 경과 후, 식재료 분체의 응집률이 18% 이상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칼슘계 미립자들이 20 내지 30 중량%이고, 상기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이 7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 내지 2 중량%로 입자 크기가 10 mm 내지 100 mm 인 이산화규소 입자들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응집률에 비해,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은 25% 이하의 첨가량으로 감소된 응집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분말형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2 내지 0.4 중량%의 이산화규소 미립자들을 0.1 내지 0.3 중량%의 칼슘계 미립자들과 함께 이용함으로써, 응집률을 감소시켜 응집률이 40% 미만의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결방지용 첨가제에 포함되는 이산화규소 미립자들과 칼슘계 미립자들의 평균 입도는, 상기 식재료 분체를 구성하는 입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067A KR101813494B1 (ko) | 2017-08-22 | 2017-08-22 | 이산화규소 저감화를 위한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067A KR101813494B1 (ko) | 2017-08-22 | 2017-08-22 | 이산화규소 저감화를 위한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3494B1 true KR101813494B1 (ko) | 2017-12-29 |
Family
ID=6093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6067A KR101813494B1 (ko) | 2017-08-22 | 2017-08-22 | 이산화규소 저감화를 위한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34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0957A (ko) | 2021-03-19 | 2022-09-27 | 하금윤 | 천연 고결방지제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7862B2 (ja) * | 1992-02-20 | 1996-07-24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塩の固結防止方法 |
JP5405294B2 (ja) | 2006-03-17 | 2014-02-05 | イノヴィア | 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生成物 |
JP2016174573A (ja) | 2015-03-20 | 2016-10-06 |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 粉末酒 |
-
2017
- 2017-08-22 KR KR1020170106067A patent/KR1018134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7862B2 (ja) * | 1992-02-20 | 1996-07-24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塩の固結防止方法 |
JP5405294B2 (ja) | 2006-03-17 | 2014-02-05 | イノヴィア | 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生成物 |
JP2016174573A (ja) | 2015-03-20 | 2016-10-06 |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 粉末酒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0957A (ko) | 2021-03-19 | 2022-09-27 | 하금윤 | 천연 고결방지제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8527028A (ja) | 粒こんにゃくの調製方法及び食事代替パウダーにおけるその利用 | |
KR101813494B1 (ko) | 이산화규소 저감화를 위한 식품의 고결방지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형 식품 조성물 | |
JP2019041660A (ja) | 造粒茶葉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4473775B (zh) | 一种茶多酚包裹体系及其制备方法和制品 | |
KR20060133050A (ko) |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 |
CN109942275B (zh) | 一种利用煤矸石生产的陶粒砂及其加工工艺 | |
MX2010014209A (es) | Matriz de comprimidos de compresion directa y rapida desintegracion. | |
JP2008099615A (ja) | ローヤルゼリー錠剤 | |
EP4298923A1 (en) | Method for preventing caking of xylitol and calcium aspartate mixture | |
EP3462913B1 (en) | Process for preparing mixtures comprising vanillin and ethyl vanillin | |
JP2002370969A (ja) | 燐脂質組成物とその使用法 | |
US2489152A (en) | Sodium bifltjoride composition | |
CN113712923A (zh) | 一种复方阿莫西林可溶性粉及其制备方法 | |
EP3302104B1 (en) | Hydration control for choline salts | |
KR102144379B1 (ko) | 고형 산소 발생 조성물 | |
US3502484A (en) | Antioxidant salt | |
KR102195259B1 (ko) | 토코페롤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 제형 | |
US2772977A (en) | Spice substanc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 |
KR20220130957A (ko) | 천연 고결방지제 조성물 | |
JPS5813513A (ja) | 安定なグアイアズレンスルホン酸ナトリウム含有製剤 | |
KR101938133B1 (ko) | 사암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용 미네랄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원료용 미네랄추출액 | |
CN102274203A (zh) | 一种提高左旋肉碱茶多酚胶囊内容物防潮性能的方法 | |
CN106072426A (zh) | 一种超微茶粉作为盐抗结块剂的应用 | |
DE102016113506A1 (de) | Agglomerate für Instant-Getränkezusammensetzungen | |
JPS609687B2 (ja) | 発塵性を抑制したメソミル水和剤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