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201B1 - 자동 태핑기 - Google Patents

자동 태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201B1
KR101813201B1 KR1020170092712A KR20170092712A KR101813201B1 KR 101813201 B1 KR101813201 B1 KR 101813201B1 KR 1020170092712 A KR1020170092712 A KR 1020170092712A KR 20170092712 A KR20170092712 A KR 20170092712A KR 101813201 B1 KR101813201 B1 KR 10181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pping
drill
hol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군희
김정환
Original Assignee
박군희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군희, 김정환 filed Critical 박군희
Priority to KR102017009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1/00Feeding or discharging mechanism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thread-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6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태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태핑기는 태핑수단(60)을 이용하여, 척(30)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가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가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면 척(30)의 고정을 해제하고 드릴본체(65a)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배출수단(80)을 이용하여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을 분리하여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을 배출한다.
따라서,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와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으로부터 분리될 때, 각각 1번씩 총 2번 암나사(3)를 가공하는 종래의 태핑기와 달리,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 1번만 암나사(3)를 형성함으로, 암나사(3)를 더욱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태핑기{automatic t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태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태핑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자동 태핑기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 것으로, 피가공물(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척(4)과, 상기 척(4)의 상측에 위치되며 도시 안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및 승강되는 태핑드릴(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1)의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핑드릴(5)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키면, 상기 태핑드릴(5)이 상기 척(4)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삽입되면서 피가공물(1)의 관통공(2) 내주면을 절삭하여 관통공(2)의 내주면에 나사를 형성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핑드릴(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키면 상기 태핑드릴(5)이 관통공(2)의 상측으로 이탈되어 피가공물(1)의 관통공(2)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 태핑기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에 암나사(3)를 형성할 경우, 상기 태핑드릴(5)이 관통공(2)에 결합되면서 하강될 때 한번 관통공(2)의 내주면을 절삭하여 암나사(3)를 형성하고, 태핑드릴(5)이 상승되어 관통공(2)으로부터 분리될 때 암나사(3)의 내주면을 다시 한번 절삭하게 된다.
따라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을 2번 가공하여 암나사(3)를 형성하는 효과가 발생되어, 암나사(3)의 내경이 원하는 내경에 비해 커지게 될 뿐 아니라, 암나사(3)에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암나사(3)를 더욱 정확히 가공할 것을 요구하는 고객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태핑드릴(5)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만 암나사(3)를 가공하고, 태핑드릴(5)이 피가공물(1)로부터 분리될 때는 피가공물(1)을 가공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자동 태핑기는 이와 같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을 1번만 가공하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787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가공물(1)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태핑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가공물(1)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피가공물(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된 피가공물(1)을 상기 척(30)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태핑수단(6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태핑수단(60)에 의해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을 배출하는 배출수단(80)과,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 및 배출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5)을 포함하며, 상기 태핑수단(60)은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승강구동수단(62)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6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과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대(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63)과, 상기 회전축(63)에 연결되어 회전축(6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와, 상기 회전축(63)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63)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승강대(61)의 하강시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태핑드릴(65)을 포함하고, 상기 태핑드릴(6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드릴본체(65a)와, 상기 드릴본체(65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은 상기 드릴본체(65a)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63)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65b)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에 의해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블록(8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3 승강구동수단(84)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회전축(63)에 결합된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 외측둘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피커(83)와, 상기 슬라이드블록(81)에 상기 제1 피커(8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전후방향구동수단(8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 외측에 끼워진 피가공물(1)의 외측둘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피커(85)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비리 설정된 위치로 피가공물(1)이 공급되면 상기 이송수단(50)을 제어하여 상기 피가공물(1)이 상기 척(30)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62)과 구동모터(64)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대(61)가 하강됨과 동시에 상기 태핑드릴(65)이 회전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의 내부에 암나사(3)가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드릴본체(65a)가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척(30)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62)으로 승강대(61)와 태핑드릴(65)을 상승시켜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 외측에 상기 피가공물(1)이 결합된 상태로 상승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을 척(30)쪽으로 전진시켜 상기 제1 피커(83)는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피커(85)는 상기 축부재(65b)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피커(83)를 하강시켜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가 상기 회전축(63)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6)으로 상기 제2 피커(85)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피커(83)를 상승시켜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가 상기 회전축(63)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피커(85)에 고정된 피가공물(1)을 배출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태핑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수단(40)은 내부에 투입된 다수개의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정렬부(41)와, 상기 정렬부(41)에서 상기 척(30)의 일측으로 연장된 공급가이드(42)가 구비되어, 상기 정렬부(41)에서 정렬되어 배출된 피가공물(1)이 상기 공급가이드(42)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진동식 피더를 이용하고,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42)에서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는 지지블록(51)과, 지지블록(51)의 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급가이드(42)의 선단부로 이송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부재(54)가 구비된 지지바(53)와, 상기 지지바(53)에 연결되어 지지바(53)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수단(55)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53)의 하측에 상기 지지바(53)의 선단부쪽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된 에어분사노즐(91)과,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바(53)의 하강시 상기 급기수단(93)을 통해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가 상기 에어분사노즐(91)을 통해 상기 공급가이드(42)를 통해 공급된 피가공물(1)로 공급되어, 피가공물(1)을 공급가이드(42)의 단부쪽으로 밀어냄으로써, 피가공물(1)이 정해진 위치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태핑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태핑수단(60)은 회전축(63)이 하강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재(65b)에 피가공물(1)이 결합되도록 한 후 상승될 때 구동모터(64)에 의해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의 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 태핑기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93)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상승되는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의 둘레면에 분사하는 분사관(92)과, 상기 피가공물(1)에 결합된 제2 피커(85)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피커(85)에 결합된 상태로 제2 피커(85)와 함께 이동하는 피가공물(1)의 관통공(2) 하측 내부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관통공(2)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3)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여 암나사(3)의 가공불량을 감지하는 불량감지수단(9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5)에는 경보기(96)가 구비되며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불량감지수단(94)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에 형성된 암나사(3)에 불량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기(96)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 및 배출수단(8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태핑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태핑기는 태핑수단(60)을 이용하여, 척(30)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가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가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면 척(30)의 고정을 해제하고 드릴본체(65a)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배출수단(80)을 이용하여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을 분리하여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을 배출한다.
따라서,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와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으로부터 분리될 때, 각각 1번씩 총 2번 암나사(3)를 가공하는 종래의 태핑기와 달리,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 1번만 암나사(3)를 형성함으로, 암나사(3)를 더욱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태핑기를 이용한 암나사 성형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핑기를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핑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핑기의 척과 배출수단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핑기의 회로구성도,
도 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핑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태핑기를 도시한 것으로, 피가공물(1)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의 내주면에 자동으로 암나사(3)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 태핑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피가공물(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된 피가공물(1)을 상기 척(30)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태핑수단(60)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덕트(7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태핑수단(60)에 의해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을 상기 배출덕트(70)로 배출하는 배출수단(80)과, 상기 이송수단(50)에 구비된 에어분사노즐(91)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분사관(92)과, 상기 에어분사노즐(91)과 분사관(92)에 연결되어 에어분사노즐(91)과 분사관(9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과, 상기 배출수단(80)에 의해 배출되는 피가공물(1)의 암나사(3)를 감지하는 불량감지수단(94)과,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과 배출수단(80) 및 급기수단(9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테이블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21)이 구비된다.
상기 척(3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앙부에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95)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된 피가공물(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피가공물(1)의 고정을 해제하는 유압식척을 이용한다.
상기 공급수단(40)은 내부에 투입된 다수개의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정렬부(41)와, 상기 정렬부(41)에서 상기 척(30)의 일측으로 연장된 공급가이드(42)가 구비된 일반적인 진동식 피더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정렬부(41)는 상기 본체(10)의 좌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피가공물(1)을 투입하면 진동을 이용하여 정렬하여 우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하나씩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가이드(42)는 상기 정렬부(41)에서 우측으로 하향연장된 경사부(42a)와, 상기 경사부(42a)의 단부에서 상기 척(30)의 좌측까지 연장된 수평부(42b)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42b)의 우측단에는 걸림턱(42c)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부(41)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피가공물(1)이 상기 경사부(42a)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수평부(42b)의 걸림턱(42c)에 걸려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42)에서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는 지지블록(51)과, 지지블록(51)의 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급가이드(42)의 선단부로 이송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부재(54)가 구비된 지지바(53)와, 상기 지지바(53)에 연결되어 지지바(53)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수단(5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은 상기 공급가이드(42)와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록(51)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블록(51)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54)가 상기 공급가이드(42)의 걸림턱(42c)에 걸리도록 정렬된 피가공물(1)의 중앙부 상측에서 상기 척(30)의 중앙부 상측을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블록(51)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51)은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51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53)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좌측단이 상기 가이드레일(5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삽입부재(54)는 지름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대응되는 원봉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바(53)의 우측단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54)는 강도가 높으면서 적절한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재(54)의 하단을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삽입하면 삽입부재(54)가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적절한 강도로 끼움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55)은 상기 지지바(53)에 연결되어 지지바(53)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방향 이송수단(50)에 의해 지지블록(51)이 좌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55)을 이용하여 지지바(53)를 하강시키면, 상기 삽입부재(54)가 상기 공급가이드(42)의 걸림턱(42c)에 걸려 정렬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삽입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55)을 이용하여 지지바(53)를 상승시키면, 상기 지지바(53)와 함께 피가공물(1)이 상승되며 상기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을 이용하여 지지블록(51)을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55)을 이용하여 지지바(53)를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54)에 결합된 피가공물(1)이 상기 척(3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척(30)을 구동시켜 피가공물(1)을 고정한 후 지지바(53)를 상승시키면 피가공물(1)은 척(3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바(53)와 삽입부재(54)만 상승되며, 상기 지지블록(51)을 좌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지지바(53)와 삽입부재(5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공급수단(40)의 공급가이드(42)에 정렬된 피가공물(1)을 반복적으로 척(3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태핑수단(60)은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승강구동수단(62)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6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과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대(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63)과, 상기 회전축(63)에 연결되어 회전축(6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와, 상기 회전축(63)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63)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승강대(61)의 하강시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태핑드릴(65)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61)는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은(6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대(61)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62b)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리드스크류(62b)에 연결되는 구동모터(62a)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62a)로 리드스크류(62b)를 정역회전시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61)가 승강된다.
상기 회전축(63)은 상기 승강대(61)의 전면에 도시 안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상기 태핑드릴(65)의 상단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63a)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64)는 상기 승강대(61)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63)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3)과 회전축(63)에 결합된 태핑드릴(65)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태핑드릴(65)은 우나사형태로 구성됨으로 상기 구동모터(64)는 상기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을 위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태핑드릴(6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드릴본체(65a)와, 상기 드릴본체(65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회전축(63)의 결합공(63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65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부재(65b)의 외경은 상기 드릴본체(65a)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본체(65a)에 의해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이 상기 축부재(65b)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덕트(70)는 상기 본체(10)의 우측 전방에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면으로 피가공물(1)이 배출되면, 피가공물(1)이 배출덕트(70)를 따라 우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에 의해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블록(8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3 승강구동수단(84)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회전축(63)에 결합된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 외측둘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피커(83)와, 상기 슬라이드블록(81)에 상기 제1 피커(8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전후방향구동수단(8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 외측에 끼워진 피가공물(1)의 외측둘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피커(85)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은 상기 본체(10)의 우측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의 좌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은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의 좌측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피커(83)가 승강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제1 피커(83)는 핑거부재(83a)가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핑거부재(83a)는 도시 안된 실린더기구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테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밀착결합된다.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6)은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의 우측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86a)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피커(85)가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제2 피커(85)는 핑거부재(85a)가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핑거부재(85a)는 도시 안된 실린더기구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외측으로 이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테핑드릴(65)의 축부재(65b) 외측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둘레부에 선택적으로 밀착결합된다.
상기 에어분사노즐(91)은 상기 지지바(53)의 중간부 하측에 상기 지지바(53)의 선단부쪽, 즉,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된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53)가 하강될 때 상기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공급가이드(42)의 수평부(42b)에 위치된 피가공물(1)쪽으로 분사하여, 피가공물(1)의 상단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가공물(1)이 상기 걸림턱(42c)에 걸리도록 공급가이드(42)의 우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공급가이드(42)는 피가공물(1)이 경사부(42a)의 경사각을 따라 저절로 이동한 후, 상기 수평부(42b)의 걸림턱(42c)에 걸려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데, 다양한 이유로 상기 수평부(42b)에 위치된 피가공물(1)이 상기 걸림턱(42c)에 걸리도록 전진되지 못하고 수평부(42b)의 중간부에 멈추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53)가 하강되면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서 분사된 공기가 상기 수평부(42b)에 올려진 피가공물(1)의 좌측면에 고압의 공기를 불어내어 피가공물(1)이 우측으로 밀려가도록 함으로써, 피가공물(1)이 정확히 상기 걸림턱(42c)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어분사노즐(91)은 상기 지지바(53)의 중간부 하측에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됨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5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가장 우측에 위치된 피가공물(1)을 우측으로 밀어내고, 하강됨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차 좌측에 위치된 피가공물(1)을 우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여러개의 피가공물(1)이 상호 정확히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관(92)은 상기 하단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상단 일측은 상기 승강대(61)와 함께 승강되는 태핑드릴(65)의 둘레부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태핑드릴(65)의 둘레부로 분사하여 테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의 둘레부에 부착된 칩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급기수단(93)은 급기관(93a)을 통해 상기 에어분사노즐(91)과 분사관(92)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관(93a)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어수단(9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에어분사노즐(91)과 분사관(9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93b,93c)가 구비된다.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은 상기 피가공물(1)에 결합된 제2 피커(85)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피커(85)에 결합된 상태로 제2 피커(85)와 함께 이동하는 피가공물(1)의 관통공(2) 하측 내부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관통공(2)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3)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여 암나사(3)의 가공불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은 상기 배출덕트(70)의 좌측에 위치된 지지바(94a)와, 상기 지지바(94a)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피커(85)에 고정되어 이송되는 피가공물(1)의 관통공(2) 하측으로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94b)와, 상기 지지바(94a)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94b)에서 조사된 후 상기 암나사(3)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94c)로 구성되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커(85)가 상기 지지바(94a)의 상측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덕트(70)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발광부(94b)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피가공물(1)의 암나사(3)에서 반사되어 수광부(94c)로 수신되면, 상기 수광부(94c)로 수신된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피가공물(1)에 형성된 암나사(3)가 정확히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태핑드릴(65)에 마모나 손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 암나사(3)가 정확한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발광부(94b)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암나사(3)의 면에 조사되면 빛이 난반사되어 상기 수광부(94c)로 수신되는 빛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태핑수단(60)의 작동불량에 의해 상기 암나사(3)가 상기 관통공(2)의 중간부까지만 형성되고 하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암나사(3)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94c)로 수신되는 빛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94b)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관통공(2)의 하단을 통해 암나사(3)로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수광부(94c)로 수신되는 빛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관통공(2)에 형성된 암나사(3)의 가공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95)은 작동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96)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과 배출수단(80) 및 급기수단(9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의 신호를 수신하여 피가공물(1)에 형성된 암나사(3)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과 배출수단(80) 및 급기수단(93)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을 구동시켜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불량이 발생된 것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피가공물(1)이 위치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이송수단(50)을 제어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된 피가공물(1)을 상기 척(3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척(30)을 구동시켜 피가공물(1)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급기수단(93)의 제1 솔레노이드밸브(93b)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된 피가공물(1)이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척(30)에 피가공물(1)이 고정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64)를 구동시켜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62)을 구동시켜 승강대(61)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가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을 파고들어서, 관통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대(61)는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가 상기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충분히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본체(65a)가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척(30)을 제어하여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5)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64)가 지속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62)을 작동시켜 상기 승강대(61)와 회전축(63) 및 태핑드릴(65)이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척(30)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태핑드릴(65)이 상승되면,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은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트릴본체(10)의 상면에 걸려 태핑드릴(65)과 함께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급기수단(93)의 제2 솔레노이드밸브(93c)를 개방하여 상기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분사관(92)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여, 상승되는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의 둘레면에 부착된 칩을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61)와 회전축(63) 및 테핑드릴(65)이 원래의 높이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구동모터(6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5)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을 구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을 척(30)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커(83)는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피커(85)는 상기 축부재(65b)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5)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피커(83)를 하강시켜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가 상기 회전축(63)의 결합공(63a)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한 후,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6)을 구동시켜 상기 피가공물(1)이 결합된 제2 피커(85)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즉, 상기 태핑드릴(65)이 회전축(63)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가공물(1)을 태핑드릴(65)로부터 분리할 수 없음으로, 상기 제1 피커(83)를 이용하여 태핑드릴(65)을 하강시킨 후, 제2 피커(85)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가공물(1)이 태핑드릴(65)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피커(85)는 상기 피가공물(1)이 배출덕트(70)와 불량감지수단(94)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전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피커(85)가 정해진 위치로 전진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피커(83)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서,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가 상기 회전축(63)의 결합공(63a)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65b)가 회전축(63)에 결합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제1 피커(83)의 핑거부재(83a)를 벌려 제1 피커(83)에 고정된 태핑드릴(65)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을 구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이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피커(85)가 우측으로 후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피커(85)에 결합된 피가공물(1)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의 상부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의 신호를 수신하여 피가공물(1)에 형성된 암나사(3)의 불량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물에 형성된 암나사(3)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과 배출수단(80) 및 급기수단(93)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을 구동시켜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불량이 발생된 것을 알린다.
반대로, 상기 가공물에 형성된 암나사(3)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95)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커(85)에 고정된 피가공물(1)이 상기 배출덕트(7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을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상기 제2 피커(85)의 핑거부재(85a)를 벌려 제2 피커(85)에 고정된 피가공물(1)이 상기 배출덕트(70)로 낙하된 후 배출덕트(70)를 따라 우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피커(85)에 고정된 피가공물(1)이 배출되면, 상기 제어수단(95)은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6)을 구동시켜,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피커(85)가 상기 제1 피커(83)의 상측으로 전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피커(83)와 제2 피커(8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공급수단(40)에 공급된 다수개의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한 후, 상기 배출수단(8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태핑기는 태핑수단(60)을 이용하여, 척(30)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가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가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면 척(30)의 고정을 해제하고 드릴본체(65a)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배출수단(80)을 이용하여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을 분리하여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을 배출한다.
따라서,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와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으로부터 분리될 때, 각각 1번씩 총 2번 암나사(3)를 가공하는 종래의 태핑기와 달리, 태핑드릴(65)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결합될 때 1번만 암나사(3)를 형성함으로, 암나사(3)를 더욱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40)은 내부에 투입된 다수개의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정렬부(41)와, 상기 정렬부(41)에서 상기 척(30)의 일측으로 연장된 공급가이드(42)가 구비되어, 상기 정렬부(41)에서 정렬되어 배출된 피가공물(1)이 상기 공급가이드(42)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진동식 피더를 이용하고,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42)에서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는 지지블록(51)과, 지지블록(51)의 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급가이드(42)의 선단부로 이송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부재(54)가 구비된 지지바(53)와, 상기 지지바(53)에 연결되어 지지바(53)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수단(55)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된 피가공물(1)을 효과적으로 척(30)에 공급할 수 있으면서, 구조가 매우 단순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바(53)의 하측에는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공급수단(40)의 공급가이드(42)에 올려진 피가공물(1)로 공급하는 에어분사노즐(91)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53)가 하강되어 상기 삽입부재(54)가 공급가이드(42)에 올려진 피가공물(1)에 결합되도록 할 때, 피가공물(1)을 공급가이드(42)의 단부로 밀어 정확히 정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가이드(42)를 통해 공급된 삽입부재(54)가 정확히 정렬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지지바(53)와 함께 하강된 삽입부재(54)가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태핑수단(60)은 태핑드릴(65)이 하강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재(65b)에 피가공물(1)이 결합되도록 한 후 상승될 때 구동모터(64)에 의해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의 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급기수단(93)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상승되는 태핑드릴(65)(65)과 피가공물(1)의 둘레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관(92)이 구비되어, 상승되는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의 둘레부에 부착된 칩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태핑드릴(65)에 칩이 부착되어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할 때, 암나사(3)가 정확히 가공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피가공물(1)에 결합된 제2 피커(85)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피커(85)에 결합된 상태로 제2 피커(85)와 함께 이동하는 피가공물(1)의 관통공(2) 하측 내부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관통공(2)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3)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여 피가공물(1)의 암나사(3)의 가공불량을 감지하는 불량감지수단(94)이 구비되어, 피가공물(1)에 형성된 암나사(3)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지지대
30. 척 40. 공급수단
50. 이송수단 60. 태핑수단
70. 배출덕트 80. 배출수단

Claims (3)

  1. 피가공물(1)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피가공물(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된 피가공물(1)을 상기 척(30)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태핑수단(6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태핑수단(60)에 의해 암나사(3)가 형성된 피가공물(1)을 배출하는 배출수단(80)과,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 및 배출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5)을 포함하며,
    상기 태핑수단(60)은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승강구동수단(62)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6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과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대(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63)과,
    상기 회전축(63)에 연결되어 회전축(6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와,
    상기 회전축(63)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63)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승강대(61)의 하강시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는 태핑드릴(65)을 포함하고,
    상기 태핑드릴(6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3)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드릴본체(65a)와,
    상기 드릴본체(65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은 상기 드릴본체(65a)의 외경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63)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65b)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에 의해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블록(8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3 승강구동수단(84)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회전축(63)에 결합된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 외측둘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피커(83)와,
    상기 슬라이드블록(81)에 상기 제1 피커(8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전후방향구동수단(8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 외측에 끼워진 피가공물(1)의 외측둘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피커(85)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단(4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로 피가공물(1)이 공급되면 상기 이송수단(50)을 제어하여 상기 피가공물(1)이 상기 척(30)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62)과 구동모터(64)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대(61)가 하강됨과 동시에 상기 태핑드릴(65)이 회전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의 내부에 암나사(3)가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드릴본체(65a)가 관통공(2)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척(30)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62)으로 승강대(61)와 태핑드릴(65)을 상승시켜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 외측에 상기 피가공물(1)이 결합된 상태로 상승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측방향구동수단(82)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81)을 척(30)쪽으로 전진시켜 상기 제1 피커(83)는 상기 태핑드릴(65)의 드릴본체(65a)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피커(85)는 상기 축부재(65b)에 결합된 피가공물(1)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피커(83)를 하강시켜 상기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가 상기 회전축(63)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피가공물(1)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6)으로 상기 제2 피커(85)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3 승강구동수단(84)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피커(83)를 상승시켜 태핑드릴(65)의 축부재(65b)가 상기 회전축(63)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피커(85)에 고정된 피가공물(1)을 배출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태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40)은
    내부에 투입된 다수개의 피가공물(1)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정렬부(41)와,
    상기 정렬부(41)에서 상기 척(30)의 일측으로 연장된 공급가이드(42)가 구비되어, 상기 정렬부(41)에서 정렬되어 배출된 피가공물(1)이 상기 공급가이드(42)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진동식 피더를 이용하고,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 측방향구동수단(52)에 의해 상기 공급가이드(42)에서 상기 척(30)쪽으로 전후진되는 지지블록(51)과,
    지지블록(51)의 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급가이드(42)의 선단부로 이송된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부재(54)가 구비된 지지바(53)와,
    상기 지지바(53)에 연결되어 지지바(53)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수단(55)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53)의 하측에 상기 지지바(53)의 선단부쪽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된 에어분사노즐(91)과,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바(53)의 하강시 상기 급기수단(93)을 통해 상기 에어분사노즐(9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가 상기 에어분사노즐(91)을 통해 상기 공급가이드(42)를 통해 공급된 피가공물(1)로 공급되어, 피가공물(1)을 공급가이드(42)의 단부쪽으로 밀어냄으로써, 피가공물(1)이 정해진 위치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태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수단(60)은 회전축(63)이 하강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관통공(2)에 암나사(3)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재(65b)에 피가공물(1)이 결합되도록 한 후 상승될 때 구동모터(64)에 의해 회전축(63)과 태핑드릴(65)의 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 태핑기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93)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수단(93)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상승되는 태핑드릴(65)과 피가공물(1)의 둘레면에 분사하는 분사관(92)과,
    상기 피가공물(1)에 결합된 제2 피커(85)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피커(85)에 결합된 상태로 제2 피커(85)와 함께 이동하는 피가공물(1)의 관통공(2) 하측 내부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관통공(2)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3)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여 암나사(3)의 가공불량을 감지하는 불량감지수단(9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5)에는 경보기(96)가 구비되며 상기 불량감지수단(9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불량감지수단(94)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에 형성된 암나사(3)에 불량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기(96)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이송수단(50)과 척(30)과 태핑수단(60) 및 배출수단(8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태핑기.
KR1020170092712A 2017-07-21 2017-07-21 자동 태핑기 KR10181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12A KR101813201B1 (ko) 2017-07-21 2017-07-21 자동 태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12A KR101813201B1 (ko) 2017-07-21 2017-07-21 자동 태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01B1 true KR101813201B1 (ko) 2017-12-28

Family

ID=6093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712A KR101813201B1 (ko) 2017-07-21 2017-07-21 자동 태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0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488B1 (ko) * 2018-06-18 2018-12-28 (주)골드팡 피어싱 볼의 탭 자동 가공 방법
CN109623051A (zh) * 2019-01-21 2019-04-16 湖北工程职业学院 一种防飞溅的钻孔攻牙机
CN110238658A (zh) * 2019-06-02 2019-09-17 浙江高光数控科技有限公司 全自动轴径向打孔攻丝一体机
KR102149427B1 (ko) 2020-04-09 2020-08-31 임영근 피가공물 자동 투입 및 태핑 장치
KR102158991B1 (ko) * 2019-08-21 2020-09-23 주인회 자동순환식 너트탭 제조장치
CN113635139A (zh) * 2021-08-26 2021-11-12 四川川昊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丝锥切削自动生产线
CN114273735A (zh) * 2021-11-19 2022-04-05 聊城市金山钢管有限公司 一种全自动双头攻丝机
CN115338486A (zh) * 2022-09-02 2022-11-15 浙江友信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攻牙机
CN117020334A (zh) * 2023-10-08 2023-11-10 江苏海洲液压件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元件攻丝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10B1 (ko) * 2005-07-06 2006-08-22 김영근 보울트헤드 자동 탭 가공장치
KR101404467B1 (ko) * 2012-05-30 2014-06-10 삼진산업 주식회사 자동 드릴링 머신
KR200481126Y1 (ko) * 2016-02-12 2016-08-17 배광섭 자동 측면 드릴링머신
KR101692753B1 (ko) 2014-09-11 2017-01-05 제이엠테크 주식회사 세미오토 탭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10B1 (ko) * 2005-07-06 2006-08-22 김영근 보울트헤드 자동 탭 가공장치
KR101404467B1 (ko) * 2012-05-30 2014-06-10 삼진산업 주식회사 자동 드릴링 머신
KR101692753B1 (ko) 2014-09-11 2017-01-05 제이엠테크 주식회사 세미오토 탭핑장치
KR200481126Y1 (ko) * 2016-02-12 2016-08-17 배광섭 자동 측면 드릴링머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488B1 (ko) * 2018-06-18 2018-12-28 (주)골드팡 피어싱 볼의 탭 자동 가공 방법
CN109623051B (zh) * 2019-01-21 2023-08-29 湖北工程职业学院 一种防飞溅的钻孔攻牙机
CN109623051A (zh) * 2019-01-21 2019-04-16 湖北工程职业学院 一种防飞溅的钻孔攻牙机
CN110238658A (zh) * 2019-06-02 2019-09-17 浙江高光数控科技有限公司 全自动轴径向打孔攻丝一体机
CN110238658B (zh) * 2019-06-02 2024-04-26 浙江高光数控科技有限公司 全自动轴径向打孔攻丝一体机
KR102158991B1 (ko) * 2019-08-21 2020-09-23 주인회 자동순환식 너트탭 제조장치
KR102149427B1 (ko) 2020-04-09 2020-08-31 임영근 피가공물 자동 투입 및 태핑 장치
CN113635139A (zh) * 2021-08-26 2021-11-12 四川川昊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丝锥切削自动生产线
CN114273735A (zh) * 2021-11-19 2022-04-05 聊城市金山钢管有限公司 一种全自动双头攻丝机
CN114273735B (zh) * 2021-11-19 2024-04-09 聊城市金山钢管有限公司 一种全自动双头攻丝机
CN115338486A (zh) * 2022-09-02 2022-11-15 浙江友信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攻牙机
CN115338486B (zh) * 2022-09-02 2024-05-28 浙江友信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攻牙机
CN117020334A (zh) * 2023-10-08 2023-11-10 江苏海洲液压件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元件攻丝装置
CN117020334B (zh) * 2023-10-08 2023-12-26 江苏海洲液压件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元件攻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201B1 (ko) 자동 태핑기
US5218753A (en) Assembling apparatus using back up pins for support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1298202B1 (ko) 볼체크밸브 내장형 에이비에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필터조립체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US8141238B2 (en) Automated twist pin assembling machine for interconnecting stacked circuit boards in a module
KR101505841B1 (ko) 극소형나사 공급장치
KR101983533B1 (ko) 금형가공용 mct
KR102388222B1 (ko) 절삭 장치
TW201601873A (zh) 模組式內聯微型鑽頭重磨裝置
CN106112141A (zh) 一种不锈钢配件自动攻牙装置
CN114406739B (zh) 一种燃气阀体自动生产线加工设备
KR100593578B1 (ko) 자동탭핑기에서 탭핑검사장치
JP6959916B2 (ja) 電子部品装着機および電子部品切離し方法
JP2022078178A (ja) 溶接トーチの整備のための運動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9076720A (ja) 研削装置のチャックテーブル機構
EP0404577B1 (en) Assembling apparatus using back-up pins for supporting printed circuit board
CN111531365A (zh) 一种全自动的轴承座钻孔攻牙装置
CN109940098A (zh) 一种铆接件装配检测装置
KR101809876B1 (ko) 파이프 내경 및 모따기 검사장치
KR20160109063A (ko) 탭핑 장치
KR100816775B1 (ko) 스핀 형성장치
CN209885845U (zh) 自动分液加盖系统
KR101906188B1 (ko) 모재볼트 자동 공급 유닛
KR101023935B1 (ko) 반도체 칩 배출방법 및 그 장치
CN110549223A (zh) 水射流加工装置
CN104890378B (zh) 一种用于wb机焊接不良自动标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