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34B1 -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834B1
KR101812834B1 KR1020137018998A KR20137018998A KR101812834B1 KR 101812834 B1 KR101812834 B1 KR 101812834B1 KR 1020137018998 A KR1020137018998 A KR 1020137018998A KR 20137018998 A KR20137018998 A KR 20137018998A KR 101812834 B1 KR101812834 B1 KR 10181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olyolefin
based resin
resin film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828A (ko
Inventor
다카히코 우에다
요우스케 히로이
도모츠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ublication of KR2014000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형성한 광 반사체이며,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95 내지 105%이고, 테이버 강도가 0.4 내지 100mN·m이고,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이 -0.3 내지 0.3%인 광 반사체를 제공한다. 이 광 반사체는 휘기 어렵고, 롤에 권회할 수 있으며, 내장식 광원의 부재로서 사용해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LIGHT REFLECTING BODY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EMPLOYING SAME}
본 발명은 면 광원 장치에 사용되는 반사판 및 각종 조명 장치에 사용되는 광 반사용의 부재로서 유용한 광 반사체, 및 상기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원을 내부에 배치하고, 후방으로부터 발광시켜 시인성을 높인 백라이트형의 액정 디스플레이나 액정 텔레비전, 전식 간판 등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백라이트형의 내장식 광원 중, 에지 라이트 방식의 전형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광 반사체(11), 투명한 아크릴판(12)에 망점 인쇄(13)를 행한 도광판(14), 확산판(15), 그리고 광원(16) 등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판에 의해 전달하고, 광 반사체에 의해 반사시키고, 확산판에 의해 균일 면상의 광을 형성한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액정 텔레비전 등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광원의 고출력화나 광원 램프수의 증가 등의 개량이 도모되어 왔다. 또한 휘도 향상을 위하여, 광원(16)은 도 1과 같이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부터 광 반사체에는, 구조체로 되는 하우징에 대한 백색 도장이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백색 도장에서는 반사광에 의한 충분한 휘도 향상을 바랄 수 없고, 또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광 반사체의 경우에는 최근의 광량의 증가에 의해, 광 반사체의 색조의 변화(황변)가 문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반사광에 의해 충분한 휘도가 얻어져, 광량이 증가해도 색조의 변화가 적은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이것은 폴리올레핀을 주원료로 하고, 연신 성형에 의해 내부에 미세한 공극을 다수 형성하고, 개개의 공극의 계면에서 광 반사시킴으로써 충분한 휘도를 얻은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대형화에 맞추어, 동일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을 대판으로 했을 때, 강도(탄력)의 부족에 의해 휨이 발생되어 버려, 휘도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로 인해,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 자체를 두껍게 하거나, 배접재로서 다른 강성의 어느 한 수지 필름과 접합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제안되어(예를 들어 특허문헌 3), 각각 일단은 성공했다.
그러나, 더욱 최근에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화질 향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명부, 암부의 콘트라스트비 향상을 위하여 고휘도의 내장식 광원이 더 요구되고, 광원(16)으로서 종래의 냉음극관으로부터 고출력의 LED를 사용한 제품이 주류로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광원의 출력 향상에 수반하여, 내장식 광원을 구성하는 부재는 보다 고열에 노출되게 되어 있다.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에 한하지 않고, 연신에 의해 성형된 백색 필름은, 이러한 액정 텔레비전 등의 온/오프에 수반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치수 변화를 일으켜 버려, 특히 면 광원 장치 내의 열에 의해 휨이 발생되어 버리기 때문에, 적용이 곤란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로 인해, 온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최근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보다 두께를 올려 대응하는 경향이 있고, 실질적으로 300㎛ 가까이까지 두꺼워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에서는, 간단히 두께를 올리거나, 또는 다른 강성의 어느 한 수지 필름과 접합하거나 하는 것만으로는 열에 의한 치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아 휨이 발생하여 휘도 불균일로 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광 반사체로서 사용되는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은 통상 긴 필름을 권회한 롤상으로 공급되어, 면 광원 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에서 임의의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되고 있다. 롤상의 필름으로부터 광 반사체를 채취한 편이, 다양한 제품에 맞춘 크기·형상을 얻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단재 손실도 적기 때문이다.
과거, 광 반사체로서의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의 강도 향상을 과제로 하여, 상기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과 금속판을 접합한 것(예를 들어 특허문헌 4)이나,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과 열경화형 수지 함침지를 접합한 것(예를 들어 특허문헌 5)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강성 부여를 해결해야 할 과제로서 금속판이나 열경화형 수지 함침지 자체는 매우 비중이 높고, 강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에서, 이들 접합체는 롤상으로 권회할 수 없어, 낱장(시트)으로의 공급에 한정되어, 결과적으로 휴대 전화 등에 사용하는 양면 광 반사체 등 제품 치수가 작은 용도에만 유효한 것이었다. 그 때문에 금속판이나 열경화형 수지 함침지와 접합한 것은, 휨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강성이나 온도 변화에 수반하는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유리하기는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대형화된 액정 텔레비전 등의 광 반사체로서는 자중이 지나치게 커지고, 안전 공급의 관점에서도 부적합한 것이었다.
총괄하면, 최근 대형화, 고정밀화가 진행되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내장식 광원에 사용되는 광 반사체에는, 반사광에 의해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는 광 반사 성능뿐만 아니라, 기내 온도 환경 변화가 있어도 치수 안정성이 좋고, 대형화되어도 자중으로 변형되어 휘지 않는 높은 강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반면 이 강성은, 광 반사체를 롤에 의해 공급하기 위하여 권회하고, 사용시에는 평면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낮은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4-2395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0317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99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678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99314호 공보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반사층으로서 사용한 광 반사체에 있어서, 광 반사체의 구조에 특징을 갖게 하여 적절한 강도를 부여하여 휨을 개선하고, 동시에 롤에 의해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내장식 광원의 부재로서 사용할 때의 환경 온도 변화가 있어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광 반사체를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했다. 또한, 상기 광 반사체를 사용한 고휘도이며 휘도 불균일이 적은 면 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종이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형성한 광 반사체이며,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95 내지 105%이고, 테이버(taber) 강도가 0.4 내지 100mN·m이고,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이 -0.3 내지 0.3%인 광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2] 상기 종이재료는 식물 섬유를 서로 얽히게 하여 교착시킨 것을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재료는 JIS-P0001:1998에 정해진, 아이보리, 아트지, 인쇄 용지, OCR 용지, 오프셋 용지, 가공 용지, 카드용 두꺼운 종이, 벽지 원지, 캐스트 코트지, 크라프트지(kraft paper), 그라비아 용지, 경량 코트지, 코트지, 지기용 판지, 상질지, 백판지, 세미 상질지, 중질지, 도공 인쇄 용지, 도공지 원지, 난연지, 바라이타지(barayta paper), 미도공 인쇄 용지, 방수지, 밀크 카톤(milk carton) 원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레진 코트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종이재료는 부직포, 얀, 합성지, 수지 필름,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종이재료는 그 테이버 강도가 0.1 내지 100mN·m인 것이 바람직하고,
[5]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은 -0.5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하고,
[6] 밀도는 0.6 내지 1.2g/㎤인 것이 바람직하고,
[7] 두께가 70 내지 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8]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평균 입경 0.05 내지 1.5㎛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내지 1.5㎛의 유기 필러 중 적어도 한쪽을 5 내지 7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1] 다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12]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그 반사율이 95 내지 105%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밀도가 0.5g/㎤ 이상 0.9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두께가 30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15]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롤상으로 권회하여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의하면, 최근 대형화, 고정밀화가 진행되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내장식 광원에 사용한 경우라도, 적절한 강도에 의해 휨을 개선하고, 환경 온도 변화가 있어도 우수한 치수 안정성에 의해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롤에 의해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는 고휘도이며 휘도 불균일은 적고, 대형화나 고정밀화에 대응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에지 라이트 방식의 내장식 광원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일 양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내지」는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광 반사체]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종이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광 반사체는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95 내지 105%의 범위 내이고, 그 테이버 강도가 0.4 내지 100mN·m의 범위 내이고,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이 -0.3 내지 0.3%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반사체의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95% 미만인 경우는, 이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의 휘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구성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 105%를 초과하는 반사율은 얻기 어렵다.
상기 광 반사체의 테이버 강도가 0.4mN·m 미만인 경우는, 이것을 대형의 면 광원 장치에 사용했을 때에 휨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반대로 100mN·m를 초과해서는, 이것을 권회하여 롤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광 반사체의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이 -0.3 내지 0.3%의 범위 밖인 경우에는, 치수 변화가 커서 면 광원 장치의 사용시에 휨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상기 광 반사체는, 그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96 내지 1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테이버 강도가 1 내지 60m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이 -0.2 내지 0.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재료]
종이재료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기재층으로서, 적절한 강도를 부여하고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종이재료는, 식물 섬유(일반적으로는 펄프 등)를 서로 얽히게 하여 교착시킨 것을 주로 포함하는(일반적으로는 중량비로 종이재료의 과반량을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을 차지한다) 것이며, 구체예로서는 JIS-P0001:1998에 정해진, 아이보리, 아트지, 인쇄 용지, OCR 용지, 오프셋 용지, 가공 용지, 카드용 두꺼운 종이, 벽지 원지, 캐스트 코트지, 크라프트지, 그라비아 용지, 경량 코트지, 코트지, 지기용 판지, 상질지, 백판지, 세미 상질지, 중질지, 도공 인쇄 용지, 도공지 원지, 난연지, 바라이타지, 미도공 인쇄 용지, 방수지, 밀크 카톤 원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레진 코트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이재료는 상업적으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오우지 세시샤제의 「OK 톱 코트」, 「OK 엘카드」, 「긴후지」, 오우지 토쿠슈시사제의 「마시멜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과거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광 반사체의 강도 향상을 목적으로, 배접재로서 금속판, 직포, 부직포, 얀, 합성지, 수지 필름,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 등의 여러 소재를 검토해 왔다.
그러나, 배접재에 직포, 부직포, 얀, 합성지 등을 사용한 것은 인열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는 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자체의 두께를 올리는 정도밖에 강성을 개선할 수 없어 불충분했다. 여기서 「합성지」란 충전재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연신하여 내부에 다수의 공공을 형성하고 백화시킨 수지 연신 필름을 가리킨다.
한편, 배접재에 금속판이나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 등을 사용한 것은 광 반사체에 매우 높은 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반면, 강성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타발이나 부형 등의 가공은 곤란하고, 권회하여 롤상으로 하는 것이나, 롤상으로 한 것으로부터 평면상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이들은 비중이 크기 때문에 대형화되면 1부재로 해도 중량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결과 이들은, 면 광원 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에 있어서 매우 작업성이 나쁜 것이 되어, 휴대용 기기 등에 탑재되는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만 유효한 것이었다.
배접재에 두꺼운 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것은, 적당한 강도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형화시에도 휨을 발생시키지 않아, 권회하여 롤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후단의 가공도 용이한 광 반사체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고정밀화가 진행되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내장식 광원의 부재로서는, 기내 환경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수축 또는 선팽창하여 치수가 변화되어, 결과적으로 휨을 발생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어, 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불충분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광 반사체의 배접재로서, 적당한 강도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모색 검토한 결과, 종이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상도했다. 종이재료, 특히 식물 섬유를 서로 얽히게 하여 교착시킨 것은 열에 대하여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고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사진 인쇄(일반적으로는 복사나 레이저 프린트) 등에 있어서, 토너가 용융되는 온도 조건 하에서도 종이재료 자체의 변형은 없는 점에서, 인쇄되는 무늬는 어긋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자들에 있어서의 이러한 착상은, 출원인의 사업 형태가 있고서야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종이재료로서 바람직한 것은, 목재, 풀, 짚, 대나무 등으로부터 얻은 식물 섬유를 사용하여 이들을 주로 포함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섬유 길이가 비교적 긴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섬유를 증해하여 얻어진 화학 펄프를 사용한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식물 섬유를 지력 증강제에 의해 비교적 고도로 서로 얽히게 하여 교착시켜 초지한 것이며, 또한 이들 초지한 것에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도공한 레진 코트지이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기재층으로서 사용하는 상기 종이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반사체의 강도와 치수 안정성에 기여하는 점에서, 그 테이버 강도가 0.1 내지 100m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50mN·m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재료의 테이버 강도가 0.1mN·m 이상이면, 광 반사체의 테이버 강도 0.4mN·m 이상을 달성하기 쉽고, 휨도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100mN·m 이하이면 광 반사체를 권회하여 롤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종이재료의 치수 변화율은 -0.5 내지 0.3%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4±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재료의 치수 변화율이 -0.5 내지 0.3%의 범위 내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조합한 광 반사체의 치수 변화율을 -0.3 내지 0.3%의 범위 내로 조정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기재층으로서 사용하는 상기 종이재료는 그 밀도가 0.6 내지 1.2g/㎤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내지 1.1g/㎤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재료의 밀도가 0.6g/㎤ 이상이면, 종이재료의 강도를 담보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1.2g/㎤ 이하이면 광 반사체의 중량이 지나치게 무겁지 않아 취급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종이재료의 두께는 70 내지 7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60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재료의 두께가 70㎛ 이상이면, 종이재료의 강도를 충분히 담보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700㎛ 이하이면 광 반사체의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지 않고 강도도 적당하여 취급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반사층으로서 광 반사 성능을 부여하여 면 광원 장치의 고휘도를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 0.05 내지 1.5㎛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내지 1.5㎛의 유기 필러 중 적어도 한쪽을 5 내지 75중량%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반사율이 95 내지 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1-펜텐, 에틸렌-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광원 광에 의한 색조의 변화(황변)가 적고, 내약품성이나 생산 비용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나, 주성분인 프로필렌과, 에틸렌, 1-부텐, 1-헥센, 1-헵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입체 규칙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아이소택틱 내지는 신디오택틱 및 다양한 정도의 입체 규칙성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는, 2원계일 수도 있고 3원계일 수도 있고 4원계일 수도 있고, 또한 랜덤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25 내지 9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9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이 25중량% 이상이면, 기재층과 함께 강성을 향상시키기 쉽고, 후술하는 연신 성형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95중량% 이하이면 후술하는 연신 성형시에 충분한 공공수가 얻어지기 쉬워, 높은 반사율을 실현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상기한 프로필렌계 수지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계 수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50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95중량%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주로 공공을 형성할 목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필러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로서는, 각종 무기 필러나 유기 필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로서는,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탈크,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규조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에 다양한 표면 처리제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한 표면 처리품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클레이, 규조토 및 그러한 표면 처리품을 사용하면, 저렴하고 연신시의 공공 형성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의 표면 처리품이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산, 지방산, 유기산, 황산에스테르형 음이온 계면 활성제, 술폰산형 음이온 계면 활성제, 석유 수지산, 이들 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등의 염, 또는 이들의 지방산에스테르, 수지산에스테르, 왁스, 파라핀 등이 바람직하고,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디엔계 중합체,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인산계 커플링제 등도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에스테르형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장쇄 알코올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황산화유 등 또는 이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을 들 수 있고, 술폰산형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벤젠술폰산, 알킬나프탈렌술폰산, 파라핀술폰산, α-올레핀술폰산, 알킬술포숙신산 등 또는 이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말레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엔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제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제를 사용한 무기 필러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438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1397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3005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1760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561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3498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88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2054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443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필러로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보다도 높은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예를 들어, 120 내지 300℃)을 갖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필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멜라민 수지, 환상 올레핀 단독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술피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아크릴계 수지(가교 아크릴 비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비상용성의 유기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공공 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무기 필러 또는 유기 필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필러와 무기 필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식 입자 계측 장치 「마이크로트랙」(가부시끼가이샤 닛끼소제, 상품명)에 의해 측정한 누적 50%에 해당하는 입자 직경(누적 50% 입경)의 측정(마이크로트랙법)이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1차 입경의 관찰(예를 들어 입자 100개의 평균값을 평균 입경으로 한다)이나, 비표면적으로부터의 환산(예를 들어(주) 시마즈 세이사꾸쇼제의 분체 비표면적 측정 장치 SS-100을 사용하여 비표면적을 측정하여 환산한다)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현미경 관찰 및 마이크로트랙법을 사용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필러의 평균 분산 입경은, 예를 들어 유기 필러가 용융 혼련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분산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지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분산 입자의 적어도 10개를 관찰하여 그 입경(긴 직경)의 평균값으로서 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후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연신 성형에 의해 발생되는 공공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첨가하는 상기 무기 필러의 평균 입경 또는 상기 유기 필러의 평균 분산 입경은, 각각이 0.05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이 0.1 내지 1㎛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 또는 평균 분산 입경이 0.05㎛ 이상인 필러를 사용하면, 원하는 공공이 얻어지기 쉬워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의 휘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경 또는 평균 분산 입경이 1.5㎛ 이하인 필러를 사용하면, 공공 크기가 보다 균일해져 고반사율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후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연신 성형에 의해 발생되는 공공량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첨가하는 상기 필러의 배합량은 5 내지 75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70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필러의 배합량은, 15 내지 50중량%로 할 수 있고, 18 내지 42중량%로 할 수 있다.
필러의 배합량이 5중량% 이상이면 충분한 공공수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의 휘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필러의 배합량이 75중량% 이하이면 충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강도가 얻어지기 쉬워져, 그 연신 성형시에 파단을 방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 밖의 성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주요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의 경우, 연신성을 개량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저융점의 수지를 3 내지 25중량% 배합할 수도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형광 증백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대전 방지제, 분산제, 활제, 블로킹 방지제, 난연제, 가소제, 결정 핵제 등의 각종 공지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안정제로서는, 입체 장해 페놀계나 인계, 아민계 등의 안정제를 0.001 내지 1중량%, 자외선 안정제(광 안정제)로서는, 입체 장해 아민계나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의 안정제를 0.001 내지 1중량%, 무기 필러의 분산제로서는, 실란 커플링제, 올레산이나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금속 비누,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내지는 그들의 염 등을 0.01 내지 4중량% 배합할 수도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일반적으로 수지 연신 필름은, 그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고, 용융물을 압출기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 상기 용융물을 냉각 롤 상에서 냉각하고 고화하여 수지 시트를 얻은 후에, 이것을 연신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공공 형성이나 균일한 두께를 얻을 목적으로,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된 수지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적어도 1축 방향으로의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로 연신 및 가로 연신을 행하는 2축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공정에서는, 일반적인 1축 연신 방법이나 2축 연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스크류형 압출기에 접속된 단층 또는 다층의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시트상으로 압출한 후, 롤군의 주위 속도차를 이용한 세로 연신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 이후에 텐터 오븐을 사용한 가로 연신을 더 조합한 2축 연신 방법이나, 텐터 오븐과 리니어 모터의 조합, 또는 텐터 오븐과 팬터그래프의 조합에 의한 동시 2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세로 연신이란 MD(머신·디렉션) 방향으로의 연신을 나타내고, 가로 연신이란 MD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 폭 방향으로의 연신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뿐만 아니라, 2층 이상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이들 다층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개개의 수지 조성물의 용융 원료를, 다층의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는 방법이나, 다수의 다이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개별로 제조한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의 방법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적층체를 더 연신 성형할 수도 있다. 예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표면층/지지층/표면층의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이들 층의 연신 축수는 모두 1축 연신일 수도 있고, 모두 2축 연신일 수도 있고, 1축/2축/1축 등 상이한 연신 축수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2축 연신인 경우, 모든 층을 적층 후에 2축 연신할 수도 있지만, 지지층의 1축 방향의 연신(예를 들어 세로 연신)이 종료된 후, 이 양면에 표면층의 용융 원료를 압출하고 접합하여 다층 구조로 하고, 이것을 상이한 축 방향으로 더 연신(예를 들어 가로 연신)하여, 지지층만 2축 연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중에 발생시키는 공공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연신 공정에서의 면적 연신 배율은 1.3 내지 80배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70배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배 내지 65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배로 한다. 면적 연신 배율이 1.3 내지 80배의 범위 내이면, 미세한 공공이 얻어지기 쉽고 반사율의 저하도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 중, 면적 연신 배율이란, 세로 연신 배율×가로 연신 배율로 표현되는 배율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연신할 때의 연신 온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온도 조건으로 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필러를 중심으로 한 공극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연신 온도는,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보다 2 내지 60℃ 낮은 온도, 유리 전이점보다 2 내지 60℃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융점 155 내지 167℃)일 때 연신 온도는 95 내지 16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 속도는 20 내지 350m/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필요에 따라 열처리(어닐링 처리)를 행하여 결정화의 촉진이나 상기 필름의 열수축률 저감 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반사층으로서 사용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광 반사체의 반사율에 기여하는 점에서, 그 반사율이 95 내지 10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6 내지 10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반사율이 95% 이상이면, 광 반사체의 원하는 광 반사 성능을 달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105%를 초과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현 상황(상기)의 배합이나 성형 방법으로는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반사층으로서 사용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그 밀도가 0.5g/㎤ 이상 0.9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내지 0.8g/㎤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밀도가 0.5g/㎤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강도가 얻어지기 쉬워져 그의 연신 성형시에 파단을 방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0.9g/㎤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고반사율을 유지하기 쉽고, 광 반사체의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운 일도 없으므로 취급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30 내지 5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40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가 30㎛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투과하는 광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아, 원하는 광 반사율을 달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500㎛ 이하이면 광 반사체의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지 않고, 강도도 적당하여 취급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적층]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종이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반사층/기재층 또는 반사층/기재층/반사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통상 반사층은 편면으로 충분하지만, 양면에 접합하면 컬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취급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종이재료에 대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층은, 종래 공지의 라미네이트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제계의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수용성의 접착제를 사용한 웨트 라미네이트법, 가열 연화된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한 핫 멜트 라미네이트법, 가열 용융한 수지를 사용한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종이재료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접합면에 히트 시일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면, 서멀 라미네이트법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대한 열 이력을 최대한 억제할 목적이나, 방법의 용이함 때문에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또는 웨트 라미네이트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반사층과 기재층을 적층 후의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그대로 권취하여 롤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면 광원 장치용의 광 반사체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조작 등은,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종이재료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3065040698-pct00001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조예]
(제조예 1 내지 4)
표 2에 기재된 재료를 표 3에 기재된 배합 비율로 혼합한 지지층 (a)용 조성물을 250℃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했다. 그 후 이것을 시트상으로 압출, 냉각 롤에 의해 약 60℃까지 냉각함으로써 지지층 (a)를 얻었다. 이 지지층 (a)를 145℃로 재가열하고, 다수의 롤군의 주위 속도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3에 기재된 배율로 연신했다. 계속해서, 표 2에 기재된 재료를 표 3에 기재된 배합 비율로 혼합한 표면층 (b)용 조성물을 250℃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고, 상기에서 얻어진 지지층 (a)의 양면에 용융 압출하고, 표면층 (b)/지지층 (a)/표면층 (b)로 되도록 적층하여 적층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이 적층물을 160℃로 재가열하고, 텐터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3에 기재된 배율로 연신했다. 그 후, 160℃에서 어닐링 처리를 한 후, 60℃까지 냉각하고, 귀부를 슬릿하여, 표 3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3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제조예 5)
표 2에 기재된 재료를 표 3에 기재된 배합 비율로 혼합한 지지층 (a)용 조성물 및 표 2에 기재된 재료를 표 3에 기재된 배합 비율로 혼합한 표면층 (b)용 조성물을, 각각 250℃로 설정한 3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했다. 계속하여 이들 조성물을 다층 다이 내에서 표면층 (b)/지지층 (a)/표면층 (b)로 되도록 적층하고, 이것을 시트상으로 압출, 냉각 롤에 의해 약 60℃까지 냉각함으로써 적층물을 얻었다. 이 적층물을 145℃로 재가열하고, 다수의 롤군의 주위 속도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3에 기재된 배율로 연신했다. 계속해서, 이 적층물을 160℃로 재가열하고, 텐터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3에 기재된 배율로 연신했다. 그 후, 160℃에서 어닐링 처리를 한 후, 60℃까지 냉각하고, 귀부를 슬릿하여, 표 3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3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제조예 6)
시판하고 있는 합성지(유포 코포레이션제, 상품명: FPG200)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했다.
Figure 112013065040698-pct00002
Figure 112013065040698-pct00003
[광 반사체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내지 4)
표 1에 기재된 종이재료(기재층) 및 상기 제조예에 의해 얻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반사층)을 표 4에 기재된 조합으로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편면에, 폴리에테르우레탄계 접착제(도요 모톤(주)제, 상품명: TM-317) 60중량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도요 모톤(주)제, 상품명: CAT-11B)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도료를 건조 후 고형분이 4g/㎡로 되도록 도공하고, 여기에 60℃에서 1분간 건조시켜 접착층을 형성했다. 계속하여 이것을 종이재료의 편면에 겹치게 하여, 압착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고, 반사층/기재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를 얻었다.
실시예 4에 있어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라미네이트층이 외측으로 되도록 적층하여, 반사층/기재층/라미네이트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를 얻었다.
(실시예 9 내지 12)
표 1에 기재된 종이재료(기재층) 및 상기 제조예에 의해 얻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반사층)을 표 4에 기재된 조합으로 사용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편면에, 폴리에테르우레탄계 접착제(도요 모톤(주)제, 상품명: TM-317) 60중량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도요 모톤(주)제, 상품명: CAT-11B)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도료를 건조 후 고형분이 4g/㎡로 되도록 도공하고, 여기에 60℃에서 1분간 건조시켜 접착층을 형성했다. 계속하여 이것을 종이재료의 양면에 겹치게 하여, 압착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고, 반사층/기재층/반사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를 얻었다.
(비교예 5)
표 1에 기재된 종이재료의 제조예 2만을 사용하여(반사층을 적층하지 않고), 광 반사체로 했다.
(비교예 6)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조예 3에 의해 얻은 것만을 사용하여(기재층에는 적층하지 않고), 광 반사체로 했다.
[시험예]
(테이버 강도)
각 제조예에 의해 얻은 종이재료, 및 각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얻은 광 반사체에 대해서, JIS P8125:2000의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테이버 강도 시험기(구마가이 리끼 고교(주)제, 상품명: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를 사용하여 테이버 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4에 나타낸다.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
각 제조예에 의해 얻은 종이재료, 및 각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얻은 광 반사체를 폭 4㎜, 길이 20㎜의 샘플 크기로 재단하고, 열 기계 분석 장치(세이코 덴시(주)사제, 상품명: TMA120C)를 사용하여, 하중 5g, 승온 속도 5℃/분의 조건 하에서, 20℃부터 70℃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4에 나타낸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반사율)
각 제조예에 의해 얻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표면층 (b)측에 있어서의 반사율과, 각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얻은 광 반사체의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직경 150㎜의 적분구를 탑재한 분광 광도계((주) 히타치 세이사꾸쇼제, 상품명: U-3310)를 사용하여, JIS-Z8722 조건 d 기재의 방법에 따라, 파장 550㎚에서의 반사율로서 측정했다. 측정 결과는, 기준판으로서 부속의 산화 알루미늄 백판의 반사율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 반사율로서 나타냈다.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1의 광 반사체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제조예 2의 반사층측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두께, 밀도)
각 제조예에 의해 얻은 종이재료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 밀도는 JIS-P8118:1998에 따라 측정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는,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각 필름의 단면을 관찰하여 외관으로부터 층간의 계면을 판단하고, 위에서 구한 전체 두께와 각 층의 두께 비율로부터 산출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65040698-pct00004
[면 광원 장치의 제조]
(실시예 13)
32인치형 LED 에지 라이트형 대형 액정 텔레비전((주)도시바제, 상품명: 레그자 32RE1W)의 면 광원 장치를 사용하여, 이것으로부터 광 반사체를 제외하고, 그 대신에 각 실시예에 의해 얻은 광 반사체를 설치하여 면 광원 장치를 얻었다.
제조된 면 광원 장치는 모두 고휘도이며, 휘도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점]
실시예의 광 반사체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종래의 광 반사체(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4-239540호 공보 참조)와는 달리, 광량이 증가해도 색조의 변화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의 광 반사체는,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는 종래의 광 반사체(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03170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9990호 공보 참조)와는 달리, 대판으로 해도 휨이 발생하기 어렵고, 휘도 불균일도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의 광 반사체는,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에 다른 강성의 어느 한 수지 필름을 배접재로서 접합한 종래의 광 반사체(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9990호 공보 참조)와는 달리, 열에 의한 치수 변화가 작다. 이로 인해, 온/오프에 수반하는 온도 변화가 빈번히 발생하는 액정 텔레비전 등에 적용해도 휨이 발생하기 어렵고, 휘도 불균일도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의 광 반사체는 문제없이 롤상으로 권회할 수 있다. 또한, 권회하여 롤상으로 한 광 반사체를 다시 인출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거나 가공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과 금속판을 접합한 종래의 광 반사체(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67820호 공보 참조)나,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과 열경화형 수지 함침지를 접합한 종래의 광 반사체(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99314호 공보 참조)는 롤상으로 권회할 수 없기 때문에 응용 용도가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이들 종래의 광 반사체에서는 사실상 적용할 수 없었던 대형 액정 텔레비전용으로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1: 광 반사체
12: 아크릴판
13: 망점 인쇄
14: 도광판
15: 확산판
16: 광원
21: 광 반사체
22: 기재층
23: 반사층

Claims (16)

  1. 종이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형성한 광 반사체이며,
    JIS-Z8722 조건 d 기재의 방법에 따라, 파장 550㎚에서의 반사율로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기준판으로서 부속의 산화 알루미늄 백판의 반사율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 반사율로서 나타낸, 광 반사체의 반사층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95 내지 105%이고, 광 반사체의 테이버(taber) 강도가 0.4 내지 100mN·m이고, 광 반사체의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치수 변화율이 -0.3 내지 0.3%인 광 반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재료가 식물 섬유를 서로 얽히게 하여 교착시킨 것을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재료가 JIS-P0001:1998에 정해진, 아이보리, 아트지, 인쇄 용지, OCR 용지, 오프셋 용지, 가공 용지, 카드용 두꺼운 종이, 벽지 원지, 캐스트 코트지, 크라프트지(kraft paper), 그라비아 용지, 경량 코트지, 코트지, 지기용 판지, 상질지, 백판지, 세미 상질지, 중질지, 도공 인쇄 용지, 도공지 원지, 난연지, 바라이타지(barayta paper), 미도공 인쇄 용지, 방수지 및 밀크 카톤(milk carton) 원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레진 코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재료의 테이버 강도가 0.1 내지 100m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20℃부터 7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종이재료의 치수 변화율이 -0.5 내지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재료의 밀도가 0.6 내지 1.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재료의 두께가 70 내지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평균 입경 0.05 내지 1.5㎛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내지 1.5㎛의 유기 필러 중 적어도 한쪽을 5 내지 7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밀도가 0.5g/㎤ 이상 0.9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가 3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체가 롤상으로 권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
  16. 삭제
KR1020137018998A 2010-12-22 2011-12-15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 KR101812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5463A JP5608543B2 (ja) 2010-12-22 2010-12-22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JP-P-2010-285463 2010-12-22
PCT/JP2011/078983 WO2012086500A1 (ja) 2010-12-22 2011-12-15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828A KR20140006828A (ko) 2014-01-16
KR101812834B1 true KR101812834B1 (ko) 2017-12-27

Family

ID=4631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998A KR101812834B1 (ko) 2010-12-22 2011-12-15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08543B2 (ko)
KR (1) KR101812834B1 (ko)
CN (1) CN103270434B (ko)
TW (1) TWI541545B (ko)
WO (1) WO2012086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5397B2 (en) 2018-07-16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3145B2 (ja) * 2011-09-15 2016-08-2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17199737A (ja) * 2016-04-25 2017-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実装モジュール、発光ダイオード実装モジュール用光反射部材
JP2019093653A (ja) * 2017-11-24 2019-06-20 積水樹脂株式会社 積層体
CN110058212A (zh) * 2019-05-15 2019-07-26 上海炬佑智能科技有限公司 标靶和tof相机标定集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707A (ja) 2002-10-11 2004-05-27 Yupo Corp 光反射体
JP2004309804A (ja) 2003-04-08 2004-11-04 Yupo Corp 光反射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7362B1 (en) * 1999-09-09 2001-03-27 Eastman Kodak Company Tough durable imaging cellulose base material
JP2007038598A (ja) * 2005-08-05 2007-02-15 Kyodo Printing Co Ltd パール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80088A (ko) * 2005-12-22 2008-09-0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 시트
JP2007333944A (ja) * 2006-06-14 2007-12-27 Totsuya Echo:Kk 可印刷性光散乱反射蒸着シート
FR2936619B1 (fr) * 2008-09-30 2011-03-04 Nemoptic Dispositif et procede d'affichage polychrome a cristal liq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707A (ja) 2002-10-11 2004-05-27 Yupo Corp 光反射体
JP2004309804A (ja) 2003-04-08 2004-11-04 Yupo Corp 光反射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5397B2 (en) 2018-07-16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70434A (zh) 2013-08-28
JP5608543B2 (ja) 2014-10-15
CN103270434B (zh) 2015-11-25
TWI541545B (zh) 2016-07-11
WO2012086500A1 (ja) 2012-06-28
KR20140006828A (ko) 2014-01-16
JP2012133155A (ja) 2012-07-12
TW201235709A (en) 201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834B1 (ko)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 광원 장치
JP5082951B2 (ja)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1634521A (zh) 二軸配向聚酯薄膜
JP4933060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2031704A (ja) 光反射体
JP6630108B2 (ja) 艶消し層を有する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64997B2 (ja) 光反射体及び面光源装置
JP2003176367A (ja) 光反射体
US20060158585A1 (en) Light-reflector and planar light source using same
WO2010064431A1 (ja)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KR101640270B1 (ko) 광 반사체 및 면광원 장치
KR20180030855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JP4866075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4578075B2 (ja) 光反射体
US7298438B2 (en) Semitransparent reflector
JP5464996B2 (ja) 光反射体及び面光源装置
JP4202789B2 (ja) スクリーン
TWI699406B (zh) 白色反射薄膜
JP2005004195A (ja) 光反射体および面光源装置
JP606270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CN1809768A (zh) 光反射体及使用该光反射体的面光源装置
JP5973145B2 (ja)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5835532B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2024018661A (ja) 反射フィルム、捲回体及び電子デバイス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