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14B1 - 타이어용 몰드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814B1
KR101812814B1 KR1020120016831A KR20120016831A KR101812814B1 KR 101812814 B1 KR101812814 B1 KR 101812814B1 KR 1020120016831 A KR1020120016831 A KR 1020120016831A KR 20120016831 A KR20120016831 A KR 20120016831A KR 101812814 B1 KR101812814 B1 KR 10181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base material
concave por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017A (ko
Inventor
다카오 고데라
마사노리 다카하시
게이지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5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s for the processing of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블록이 확실하게 고정되고, 사용후에도 분해 가능한 몰드를 제공한다.
내면에 캐비티면(7)이 형성된 타이어용 몰드(1)로서, 병렬된 복수 개의 판형의 피스를 갖는 블록(6)과, 이 블록(6)이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27)를 갖는 홀더(5)와, 이 오목부(27)에 끼워진 블록(6)을 오목부(27)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며, 이 고정 기구가, 상기 블록(6)의 표면에 각 피스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키홈과, 상기 오목부(27)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키홈에 결합하는 키(36, 37)를 가지며, 상기 키홈에 키(36, 37)가 결합함으로써 블록(6)이 오목부(27)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Description

타이어용 몰드{MOLD FOR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가류 공정에 사용되는 몰드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가류 공정에서는 몰드가 사용되고 있다. 분할 몰드(segmented molds) 및 투피스 몰드(two-piece molds)가 이 가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가류 공정에서는 예비 성형된 로우 커버(raw cover)가 몰드에 투입된다. 이 로우 커버는 몰드와 블래더로 에워싸인 캐비티에서 가압되면서 가열된다. 가압과 가열에 의해 로우 커버의 고무 조성물이 캐비티 내를 유동한다. 가열에 의해 고무가 가교 반응을 일으켜 타이어가 얻어진다. 가압시 몰드의 캐비티면과 로우 커버의 사이에 에어가 잔류하면, 타이어의 표면에 베어(bare)가 형성된다. 베어는 타이어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일반적인 몰드는 벤트 홀을 가지고 있다. 이 벤트 홀을 통해 에어가 배출된다.
분할 몰드는 원호형의 트레드 세그멘트(이하, 단순히 세그멘트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다수 개의 세그멘트가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링형의 캐비티면이 형성된다. 세그멘트는 주형이 이용된 중력 주조 또는 저압 주조에 의해 얻어진다. 금속제 주형이 사용된 정밀 주조(소위 다이캐스트)에 의해 세그멘트가 얻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어용 몰드의 일례로서, 일본 특허 공개 2009-269245 공보에 개시된 몰드가 알려져 있다. 이 몰드의 세그멘트는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이 블록은 캐비티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캐비티면은 직접 조각(direct carving)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블록은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수용되어 일체화된 코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코어는 다수 개의 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피스는 볼트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다수 개의 피스가 병렬되고, 상기 볼트 구멍에 볼트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수 개의 피스가 일체화되어 코어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의 베이스에의 일체화는 인서트(insert)에 의해 수행된다. 즉, 코어가 주형의 공극부에 삽입된다. 이 공극부 내에 용융 금속이 유입된다. 이 용융 금속이 응고되어 베이스가 형성되고, 베이스와 베이스에 인서트된 코어로 이루어지는 블록이 형성된다. 이 블록에 절삭 가공이 실시되고 표면에 캐비티면이 형성된다.
인서트에 의한 코어의 베이스에의 일체화에는, 그 주조 자체에 많은 공정 수를 필요로 한다. 코어는 주물에 의해 피복되어 고정되므로, 블록을 제조한 후에 분해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피스끼리의 간극에 퇴적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열처리가 필요해진다.
주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블록이 베이스로서의 홀더에 장착되는 세그멘트가 제안된 바 있다(일본 특허 공개 2009-023231 공보 참조). 이 세그멘트에 있어서는, 미리 홀더에 형성된 오목부에 블록이 끼워진다. 블록을 구성하는 적층 피스 중 복수 개의 일부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에는 적층 피스의 볼트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삽입관통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에 의해, 이 볼트 구멍 및 관통 구멍을 통해 블록이 홀더에 고정된다.
블록이 볼트에 의해 홀더에 고정되는 경우, 볼트가 피스에 나사 결합된다. 피스의 수에 따라 홀더의 볼트용 관통 구멍의 형성 위치가 달라진다. 피스가 얇은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작은 직경의 볼트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홀더에의 블록의 고정 강도가 저하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9-269245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9-023231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피스의 적층 수와 관계 없이 블록이 홀더에 확실하게 고정되면서 품이 드는 주조 공정이 불필요해져 제조 후의 분해가 가능해지는 타이어용 몰드의 제공 및 이러한 타이어용 몰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몰드는, 내면에 캐비티면이 형성된 타이어용 몰드로서, 병렬된 복수 개의 판형의 피스를 갖는 블록과, 이 블록이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는 홀더와, 이 오목부에 끼워진 블록을 오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고정 기구가, 상기 블록의 표면에 각 피스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홈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가지며, 이 결합 돌기에 결합 홈이 결합됨으로써, 블록이 오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조 공정이 불필요해지고, 그리고 몰드가 완성된 후, 그리고 그 사용 후에도 이 몰드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을 홀더에 장착할 때, 피스에 직접 볼트 등을 나사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 돌기를 통해 블록을 홀더에 장착한다. 따라서, 피스의 수나 두께와 관계 없이 블록을 홀더에 장착할 수 있다. 각 피스의 홀더에의 장착 강도가 균일해진다.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키(key)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이 복수 개의 소블록체인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이 서로 밀접한 상태로 상기 오목부 내에 끼워져 있으며, 인접하는 유닛끼리의 접촉면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일측의 유닛이 오목부 내에 고정됨으로써, 이 일측의 유닛에 결합된 타측의 유닛이 오목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피스 사이에 끼인 제1 심(shim)을 구비하고, 이 제1 심에 의해,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피스 사이에 제1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유닛 사이에 끼인 제2 심을 구비하고, 이 제2 심에 의해,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유닛 사이에 제2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몰드의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판형의 피스 모재를 병렬 상태로 고정하여 블록 모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절삭 가공에 의해 홀더 모재에 블록 모재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블록 모재에 결합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돌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블록 모재를, 결합 홈에 결합 돌기가 결합된 상태로, 홀더 모재의 오목부에 장착하여 세그멘트 모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이 세그멘트 모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하여 캐비티면을 형성하는 세그멘트 형성 공정 및 이 세그멘트를 복수개 연접하는 몰드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모재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인접하는 피스 모재끼리의 사이에 심을 배치함으로써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세그멘트 형성 공정에서, 그 캐비티면에 상기 슬릿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예비 성형에 의해 로우 커버를 얻는 공정과, 내면에 캐비티면이 형성된 몰드에 상기 로우 커버를 투입하는 공정과, 이 로우 커버를 상기 몰드 내에서 가압 및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몰드가, 병렬된 복수 개의 판형의 피스를 갖는 블록과, 이 블록이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는 홀더와, 이 오목부에 끼워진 블록을 오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이 고정 기구가, 상기 블록의 표면에 각 피스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홈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를 가지며, 이 결합 돌기에 결합 홈이 결합함으로써, 블록이 오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는 몰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 피스끼리의 사이에 심이 개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에서는, 주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피스의 블록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그리고 그 사용 후에도 이 몰드를 분해할 수 있다. 게다가, 블록을 베이스에 고정할 때 피스에 직접 볼트를 나사 삽입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용 몰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몰드의 세그멘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그멘트의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2 키 및 제2 키홈의 일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제2 키 및 제2 키홈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9의 (c)는 제3 키 및 제3 키홈의 일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유닛끼리의 사이의 결합부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의 (b)는 유닛끼리의 사이의 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세그멘트의 모재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모재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재의 절삭 전후의 각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몰드의 세그멘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세그멘트의 모재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용 몰드(이하, 단순히 몰드라고 함)(1)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이 몰드(1)는 다수 개의 세그멘트(2)와, 상하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3)와, 상하 한 쌍의 비드 링(4)을 구비하고 있다. 세그멘트(2)의 평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호형이다. 다수 개의 세그멘트(2)가 링형으로 연결된다. 세그멘트(2)의 수는 통상 3개 이상 20개 이하이다. 사이드 플레이트(3) 및 비드 링(4)은 실질적으로 링형이다. 이 몰드(1)는 소위 "분할 몰드"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R은 로우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몰드(1)의 세그멘트(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화살표 X는 타이어의 반경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Y는 타이어의 축 방향(폭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 Z는 타이어의 둘레 방향(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세그멘트(2)는 홀더(5)와 블록(6)으로 이루어진다. 홀더(5)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블록(6)은 후술하는 다수 개의 피스로 이루어진다. 블록(6)은 홀더(5)의 오목부(27)에 장착되어 있다.
블록(6)은 캐비티면(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캐비티면(7)은 볼록부(8)와 오목부(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볼록부(8)는 타이어의 트레드의 홈에 대응한다. 오목부(9)는 타이어의 트레드의 블록에 대응한다. 이 볼록부(8) 및 오목부(9)에 의해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이 형성된다. 볼록부(8) 및 오목부(9)의 형상은 트레드 패턴에 따라 적당히 결정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볼록부(8) 및 오목부(9)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세그멘트(2)의 블록(6)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6)은 상기 캐비티면(7)과 함께 후면(10), 두 개의 분할면(11) 및 상하의 단부면(12)을 갖는다. 후면(10)은 캐비티면(7)과 대향해 있다. 블록(6)은 4개의 소블록체(유닛)(13, 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유닛은 상하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 유닛(13) 및 단부 유닛(13) 사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중간 유닛(14)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부 유닛(13)은 2개의 제1 단부 피스(15)와 이들 제1 단부 피스(15)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다수 개의 제1 중간 피스(16)를 가지고 있다. 각 중간 유닛(14)은 두 개의 제2 단부 피스(17)와 이들 제2 단부 피스(17)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다수 개의 제2 중간 피스(18)를 가지고 있다. 각 피스(15, 16, 17, 18)는 판형을 이루고 있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든 피스(15, 16, 17, 18)가 둘레 방향(Z)으로 병렬되어 있다.
각 유닛(13, 14)에는 둘레 방향(Z)으로 관통하는 볼트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19)은 각 단부 유닛(13)을 구성하는 제1 단부 피스(15) 및 제1 중간 피스(16)의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중간 유닛(14)을 구성하는 제2 단부 피스(17) 및 제2 중간 피스(18)에는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볼트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 구멍(19)에 볼트(20)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각 볼트(20)의 양 단에는 너트(21)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머신 볼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 단부 피스(15, 17)의 볼트 구멍(19)에는 너트(21)를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 보어(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단부 피스(15, 17)의 단부면(12)으로부터는 볼트(20)도 너트(21)도 돌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유닛(13, 14)에 있어서 모든 피스(15, 16, 17, 18)가 두 개의 볼트(20) 및 너트(21)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닛(13, 14)에 있어서 인접하는 피스(15, 16, 17, 18)끼리의 사이에 제1 심(23)이 끼워져 있다. 상기 너트(21)가 체결됨으로써, 피스(15, 16, 17, 18)가 제1 심(23)을 압착한다. 제1 심(23)에는 볼트(20)가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볼트(20)를 빼냄으로써, 제1 심(23)이 피스 사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1 심(23)은 볼트(20)를 피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심(23)에, 볼트(20)가 관통하는 개구 대신 볼트(20)를 피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심(23)에는 후술하는 키(36, 37)를 피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도 마련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6)에 있어서 인접하는 유닛(13, 14)끼리의 사이에 제2 심(24)이 끼워져 있다. 단부 유닛(13)과 중간 유닛(14)의 사이의 제2 심(24)은 적어도 후술하는 결합부로서의 제2 평면(46B)끼리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결합부로서의 기능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제1 심(23) 및 제2 심(24) 모두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내식성,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각 심(23, 24)은 얇은 판형이다. 심은 시장에 널리 유통되는 시판품인 것이 비용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볼트(20) 관통용 개구를 갖는 제1 심(23)으로는, 볼트 너트용 와셔 등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께가 0.01 이상 1.0 mm 이하인 심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블록(6)에 트레드 패턴이 절삭 가공된 후, 0.12 mm 이하의 미소한 슬릿형의 에어 벤트 기구가 구현된다.
제1 심(23)에 의해, 인접하는 피스(15, 16, 17, 18)끼리의 사이에 제1 슬릿(25)이 형성된다(도 7, 도 8). 제1 슬릿(25)은 반경 방향(X) 및 축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슬릿(25)은 분할면(11)(도 3)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1 슬릿(25)은 블록(6)의 캐비티면(7)으로부터 후면(10)에까지 이르러 있다. 제2 심(24)에 의해, 인접하는 유닛(13, 14)끼리의 사이에 제2 슬릿(26)이 형성된다(도 5, 도 6). 제2 슬릿(26)은 반경 방향(X) 및 둘레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슬릿(26)은 분할면(11)(도 3)에 노출되어 있다. 제2 슬릿(26)도 캐비티면(7)으로부터 후면(10)에까지 이르러 있다. 따라서, 제1 슬릿(25) 및 제2 슬릿(26) 모두 후술하는 홀더(5)와 블록(6) 사이의 클리어런스(32)에 연통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6)은 홀더(5)의 오목부(27)에 끼워진 후에, 후술하는 키(36, 37)에 의해 오목부(27)에 고정되어 있다. 블록(6)은, 키(36, 37)에 의해 홀더(5)의 오목부(27)의 바닥면(30)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오목부(27)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7)는 바닥면(30)과,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31)의 내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오목부(27)는 대략 직사각형 횡단면의 채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오목부(27)는 블록(6)의 외형과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오목부(27)의 바닥면(30)은 블록(6)의 후면(10)을 덮고, 오목부(27)의 측벽(31)은 블록(6)의 상하의 각 단부면[각 단부 유닛(13)의 외측면](12)을 덮고 있다. 블록(6)의 분할면(11)은 노출되어 있다(도 3). 오목부(27)의 바닥면(30)은 오목부(27)에 끼워진 블록(6)의 후면(10)과 근소한 클리어런스(32)를 형성하면서 맞닿아 있다. 오목부(27)의 측벽(31)의 내면은 끼워진 블록(6)의 상하의 각 단부면(12)과 근소한 클리어런스(32)를 형성하면서 맞닿아 있다. 이들 클리어런스(32)는, 예컨대, 오목부(27)의 내면 및/또는 블록(6)의 외면에 볼록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6)의 상하의 각 단부면(12)에는 제1 키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6)의 후면[각 중간 유닛(14)의 후면(35)](10)에는 제2 키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키홈(33, 34)은 둘레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키홈(33)에는 제1 키(36)가 장입되고, 제2 키홈(34)에는 제2 키(37)가 장입되어 있다. 제1 키홈(33) 및 제1 키(36)는 모두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키홈(34) 및 제2 키(37)는 모두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키(36)의 상기 측벽(31)에 대향하는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바닥 있는 핀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키(37)의 상기 바닥면(30)에 대향하는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나사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39)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9)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키(37)를 관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홀더(5)의 측벽(31)에 있어서, 상기 제1 키(36)의 각 핀 구멍(38)과 일치하는 부위에 나사 구멍(40)이 관통하고 있다. 나사 구멍(40)은 둘레 방향(Z)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40)에 고정 핀(41)이 나사 장착된다. 고정 핀(41)의 외주면에는, 선단의 소정 길이 부분을 제외하고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핀(41)의 선단의 소정 길이 부분은, 상기 수나사의 골 직경 또는 그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핀부(42)로 되어 있다. 고정 핀(41)의 후단에는, 드라이버에 의한 회전 조작을 위한 결합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핀(41)이 풀리거나 빠짐으로써, 오목부(27)로부터 제1 키(36)가 풀려서 단부 유닛(13)이 빠질 수 있다. 고정 핀(41)이 나사 구멍(40)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이 핀부(42)가 제1 키(36)의 핀 구멍(38)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각 단부 유닛(13)이 오목부(27)에 위치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키홈(33) 및 제1 키(36) 모두 횡단면이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단부 유닛(13)은 고정 핀(41)이 나사 구멍(40)에 나사 장착되어도, 중간 유닛(14)이 오목부(27)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오목부(27)의 내방을 향해 변위 가능해진다. 고정 핀(41)은 나사 구멍(40)에 나사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후단은 나사 구멍(40) 내에 묻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의 후면에는 유지용 아이 볼트 등을 나사 장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29)은 오목부(27) 내부에는 관통되어 있지 않다. 이 나사 구멍(29)은 도 3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의 바닥면(30)의 상기 제2 키(37)의 각 나사 구멍(39)과 일치하는 부위에, 나사 부재(44)용의 단차진 관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진 관통 구멍(43)을 통해 머신 볼트 등의 나사 부재(44)가 제2 키(37)의 상기 나사 구멍(39)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2 키(37)가 오목부(27)에 고정된다. 제2 키(37)의 사다리꼴 단면의 상부 바닥(37a)보다 짧은 하부 바닥의 부위(37b)가 오목부(27)의 바닥면(30)에 고정된다. 그 결과, 중간 유닛(14)이 오목부(27)의 바닥면(30)에 고정된다. 나사 부재(44)는 제2 키(37)의 나사 구멍(39)에 나사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후단은 단차진 관통 구멍(43) 내에 묻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키홈(34) 및 제2 키(37)의 각 횡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다리꼴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9에는 제2 키홈 및 제2 키의 다른 횡단면 형상이 예시되어 있다. 도 9의 (a)는 T자형의 제2 키홈(34A) 및 제2 키(37A)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좌우 양단의 형상이 원호형으로 변형된 T자형의 제2 키홈(34B) 및 제2 키(37B)를 나타내며, 도 9의 (c)는 상부 바닥이 원호형으로 변형된 사다리꼴의 제2 키홈(34C) 및 제2 키(37C)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키홈 및 제2 키의 각 횡단면 형상은 상기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키홈 및 제2 키의 각 횡단면 형상으로는, 사다리꼴 등과 같이 테이퍼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2 키가 나사 부재(44)에 의해 오목부(27)의 바닥면에 고정되었을 때, 덜거덕거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중간 유닛(14)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오목부(27)의 바닥면(30)에 대략 수직한 일 평면(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유닛(14)과 단부 유닛(13)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서로 경사진 두 평면(46A, 4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 평면(46A, 46B)은, 구체적으로는, 캐비티면(7)으로부터 후면(10)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바닥면(30)에 대략 수직한 제1 평면(46A) 및 이 제1 평면(46A)으로부터 중간 유닛(14) 측을 향해 경사진 제2 평면(46B)이다. 이 제2 평면(46B)이 단부 유닛(13)과 중간 유닛(14)의 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키(36)를 포함하는 단부 유닛(13)이 고정 핀(41)에 의해 오목부(27) 내에 위치 결정되고, 제2 키(37)를 포함하는 중간 유닛(14)이 나사 부재(44)에 의해 오목부(27)의 바닥면(30)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에 의해 단부 유닛(13)도 오목부(27) 내에 고정된다. 단부 유닛(13)은 중간 유닛(14)에 대한 제2 평면(46B)끼리의 맞닿음에 의해 바닥면(30)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또한, 홀더(5)의 상하단으로부터 고정 핀(41)에 의해 양 단부 유닛(13)이 내방으로 눌리면 양 단부 유닛(13)이 중간 유닛(14)을 압착하여 각 유닛을 고정하는 작용이 발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27) 내에 장착된 단부 유닛(13)과 중간 유닛(14)의 사이, 그리고 중간 유닛(14)끼리의 사이에는 위치 결정 핀(47)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 결정 핀(47)의 장착은 각 유닛(13, 14)끼리의, 특히 타이어 둘레 방향(Z)으로의 상대 변위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위치 결정 핀(47)은 인접하는 유닛(13, 14)의 대향하는 피스(15, 16, 17, 18)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핀 구멍에 장착된다. 또한, 홀더(5)에 대한 블록(6)의 위치 결정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위치 결정 핀(5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위치 결정 핀(50)은, 예컨대, 중간 유닛(14)의 후면과 오목부(27)의 바닥면(3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핀 구멍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은 핀(47, 50)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심어넣는 방식의 위치 결정 볼트일 수도 있다. 이 위치 결정 볼트는 그 길이의 절반 정도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이다. 서로 위치 결정할 일측의 부재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핀 구멍이 형성된다. 이 위치 결정 볼트는 미리 일측의 부재의 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 유닛(13)과 중간 유닛(14)의 결합부로서 상기 경사진 제2 평면(46B)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는 단부 유닛(13)과 중간 유닛(14)과의 결합부의 다른 형상이 예시되어 있다. 도 10의 (a)는 직사각형의 오목부(48A) 및 볼록부(48B)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대략 반원형의 오목부(49A) 및 볼록부(49B)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세그멘트(2)의 제조 방법을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홀더(5)의 모재(홀더 모재라고 함)(51)와, 단부 유닛(13)의 단부 피스(15)용 모재(제1 단부 피스 모재라고 함)(52)와, 단부 유닛(13)의 중간 피스(16)용 모재(제1 중간 피스 모재라고 함)(53)와, 중간 유닛(14)의 단부 피스(17)용 모재(제2 단부 피스 모재라고 함)(54)와, 중간 유닛(14)의 중간 피스(18)용 모재(제2 중간 피스 모재라고 함)(55)가 준비된다. 홀더 모재(51)는 단조 알루미늄 합금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어서 절삭 가공에 의해 오목부(27)가 형성된 것이다. 오목부(27)의 형성과 동시에, 바닥면(3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31)이 형성된다. 이 측벽(31)에는, 상기 나사 구멍(40)이 측벽(31)의 외방으로부터 오목부(27) 내부에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홀더(5)의 후면으로부터 오목부(27) 내부에 관통하도록 상기 단차진 관통 구멍(43)이 형성된다. 홀더(5)의 후면에는, 유지용의 아이 볼트 등을 나사 장착하기 위한 상기 나사 구멍(29)(도 5) 및 위치 결정을 위한 도시하지 않은 핀 구멍이 형성된다. 이 위치 결정용 핀 구멍은 오목부(27) 내부에는 관통해 있지 않다.
피스 모재(52, 53, 54, 55)는 판형이다. 제1 및 제2 단부 피스 모재(52, 54)에는 볼트 구멍(19) 및 카운터 보어(22)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피스 모재(52) 사이에 다수 개의 제1 중간 피스 모재(53)가 배치되고, 제2 단부 피스 모재(53) 사이에 다수 개의 제2 중간 피스 모재(54)가 배치된다. 피스 모재(52, 53, 54, 55) 사이에는 제1 심이 배치된다. 제1 단부 피스 모재(52), 제1 중간 피스 모재(53) 및 제1 심이 적층된다. 볼트 구멍에 볼트(20)가 삽입 관통되고, 너트(21)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단부 유닛 모재(56)가 구성된다. 제2 단부 피스 모재(54), 제2 중간 피스 모재(55) 및 제1 심이 적층된다. 볼트 구멍에 볼트(20)가 삽입 관통되고, 너트(21)가 조여 들어간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중간 유닛 모재(57)가 구성된다.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제1 키(36) 및 사다리꼴의 횡단면을 갖는 제2 키(37)가 준비된다. 제1 키(36)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술한 복수 개의 핀 구멍(38)이 형성된다. 제2 키(37)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술한 복수 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각 단부 유닛 모재(56)에 대해, 타이어의 둘레 방향(Z)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제1 키홈(33) 및 제2 키홈(34)이 형성된다. 각 중간 유닛 모재(57)에 대해, 타이어의 둘레 방향(Z)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제2 키홈(34)이 형성된다. 단부 유닛 모재(56)의 제1 키홈(33)에는 제1 키(36)가 장입되고, 제2 키홈(34)에는 제2 키(37)가 장입된다. 중간 유닛 모재(57)의 제2 키홈(34)에는 제2 키(37)가 장입된다.
단부 유닛 모재(56) 및 중간 유닛 모재(57)의 서로의 대향면에는, 전술한 제1 평면(46A) 및 제2 평면(46B)이 형성된다. 단부 유닛 모재(56)와 중간 유닛 모재(57)의 사이, 그리고 중간 유닛 모재(57)끼리의 사이의 각각에 제2 심(24)이 개재되고, 바람직하게는 위치 결정 핀(47)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네 개의 유닛 모재(56, 57)가 일체화되어 블록 모재(58)가 구성된다. 이 블록 모재(58)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블록 모재(58)가 상기 홀더 모재(51)의 오목부(27)에 끼워진다. 홀더 모재(51)의 측벽(31)의 나사 구멍(40)에 고정 핀(41)이 나사 삽입된다. 홀더 모재(51)의 바닥면(30)의 단차진 관통 구멍(43)을 통해 나사 부재(44)가 제2 키(37)의 나사 구멍(39)에 나사 삽입된다. 이에 따라, 블록 모재(58)가 홀더 모재(51)에 고정되어, 세그멘트 모재(59)가 구성된다. 블록 모재(58)를 오목부(27)에 장착할 때, 피스 모재(52, 53, 54, 55)에 직접 나사 부재(44)나 고정 핀(41)이 나사 장착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모재(58)는 키(36, 37)를 통해 오목부(27)에 장착된다. 따라서, 피스 모재(52, 53, 54, 55)의 수나 두께에 관계 없이 블록 모재(58)가 균일한 고정력에 의해 오목부(27)에 장착될 수 있다. 각 피스 모재(52, 53, 54, 55)의 홀더 모재(51)에의 장착 강도가 균일해진다. 세그멘트 모재(59)의 양 단부면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지도록 절삭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멘트 모재(59)가 절삭 가공에 의해 해칭 부분만이 삭제된다. 이에 따라, 세그멘트(도면 중의 흰 바탕 부분)(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핀(41)은 홀더 모재(51)의 나사 구멍(40)에 나사 삽입된 상태로, 그 후단이 해칭으로 나타낸 절제 범위에는 위치하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 절삭 가공에 의해 요철 무늬를 구비한 캐비티면(7)이 형성된다. 이 방법에서는, 요철 무늬가 직접 조형된다. 전형적인 절삭 가공은 공구에 의한 절삭이다. 절삭 가공이 고에너지 밀도 가공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고에너지 밀도 가공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해 가공, 방전 가공, 와이어 컷 방전 가공, 레이저 가공 및 전자 빔 가공을 들 수 있다. 요철 무늬가 직접 조형되므로 이 요철 무늬의 형상의 자유도는 높다. 이 요철 무늬에서는 치수 정밀도가 높다. 이상의 절삭 가공에 의해 세그멘트(2)가 얻어진다.
이 몰드(1)가 사용된 타이어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예비 성형에 의해 로우 커버가 얻어진다. 이 로우 커버가, 몰드(1)가 개방되어 있고 블래더가 수축되어 있는 상태로 몰드(1)에 투입된다. 이 단계에서는, 로우 커버의 고무 조성물은 미가교 상태이다. 몰드(1)가 체결되고 블래더가 팽창한다. 로우 커버는 블래더에 의해 몰드(1)의 캐비티면(7)에 눌려져서 가압된다. 이 상태의 로우 커버(R)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동시에 로우 커버는 가열된다. 가압과 가열에 의해 고무 조성물이 유동한다. 가열에 의해 고무가 가교 반응을 일으켜 타이어가 얻어진다. 로우 커버가 가압 및 가열되는 공정은 가류 공정이라고 칭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릿(25) 및 제2 슬릿(26) 모두 캐비티면(7)에 노출되어 있다(도 5, 도 6, 도 7 및 도 8). 가류 공정에 있어서, 로우 커버와 캐비티면(7) 사이의 에어는 제1 슬릿(25) 및 제2 슬릿(26)을 통해 이동한다. 제2 슬릿(26)은 분할면(11)에도 노출되어 있다. 에어는 분할면(11)에 이르러 배출된다. 분할면(11)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있는 에어도, 제1 슬릿(25) 및 제2 슬릿(26)을 통해 분할면(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타이어의 폭 방향[축 방향(Y)]의 제1 슬릿(25)이 다수 개 형성되기 때문에, 타이어 회전 방향[둘레 방향(Z)]으로 테이프형으로 적층된 그린 타이어의 에어 배출 효과가 향상된다. 제1 슬릿(25) 및 볼트 구멍(19)을 통해서도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에어의 이동과 배출에 의해 베어가 방지된다. 이 몰드(1)에서는 벤트 홀이 설치되지 않아도 충분히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벤트 홀을 갖지 않는 몰드(1)에 의해 스퓨(spew)가 없는 타이어를 얻을 수 있다. 이 타이어는 외관 및 초기 그립성이 뛰어나다.
이상 설명된 실시 형태에서는, 유닛(13, 14)을 홀더(5)에 장착하기 위해 키(36, 37)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키(36, 37) 대신에, 홀더(5)의 오목부(27)의 바닥면(30) 및 측벽(31)의 내면에 상기 키(36, 37)와 동일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는 오목부(27)의 형성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각 유닛(13, 14)에는 이들 돌기와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갖는 결합 홈[전술한 키홈(33, 34)과 동일]이 형성된다. 이 경우, 홀더(5)에는 전술한 키(36, 37)를 홀더(5)에 위치 결정 및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40) 및 단차진 관통 구멍(43)은 불필요하다. 각 유닛(13, 14)이 차례로, 그 결합 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 관통되도록 하여 홀더(5)의 오목부(27)에 장착된다. 대안으로, 모든 유닛(13, 14)이 위치 결정 핀(4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블록(6)이 된 후에, 결합 홈에 상기 돌기가 삽입 관통되도록 하여 홀더(5)의 오목부(27)에 장착된다.
도 14에는 다른 세그멘트(6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이 세그멘트(61)의 제조 공정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세그멘트(61)는 홀더(62)와 블록(63)으로 이루어진다. 홀더(62)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블록(63)은 홀더(62)의 오목부(64)에 장착되어 있다. 이 블록(63)은 오목부(64)에 대해 전술한 세그멘트(2)(도 3 내지 도 13)의 블록(6)의 자세로부터, 오목부(64)의 바닥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90° 회전한 방향을 향해 장착되어 있다. 블록(63)은 홀더(62)의 오목부(64)에 끼워진 후에, 후술하는 제3 키(74)에 의해 오목부(64)에 고정되어 있다. 블록(63)은 캐비티면(6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캐비티면(65)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된 캐비티면(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63)은 세 개의 유닛(66, 6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오목부(64)의 좌우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 유닛(66) 및 단부 유닛(66)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중간 유닛이다. 이들 유닛(66, 67)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3 단부 피스(68)와 이들 제3 단부 피스(68)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다수 개의 제3 중간 피스(69)를 가지고 있다. 각 피스(68, 69)는 판형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유닛(66, 67)의 인접하는 피스(68, 69)끼리의 사이에 전술한 제1 심(23)과 동일한 도시하지 않은 심이 끼여 있다. 각 유닛(66, 67)에 있어서, 두 개의 볼트(20) 및 너트(21)에 의해 모든 피스(68, 69)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심에 의해, 인접하는 피스(68, 69)끼리의 사이에 제3 슬릿(72)이 형성된다. 제3 슬릿(72)은 반경 방향(X) 및 둘레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슬릿(72)은 블록(63)의 분할면(60)(도 14)에 노출되어 있다. 제3 슬릿(72)은 블록(63)의 캐비티면(65)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후면에까지 이르러 있다. 제3 슬릿(72)은 홀더(62)와 블록(63)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연통되어 있다.
이 세그멘트(61)에는, 홀더(62)의 양측벽(82)과 모든 피스(68, 69)를 폭 방향(Y)으로 관통하여, 에어 유통용의 도시하지 않은 채널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홀더(62)의 상면 및 하면[측벽(82)의 외면]에 상기 채널에 연통하는 홈 형태의 도시하지 않은 벤트 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특히 피스(68, 69)를 관통하지 않는 채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유닛(66, 67)과 오목부(64)의 바닥면 사이의 간극[홀더(62)와 블록(63) 사이의 클리어런스]과 홀더(62)의 상면 및 하면을 연통하는 채널이면 된다. 또한, 홀더(62)의 상면 및 하면[측벽(82)의 외면]에 이 채널과 연통되는 홈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벤트 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유닛(66, 67)의 후면에는 제3 키홈(7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3 키홈(73)에는 제3 키(74)가 장입되어 있다. 제3 키홈(73) 및 제3 키(74)는 모두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3 키(74)의 상기 오목부(64)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64)의 바닥면의 상기 제3 키(74)의 각 나사 구멍과 일치하는 부위에, 단차진 관통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도 15). 도 14에서는 단차진 관통 구멍(76)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단차진 관통 구멍(76)에 머신 볼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가 나사 장착된다. 나사 부재는 단차진 관통 구멍(76)을 통해 제3 키(74)의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따라, 사다리꼴 단면의 제3 키(74)가 오목부(64)에 고정된다. 그 결과, 각 유닛(66, 67)이 오목부(64)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는, 제3 키(74)의 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후단이 단차진 관통 구멍(76) 내에 묻혀 있다. 이들 유닛(66, 67) 및 제3 키(74)는 축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모든 피스(68, 69)가 축 방향(Y)으로 병렬되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서, 세그멘트(61)의 제조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세그멘트(2)의 제조 방법과 공통되는 범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홀더 모재(77)와, 각 유닛(66, 67)용 제3 단부 피스 모재(78) 및 제3 중간 피스 모재(79)가 준비된다. 홀더 모재(77)에는 오목부(64) 및 오목부(64)의 상하 양측의 한 쌍의 측벽(82)이 형성된다. 홀더 모재(77)의 후면으로부터 오목부(64) 내부에 관통하도록 상기 단차진 관통 구멍(76)이 형성된다.
모든 피스 모재(78, 79)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제3 단부 피스 모재(78)에는 카운터 보어(22)가 더 형성된다. 인접하는 피스 모재(78, 79)끼리의 사이에 심이 배치된다. 피스 모재(78, 79)의 볼트 구멍에 볼트(20)가 삽입 관통되고, 너트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피스 모재가 체결되고, 두 개의 단부 유닛 모재(83) 및 한 개의 중간 유닛 모재(84)가 완성된다. 단부 유닛 모재(83)와 중간 유닛 모재(84)의 대향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의 대향면에는 각 유닛 모재(83, 84)의 상면에 수직한 제1 평면(46A) 및 이 제1 평면(46A)으로부터 중간 유닛 모재(84) 측을 향해 경사진 제2 평면(46B)이 형성된다. 중간 유닛 모재(84)의 좌우 양측에 단부 유닛 모재(83)를 배치한다. 유닛 모재(83, 84)끼리의 사이에는 심이 배치된다. 이 심에 의해 유닛 모재(83, 84)끼리의 사이에 제4 슬릿(85)이 형성된다. 제4 슬릿(85)은 반경 방향(X) 및 폭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록 모재(86)가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모재(86)가 상기 홀더 모재(77)의 오목부(64)에 끼워진다. 이 경우, 블록 모재(86)는 각 유닛 모재(83, 84)의 길이 방향[제3 키(74)의 길이 방향]이 홀더 모재(77)의 한 쌍의 측벽(82)의 대향 방향[축 방향(Y)]과 일치하도록 오목부(64)에 끼워진다. 이 블록 모재(86)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블록 모재(58)의 방향으로부터, 오목부(64)의 바닥면과 평행한 면 내에, 90° 회전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가 홀더 모재(77)의 단차진 관통 구멍(76)을 통해 제3 키(74)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따라, 블록 모재(86)가 홀더 모재(77)에 고정되어 세그멘트 모재가 구성된다. 그 후, 이 세그멘트 모재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세그멘트 모재(59)와 동일한 처리가 실시되어, 세그멘트(61)가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슬릿(72) 및 제4 슬릿(85)은 캐비티면(65)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가류 공정에 있어서 로우 커버와 캐비티면(65) 사이의 에어는 제3 슬릿(72) 및 제4 슬릿(85)을 통해 이동한다. 제3 슬릿(72)은 분할면(11)에도 노출되어 있다(도 14). 에어는 분할면(11)에 이르러 배출된다. 분할면(11)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있는 에어도, 제3 슬릿(72) 및 제4 슬릿(85)을 통해 분할면(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슬릿(72) 및 볼트 구멍(19)을 통해서도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에어의 이동과 배출에 의해 베어가 방지된다. 이 몰드(1)에서는 벤트 홀이 설치되지 않아도 충분히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벤트 홀을 갖지 않는 몰드(1)에 의해 스퓨가 없는 타이어를 얻을 수 있다. 이 타이어는 외관 및 초기 그립성이 뛰어나다.
캐비티면(65)에 요철 무늬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요철 무늬를 갖지 않는 몰드에 의해 슬릭 타이어(slick tire) 및 플레인 타이어를 얻을 수 있다. 이 슬릭 타이어 및 플레인 타이어에서도 스퓨가 억제된다. 이 플레인 타이어의 표면이 커팅되어 요철 무늬가 형성된다. 스퓨가 적으므로, 이 플레인 타이어의 커팅은 용이하다.
몰드(1)가 반복 사용되면, 캐비티면(7, 65)에 퇴적물이 부착된다. 이 퇴적물은 타이어의 품질을 손상시킨다. 퇴적물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퇴적물의 제거를 위해, 키(36, 37, 74)가 홀더(5, 62)로부터 빠지고, 블록(6, 63)이 홀더(5, 62)의 오목부(27, 64)로부터 빠진다. 이어서, 블록(6, 63)으로부터 볼트(20)가 빠져, 각 피스로 분해된다. 복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블록(6, 63)의 경우, 먼저 블록(6, 63)이 복수 개의 유닛으로 분해된다. 이어서, 각 유닛으로부터 볼트(20)가 빠져, 각 피스로 분해된다. 각 부품이 청소된 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세그멘트(2, 61)가 조립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슬릿(25, 26, 72, 85)은 심이 피스 사이 또는 유닛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피스의 외면 및 유닛의 외면에 볼록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도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는 다양한 타이어의 제조에 적합하다.
1…(타이어용) 몰드,
2, 61…세그멘트,
5, 62…홀더,
6, 63…블록,
7, 65…캐비티면,
10, 73…후면,
11, 60…분할면,
13, 66…단부 유닛,
14, 67…중간 유닛,
15, 17, 68…단부 피스,
16, 18, 69…중간 피스,
20…볼트,
23…제1 심
24…제2 심,
25…제1 슬릿,
26…제2 슬릿,
27, 64…오목부,
36…제1 키,
37…제2 키,
46B…제2 평면,
51, 77…홀더 모재,
58, 86…블록 모재,
59…세그멘트 모재,
72…제3 슬릿,
74…제3 키,

Claims (9)

  1. 내면에 캐비티면이 형성된 타이어용 몰드로서,
    둘레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병렬된 복수 개의 판형의 피스를 갖는 블록과,
    상기 블록이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는 홀더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진 블록을, 오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블록의 표면에 각 피스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홈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가지며,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 홈이 결합됨으로써, 블록이 오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블록은, 복수의 소블록체인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은, 상기 블록이 그 일단의 피스로부터 타단의 피스에 도달하는 면으로 분단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은, 인접하는 유닛 사이에 제2 심이 끼인 상태로 상기 오목부 내에 끼워지며,
    상기 제2 심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유닛 사이에 제2 슬릿이 형성되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닛은,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유닛끼리의 접촉면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일측의 유닛이 오목부 내에 고정됨으로써, 타측의 유닛이 오목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는, 둘레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면과,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 내면을 가지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오목부의 측벽 내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제1 키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 홈은, 단부 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1 키가 결합하는 제1 키홈을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유닛끼리 사이에 배치된 다른 유닛이 중간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제2 키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중간 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2 키가 결합하는 제2 키홈을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피스 사이에 끼인 제1 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심에 의해,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피스 사이에 제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
  7. 복수 개의 판형의 피스 모재를 병렬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복수 개의 유닛 모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모재를, 피스 모재의 면이 동일 방향을 향한 상태로 일체화하여 블록 모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절삭 가공에 의해, 홀더 모재에 블록 모재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블록 모재의 표면에, 각 피스 모재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결합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돌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블록 모재를, 결합 홈에 결합 돌기가 결합된 상태로, 복수 개의 피스 모재의 병렬 방향이, 둘레 방향 또는 축 방향이 되도록, 홀더 모재의 오목부에 장착하여, 세그멘트 모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세그멘트 모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하여 캐비티면을 형성하는 세그멘트 형성 공정, 그리고
    상기 세그멘트를 복수개 연접하여 몰드를 형성하는 몰드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타이어용 몰드인, 타이어용 몰드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모재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인접하는 피스 모재끼리의 사이에 심을 배치함으로써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세그멘트 형성 공정에서, 그 캐비티면에 상기 슬릿을 노출시키는 것인 타이어용 몰드의 제조 방법.
  9. 예비 성형에 의해 로우 커버를 얻는 공정과,
    내면에 캐비티면이 형성된 몰드에 상기 로우 커버를 투입하는 공정과,
    상기 로우 커버가 상기 몰드 내에서 가압 및 가열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몰드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타이어용 몰드인,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0120016831A 2011-06-02 2012-02-20 타이어용 몰드 KR101812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4378A JP5658094B2 (ja) 2011-06-02 2011-06-02 タイヤ用モールド
JPJP-P-2011-124378 2011-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17A KR20120135017A (ko) 2012-12-12
KR101812814B1 true KR101812814B1 (ko) 2017-12-27

Family

ID=4723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831A KR101812814B1 (ko) 2011-06-02 2012-02-20 타이어용 몰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58094B2 (ko)
KR (1) KR101812814B1 (ko)
CN (1) CN102806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4501B2 (ja) * 2013-09-26 2016-02-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モールド
CN103934928A (zh) * 2014-04-10 2014-07-23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轮胎硫化环片模具
CN104959833A (zh) * 2015-07-20 2015-10-07 无锡蕾菲赛尔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基模材料制作装置
CN106334720B (zh) * 2016-09-12 2019-09-13 东莞市铝美铝型材有限公司 一种改善铝合金冲压型材内部组织结构的模具及制造方法
KR102355176B1 (ko) * 2020-07-13 2022-02-08 주식회사 한국프리시전웍스 타이어 가류 금형
KR102357065B1 (ko) * 2020-07-21 2022-02-08 주식회사 한국프리시전웍스 타이어 가류 금형
KR102421353B1 (ko) * 2021-01-04 2022-07-15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퍼즐 타입의 블래더 몰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771A (ja) * 2001-11-13 2005-04-07 ソシエテ ドゥ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用金型
JP2007290202A (ja) 2006-04-24 2007-11-08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成型用金型及びそれにより成型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9023231A (ja) 2007-07-20 2009-02-0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JP2009269245A (ja) * 2008-05-02 2009-11-1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モール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1798B (ko) * 1992-05-13 1994-03-21 Sedepro
FR2759626A1 (fr) * 1997-02-19 1998-08-21 Sedepro Moule pour pneus
FR2839003A1 (fr) * 2002-04-29 2003-10-31 Michelin Soc Tech Moule pour pneus
JP2004034476A (ja) * 2002-07-02 2004-02-05 Toyoda Mach Works Ltd タイヤ加硫成型用金型のセクター金型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771A (ja) * 2001-11-13 2005-04-07 ソシエテ ドゥ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用金型
JP2007290202A (ja) 2006-04-24 2007-11-08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成型用金型及びそれにより成型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9023231A (ja) 2007-07-20 2009-02-0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JP2009269245A (ja) * 2008-05-02 2009-11-1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用モー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6613A (zh) 2012-12-05
JP5658094B2 (ja) 2015-01-21
CN102806613B (zh) 2016-12-21
JP2012250423A (ja) 2012-12-20
KR20120135017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814B1 (ko) 타이어용 몰드
KR101724058B1 (ko) 타이어용 몰드
EP2113357B1 (en) Mold for tire
JP5265148B2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KR101611844B1 (ko)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CA2743327C (en) System for changing sipe blades for molding or retreading tires
EP1920861A1 (en) Mold for die casting,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e casting, and method for die casting
JPH02295706A (ja) セクショナル型タイヤ成形金型及びその製作方法
JP4690382B2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104511984A (zh) 轮胎用模具
JP2011116020A (ja) タイヤ用モールド
CA2010804C (en) Split dies for casting small segments of tire mold
DE102009044800B4 (de) Reifenvulkanisierform
WO2018100769A1 (ja) タイヤモールド及びタイヤ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116330724A (zh) 一种密封结构快速更换装置和使用方法
JP2007144997A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US20070009623A1 (en) Annular venting of tire tread molds
EP1541320B1 (de) Formwerkzeug zum Tiefziehen von Behält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5417493B2 (ja) タイヤ用モールド
JP7392444B2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JP7468222B2 (ja) モールド
JPS6140501Y2 (ko)
JPH0890603A (ja) 射出成形金型
JP2014156082A (ja) タイヤ用成形型
JP2000225452A (ja) 鋳造用金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