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753B1 - 로프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753B1
KR101811753B1 KR1020170080279A KR20170080279A KR101811753B1 KR 101811753 B1 KR101811753 B1 KR 101811753B1 KR 1020170080279 A KR1020170080279 A KR 1020170080279A KR 20170080279 A KR20170080279 A KR 20170080279A KR 101811753 B1 KR101811753 B1 KR 10181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unit
cutting
movable block
cut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이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진 filed Critical 이용진
Priority to KR102017008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메인로프에 바인딩로프가 나선형으로 바인딩된 로프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고정 커터날과, 장치 프레임상에서 고정 커터날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 커터날과, 가동 커터날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장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록과, 지지블록을 지지하며 가동블록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지지블록과 가동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블록을 상기 고정 커터날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프 커팅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로프 커팅장치{A LOP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로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물 양식 등에 사용되는 양식용 메인 로프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긴 줄을 커팅하여 제거하기 위한 로프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로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묘로프 또는 종묘사라고도 불리는 종묘줄은 미역, 다시마, 김, 매생이 등과 같은 해조류의 포자를 착생시켜 양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묘줄을 이용한 해조류 양식은 별도로 채묘한 씨줄을 로프에 끼우거나 감아서 수면 아래 일정한 깊이에 설치하여 해조류를 양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종묘줄을 이용하는 해조류 양식법은 종묘줄에 5~6m 간격으로 뜸통을 달고, 상기 뜸통과 밧줄 사이는 뜸줄로 연결하고, 뜸줄의 길이에 의해 종묘줄의 깊이를 수면 아래 원하는 깊이로 조절하여 해조류들이 종묘줄에서 착생 및 성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묘줄은 합성수지 재질로 꼬아서 형성된 베이스 로프와, 베이스 로프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포자를 지지하는 포자 로프 및 포자 로프가 베이스 로프에 밀착되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바인딩로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자 로프는 베이스로프에 비하여 가늘게 형성되고, 바인딩로프는 포자 로프보다도 더 가늘게 구성된다. 상기 바인딩로프는 베이스로프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겨서 설치됨으로써 포자 로프가 베이스로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포자 로프에 지지가 된 포자의 유실을 방지하고, 베이스로프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활착하여 자라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묘줄은 해조류의 양식기간이 경과하여 성장한 해조류를 수확하기 위해서 종묘줄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감으면서 종묘줄에 활착된 해산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해산물을 수확한 후에는, 종묘줄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포자 로프를 베이스로프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나선형으로 감진 바인딩로프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즉, 사람이 칼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바인딩로프를 잘라주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데, 특히 수산업 종사자의 고령화와 수산업 종사자의 감소로 인하여 그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93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메인 로프에 나선형으로 바인딩 된 바인딩로프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로프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로프 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프 커팅유닛은,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메인로프에 바인딩로프가 나선형으로 바인딩된 로프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고정 커터날; 상기 장치 프레임상에서 상기 고정 커터날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 커터날; 상기 가동 커터날을 지지하는 지지블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록; 상기 지지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가동블록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블록을 상기 고정 커터날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로프에 권선된 바인딩 로프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가동블록에 대한 상기 지지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 및 상기 장치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가동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가동 커터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로프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커터날과 가동 커터날은 복수가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로프의 두께에 상관없이 오랜 시간 로프의 바인딩 로프를 제거하는 작업을 할 수 있고, 커터날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프 커팅치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메인로프에 바인딩로프가 나선형으로 바인딩된 로프가 상기 로프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로프 가이드유닛;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 가이드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로프로부터 바인딩로프를 커팅하는 커팅유닛;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를 통과한 로프로부터 커팅된 바인딩로프를 분리하는 커팅로프 분리유닛;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당겨서 상기 로프 가이드유닛, 상기 커팅유닛 및 커팅로프 분리유닛을 경유하도록 하는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당겨서 이송하는 회수롤러;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로프가 커팅유닛과 커팅로프 제거유닛을 경유하여 연속 이동하도록 하면서 바인딩 로프 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일 경우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로프의 이동시 엉킴이나 걸림 등에 의해 로프가 원활하게 공급시 큰 부하가 발생 될 경우 자동으로 멈추도록 하여 장치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로프 분리유닛은, 상기 커팅유닛과 상기 회수유닛 사이의 로프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주행하면서 적어도 1회 이상 교차접촉하면서 주행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메인로프가 서로 교차이동시에 접촉압력을 크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메인 로프로부터 커팅된 바인딩로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팅로프 분리유닛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의 회전축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 가변용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커팅된 바인딩 로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프 커팅유닛 및 로프 커팅장치에 따르면, 해산물 양식용 로프와 같이, 메인 로프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늘게 바인딩된 바인딩로프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커팅된 바인딩로프를 로프와의 교차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메인로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프로부터 바인딩로프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바인딩로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양식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고령화 및 인력난에 시달리는 농어촌 지역에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양식용 로프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프 커팅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시된 로프 커팅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로프 커팅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로프 커팅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프 커팅장치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장치(100)는 메인 로프(1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바인딩 된 바인딩로프(13)로 이루어진 로프(1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바인딩로프(13)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로프 커팅장치(100)는 장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로프 가이드유닛(120), 메인로프(11)에서 바인딩로프(13)를 절단하는 로프 커팅유닛(130), 로프 커팅유닛(130)에 의해 커팅된 바인딩로프(13)를 메인로프(11)에서 분리하는 커팅로프 분리유닛(140), 바인딩로프(13)가 분리된 로프(10)를 회수하는 회수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로프 가이드유닛(120)은 장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로프(10)를 상기 커팅유닛(130)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롤러(121,122)와, 상기 가이드롤러(121,123)로 로프(10)가 진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125)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롤러(121)는 장치 프레임(110)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가이드롤러(123)는 제1가이드롤러(121)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치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스윙레버(124)에 연결되어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롤러(123)는 스윙레버(12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롤러(121)에 접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로프(1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5)는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로프(10)가 꼬이지 않은 상태로 직진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롤러(121,123) 사이로 진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로프 커팅유닛(130)은 장치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 커터날(131)과, 상기 제2커터날(13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동 커터날(132)과, 상기 가동 커터날(132)을 지지하는 지지블록(133), 장치 프레임(1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록(134), 상기 지지블록(133)이 일단에 연결되어 가동블록(134)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135), 지지블록(133)과 가동블록(134)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36), 가동블록(134)에 대한 슬라이더(135)의 상대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위치 조절부(136) 및 가동블록(134)의 위치를 장치 프레임(110) 상에서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137)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커터날(131)은 장치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블록(138)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날이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커터날(131)은 고정블록(138)에 고정 설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커터날(132)은 고정 커터날(131)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록(133)에 설치된다. 가동 커터날(132)도 복수가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블록(133)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커터날(131)과 가동 커터날(132)의 간격은 상기 로프(10)의 직경보다 작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로프(10)의 종류에 따라서 고정 커터날(131)과 가동 커터날(132)의 간격을 상기 제1위치 조절부(137)를 조작하여 조정할 수 있다. 로프(10)의 직경보다 고정 커터날(131)과 가동 커터날(132) 사이의 간격을 작게 설정하게 되면, 고정 커터날(131)과 가동 커터날(132) 사이를 통과하는 로프(10)에서 바인딩 로프(13)가 커팅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블록(133)에는 가동 커터날(132)이 지지되며, 슬라이더(135)의 일단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135)는 한 쌍이 지지블록(13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가이드봉(135a)과, 가이드봉(135a)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5b)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한 쌍의 가이드봉(135a)은 가동블록(134)을 관통하여 소정 거리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은 연결부재(135b)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이동된다.
가동블록(134)은 장치 프레임(110)의 상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135)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36)는 지지블록(133)과 가동블록(124)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블록(133)을 고정 커터날(131)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고정 커터날(131)과 가동 커터날(132) 사이로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이물질이 걸린 부분이 통과할 때에는 가동 커터날(132)이 탄성부재(136)의 가압력을 이기고 고정 커터날(131)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조절부(136)는 슬라이더(135)와 가동블록(134)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탄성부재(136)의 탄성가압력이 지지블록(133)에 작용하도록 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위치 조절부(136)는 일단은 가동블록(134)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3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재(136a)와, 일단이 연결부재(135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136a)와, 일단은 작동부재(136a)에 링크 연결되고 타단은 링크부재(136a)에 링크 연결되는 연결부(136b)를 가지는 작동레버(136b)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작동레버(136b)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시키면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이 지지블록(133)에 그대로 작용하여 가동 커터날(132)이 고정 커터날(131)과 최대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작동레버(136b)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키면 링크부재(136a)와 연결부(136b)가 일직선이 되면서 슬라이더(135)가 고정 커터날(13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된다. 이때에는 탄성부재(136)는 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고정 커터날(131)과 가동 커터날(132)의 간격이 더 이격됨으로써, 그들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위치 조절부(136)의 구성은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2위치 조절부(137)는 장치 프레임(110)의 고정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블록(134)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봉(137a)과, 상기 스크류봉(137a)의 단부에 설치되는 핸들부재(137b)를 구비한다.
상기 핸들부재(137b)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봉(137a)과 가동블록(134)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가동블록(134)을 고정 커터날(131)에서 이격되는 방향 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팅로프 분리유닛(140)은 상기 로프 커팅유닛(130)을 경유하면서 커팅된 바인딩로프(13)를 메인로프(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팅로프 분리유닛(140)은 상기 로프 커팅유닛(130)과 상기 회수유닛(150) 사이에서 로프(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되 서로 다른 높이 차로 이동되게 가이드 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41,142,143,144)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141,142,143,144)는 장치 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로프(10)는 복수의 이송롤러(141,142,143,144)를 경유하여 이동될 때 적어도 1회 교차하여 접촉되면서 이동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커팅유닛(130)을 경유하면서 커팅된 바인딩로프(13)는 로프(10)가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시의 마찰에 의해 메인로프(11)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이송롤러(141,142,143,144)를 경유하는 로프(10)가 2회 이상 교차하면서 접촉되도록 그 이송경로를 설정하게 되면, 메인로프(11)로부터 커팅된 바인딩로프(13)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이송롤러(141,142,143,144) 중에서 로프(10)의 이송경로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이송롤러(141,142,143,144)로 설정하고, 각 설정된 제1 내지 제4이송롤러(141,142,143,144) 중에서 제1 내지 제3이송롤러(141,142,143)를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설치되고, 제4이송롤러(144)를 제3이송롤러(14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닛(150)은 로프(10)를 당겨서 로프 커팅유닛(130)과 분리유닛(140)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수유닛(150)은 장치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수롤러(151)와, 회수롤러(151)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53)를 구비한다.
회수롤러(151)는 구동부(153)에 의해 회전되면서 로프(10)를 당겨서 이송시킨다. 회수롤러(151)는 풀리 형상을 가지며, 그 골이 깊게 형성되고, 로프(10)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을 가짐으로써, 로프(10)를 강하게 밀착시켜서 당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에 젖은 로프도 용이하게 당길 수 있게 된다.
구동부(153)는 장치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구동모터와 상기 회수롤러(151)로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4이송롤러(144)를 경유한 로프(10)를 회수롤러(151) 쪽으로 가이드기 위한 아이들롤러(155)가 장치 프레임(110)에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수롤러(15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감지부(160)와, 속도 감지부(160)의 감지정보에 따라 구동부(15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160)는 회수롤러(151)의 회전축(152)에 연결되는 편심부재(161)와, 상기 장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편심부재(16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3)를 구비한다. 감지센서(163)는 회전축(152)과 일체로 회전되는 편심부재(161)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70)는 감지센서(163)에서 전달된 감지신호의 신호주기를 기준으로 회전축(152)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일 경우 상기 구동부(153)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즉, 회수롤러(151)가 기준속도 이하로 회전하게 되면, 로프(10)가 정상적으로 회수되어 이동되지 못하고 특정 구간에서 큰 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부(153)를 중지시킴으로써, 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구동부(153)에 큰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부(153)가 자동으로 중지되면 로프(10)의 이송 상태를 확인하여 로프(10)가 걸려 있는지, 꼬여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장치(100)에 따르면, 회수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로프(10)가 당겨져서 이동하게 된다. 로프(10)가 이동하면서 로프 커팅유닛(130)에서 로프(10)의 바인딩로프(13)가 커터날(131,132)에 의해 커팅된다. 이때, 커터날(131,132)은 로프(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진입된 상태에서 로프(10)가 이동하게 되면, 바인딩로프(13)는 커터날(131,132)에 의해 커팅된다. 물론, 메인로프(11)의 외표면의 일부분도 커팅될 수 있으나, 메인로프(11)는 복수의 로프가 길이 방향으로 바인딩 되어 형성된 구성이고, 로프를 이루는 실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되는 형태이므로, 메인로프(11)의 전체적인 손상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로프 커팅유닛(130)을 통과하면서 바인딩로프(13)가 커팅된 로프(10)는 분리유닛(140)을 통과하면서 메인로프(11)로부터 분리된다. 즉, 로프(10)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이송롤러(141,142,143,144)를 경유하면서 복수 지점에서 교차하여 접촉되면서 주행하게 되므로, 교차 주행하는 지점에서의 마찰에 의해 메인 로프(11)에 남아 있는 커팅된 바인딩로프(13)가 마찰에 의해 메인로프(11)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수유닛(150)에서는 회수롤러(151)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서 로프(10)를 당겨서 회수함으로써, 바인딩로프(13)가 로프 커팅유닛(130)을 통과하고 분리유닛(140)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수롤러(151)의 회전속도가 기준속도범위 이하일 경우 제어부(170)에서는 구동부(153)의 구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로프(10)의 걸림 현상 등으로 인한 과부하에 의해 장치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장치(100)에 따르면, 해산물 양식용 로프와 같이, 메인로프(11)에 가늘게 바인딩된 바인딩로프(13)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작업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인건비 절감은 물론,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해산물 양식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일손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커팅장치(100')는 커팅로프 분리유닛(140)에서 높이 가변용 지지롤러(145)를 더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높이 가변용 지지롤러(145)는 장치 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이송롤러(141,14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141,142)의 회전축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로프(10)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차지점에서 로프(10)의 접촉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커팅된 바인딩로프(13)를 메인 로프(11)로부터 더욱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로프 11..메인 로프
13..바인딩 로프 100,100'..로프 커팅장치
110..장치 프레임 120..로프 가이드유닛
130..커팅유닛 140..커팅로프 분리유닛
150..회수유닛 160..감지부
170..제어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메인로프에 바인딩로프가 나선형으로 바인딩된 로프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고정 커터날, 상기 장치 프레임상에서 상기 고정 커터날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 커터날, 상기 가동 커터날을 지지하는 지지블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록, 상기 지지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가동블록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블록을 상기 고정 커터날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유닛;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로프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로프 커팅유닛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로프 가이드유닛;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를 통과한 로프로부터 커팅된 바인딩로프를 분리하는 커팅로프 분리유닛;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당겨서 상기 로프 가이드유닛, 상기 커팅유닛 및 커팅로프 분리유닛을 경유하도록 하는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당겨서 이송하는 회수롤러;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일 경우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로프 분리유닛은,
    상기 커팅유닛과 상기 회수유닛 사이의 로프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주행하면서 적어도 1회 이상 교차접촉하면서 주행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로프 분리유닛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의 회전축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도록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 가변용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가동블록에 대한 상기 지지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 및
    상기 장치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가동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터날과 가동 커터날은 복수가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커팅장치.
KR1020170080279A 2017-06-26 2017-06-26 로프 커팅장치 KR10181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279A KR101811753B1 (ko) 2017-06-26 2017-06-26 로프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279A KR101811753B1 (ko) 2017-06-26 2017-06-26 로프 커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30A Division KR101858671B1 (ko) 2017-10-13 2017-10-13 로프 커팅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753B1 true KR101811753B1 (ko) 2018-01-25

Family

ID=6109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279A KR101811753B1 (ko) 2017-06-26 2017-06-26 로프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7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8474B2 (ja) 2004-10-12 2010-04-28 株式会社カンサイ製餡 ワイヤ式切断装置
KR101636039B1 (ko) 2014-06-18 2016-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튜브 커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8474B2 (ja) 2004-10-12 2010-04-28 株式会社カンサイ製餡 ワイヤ式切断装置
KR101636039B1 (ko) 2014-06-18 2016-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튜브 커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9801B2 (en) Biomass bale processing system with automatic binding remover
AU2003264710B2 (en) Leaf stripper, more particularly designed for selective vine leaf stripping
DE60305523T2 (de) Apparat zum portionieren von nahrungsmitteln
CN203171711U (zh) 一种全自动放吸管设备
KR102057969B1 (ko)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CN105746669A (zh) 鱼产品的鱼头和内脏清理机
KR101858671B1 (ko) 로프 커팅유닛
CN208739518U (zh) 双层带式自脱膜收集装置及双层带自脱膜地膜回收机
KR101811753B1 (ko) 로프 커팅장치
US20110194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Wrap from Cotton Modules
TW202214123A (zh) 菇柄進料切割方法
CN114521367B (zh) 一种基于种子带的耕种装置及其耕种控制方法
CN209050846U (zh) 一种自动裁纸机
CN207612660U (zh) 玉米秸秆分类收获一体机
CN208338336U (zh) 一种新型的手持式草莓采摘分拣一体机
DE102007046395A1 (de) Ablage-Abtransportvorrichtung für Lebensmittel-Schnittgut und Lebensmittel-Schneidemaschine
CN213889200U (zh) 可调式卷材分切装置
AU722944B2 (en) Device for decapitation of fish
JP2011004617A (ja) 根菜収穫機
JP5467235B2 (ja) 農産物の収穫機
JP6762839B2 (ja) 茎葉処理機
CN209882574U (zh) 麻叶夹持转运机构及麻叶采收机
CN110395562A (zh) 棉、麻秆自动喂给机的拉直平整装置及其应用方法
CN204849278U (zh) 全自动收卷式多功能切被机
CN215714200U (zh) 一种医用无纺布裁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