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03B1 - 소각 변기 - Google Patents

소각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03B1
KR101811503B1 KR1020157006124A KR20157006124A KR101811503B1 KR 101811503 B1 KR101811503 B1 KR 101811503B1 KR 1020157006124 A KR1020157006124 A KR 1020157006124A KR 20157006124 A KR20157006124 A KR 20157006124A KR 101811503 B1 KR101811503 B1 KR 10181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mbustion chamber
casing
hatch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357A (ko
Inventor
오드 아른 아슬락센
Original Assignee
시리우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리우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시리우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4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3Incinerator clo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특별히 이동식 주택 및 캠핑카들에 적합한 소각 변기가 설명된다. 변기는 파우치 보울(3)을 갖는 변기 의자를 포함한다. 파우치 보울(3)에는 배설물 파우치가 배치될 수 있다. 파우치 보울 아래에는, 연소 챔버(4) 위에 해치 메커니즘이 있다. 해치 메커니즘은 파우치 보울의 배면 부분에 스프링이 장착된 플랩(21)뿐만 아니라 연소 챔버(4)의 상부 부분에 있는 개구부에 인접한 해치(11)를 포함한다. 해치(11)는 체류 전송(14)을 통해 모터에 연결된다. 모터는 해치(11)를 리프팅하고 플랩(21)의 뒷쪽으로 위로 선회하게 배치되어 플랩이 릴리즈되고 파우치가 연소 챔버(4) 내로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소각 변기{INCINERATION TOILET}
본 발명은 소각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특별히 이동식 주택, 캠핑카, 및 보트와 같이 제한된 공간을 갖는 조건에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변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한 배설물의 소각을 기반으로 한 다수의 변기들이 있다.
연소 챔버 내의 고온에 의하여, 이러한 변기들은 외부에 대한 단열을 위하여 종종 큰 외부 케이싱을 갖는다. 또한, 변기들은 보안상의 이유와 비우기 위한 양호한 접근성 및 유지보수를 제공하기 위해 연소 챔버 주위에 복잡한 메커니즘들을 종종 포함한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공간을 요구하며, 장애에 노출된다. 이는 특히 쉽게 끼는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된 시스템들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더 작은 기능적 공간이 요구되는 동시에 기존의 변기들과 동일한 사용자 품질을 제공하는 소각 변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변기는 안전해야하며,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변기들보다 적은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변기 받침대 및 외부 변기 케이싱을 포함하는 소각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변기 받침대 내에 배설물 파우치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와 파우치 보울(bowl)이 배치된다. 파우치 보울은 해치 메커니즘을 통해 연소 챔버와 연통한다. 변기는 연소 챔버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 및 연소 챔버로부터 배기 가스를 끌어내기 위한 배기 팬을 더 포함한다. 해치 메커니즘은 파우치 보울의 일부를 형성하며 스프링이 장착된 힌지에 매달려 있는 플랩(flap), 및 연소 챔버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해치를 포함하며, 해치는 모터에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플랩은 플랩 위로 그리고 플랩 뒤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이로 인해 플랩이 릴리즈될 수 있어 배설물 파우치가 연소 챔버 내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소각 변기의 변기 케이싱은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라이딩 레일을 통해 변기 받침대로부터 위로 그리고 멀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변기의 배설물 처리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소각 변기가 사용된 일정 시간 후에, 회분 형태로 있는 연소된 배설물은 연소 챔버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일종의 애쉬 트레이(ash tray)로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변기에는 문, 뚜껑 또는 이와 같은 것들이 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연소 챔버 또는 애쉬 트레이로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한다. 회분이 변기로부터 제거될 때, 문은 열려있고, 애쉬 트레이는 빼내어 비워지고 변기에 다시 위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 뚜껑 등은 변기 케이싱의 약화를 제공한다. 변기 케이싱은 사용자의 무게를 견뎌야 하므로 이러한 약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케이싱은 보다 크고 단단하다.
본 발명의 변기는 제한된 공간, 예를 들면 이동식 주택, 캠핑카, 및 보트 등과 같은 상황들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변기 케이싱과 적어도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변기 케이싱의 크기를 감소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통하여서, 본 발명에 따르는 변기의 완전한 변기 케이싱은 연소 챔버 및 애쉬 트레이와 같은 변기의 내부 부분들에 접근을 제공하도록 시프팅 가능하고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변기의 변기 케이싱은 변기의 중심부로부터 위로 그리고 멀리 리프팅되고 기울어짐으로써 케이싱 아래에 있는 연소 챔버 또는 애쉬 트레이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변기 케이싱에 약화된 절단부 또는 개구부들이 없으므로 더 작은 및/또는 더 슬림한 디자인을 얻을 수 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무게를 견디는데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소각 변기의 변기 케이싱은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들에 매달려 있으며, 슬라이딩 레일들은 변기 받침대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레일들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록킹 수단이 구비된다. 변기 케이싱의 이동이 슬라이딩 레일들에 의해 수행되므로, 케이싱의 이동이 내부 부분들 또는 변기에 충돌되지 않도록 보장된다는 점에서 변기의 부분들 상에 손상이 방지되도록 케이싱의 이동이 용이하게 제어된다. 슬라이딩 레일들은 큰 노력 없이 적절한 리프팅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힘의 한계가 있는 사용자도 케이싱을 다룰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슬라이딩 레일의 상부 록킹 수단은 레일에 구비되는 요철들이다. 하부 록킹 수단은 슬라이딩 레일의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레일에 있는 요철에 의해 볼트가 록킹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로 케이싱의 하부 배면 코너 각각에 볼트가 배치되는 경우가 유리하며, 이로 인해 변기 케이싱은 개방되고 기울어진 위치로 남겨진다.
하부 위치에서 변기 케이싱은 외부 케이싱에 연결되고 슬라이딩 레일의 하부 실질적으로 수직인 영역에 부분적으로 위치된 볼트에 의해 위치에 록킹된다. 이로 인해, 케이싱의 무게가 리프팅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레일 영역이 케이싱이 전방 및 후방으로 시프팅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여 케이싱의 이동이 방지된다. 케이싱이 변기 프레임을 둘러 다소 단단하게 끼워지므로, 다른 옆으로 시프팅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슬라이딩 레일의 상부 영역에 있는 요철들은, 구비되기에 경제적이면서 사용자에 의해 볼트를 용이하게 록킹 및 릴리즈되도록 하는 용이한 록킹 수단을 제공한다.
소각 변기는 변기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제 1 단부에서 그리고 변기 케이싱의 상부 및 내부 영역에 제 2 단부에서 연결되고, 변기의 배면에 인접한 지지 스트랩을 포함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케이싱이 리프팅되고 연소 챔버로부터 위로 그리고 멀리 기울어지면, 케이싱이 통제불능한 방식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지지 스트랩은 변기 케이싱의 상부 부분을 유지한다. 스트랩은 제 1 및 2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릴리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변기의 내부에 완전한 접근이 필요할 때 변기 케이싱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한 경우가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연소 챔버의 개구부를 덮는 해치는 샤프트 주위로 회전가능한 포크(지지 부재)에 매달려 있으며, 포크는 링크 트랜스미션(link trasmission)을 통해 모터에 결합된다. 해치의 이동은 보조 레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연소 챔버의 개구부를 덮는 해치는 배설물 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러한 부품들이 웨지(wedge)되지 않는 것은 큰 장점이다. 이는 슬라딩 레일에 의존하지 않는 선회 또는 회전 이동을 제시하면서,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해결책이 제시되며, 부품들이 웨지되는 경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소각 변기는 연소 챔버와 배기 팬 사이에 배치되는 촉매제를 포함하며, 변기의 열원은 연소 챔버에 있는 배설물을 향해 연소 가스의 메인 부분(main portion) 보내도록 배치되는 가스 버너를 포함하며, 보충 부분(supplemental portion)은 촉매제를 향한다.
통상적으로 촉매제는 기능하기 위해 약 350℃ 정도와 같은 특정 온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며, 약 450℃ 정도의 온도 이상에서 최적으로 기능한다. 연소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모든 배기 가스들이 처리되도록 허용하는 충분한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보충 부분은 촉매제를 가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소각 변기는 변기가 배치되는 화장실의 외부로부터 변기 케이싱 내부로 이어지는 공기 공급 채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배기 팬은 연소 챔버 및 케이싱의 내부 모두로부터 공기를 빼내도록 설계된다. 공기 공급 채널은 변기가 배치되는 화장실 밖에 있는 공간, 예를 들면 이동식 주택, 자동차, 또는 보트의 밖으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킨다. 공기 공급 채널의 유입구는 이동식 주택 또는 자동차의 바닥에 변기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의 의도는 더 한정된 공간에 따라 한정된 공기량을 갖는 이동식 주택, 보트 등의 실내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되지 않은 신선한 공기에 대한 액세스가 있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연소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유입구를 벽에 배열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연소 챔버는 연소 챔버의 하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애쉬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애쉬 트레이, 또는 연소 챔버와 애쉬 트레이는 기울어져 있다. 애쉬 트레이, 또는 애쉬 트레이와 연소 챔버는 애쉬 트레이의 저면이 변기의 배면을 향하여 돌려져 있도록 유리하게 기울어진다. 소각 변기가 빈번하게 사용될 경우에, 이전의 배설물이 완전히 연소되기 전에 배설물의 일부가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배설물이 경사진 연소 챔버로 배출되면, 이는 파우치 보울로부터 아래쪽으로 멀리 슬라이딩 또는 이동하여, 이전의 배설물이 회분으로 소각되기 전에 변기가 사용될 경우에 새로운 사용자의 배설물을 위한 공간이 더 남는다.
이에, 본 발명은 또한 변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소각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변기는 외부 변기 케이싱, 변기 받침대 내에 배치된 배설물 파우치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 및 파우치 보울을 더 포함하며, 파우치 보울은 해치 메커니즘을 통해 연소 챔버와 연통하며, 변기는 연소 챔버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 연소 챔버로부터 배기 가스를 빼내기 위한 배기 팬을 더 포함하며, 해치 메커니즘은 파우치 보울의 일부를 형성하며 스프링이 장착된 힌지에 매달려 있는 플랩, 및 연소 챔버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해치를 포함하며, 해치는 모터에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플랩은 플랩 위로 그리고 플랩 뒤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이로 인해 플랩이 릴리즈될 수 있어 배설물 파우치가 연소 챔버 내로 떨어질 수 있으며, 연소 챔버는 연소 챔버의 하부 저면 또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애쉬 트레이(23)를 포함하며, 상기 애쉬 트레이, 또는 연소 챔버와 애쉬 트레이는 기울어져 있다.
연소 챔버의 배출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이 멀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 배설물이 배출 영역 밑에서 "쌓일(piling up)" 가능성이 작으며, 변기의 용량으로 절충하지 않으면서 더 많은 양의 배설물을 처리하거나 연소 챔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연소 챔버가 기울어진 경우, 바닥 상에 있는 챔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더 작아져서 변기의 변기 케이싱이 더 슬림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제한된 공간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바람직하다.
상술된 소각 변기의 변기 케이싱은 슬라이딩 레일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리하게 연결될 수 있고, 슬라이딩 레일에 의하여 변기 받침대로부터 위로 그리고 멀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다. 변기 케이싱은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들에 매달려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레일들은 변기 받침대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레일들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록킹 수단이 구비된다. 각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로 케이싱의 하부 배면 코너 각각에 볼트가 유리하게 배치되며, 볼트들은 레일에 있는 요철에 의해 록킹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변기 케이싱은 개방되고 기울어진 위치로 남겨진다. 변기에 지지 스트랩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며, 스트랩은 제 1 단부에서 변기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그리고 제 2 단부에서 변기 케이싱의 상부 및 내부 영역에 연결되고, 변기의 배면에 인접하다. 스트랩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릴리즈 가능하게 변기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변기의 볼트 및 슬라이딩 레일 시스템은 변기의 내부 부분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동시에 절단부 또는 구멍들 없이 케이싱을 완전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것은 케이싱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종래 기술의 소각 변기들과 적어도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술된 변기에서, 해치는 샤프트 주위로 회전가능한 포크에 매달려질 수 있으며, 포크는 링크 트랜스미션을 통해 모터에 결합될 수 있다. 변기는 해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보조 레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해치 어셈블리의 구조체는 신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상술된 변기는 연소 챔버와 배기 팬 사이에 배치되는 촉매제를 더 포함하며, 열원은 연소 챔버에 있는 배설물을 향해 연소 가스의 메인 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는 가스 버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충 부분은 촉매제를 향한다. 보충 부분은 연소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모든 배기 가스들의 양호한 처리를 보장하도록 촉매제의 효율적인 가열을 보장한다.
변기는 케이싱 내부로 이어지는 공기 공급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배기 팬은 연소 챔버 및 케이싱 내부 모두로부터 공기를 빼내도록 설계되어 완전한 연소와 변기 주위에 바람직하지 않은 냄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도록 보장한다. 공기 공급 채널은 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밖에 있는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유리하게 유입하여, 제한된 실내 공기의 바람직하지 않은 사용이 없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될 것이며, 변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며,
도 1은 본 발명의 변기가 화장실에 마운팅되고 변기 내부 부분들이 끊어진 선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2는 폐쇄 메커니즘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변기의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해치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대응되는 도면이며,
도 4는 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해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변기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대응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배면에서 바라본 대응되는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은 상승된 변기 케이싱을 갖는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1은 화장실, 예를 들면 이동식 주택에 설치된 변기를 나타낸다. 변기는 시트 링 및 덮개(2)를 갖는 의자를 포함한다. 이들 아래에 파우치 보울(3) 및 상기 보울 아래에 연소 챔버(4)가 있다. 파우치 보울(3)과 연소 챔버 사이에는 해치 메커니즘이 있다. 사용시에, 파우치 보울 내에 배설물 파우치가 (수동으로) 배치될 것이 기대된다. 파우치가 내용물을 수용하게 되면, 해치 메커니즘이 열려서 파우치가 연소 챔버로 떨어진 다음에 다시 폐쇄되도록 작동된다. 후속적으로, 배설물을 갖는 파우치의 연소를 위한 (전기 열원 또는 디젤 버너와 같은 다른 적절한 열원으로 대체 가능한) 가스 버너(5)가 작동된다. 가스 버너(5)에는 연소 공기를 위한 팬이 구비된다. 이와 동시에 배기 팬이 작동되기 시작하여 촉매제(7)를 통해 연소 챔버(4)로부터 배기 가스들이 빨려 나간다.
변기는 변기가 세워진 방에서와 동일한 공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폐쇄된 위치에서 변기는 이동식 주택/별장 등의 밖에서부터 전용 공기 덕트를 통해 연소 및 냉각을 위한 공기를 유입시킨다. 즉, 변기는 연소를 위해 실내 공기를 소모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공기를 소모시키는 다른 것들, 예를 들면: 화장실에 있는 팬, 난로, 환기 팬 등과 충돌이 생기지 않는다.
이 모델에서, 공기는 바닥에 있는 개구부(8)를 통해 수집된다. 이후에 이는 변기 케이싱(25)의 베이스/받침대 내로 안내되며, 이때 케이싱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서서히 가열된다. 그 다음에 가스 버너(5)의 팬이 필요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가스 버너를 통해 보내면서 공기는 분산될 것이다. 나머지 공기는 배기 팬(6) 내로 유입될 것이며, 여기서 이는 (연소 챔버(4))를 통해) 촉매제(7)로부터의 가스들과 섞이며 지붕을 넘는 파이프(9)를 통해 내보내진다.
변기의 각 구성요소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파우치 보울(3)은 균일하게 경사진 벽들과 배면에서 보울(3)을 폐쇄하는 플랩(21)을 갖는다. 이러한 위치에서, 보울 + 플랩은 이의 내부에 놓여지는 파우치에 대해 적응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랩 아래에는 단열된 해치(11)가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소 챔버와 파우치 보울 사이에는 이중 보호장치가 있다. 플랩(21)은 스프링이 장착된 힌지(22)에 매달려 있는 동안, 해치는 전기 모터(13)에 의해 작동된다.
해치 메커니즘, 또는 배설물을 갖는 파우치를 파우치 보울(3)로부터 연소 챔버(4)로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연소 챔버의 개구부 위에 장착된 상승된 측면들을 갖는 유출 트레이(10)를 포함한다. 유출 트레이(10)는 단열된 해치(11)를 위한 실링 평면 역할을 하며, 상승된 측면들은 가능한 유출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의 배면에는, 관통하는 샤프트(12)가 장착된다. 오른쪽 프레임 상에 있는 전기 기어 모터(13)는 샤프트(12)를 체류 또는 로드 전송(14, 15)을 통해 구동한다. 모터는 변기의 마더 보드(mother board)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된다. 센서(16, 17)은 해치(11)의 위치를 등록한다.
포크(19)가 샤프트(12)에 결합된다. 이는 해치(11) 상에 있는 러그(lug)들과 연통한다. 샤프트(12)가 회전되면, 이 포크(19)는 해치를 위로 그리고 뒤로 리프팅할 것이다. 보조 레버(20)가 해치를 제어하여 샤프트 위에 수직인 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해치(11)가 위로 회전되는 동시에, 파우치 보울(3)의 플랩(21)이 개방될 것이다. 플랩은 스프링이 장착된 힌지(22) 주위로 회전한다. 해치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 플랩의 곡률에 의해 플랩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 다음에야, 플랩은 개방될 것이며, 이로서 갑작스러운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는 파우치의 효율적인 배출에 기여한다.
다른 소각 변기들과 달리, 이러한 변기의 배설물 처리부들은 기울어진, 회전 또는 선회하는 부분들만을 포함하며 레일 전송이 없다. 치밀하며 적합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연소 덮개가 뒤로 회전되기 전에 바로 위로 리프팅된다. 연소 덮개가 개방되면, 파우치 보울의 플랩은 작동될 것이며, 배출은 플랩의 갑작스러운 이동에 의해 향상된다. 개구부와 연소 덮개는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정방형의 모양이다.
연소 챔버(4)는 챔버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경사진 애쉬 트레이(23)를 포함한다. 애쉬 트레이가 경사짐으로써 다음이 얻어진다:
● 내용물을 갖는 파우치의 배출 중에, 이는 "떨어지는 영역(drop zone)"으로부터 뒤로 그리고 멀리 굴러갈 것이다. 이에 따라, 다음 화장실 방문의 파우치를 위한 공간이 더 있을 것이다.
● 애쉬 트레이가 받침대 내에 하강되면서, 하강 높이의 감소, 이에 따라 바닥에 가능한 만큼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촉매제 시스템: 이동식 주택 시장의 경우, 혼잡함에 의하여 냄새에 대해 신경쓰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촉매제는 약 350℃를 넘어 활성화되기 시작하며, 이상적인 온도는 450℃ 이상이다. 촉매제의 바람직한 온도를 최대한 빨리 얻기 위해서, 버너로부터 "보충 부분"이 배치되며, 이는 촉매제가 일찍 시작하게 한다. 보충 부분은 촉매제를 바로 가리켜 향하는 여분 부분으로서, 연소 챔버 내부 아래로 가리키는 부분에 더한 것이다. 이러한 것과 흡입 팬과 조합되면 연소 챔버 내에 음압을 보장하여 최적화된 무취의 연소를 위한 조건들을 만들어준다.
변기는 강철로된 배면 및 저면 부분을 포함하는 외부 자켓과, 덮개(2) 및 시트 링이 구비된 플라스틱 케이싱(25)을 갖는다. 플라스틱 케이싱(25)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7 참조. 변기의 하부 부분에 있는 애쉬 트레이를 접근하기 위해, 케이싱 전체가 슬라이딩 또는 리딩 레일(leading rails)(26)들과 같은 안내 레일을 따라 리프팅되고, 개방된 위치에서 록킹된다. 안내 레일은 변기의 강철 프레임 상에 장착되 두 개의 경사진 리딩 레일(26)들을 포함한다. 케이싱(25)의 각 측 상에, 변기의 배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하부 코너들에서, 이러한 레일들에 끼워지는 볼트가 장착된다. 레일들은 상단부에 근접한 요철들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이에 볼트들이 개방 위치에서 록킹을 위해 떨어진다. 유사하게, 하단부에 레일들 상에 수직인 부분이 있다. 이는 케이싱을 폐쇄되는 위치로 록킹한다. 케이싱을 개방하기 위해서, 이는 위로 그리고 앞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기 전에 먼저 약 10mm 정도 바로 위로 리프팅되어야 한다. 상부 위치에 볼트들이 록킹된 경우에, 즉 회분을 비우거나 다른 유지 보수 중에 변기 프레임과 케이싱에 연결되는 지지 스트랩(27)이 케이싱이 외측으로 회전하거나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부터 방지한다.
유지 보수를 위해 변기의 상부 부분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면, 상부 지지 스트랩이 느슨하게 되도록 하거나, 릴리즈된다. 케이싱이 안내 레일의 상단부에 록킹되면, 용이한 접근을 위해 그때에서야 아래로 하강되고 전진될 수 있다. 더 양호한 접근이 요구되면, 안내 레일들의 단부에서 록킹 핀들이 제거되고 케이싱이 완전히 리프팅되어 방치된다.
상술된 내용에서는 특별히 이동식 주택 및 캠핑카들에 적합한 소각 변기가 설명된다. 변기는 파우치 보울(3)을 갖는 변기 의자를 포함한다. 파우치 보울(3)에는 배설물 파우치가 배치될 수 있다. 파우치 보울 아래에는, 연소 챔버(4) 위에 해치 메커니즘이 있다. 해치 메커니즘은 파우치 보울의 배면 부분에 스프링이 장착된 플랩(21)뿐만 아니라 연소 챔버(4)의 상부 부분에 있는 개구부에 인접한 해치(11)를 포함한다. 해치(11)는 링크 트랜스미션(14, 15)을 통해 모터(13)에 연결된다. 모터는 해치(11)를 리프팅하고 플랩(21)의 뒷쪽으로 위로 선회하게 배치되어 플랩이 릴리즈되고 파우치가 연소 챔버(4) 내로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2)

  1. 변기 받침대와 변기 케이싱(25), 상기 변기 받침대에 배치되는 배설물 파우치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와 파우치 보울(3)을 포함하는 소각 변기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보울은 해치 메커니즘을 통해 연소 챔버(4)와 연통하며, 상기 변기는 상기 연소 챔버(4)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 및 상기 연소 챔버(4)로부터 배기 가스들을 빼내기 위한 배기 팬(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치 메커니즘은 파우치 보울(3)의 일부를 형성하며 스프링이 장착된 힌지(22)에 매달려 있는 플랩(21), 및 연소 챔버(4)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해치(11)를 포함하며, 해치(11)는 모터(13)에 연결되며 모터(13)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해치는 상기 플랩(21) 위로 그리고 상기 플랩(21) 뒤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이로 인해 플랩(21)이 릴리즈될 수 있어 배설물 파우치가 연소 챔버(4) 내로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기 케이싱(25)은 슬라이딩 레일 힌지(26)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라이딩 레일 힌지(26)들을 통해 상기 변기 케이싱(25) 전체가 상기 변기 받침대로부터 위로 그리고 멀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변기의 배설물 처리부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소각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케이싱(25)은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힌지(26)들에 매달려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 힌지들은 상기 변기 받침대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힌지들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록킹 수단이 구비되는,
    소각 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록킹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 힌지들에 구비되는 요철인,
    소각 변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록킹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 힌지의 수직으로 배치된 영역인,
    소각 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부 배면 코너 각각에 배치된 볼트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 힌지(26)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 힌지에 있는 요철에 의해 록킹 가능하며, 이로 인해 상기 변기 케이싱(25)은 개방되고 기울어진 위치로 남겨지는,
    소각 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워크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고, 제 2 단부에서 변기 케이싱(25)의 상부 및 내부 영역에 연결되는 지지 스트랩(27)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스트랩(27)은 변기의 배면에 인접한,
    소각 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샤프트(12) 주위로 회전가능한 지지 부재(19)에 매달려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19)는 링크 트랜스미션(link trasmission)(14, 15)을 통해 상기 모터(13)에 결합되는,
    소각 변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11)의 이동을 제어하는 보조 레버(20)를 더 포함하는,
    소각 변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챔버(4)와 상기 배기 팬(6) 사이에 배치되는 촉매제(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원은 상기 연소 챔버(4)에 있는 배설물을 향해 연소 가스의 메인 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는 가스 버너(5)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촉매제(7)를 향하는 보충 부분을 더 포함하는,
    소각 변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5) 내부로 이어지는 공기 공급 채널(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팬은 상기 연소 챔버(4)로부터 그리고 상기 케이싱(25)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빼내도록 설계되는,
    소각 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채널은 상기 변기가 배치되는 화장실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소각 변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챔버(4)는 연소 챔버(4)의 하부 베이스를 형성하는 애쉬 트레이(23)를 포함하며, 상기 애쉬 트레이(23), 또는 연소 챔버와 애쉬 트레이는 기울어져 있는,
    소각 변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7006124A 2012-09-06 2013-09-06 소각 변기 KR101811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21008 2012-09-06
NO20121008A NO336686B1 (no) 2012-09-06 2012-09-06 Forbrenningstoalett
PCT/NO2013/050155 WO2014038957A1 (en) 2012-09-06 2013-09-06 Incineration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357A KR20150040357A (ko) 2015-04-14
KR101811503B1 true KR101811503B1 (ko) 2018-01-25

Family

ID=4937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124A KR101811503B1 (ko) 2012-09-06 2013-09-06 소각 변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376111B2 (ko)
EP (2) EP2892409B1 (ko)
KR (1) KR101811503B1 (ko)
CN (2) CN108045326A (ko)
AU (2) AU2013313715B2 (ko)
CA (2) CA2883194C (ko)
DK (2) DK3001938T3 (ko)
ES (2) ES2768899T3 (ko)
HK (2) HK1206954A1 (ko)
NO (1) NO336686B1 (ko)
PL (2) PL2892409T3 (ko)
PT (2) PT3001938T (ko)
RU (1) RU2602356C1 (ko)
SI (2) SI3001938T1 (ko)
WO (1) WO2014038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4433B1 (en) * 2018-04-16 2019-12-09 Cinderella Tech As Incinerating toilet with a lifting device
CN109497877A (zh) * 2018-12-18 2019-03-22 张洁莹 一种生活用免水冲粪便收集制肥料的环保型马桶
CN110236440B (zh) * 2019-07-08 2021-10-08 北京金茂绿建科技有限公司 焚烧式马桶
CN110318450B (zh) * 2019-07-29 2024-05-24 姚燕 马桶及控制方法
CN110301853A (zh) * 2019-08-12 2019-10-08 云变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焚烧马桶
US11959635B2 (en) 2020-04-10 2024-04-16 Stefan Johansson Compact waste combustion system
NO346614B1 (en) * 2021-02-22 2022-10-31 Cinderella Tech As Safety device for incineration toilet
NO347325B1 (en) * 2021-05-03 2023-09-18 Cinderella Tech As Incineration toilet
NO347413B1 (en) 2022-01-21 2023-10-23 Cinderella Tech As Incineration toilet with safety system
CN115429144B (zh) * 2022-10-09 2023-06-13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老人的助力装置及其坐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9668A1 (en) * 2006-05-12 2010-09-02 Liftseat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WO2011132449A1 (ja) * 2010-04-21 2011-10-27 株式会社ディラック 電気焼却式便器及び電気焼却式便器の焼却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397A (en) * 1876-08-22 Improvement in earth-closets
US1017675A (en) * 1910-09-22 1912-02-20 James H King Sanitary closet.
US1050435A (en) * 1911-07-17 1913-01-14 Charles F Merriman Cabinet-closet.
US1052315A (en) * 1912-09-12 1913-02-04 Anthony Chikanceff Stove-closet and incinerator.
US1298658A (en) * 1917-08-13 1919-04-01 Leonard Button Sanitary dry closet.
US2658201A (en) * 1950-02-02 1953-11-10 Sherwood Yorke Fixture casing
US2749968A (en) * 1953-05-19 1956-06-12 George E Suser Overall cover for water closets and flush bowls
US2858778A (en) * 1956-12-20 1958-11-04 White Motor Co Dry toilet with incinerator passage closure
US3020559A (en) * 1959-01-05 1962-02-13 Res Products Mfg Company Incinerator toilet
US3068812A (en) * 1959-05-07 1962-12-18 Wesley C L Heme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inerating combustible wastes
US3092049A (en) * 1960-06-30 1963-06-04 Ken Lab Inc Individual disposal unit
US3139626A (en) * 1961-07-27 1964-07-07 Blankenship Ernest Bayne Incinerator toilet
US3133291A (en) * 1962-11-29 1964-05-19 George B Anderson Combustion toilet
US3230913A (en) * 1962-12-10 1966-01-25 Harry M Tonkin Incinerator and disposal unit for human waste
US3827378A (en) * 1970-03-17 1974-08-06 Polar Wave Co Disposal of waste by incineration
US3890653A (en) * 1970-11-06 1975-06-24 Res Products Incinolet Corp Incinerator toilet having a vertically movable incinerator chamber lid
SE380252B (sv) * 1974-02-19 1975-11-03 Gustavsbergs Fabriker Ab Anordning vid sadana toiletter som arbetar under biologisk nedbrytning av de menskliga exkrementerna
US4051561A (en) * 1975-10-31 1977-10-04 Lake Geneva A & C Corporation Store and burn incinerating toilet and method
US4161793A (en) * 1975-11-03 1979-07-24 Mercedes Merchan Combination bathroom stool and toilet
CH617340A5 (en) * 1977-03-17 1980-05-30 Geberit Ag Incinerator toilet
AU6871281A (en) * 1980-04-14 1981-10-22 Nelken, E. Electrical combustion pully
IE812955L (en) * 1981-12-16 1983-06-16 Jack Daniel Rooke Closets
JPH0642553Y2 (ja) * 1991-09-21 1994-11-09 納 山内 焼却装置付き便器
JPH0595394A (ja) * 1991-10-01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用車載ホルダー
US5337422A (en) * 1992-09-14 1994-08-16 Research Products/Blankenship Corporation Incinerator toilet with apparatus for controlling lid and split bowl
JPH06218358A (ja) * 1993-01-28 1994-08-09 Japanic:Kk 屎尿乾燥装置
US5581824A (en) * 1996-03-20 1996-12-10 Crook, Sr.; Oliver K. Toilet bowl safety cover
SE507418C2 (sv) * 1996-07-12 1998-05-25 Sirius Technology As Eltoalett med sfäriskt förbränningsrum
US6108827A (en) * 1999-04-22 2000-08-29 Espadas; Octavio Toilet bowl cover
CN2552460Y (zh) * 2002-06-06 2003-05-28 蔡亦文 环保型电力焚化便器
SE528821C2 (sv) * 2005-01-31 2007-02-20 Sirius Technology As Förbränningstoalet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9668A1 (en) * 2006-05-12 2010-09-02 Liftseat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WO2011132449A1 (ja) * 2010-04-21 2011-10-27 株式会社ディラック 電気焼却式便器及び電気焼却式便器の焼却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32901A1 (en) 2018-10-04
PT3001938T (pt) 2020-01-28
EP2892409B1 (en) 2020-04-29
WO2014038957A1 (en) 2014-03-13
NO20121008A1 (no) 2014-03-07
CN104768438A (zh) 2015-07-08
AU2013313715B2 (en) 2018-10-18
CA3074157A1 (en) 2014-03-13
HK1206954A1 (en) 2016-01-22
NO336686B1 (no) 2015-10-19
HK1255602A1 (zh) 2019-08-23
RU2602356C1 (ru) 2016-11-20
CN108045326A (zh) 2018-05-18
CA2883194C (en) 2020-12-15
EP3001938A1 (en) 2016-04-06
PL2892409T3 (pl) 2020-09-21
ES2805353T3 (es) 2021-02-11
PL3001938T3 (pl) 2020-05-18
DK3001938T3 (da) 2020-02-03
SI2892409T1 (sl) 2020-09-30
DK2892409T3 (da) 2020-07-20
US20150208883A1 (en) 2015-07-30
ES2768899T3 (es) 2020-06-24
AU2013313715A1 (en) 2015-02-26
CA2883194A1 (en) 2014-03-13
SI3001938T1 (sl) 2020-03-31
EP3001938B1 (en) 2019-12-04
EP2892409A1 (en) 2015-07-15
CA3074157C (en) 2022-09-13
KR20150040357A (ko) 2015-04-14
PT2892409T (pt) 2020-07-16
AU2018232901B2 (en) 2020-06-18
US10376111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03B1 (ko) 소각 변기
WO2005047771A1 (en) Mobile solid waste gasification unit
KR200486809Y1 (ko) 돼지수송차량
KR100447290B1 (ko) 전기식 변기
US2739547A (en) Incinerator
JP3138311U (ja) 無汚染廃棄物焼却炉
CN105757723A (zh) 一种电力系统用野外炊具
KR101743040B1 (ko) 해양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폐기물 처리방법
KR102424633B1 (ko) 주방기구 슬라이딩 구조로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v형 서브 프레임 구조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급식 차량
US20070256218A1 (en) Toilet
CN205655334U (zh) 一种电力系统用野外炊具
JP3229455U (ja) ペット用火葬炉
JP3830146B2 (ja) 焼却炉及びその誤作動防止装置
JPH04176417A (ja) 移動式トイレ
CA2259992C (en) Electric toilet
CA2587164A1 (en) Toilet
JP2005077033A (ja) ごみ等の投入装置
KR20000020161A (ko) 연소식 자기완결형 화장실
JPH09126432A (ja) 焼却炉
JPH06288527A (ja) 廃棄物焼却処理装置
JPH06288525A (ja) 廃棄物焼却処理装置
SK552015U1 (sk) Toaleta s elektrickým spaľovacím zariadení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