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187B1 -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 - Google Patents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187B1
KR101811187B1 KR1020177017648A KR20177017648A KR101811187B1 KR 101811187 B1 KR101811187 B1 KR 101811187B1 KR 1020177017648 A KR1020177017648 A KR 1020177017648A KR 20177017648 A KR20177017648 A KR 20177017648A KR 101811187 B1 KR101811187 B1 KR 10181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group
acrylic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야 하라다
신지 아다치
유타카 기타지마
Original Assignee
하리마카세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마카세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마카세이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7Disper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8Treatment with low-molecular-weight non-polyme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09D1/0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7/1216
    • C09D7/123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금속 미립자 분산액은 금속 미립자와, 분산매와, 금속 미립자 분산제를 함유한다. 금속 미립자 분산제는, (A)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적어도 1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와, (B)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함유한다.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하기 (b1)∼(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b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CH2=C(R1)CO[O(CH2)5CO]nOH (1)
(식(1)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2)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R2O[CO(CH2)5O]nH (2)
(식(2)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3)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CmH2mO)nH (3)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m은 2∼4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FINE METAL PARTICLE DISPERSED LIQUID AND CURED FILM}
본 발명은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금속 미립자 분산제에 의해 금속 미립자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그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코팅제에는, 그 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시켜 얻어지는 경화막에, 예를 들면, 기계 물성, 내약품성, 고굴절률, 대전 방지성, 자외선·적외선 차단성, 내찰상성 등의 각종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나, 나아가서는 안료 등으로서, 여러 가지의 금속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코팅제에 있어서는, 배합되는 금속 미립자나 용제, 바인더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금속 미립자가 응집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금속 미립자를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코팅제에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를 67몰% 함유)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조제하고, 얻어진 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SiOx(x: 1<x<2)의 초미립자 에탄올 분산액과, 톨루엔을 혼합하여, 초미립자를 포함하는 도포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실시예 1) 참조).
또한, 예를 들면, ZnO 초미립자 톨루엔 분산액과,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를 67몰% 함유)과, 아로닉스 M-5300(ω-카복시카프로락톤 모노아크릴레이트)을 혼합하여, 고굴절률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실시예 6) 참조).
일본 특허공개 평08-244178호 공보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도포용 수지 조성물의 경화막에는, 기재와의 밀착성이 요구되고 있고, 특히, 습열 환경하에서도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습열밀착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포용 수지 조성물로서는, 더한층의 분산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그의 경화막에는, 용도에 따라서 우수한 경도 및 투명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화막의 내습열밀착성, 경도 및 투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그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은, 금속 미립자와, 분산매와, 금속 미립자 분산제를 함유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으로서, 상기 금속 미립자 분산제는, (A)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적어도 1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와, (B)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하기 (b1)∼(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있다.
(b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CH2=C(R1)CO[O(CH2)5CO]nOH (1)
(식(1)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2)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R2O[CO(CH2)5O]nH (2)
(식(2)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3)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CmH2mO)nH (3)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m은 2∼4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본 발명 [2]는,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1)로 표시되고 n이 1∼3인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을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 [3]은,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2)로 표시되고 n이 2∼5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 [4]는,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3)으로 표시되고 m이 2∼3이고 n이 2∼5인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 [5]는, 바인더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가 (메트)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 [6]은,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경화물인 경화막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금속 미립자 분산액은 금속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습열밀착성, 경도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경화막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경화막은 내습열밀착성, 경도 및 투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금속 미립자 분산액은 금속 미립자와, 분산매와, 금속 미립자 분산제를 함유하고 있다.
금속 미립자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 타이타늄(타이타니아), 산화 아연, 산화 지르코늄(지르코니아), 산화 주석, 산화 이트륨(이트리아), 산화 비스무트, 산화 안티모니, 산화 세륨, 산화 인듐, 산화 규소(이산화 규소, 실리카 등) 등의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나, 예를 들면, 그들 금속 산화물에, 예를 들면, 갈륨, 안티모니, 주석, 불소, 인, 알루미늄 등의 이종(異種) 원소를 도핑하여 얻어지는 이종 원소 도핑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 산화물의 결정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방정계, 정방정계, 사방정계, 단사정계, 삼사정계, 육방정계, 삼방정계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금속 미립자로서, 바람직하게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이산화 규소를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미립자는,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금속 미립자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괴상, 구상, 중공상, 다공질상, 봉상, 판상, 섬유상, 부정형상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미립자의 입경은 금속 미립자 자체의 일차 입자경으로서 측정되고, 예를 들면, 2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9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이며, 통상 1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nm 이상이다.
금속 미립자의 일차 입자경이 상기 범위이면, 금속 미립자의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보존 안정성이나 경화막(후술)의 투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용제, 수계 용제, 반응성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세인, 미네랄 스피릿 등의 석유계 탄화수소 용제,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다이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제, 예를 들면,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γ-뷰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계 용제, 예를 들면,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피리딘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수계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물,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뷰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터 등의 글리콜 에터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1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분자 중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후술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제에 있어서의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제외한다),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후술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제에 있어서의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제외한다)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미리스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틸-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비톨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벤조에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피클로로하이드린(ECH) 변성 페녹시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m-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p-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파라큐밀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β-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바이닐피롤리돈, 바이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폴린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분자 중에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1분자 중에 3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1분자 중에 4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1분자 중에 5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1분자 중에 6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4-뷰테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네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아디페이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다이메탄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탄일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비스페놀 A 에틸렌 옥사이드(EO) 부가 다이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다이사이클로펜텐일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인산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화 사이클로헥실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다이바이닐벤젠, 뷰테인다이올-1,4-다이바이닐 에터, 사이클로헥세인 다이메탄올 다이바이닐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바이닐 에터,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바이닐 에터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바이닐 에터, 헥세인다이올 다이바이닐 에터,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바이닐 에터, 페닐 글리시딜 에터 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레테인 프리폴리머(교에이샤화학제의 상품명 「AH-600」), 페닐 글리시딜 에터 아크릴레이트 톨루엔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레테인 프리폴리머(교에이샤화학제의 상품명 「AT-600」)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3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또는 그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아이소사이아누르산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의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4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5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6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레테인 프리폴리머(교에이샤화학제의 상품명 「UA-306H」), 카프로락톤 변성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분산매는 시판품으로서도 입수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석유계 탄화수소 용제로서, 예를 들면, AF 솔벤트 4∼7호(이상, 신니혼석유사제)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로서, 예를 들면, 잉크 솔벤트 0호, 엑손화학사제의 솔베소 100, 150, 200(이상, 신니혼석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매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분산매로서, 기재에 대한 밀착성, 경도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 수계 용제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를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을 들 수 있다.
또한, 분산매로서, 성막 시의 생산성 향상, 기재에 대한 대미지 억제, 고정세 형상에 대한 대응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용제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m-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p-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β-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다이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렌 옥사이드 변성체,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금속 미립자 분산제는 분산매 중에 있어서의 금속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이고,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와,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한편, (메트)아크릴 화합물이란, 아크릴 화합물 및/또는 메타크릴 화합물로 정의된다.
또한, 「(메트)아크릴」도 상기와 동일하게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로 정의되고, 「(메트)아크릴로일」도 「아크릴로일」 및/또는 「메타크릴로일」로 정의되며, 「(메트)아크릴레이트」도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정의된다.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는, 구체적으로는, (A)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적어도 1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하,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의 산 무수물 변성체이다.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예를 들면,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린(하이드록실기수 3),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하이드록실기수 3),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하이드록실기수 3), 다이글리세린(하이드록실기수 4),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하이드록실기수 4), 펜타에리트리톨(하이드록실기수 4), 다이펜타에리트리톨(하이드록실기수 6),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하이드록실기수 8) 등의 공지의 다작용 알코올)에, 그 폴리올의 하이드록실기수에 대해서 등몰 미만의 (메트)아크릴산이 부가된 애덕트체(부가물)이다.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글리세린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글리세린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알킬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등) 부가물(랜덤 부가물, 블록 부가물을 포함한다),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후술하는 하이드록실기 비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적절한 비율로 병용할 수도 있다.
산 무수물로서는, 다이카복실산 일무수물, 트라이카복실산 일무수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카복실산 일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옥살산, 무수 석신산,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2-알킬(C12∼C18) 석신산,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하이믹산 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트라이카복실산 일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트라이멜리트산, 사이클로헥세인-1,2,4-트라이카복실산-1,2-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피로멜리트산, 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5-(2,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릴)-3-메틸-3-사이클로헥센-1,2-다이카복실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 무수물은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산 무수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이카복실산 일무수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석신산, 무수 프탈산, 무수 피로멜리트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산 무수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이카복실산 일무수물을 들 수 있고, 경화막(후술)의 경도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석신산, 무수 프탈산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산 무수물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용제 중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킨다.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산 무수물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면,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산 무수물의 무수 카복실산기의 당량비(무수 카복실산기/하이드록실기)가, 예를 들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7 이상이고, 예를 들면,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1 이하이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유기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유기 용제), 상기한 수계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수계 용제), 상기한 반응성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반응성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 및 산 무수물에 대해서 불활성인 용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카복시기 및 수산기를 갖지 않는 용제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톤계 용제,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에서는, 필요에 따라, 촉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유기 금속 화합물, 금속 할로젠화물,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알칼리 금속의 알콕사이드(알칼리 금속 알콕사이드)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면, 트라이에틸알루미늄 등의 알킬알루미늄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면, 타이타늄산 테트라뷰틸 등의 알콕시타이타늄 화합물, 2-에틸헥산산 주석, 옥틸산 주석, 다이뷰틸주석 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주석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할로젠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주석(구체적으로는, 이염화 주석: SnCl2) 등의 주석 할로젠화물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N-다이메틸벤질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 트라이에틸렌다이아민, 벤질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라이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라이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N-다이메틸벤질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에틸아민을 들 수 있다.
촉매의 배합 비율은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산 무수물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5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이 반응에서는, 필요에 따라, 중합 금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p-메톡시페놀,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터, 카테콜, tert-뷰틸카테콜, 2,6-다이-tert-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4-tert-뷰틸-1,2-다이하이드록시벤젠,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뷰틸카테콜) 등의 페놀 화합물, 예를 들면, 페노싸이아진, 다이페닐페닐렌다이아민, 다이나프틸페닐렌다이아민, p-아미노다이페닐아민, N-알킬-N'-페닐렌다이아민 등의 방향족 아민류, 예를 들면,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아세톡시-1-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벤조일옥시-1-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알콕시-1-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의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N-옥실 유도체, N-나이트로소다이페닐아민, 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밤산의 구리염, p-벤조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금지제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p-메톡시페놀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배합 비율은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산 무수물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으로서는, 산소 분위기하, 또는 불활성 가스-산소 가스 혼합 기체 분위기하에서, 가열 온도가, 예를 들면,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또한, 가열 시간이,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이에 의해, 하이드록실기 함유-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산 무수물에 의해 변성시킬 수 있어,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가 얻어진다.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 변성물,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 변성물,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석신산 변성물,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의 석신산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산가는, 예를 들면, 20mgKOH/g 이상, 바람직하게는 73mgKOH/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mgKOH/g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0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mgKOH/g 이하이다.
또한,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수산기가는, 예를 들면, 0mgKOH/g을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1mgKOH/g 이상이며, 예를 들면, 350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230mgKOH/g 이하이다.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배합 비율은 금속 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이다.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하기 (b1)∼(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다.
(b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CH2=C(R1)CO[O(CH2)5CO]nOH (1)
(식(1)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2)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R2O[CO(CH2)5O]nH (2)
(식(2)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3)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CmH2mO)nH (3)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m은 2∼4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이하에 있어서, 상기 (b1)∼(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각각에 대해 상술한다.
(b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이다.
CH2=C(R1)CO[O(CH2)5CO]nOH (1)
(식(1)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및/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1)에 있어서, n은 (메트)아크릴산 1몰에 대한 카프로락톤의 평균 부가 몰수로,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은 (메트)아크릴산에 ε-카프로락톤을 부가 반응(개환 부가)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이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ε-카프로락톤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과 ε-카프로락톤을 반응(개환 부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62-135521, 일본 특허공개 소60-67446 등에 기재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과 ε-카프로락톤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촉매 및 용제의 존재하에서, 가열 및 교반한다.
(메트)아크릴산과 ε-카프로락톤의 배합 비율은 목적물(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자량, 즉, (메트)아크릴산에 대한 ε-카프로락톤의 평균 부가 몰수 n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1몰에 대해서 ε-카프로락톤이, 예를 들면,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몰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이다.
또한,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해서 ε-카프로락톤이, 예를 들면, 50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0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으로서는, 불활성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산소 가스 혼합 기체 분위기하에서, 반응 온도가, 예를 들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고, 예를 들면, 2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또한, 반응 시간은,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6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알루미늄, 염화 제이주석 등의 루이스산, 예를 들면, 황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설폰산형 이온 교환 수지 등의 브뢴스테드산 등의 산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 반응액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황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을 들 수 있다.
촉매의 배합 비율은 (메트)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하이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용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은 무용제로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반응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중합 금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p-메톡시페놀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배합 비율은 (메트)아크릴산과 ε-카프로락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과 카프로락톤이 개환된 ω-하이드록시카프로산의 에스터화 반응(중축합 반응)에 의해서도 얻어진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로닉스 M-5300(ω-카복시카프로락톤 모노아크릴레이트, 도아합성제) 등을 들 수 있다.
(b1) 상기 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가는, 예를 들면, 45mgKOH/g 이상, 바람직하게는 135mgKOH/g 이상이고, 예를 들면, 310mgKOH/g 이하이다.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이다.
CH2=C(R1)COOR2O[CO(CH2)5O]nH (2)
(식(2)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상기 식(2)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및/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2)에 있어서, R2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2)에 있어서, n은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몰에 대한 카프로락톤의 평균 부가 몰수로,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우선,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을 반응(개환 부가)시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을 얻는다. 그 후,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킨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탄소수가 2∼4인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인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ε-카프로락톤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을 반응(개환 부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0-7774 등에 기재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의 촉매 및 상기의 용제의 존재하에서, 가열 및 교반한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의 배합 비율은 목적물(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자량, 즉,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ε-카프로락톤의 평균 부가 몰수 n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몰에 대해서 ε-카프로락톤이, 예를 들면,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몰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또한,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해서 ε-카프로락톤이, 예를 들면, 90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90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으로서는, 산소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산소 가스 혼합 기체 분위기하, 반응 온도가, 예를 들면,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또한, 반응 시간은,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한편, 반응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중합 금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p-메톡시페놀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배합 비율은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하이다.
한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락셀 FA-1, 플락셀 FA-2, 플락셀 FA-2D, 플락셀 FA-3, 플락셀 FA-4, 플락셀 FA-5, 플락셀 FA-10L, 플락셀 FM-1, 플락셀 FM-2, 플락셀 FM-2D, 플락셀 FM-3, 플락셀 FM-4, 플락셀 FM-5(모두 다이셀화학사제)(플락셀(PLACCEL)은 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은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즉, (b2)로 표시되는 화합물)를 얻을 수 있다.
산 무수물로서는, 상기한 산 무수물((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산 무수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카복실산 일무수물을 들 수 있고, 경화막(후술)의 경도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석신산, 무수 프탈산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무수 석신산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산 무수물의 반응에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산 무수물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용제, 촉매 등의 존재하에서, 가열한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유기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유기 용제), 상기한 수계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수계 용제), 상기한 반응성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반응성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및 산 무수물에 대해서 불활성인 용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카복시기 및 수산기를 갖지 않는 용제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톤계 용제,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을 들 수 있다.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촉매((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촉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촉매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N-다이메틸벤질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에틸아민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산 무수물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중의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산 무수물 중의 무수 카복실산기의 당량비(무수 카복실산기/하이드록실기)가, 예를 들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7 이상이고, 예를 들면,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1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으로서는, 산소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산소 가스 혼합 기체 분위기하에서, 가열 온도가, 예를 들면,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또한, 가열 시간이,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이에 의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즉, (b2)로 표시되는 화합물)가 얻어진다.
(b2)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산가는, 예를 들면, 40mgKOH/g 이상, 바람직하게는 60mgKOH/g 이상이고, 예를 들면, 280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mgKOH/g 이하이다.
(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이다.
CH2=C(R1)COO(CmH2mO)nH (3)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m은 2∼4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상기 식(3)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및/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3)에 있어서, m은 2 이상이고, 4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즉,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CmH2mO)을 갖고 있다.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으로서는, 옥시에틸렌(-CH2CH2O-), 옥시트라이메틸렌(-CH2CH2CH2O-), 옥시테트라메틸렌(-CH2CH2CH2CH2O-) 등의 직쇄상 옥시알킬렌, 예를 들면, 옥시프로필렌(-CH2CH(CH3)O-), 옥시뷰틸렌(-CH2CH(CH2CH3)O-, -CH(CH3)CH(CH3)O-) 등의 분기상 옥시알킬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옥시알킬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3)에 있어서, n은 (메트)아크릴산 1몰에 대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로,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우선, (메트)아크릴산과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개환 부가)시켜,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얻는다. 그 후,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킨다.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이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알킬렌 옥사이드로서는, 탄소수 2∼4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라이메틸렌 옥사이드(옥세테인), 뷰틸렌 옥사이드 등의 탄소수 2∼4의 환상 에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렌 옥사이드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한편, 알킬렌 옥사이드가 2종류 이상 병용되는 경우, 그의 부가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랜덤 부가, 블록 부가 등이어도 된다.
알킬렌 옥사이드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과 알킬렌 옥사이드를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의 촉매 및 상기의 용제의 존재하에서, 가열 및 교반한다.
(메트)아크릴산과 알킬렌 옥사이드의 배합 비율은 목적물(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자량, 즉, (메트)아크릴산에 대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n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1몰에 대해서 알킬렌 옥사이드가, 예를 들면,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몰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또한,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100질량부에 대해서 알킬렌 옥사이드가, 예를 들면, 50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으로서는, 불활성 가스-산소 가스 혼합 기체 분위기하에서, 반응 온도가, 예를 들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고, 예를 들면, 2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또한, 반응 시간은,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이에 의해,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이 얻어진다.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트라이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뷰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말단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모노)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트라이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뷰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말단 모노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말단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한편,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렘머 PE 시리즈, 블렘머 AE 시리즈, 블렘머 PP 시리즈, 블렘머 AP 시리즈, 블렘머 PEP 시리즈, 블렘머 AEP 시리즈, 블렘머 PET 시리즈, 블렘머 AET 시리즈, 블렘머 PPT 시리즈, 블렘머 APT 시리즈(모두, 니혼유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산 무수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즉, (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를 얻을 수 있다.
산 무수물로서는, 상기한 산 무수물((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산 무수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카복실산 일무수물을 들 수 있고, 경화물(후술)의 경도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석신산, 무수 프탈산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무수 석신산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산 무수물의 반응에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산 무수물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용제, 촉매 등의 존재하에서, 가열한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유기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유기 용제), 상기한 수계 용제(분산매로서 상기한 수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산 무수물에 대해서 불활성인 용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카복시기 및 수산기를 갖지 않는 용제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톤계 용제,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을 들 수 있다.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촉매((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촉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촉매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N-다이메틸벤질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에틸아민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산 무수물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중의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산 무수물 중의 무수 카복실산기의 당량비(무수 카복실산기/하이드록실기)가, 예를 들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7 이상이고, 예를 들면,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1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으로서는, 산소 분위기하, 또는 불활성 가스-산소 가스 혼합 기체 분위기하에서, 가열 온도가, 예를 들면,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또한, 가열 시간이, 예를 들면, 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이에 의해,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즉, (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가 얻어진다.
(b3)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산가는, 예를 들면, 55mgKOH/g 이상, 바람직하게는 95mgKOH/g 이상이고, 예를 들면, 400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mgKOH/g 이하이다.
이들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로서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분산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b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1)로 표시되고 n이 1∼3인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을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로서는, 경화막(후술)의 경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2)로 표시되고 n이 2∼5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로서는, 경화막(후술)의 투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3)으로 표시되고 m이 2∼3이고 n이 2∼5인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금속 미립자 분산제에 있어서,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와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그들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가, 예를 들면, 5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95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B)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예를 들면, 5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95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부 이하이다.
그리고, 상기의 금속 미립자와, 상기의 분산매와, 상기의 금속 미립자 분산제를 일괄 또는 순차 배합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해, 금속 미립자 분산액이 얻어진다.
금속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은 금속 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해서 금속 미립자 분산제가, 예를 들면, 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 100질량부에 대해서 금속 미립자가, 예를 들면, 0.5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하이다.
한편, 분산매의 배합 비율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면, 금속 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50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은 바인더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바이닐 뷰티랄 수지, 폴리바이닐 알코올 수지, 아세트산 바이닐 수지, 유레테인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바인더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 밀착성(상온)의 향상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틸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베헨일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아콘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3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알킬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 성분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의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방향환 함유 모노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페녹시 다이에틸렌 글리콜, o-페닐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이 방향환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함유 비율은 모노머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면, 9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이다.
한편, 모노머 성분이 방향환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메트)아크릴 수지로서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수지가 얻어진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틸-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이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 비율은 모노머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
한편, 모노머 성분이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메트)아크릴 수지로서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수지가 얻어진다.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 음이온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카복실기, 인산기, 설폰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예를 들면, 애시드 포스포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애시드 포스포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예를 들면,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등의 설폰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이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 비율은 모노머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면, 3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한편, 모노머 성분이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메트)아크릴 수지로서 음이온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수지가 얻어진다.
또, 그 밖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틸-2-아이소사이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아이소사이아네이토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예를 들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터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 예를 들면, 아세트산 바이닐, 프로피온산 바이닐 등의 바이닐 에스터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그 밖의 모노머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그 밖의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양방을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이 방향환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으면(즉, (메트)아크릴 수지가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수지이면), 경화막(후술)의 내습열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 성분이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으면(즉, (메트)아크릴 수지가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수지이면), 후술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할 수 있어, 경화막(후술)의 내습열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화막(후술)의 내습열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모노머의 함유 비율은 모노머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5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성분이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 성분이 상기 그 밖의 모노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제외한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 비율은 모노머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면, 9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이다.
또한, (메트)아크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공지의 용매 중에서 상기의 모노머 성분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고, 공지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예를 들면, 아조계 화합물,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등)의 존재하에서 가열하여, 중합시킨다.
중합 조건은 모노머 성분의 처방이나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중합 온도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또한, 중합 시간은, 예를 들면, 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4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하이다.
이에 의해, (메트)아크릴 수지가 얻어진다.
(메트)아크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GPC 측정: 폴리스타이렌 환산)은, 예를 들면, 2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이하이다.
또한, (메트)아크릴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원료인 모노머 성분이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하이드록실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할 수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틸-2-아이소사이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아이소사이아네이토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는 2-아이소사이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공지의 촉매 및 용제의 존재하에서, 가열한다.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하이드록실기 1몰에 대해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가, 예를 들면, 0.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0.8몰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2몰 이하이다.
또한, 반응 조건은, 예를 들면, 공기 분위기하, 반응 온도가, 예를 들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또한, 반응 시간은,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시간 이상이고, 예를 들면, 20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한편, 반응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중합 금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p-메톡시페놀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배합 비율은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하이다.
이에 의해,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하이드록실기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가 유레테인 반응한다.
그 결과,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가 결합되어, 측쇄 말단에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도입된다.
한편,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노머 성분이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메트)아크릴 수지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다. 그 때문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유레테인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모노머 성분이 음이온성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면,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등)를 함유하는 경우, (메트)아크릴 수지는 음이온성기(예를 들면, 카복실기 등)를 갖는다. 그 때문에, 음이온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글리시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에스터화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모노머 성분이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메트)아크릴 수지는 글리시딜기를 갖는다. 그 때문에, 글리시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와 음이온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를 에스터화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할 수도 있다.
바인더로서 배합되는 (메트)아크릴 수지가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고 있으면, 경화막(후술)의 내습열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당량은, 예를 들면, 40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이고, 예를 들면, 3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이다.
한편, (메트)아크릴기 당량은 2중 결합 1mol당 폴리머 질량(2중 결합 당량)이라고 정의한다.
금속 미립자 분산액이 바인더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함유 비율은 금속 미립자 분산액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은, 필요에 따라서, 중합 개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1-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뷰탄온-1,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4-메틸벤조페논, 벤조페논,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온일)-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의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 사용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 비율은 금속 미립자 분산제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7질량부 이하이다.
한편, 상기의 바인더 및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 미립자, 용제 및 금속 미립자 분산제의 혼합 시에 동시에 배합해도 되고, 또한 금속 미립자, 용제 및 금속 미립자 분산제와는 별도로 바인더 및 중합 개시제를 일괄 또는 순차 배합해도 된다.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조제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금속 미립자, 용제 및 금속 미립자 분산제(추가로,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바인더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할 때에, 예를 들면, 페인트 셰이커, 롤 밀, 볼 밀, 아트라이터, 샌드 밀, 비드 밀, 초음파 분산기 등의 공지의 분산기를 이용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코팅제(후술)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화막(후술)의 투명성 등의 향상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볼 밀, 비드 밀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드 밀을 들 수 있다.
분산기로서 비드 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르코니아 비드, 유리 비드 등의 공지의 분산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다.
분산 미디어의 비드 지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μm 이상이고, 예를 들면, 5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이다. 한편, 분산 미디어의 충전율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분산기로서 비드 밀이나 볼 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분산 미디어에 의해 금속 미립자를 분쇄하여, 그의 평균 입자경을 상기의 범위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분산기에는, 평균 입자경이 상기의 범위보다도 큰 금속 미립자를 투입할 수 있다.
더욱이, 금속 미립자 분산액에는, 예를 들면, 안료, 건조제, 방청제, 가소제, 도막 표면 조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나아가서는, 상기한 금속 미립자 분산제를 제외한 분산제(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첨가제의 배합 비율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분산매가 유기 용제 및/또는 수계 용제를 함유하는 경우,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불휘발분은, 예를 들면, 0.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면, 7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
또한, 분산매가 반응성 용제를 함유하는 경우, 금속 미립자 분산액으로부터 유기 용제 및/또는 수계 용제를 공지의 방법으로 증류 제거할 수 있어, 분산매로서 반응성 용제만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반응성 용제가 불휘발 성분인 경우,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불휘발분은 100질량%여도 된다.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 중에 있어서, 금속 미립자의 입경은, 금속 미립자가 일차 입자나 이차 입자로서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평균 입경(평균 입자경)으로서 측정되고, 예를 들면, 2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이며, 통상 1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nm 이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금속 미립자 분산액은 상기의 금속 미립자 분산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금속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습열밀착성, 경도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경화막을 얻을 수 있다.
경화막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코팅제로서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기재에 도포 및 건조시킨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에스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수지, ABS 수지, AS 수지, 노보넨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이나, 예를 들면, 금속, 목재, 종이, 유리, 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롤 코터, 바 코터, 닥터 블레이드, 메이어 바, 에어 나이프 등, 도포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를 이용한 도포나, 스크린 인쇄, 옵셋 인쇄, 플렉소 인쇄, 솔칠, 스프레이 도공, 그라비어 도공, 리버스 그라비어 도공과 같은 공지의 도포 방법이 채용된다.
건조 조건으로서는, 건조 온도가, 예를 들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예를 들면, 180℃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이며, 건조 시간이, 예를 들면, 1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분 이상이고, 예를 들면, 6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분 이하이다.
또한, 건조 후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50n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nm 이상이고, 예를 들면, 1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7μm 이하이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제논 램프, 고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갖는 자외선 조사 장치가 이용된다. 자외선 조사량, 자외선 조사 장치의 광량, 광원의 배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금속 미립자 분산액이 도포된 기재를 광도 80∼1000mW/cm2 정도의 1등에 대해서 반송 속도 5∼50m/분으로 반송한다. 자외선의 조사량은, 예를 들면, 100∼10000mJ/cm2이다. 또한, 전자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이 도포된 기재를, 예를 들면, 10∼300kV의 가속 전압을 갖는 전자선 가속 장치에서 반송 속도 5∼50m/분으로 반송한다.
이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금속 미립자 분산제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가 가교되어, 삼차원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이 반응성 용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반응성 용제가 가교제로서 작용한다. 즉,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반응성 용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 가교된다.
이에 의해,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경화물로서 경화막이 얻어진다.
그리고, 얻어지는 경화막은 상기의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이용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내습열밀착성, 경도 및 투명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경화막은,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렌즈, 광학 디바이스 등의 광학 부품, 예를 들면, 파인 세라믹, 예를 들면, 도전성 필름, 광학 필름 등의 기능성 피막 등으로서, 각종 산업 제품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이용되는 배합 비율(함유 비율), 물성값, 파라미터 등의 구체적 수치는, 상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 기재되어 있는, 그들에 대응하는 배합 비율(함유 비율), 물성값, 파라미터 등 해당 기재의 상한치(「이하」, 「미만」으로서 정의되어 있는 수치) 또는 하한치(「이상」, 「초과」로서 정의되어 있는 수치)로 대체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 분산제>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및 혼합 기체 도입관이 구비된 1L 플라스크에,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용제) 327.2부,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혼합물(도아합성사제 아로닉스 M403,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함유율 50∼60%) 300부, 트라이에틸아민(촉매) 0.33부, 및 p-메톡시페놀(중합 금지제) 0.16부를 투입하고, 80℃까지 가열 교반했다.
이어서, 무수 석신산 27.2부를 첨가하고, 질소-산소 혼합 기체(산소 농도 7%)를 도입하여, 80℃에서 8시간 유지했다. 그 후, 냉각하여, 고형분 50%, 산가 23mgKOH/g의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을 얻었다.
합성예 2∼3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고형분 50%)을 얻었다.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1
한편, 표 중의 약호의 상세를 아래에 기재한다.
아로닉스 M403: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도아합성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함유율 50∼60%
(b2)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합성예 4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및 혼합 기체 도입관이 구비된 500mL 플라스크에,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용제) 143.5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다이셀제 플락셀 FA-1, 카프로락톤 평균 부가 몰수: 1몰) 100부, 트라이에틸아민(촉매) 0.14부, 및 p-메톡시페놀(중합 금지제) 0.07부를 투입하고, 80℃까지 가열 교반했다.
이어서, 무수 석신산 43.5부를 첨가하고, 질소-산소 혼합 기체(산소 농도 7%)를 도입하여, 80℃에서 8시간 유지했다. 그 후, 냉각하여, 고형분 50%, 산가 85mgKOH/g의 (b2)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을 얻었다.
합성예 5∼6
표 2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b2)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고형분 50%)을 얻었다.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2
한편, 표 중의 약호의 상세를 아래에 기재한다.
플락셀 FA-1: 상품명, 다이셀제,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카프로락톤 평균 부가 몰수: 1몰
플락셀 FA-2D: 상품명, 다이셀제,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카프로락톤 평균 부가 몰수: 2몰
플락셀 FA-10L: 상품명, 다이셀제,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카프로락톤 평균 부가 몰수: 10몰
(b3)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합성예 7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및 혼합 기체 도입관이 구비된 500mL 플라스크에,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용제) 186.2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화학공업제) 100부, 트라이에틸아민(촉매) 0.19부, 및 p-메톡시페놀(중합 금지제) 0.09부를 투입하고, 80℃까지 가열 교반했다.
이어서, 무수 석신산 86.2부를 첨가하고, 질소-산소 혼합 기체(산소 농도 7%)를 도입하여, 80℃에서 8시간 유지했다. 그 후, 냉각하여, 고형분 50%, 산가 64mgKOH/g의 (b3) (메트)아크릴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을 얻었다.
합성예 8∼9
표 3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b3) (메트)아크릴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고형분 50%)을 얻었다.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3
한편, 표 중의 약호의 상세를 아래에 기재한다.
블렘머 AE-200: 상품명, 니혼유지제, 아크릴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렌 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4.5몰
블렘머 AP-400: 상품명, 니혼유지제, 아크릴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렌 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6몰
<바인더>
합성예 10
교반기, 콘덴서,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100부를 넣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100℃까지 승온했다.
한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부, n-뷰틸 아크릴레이트 10부,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부,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70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의 아조비스-2-메틸뷰티로나이트릴 5부를 혼합하여, 모노머 혼합액을 조제했다.
그리고,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이 들어 있는 플라스크에, 모노머 혼합액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이어서 3시간 숙성 반응시켰다.
이에 의해,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얻었다.
그 후, 반응 온도를 80℃로 설정하고, 분위기 조건을 질소 분위기로부터 공기 분위기로 전환하고, 2-아이소사이아네이토에틸 아크릴레이트(카렌즈 AOI, 쇼와덴코제) 5부, 및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5부, 중합 금지제로서의 p-메톡시페놀을 0.1부 가하고, 4시간 반응시켰다.
이에 의해, 고형분 50%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용액을 얻었다. (메트)아크릴 수지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당량은 약 3000이었다.
합성예 11
표 4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용액(고형분 50%)을 얻었다.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4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
실시예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A)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의 용액(고형분 50%)이 16.8부가 되고, (b1)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로서의 아로닉스 M-5300(도아합성화학공업제, 고형분 100%)이 1.4부가 되고, 금속 미립자로서의 지르코니아(다이이치키겐소주식회사제 UEP-100 산화 지르코늄, 평균 일차 입자경 15nm)가 28부가 되고, 분산매로서의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이 53.8부가 되고, 중합 개시제로서의 IRGACURE 184(BASF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가 0.49부가 되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기재로서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레이제 UH-13, 두께 125μm)에 대해서, 바 코터로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자외선 조사 장치(닛폰덴치사제 장치명 CSOT-40)의 고압 수은등에 의해 300mJ/cm2 및 240mW/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기재 및 경화막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15 및 비교예 1∼5
표 5∼8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금속 미립자 분산액과, 기재 및 경화막의 적층체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 등에서 얻어지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8에 아울러 나타낸다.
(1)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분산성
금속 미립자 분산액을 23℃에서 정치하고, 금속 미립자의 분산성에 대해 육안에 의해 확인했다. 평가의 기준을 아래에 기재한다.
A: 3개월 후에도 침강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B: 3개월 후에는 조금의 침강물이 확인되었다.
C: 1주일 후에 침강물이 확인되었다.
D: 1일 후에 침강물이 확인되었다.
(2) 경도
경화막의 표면을 스틸 울 #0000으로 폭 40mm 이상이 되도록, 이하에 기재된 하중으로 10왕복 마모시켰다. 그 후, 기재(PET 필름)의 이면에 흑테이프를 붙이고, 삼파장 형광등 아래에서 흠집의 유무를 확인했다. 평가의 기준을 아래에 기재한다.
A++: 200g/cm2 하중으로 흠집이 확인되지 않았다.
A+ : 100g/cm2 하중으로 흠집이 확인되지 않고 200g/cm2 하중으로 흠집이 확인되었다.
A : 100g/cm2 하중으로 흠집이 1∼5개 확인되었다.
B : 100g/cm2 하중으로 흠집이 6∼10개 확인되었다.
C : 100g/cm2 하중으로 흠집이 11개 이상 확인되었다.
(3) 투명성(HAZE)
기재 및 경화막의 적층체를 상태(常態; 23℃, 상대 습도 50%)에서 40시간 방치한 후, 헤이즈 미터(닛폰덴쇼쿠공업제, 탁도계 NDH5000)에 의해 헤이즈를 측정했다. 헤이즈의 측정은 JIS K 7136 「투명 재료의 헤이즈 구하는 방법」(2000년판)에 준했다.
한편, 측정에서는, 경화막측의 면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측정했다.
또한, 측정 샘플로서 한 변 50mm의 정방형의 경화막을 10샘플 준비하여, 각각 1회씩 합계 10회 측정했다. 그리고, 각 측정에 있어서의 평균값을 헤이즈값으로 했다. 그리고, 얻어진 헤이즈값으로부터 투명성을 평가했다. 평가의 기준을 아래에 기재한다.
A+: 헤이즈값 1.0% 미만.
A : 헤이즈값 1.0% 이상 1.8% 미만.
B : 헤이즈값 1.8% 이상 2.3% 미만.
C : 헤이즈값 2.3% 이상.
(4) 내습열밀착성
기재 및 경화막의 적층체를, 습도 85%, 온도 85℃로 제어한 항온 항습기에 500시간 보관한 후, 습도 50%, 온도 23℃의 항온 항습실에 12시간 보관하는 것에 의해, 적층체를 습열 시험했다.
그리고, 습열 시험 후의 적층체의 경화막에 대해서, JIS K 5600-5-6 제5부- 제6절: 부착성(1999년)에 기재된 크로스컷법에 준하여 1mm 폭의 절입을 넣어 밀착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을 아래에 기재한다.
A+: 컷의 가장자리가 완전히 매끄럽고, 어느 격자의 눈에도 벗겨짐이 확인되지 않았다.
A : 컷의 교차점에서 작은 벗겨짐(벗겨짐률 5% 미만)이 확인되었다.
B : 벗겨짐(벗겨짐률 5% 이상 15% 미만)이 확인되었다.
C : 크게 벗겨짐(벗겨짐률 15% 이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5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6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7
Figure 112017061359499-pct00008
한편, 표 중의 약호의 상세를 아래에 기재한다.
아로닉스 M403: 상품명 아로닉스 M403, 도아합성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혼합물(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함유율 50∼60%)
DA7301: 상품명 디스팔론 DA-7301, 구스모토화성사제, 고분자량 폴리에스터산의 아마이도아민염의 75질량% 용액(용제: 알킬사이클로헥세인/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아로닉스 M5300: 상품명 아로닉스 M-5300, 도아합성제, ω-카복시카프로락톤 모노아크릴레이트
지르코니아: 다이이치키겐소주식회사제 UEP-100 산화 지르코늄, 평균 일차 입자경 15nm
알루미나: 다이메이화학공업주식회사제 TM-300, 입자경 10nm
이산화 규소: evonik사제 AEROSILR812, 평균 일차 입자경 7nm
MIBK: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IRGACURE 184: 상품명, BASF제, 중합 개시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한편,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분명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기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은 광학 부품, 파인 세라믹, 도전성 필름, 광학 필름 등의 기능성 피막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6)

  1. 금속 미립자와,
    분산매와,
    금속 미립자 분산제
    를 함유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으로서,
    상기 금속 미립자 분산제는,
    (A)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적어도 1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와,
    (B)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하기 (b1)∼(b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b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CH2=C(R1)CO[O(CH2)5CO]nOH (1)
    (식(1)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2)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R2O[CO(CH2)5O]nH (2)
    (식(2)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b3)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
    CH2=C(R1)COO(CmH2mO)nH (3)
    (식(3)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를 나타내고, m은 2∼4를 나타내고, n은 1∼10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1)로 표시되고 n이 1∼3인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3. 제 1 항에 있어서,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2)로 표시되고 n이 2∼5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4. 제 1 항에 있어서,
    (B) 상기 단작용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상기 식(3)으로 표시되고 m이 2∼3이고 n이 2∼5인 (메트)아크릴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산 무수물 변성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5.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가 (메트)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미립자 분산액.
  6. 제 1 항에 기재된 금속 미립자 분산액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막.
KR1020177017648A 2016-03-31 2017-03-15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 KR101811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1535 2016-03-31
JP2016071535 2016-03-31
PCT/JP2017/010491 WO2017169802A1 (ja) 2016-03-31 2017-03-15 金属微粒子分散液および硬化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187B1 true KR101811187B1 (ko) 2017-12-20

Family

ID=5996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648A KR101811187B1 (ko) 2016-03-31 2017-03-15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11187B1 (ko)
CN (1) CN107960085B (ko)
TW (1) TWI615445B (ko)
WO (1) WO2017169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2727B2 (ja) * 2017-12-25 2022-07-2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デックスマッチング層および積層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8946A1 (ja) 2006-05-29 2007-12-06 Toyo Ink Mfg. Co., Ltd. 金属酸化物組成物、硬化膜及び積層体
WO2016035603A1 (ja) 2014-09-05 2016-03-10 住友化学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749A (en) * 1986-02-20 1988-11-22 Union Carbide Corporation Carboxyl-terminated lactone acrylates
JP3812757B2 (ja) * 1996-03-28 2006-08-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抗菌性透明フィルム
ATE489406T1 (de) * 2006-11-09 2010-12-15 Dainippon Ink & Chemicals Mit aktiver strahlung härtbare wasserbasierte harzzusammensetzung, mit aktiver strahlung härtbare beschichtungsmasse, verfahren zur bildung eines gehärteten beschichtungsfilms und gegenstand
CA2908333C (en) * 2013-03-29 2018-01-02 Hoya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JP2015044905A (ja) * 2013-08-27 2015-03-12 昭和電工株式会社 樹脂組成物、透明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8946A1 (ja) 2006-05-29 2007-12-06 Toyo Ink Mfg. Co., Ltd. 金属酸化物組成物、硬化膜及び積層体
WO2016035603A1 (ja) 2014-09-05 2016-03-10 住友化学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60085B (zh) 2019-03-26
CN107960085A (zh) 2018-04-24
TW201807081A (zh) 2018-03-01
WO2017169802A1 (ja) 2017-10-05
TWI615445B (zh)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14B1 (ko) 코팅제 및 코팅막
WO2013180512A1 (ko) 하드코팅 조성물
WO2014030845A1 (ko) 하드코팅 조성물
JP5187471B2 (ja) 含フッ素硬化性樹脂、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475047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剤
KR20150104151A (ko) 수성 수지 분산체 및 그의 용도
JP2006213802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101811187B1 (ko) 금속 미립자 분산액 및 경화막
KR20160088000A (ko) 다관능 (메타)아크릴 알콕시 실란 올리고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WO2015163380A1 (ja) 親水性基を有する含フッ素共重合体および該共重合体を含む表面改質剤
KR102501500B1 (ko)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하드코트제 및 적층체
JP497454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用樹脂組成物
JP6196750B1 (ja) 金属微粒子分散液および硬化膜
KR20200140295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200505408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CN107207682B (zh) 固化性树脂组合物、固化物和叠层体
JP201811531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20190129848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
JP5605305B2 (ja) 重合性フッ素表面修飾シリカ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JP2005343816A (ja) (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の混合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混合物を含有する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822298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6475571B2 (ja) (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及び感光性樹脂組成物
JP2023158770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WO2020110989A1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JPH1124663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