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163B1 -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163B1
KR101810163B1 KR1020160043305A KR20160043305A KR101810163B1 KR 101810163 B1 KR101810163 B1 KR 101810163B1 KR 1020160043305 A KR1020160043305 A KR 1020160043305A KR 20160043305 A KR20160043305 A KR 20160043305A KR 101810163 B1 KR101810163 B1 KR 10181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pept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venting
ocul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737A (ko
Inventor
양재욱
이혜숙
이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4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6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Priority to CN201780035505.3A priority patent/CN109310731B/zh
Priority to JP2019503878A priority patent/JP6770169B2/ja
Priority to PCT/KR2017/001419 priority patent/WO2017175963A1/ko
Priority to ES17779264T priority patent/ES2819030T3/es
Priority to EP17779264.5A priority patent/EP3441081B1/en
Priority to EP19151372.0A priority patent/EP3539559B1/en
Priority to CN201910099020.1A priority patent/CN110025765B/zh
Priority to US16/091,998 priority patent/US10709768B2/en
Priority to ES19151372T priority patent/ES2822289T3/es
Priority to AU2017247626A priority patent/AU2017247626B2/en
Publication of KR2017011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63B1/ko
Priority to US16/178,618 priority patent/US10532084B2/en
Priority to JP2018212325A priority patent/JP6640311B2/ja
Priority to AU2019200063A priority patent/AU20192000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알칼리 화상으로 안구 표면의 병리학적 변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각막 혼탁, 혈관신생 및 섬유화를 감소시키고 염증 유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으로 확인됨에 따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cular surface diseases}
본 발명은 신규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구 표면은 결막 상피세포와 각막 상피세포로 구성된 특수한 신체표면으로, 이들 세포들은 주눈물샘과 덧눈물샘으로부터 분비되는 눈물과 함께 건강한 안구 표면을 구성하고, 이러한 건강한 안구 표면은 안구의 최적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다.
각막은 앞쪽 안구 표면의 1/6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으로, 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빛의 굴절과 전달에 주요한 기능을 하며 신경이 발달되어 있다. 각막은 각막상피, 보우만막, 각막실질, 데스메막, 각막내피와 같은 5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막상피세포는 전체 각막의 두께의 약 10%를 차지하며 결막의 상피와 이어져 있으며, 5~7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아래층의 바닥세포가 증식하여 바깥쪽으로 밀려와 7~14일 후 탈락한다.
각막 병변은 가장 많이 진단받는 질병 중 하나이자, 시력 손상의 주요 원인이다. 각막 병변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며, 주로 알레르기, 감염, 안구건조증, 외과수술 또는 기타 트라우마 등에 기인한다. 이러한 각막은 손상 및 질환 시 그 본래의 상태가 파괴되는데, 각막의 상처는 윤부 줄기 세포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각막 상피세포의 측면이동, 염증세포의 침윤, 및 상처 기질에서의 혈관신생을 자극하고, 각막 혈관신생, 염증 및 각막의 화학적 상해는 안구의 투명성을 저해하여 시력의 손실을 가져옴에 따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안구 표면 질환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 염증 제제가 완화제로 사용될 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29672호
본 발명은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막의 혈관신생, 혼탁화, 섬유화 및 염증에 따른 병리학적 변화를 억제 또는 개선하여 안구 표면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펩타이드는 알칼리 화상으로 안구 표면의 병리학적 변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각막 혼탁, 혈관신생 및 섬유화를 감소시키고 염증 유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식품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알칼리 화상 토끼 각막에서 Hyp-GQDGLAGPK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알칼리 화상 후 0, 7 및 17일째 토끼 각막을 현미경(SZX7, Olympus, Tokyo, Japan)으로 촬영한 사진이며(Scale bar=10 mm), 도 1B는 각막 혈관신생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C는 각막 혼탁화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 그래프 값은 각 실험군(n=5)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며, t-테스트를 통하여 *P<0.05 vs 알칼리 화상군 값을 유의한 값으로 보았다.
도 2는 알칼리 화상 토끼 각막의 두께 변화에 대한 Hyp-GQDGLAGPK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도 2A는 가상 현미경(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촬영한 조직 절편 사진이며(Scale bar=1 mm), 도 2B는 각막 두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알칼리 화상 토끼에서 섬유화 변화에 대한 Hyp-GQDGLAGPK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 섬유아세포를 Masson's trichrome 염색법으로 면역염색하고 가상 현미경(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촬영한 사진(Scale bar=100 μm)으로, 갈색으로 나타난 부분이 섬유아세포이다.
도 4는 알칼리 화상 토끼에서 혈관신생 마커에 대한 Hyp-GQDGLAGPK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특이적 항체인 CD31, FGF 및 VEGF로 면역염색된 조직 절편을 가상 현미경(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촬영한 사진이다(Scale bar=300 μm).
도 5는 알칼리 화상 토끼에서 염증 마커에 대한 Hyp-GQDGLAGPK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조직 절편을 대식세포, TNFα, ICAM-1, IL-1β, IL-6 및 MMP-9와 같은 특이적 항체로 면역염색 후 가상 현미경(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활영한 사진이다(Scale bar=300 μm).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안구 표면질환은 각막 혼탁, 각막 혈관신생, 각막 염증 및 각막 섬유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알칼리 화상이 유도된 동물모델은 도 1A와 같이 알칼리 화상 후, 즉시 각막 혼탁이 나타났으며, 알칼리 화상 7일 후,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이 증가하였으나,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이 확인된 동물모델에 생리식염수 또는 Hyp-GQDGLAGPK 펩타이드를 각각 10일간 처리한 결과(알칼리 화상 17일 후), 도 1B 및 도 1C와 같이 대조군의 각막 혼탁 점수가 3.0±0.0으로 상당히 증가한 반면, 도 1B와 같이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 혼탁화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알칼리 화상에 의해 유도된 각막의 섬유화에 미치는 Hyp-GQDGLAGPK 펩타이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한 결과, 도 3과 같이 알칼리 화상 대조군의 경우, 알칼리 화상에 의해 스트로마 부분에 갈색 섬유아세포 형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증가가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E 염색을 수행하여 알칼리 화상에 따른 각막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4의 윗부분을 참고하면, 알칼리 화상에 의해 각막에 상피 증식, 염증성 세포 침입, 간질 부종 및 신생혈관 형성을 유도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조직학적 변화에 대하여,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처리 실험군에서는 향상된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도 2A와 같이 H&E 염색결과에서도 펩타이드가 처리된 조직에서 신생 혈관 형성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염증 마커 발현에 대한 각 펩타이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막 절편에 대식세포, TNFα, ICAM-1, IL-1β, IL-6 및 MMP-9과 같은 염증 특이적 마커로 면역염색을 수행한 결과, 도 5와 같이 알칼리 화상은 상피와 상피하 및 증식성 기질에서 대식세포 발현을 증가시킨 반면,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대식세포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칼리 화상군에서는 TNFα, IL-1β 및 IL-6를 포함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ICAM-1 부착분자의 발현 증가가 확인되었으나,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상기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알칼리 화상군의 각막에서는 MMP-9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 MMP-9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Hyp-GQDGLAGPK 펩타이드는 안구 표면질환은 각막 혼탁, 각막 혈관신생, 각막 염증 및 각막 섬유화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chondrocyte-derived extracellular matrix; CDEM)에서 분리된 콜라겐 타입 Ⅱα1(collagen type Ⅱ α1) 유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은 동물의 연골조직 및/또는 연골유래 연골세포에서 분비되어 형성된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동물은 돼지, 말, 소, 양, 염소 및 원숭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첫 번째 아미노산이 히드록시 프롤린(Hydroxy proline)인 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 프롤린-GQDGLAGPK(Hydroxy proline(Hyp)-GQDGLAGPK)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펩타이드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험예 1> 펩타이드 제작
Baek's group of Center of Biomedical Mass Sepctrometry (Diatech Korea Co., Ltd., Seoul, Korea)에서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chondrocyte-derived extracellular matrix; CDEM) 혼합물의 단백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콜라겐 타입 II α1 유래의 펩타이드인 히드록시 프롤린-GQDGLAGPK(Hydroxy proline(Hyp)-GQDGLAGPK); 서열번호 1)를 얻었으며, 상기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펩타이드는 ㈜ 바이오셀트란(춘천, 대한민국)에서 합성하였다.
< 실험예 2> 안구 표면질환 동물모델 제작
눈과 시력 연구를 위한 동물 실험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교 및 ARVO Statement에서 승인받은 동물 실험 지침서에 따라 수행되었다(No.; 2014-028).
2.0 내지 2.5 kg의 뉴질랜드 흰색 토끼 26 마리를 Samtako (Osan, Korea)에서 구입하고,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 mg/kg body weight, Huons, Jecheon, Korea) 및 자일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2.5 mg/kg, Bayer Korea Ltd., Seoul, Korea) 혼합물을 근육에 주사하여 전신 마취하였으며, 알카라인 프로프라카인(Alcaine propracaine) 점안액(Alcon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국소 마취하였다.
그 후, 1 N NaOH를 적신 8 mm 필터 종이를 토끼의 오른쪽 각막 중심에 1분간 노출시켜 알칼리 화상 모델은 제작하고, 화상 7일 후 알칼리 화상에 따른 각막 혈관신생 및 각막 혼탁 증가를 확인하였다.
상기 토끼들을 무작위로 알칼리 화상군(n=5) 및 펩타이드 처리군(n=5)으로 나누었다. 알칼리 화상군은 생리식염수를 매일 4회 투여하였으며, 펩타이드 처리 군에는 Hyp-GQDGLAGPK 펩타이드 10 mg/mL을 매일 4회 투여하였으며, 왼쪽 눈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각각의 처리 물질들을 10일간 투여한 후, H&E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 염색(immunohistochemistry)을 수행하여 섬유화, 혈관신생, 염증 및 각막 구조 변화 등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화 확인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화에 대한 임상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막 혈관신생 정도를 0점에서 3점까지 평가하였다. 혈관신생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0점, 각막 주변부의 혈관신생이 확인될 경우 1점, 눈동자 가장자리까지 혈관신생이 확장된 경우 2점 및 눈동자 가장자리는 넘어 각막 중심까지 혈관신생이 확장된 경우 3점으로 평가하였으며, 각막 혈관신생 평가시 상당한 혼탁 및 광범위한 검구 유착이 형성되어 각막 혈관신생 정도를 평가하기 어려울 경우, 3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각막 혼탁 정도를 0점에서 3점까지 평가하였다. 홍채 부분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각막의 경우 0점, 홍채 부분에 부분적인 혼탁이 확인될 경우 1점, 눈동자 가장자리와 홍채 부분이 약하게 보일 때 2점, 홍채 및 눈동자 부분이 완전히 혼탁화된 경우 3점으로 평가하였다.
< 실험예 4> Masson's trichrome 염색
안구들을 3.5 %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킨 후 세척하고 파라핀이 박힌 조직 절편(6 μm)으로 제작 때까지 70 % 알콜에 저장하였다. 콜라겐 섬유화 및 섬유화 등급 정도를 시각화하기 위해, 절편에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하고 가상 현미경(virtual microscope; 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절편의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 실험예 5>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화학염색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안구들을 3.5 %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킨 후 optimal cutting temperature compound(OCT; Tissue-Tek, Sakura Fine Technical Co., Ltd., Tokyo, Japan)에 박고 액체 질소에 냉동시켰다.
시료들을 4% 포름알데하이드에 24시간 동안 고정시키고, 건조시킨 후, 파라핀 왁스에 박았다. 그 후 8 μm 두께의 조직 절편으로 준비한 후 헤모톡실린/에오신(H&E)염색을 수행하고, 절편의 이미지를 가상 현미경(virtual microscope; 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촬영하였다.
< 실험예 6> 면역 조직화학적 분석
조직 절편을 6 μm 두께로 절단하여 면역 조직화학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조직 절편을 3.5%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키고, 0.1% 트리톤 X-100, 불활성화된 2% 소혈청알부민(BSA; all from Sigma, St. Louis, MO)을 투과시키고, 항-CD31(1:1,000; Abcam Inc., Cambridge, MA), 항-bFGF(1:1,000; Bioss Inc., Woburn, MA), 항- IL-1β, 항-IL-6(1:1,000; Cloud-Clone Corp., Houston, TX), 항-MMP-9, 항-ICMA-1, 항-TNFα, 항-대식세포/단핵(1:1,000; Abnova Crop., Taipei, Taiwan) 및 항-VEGF-A(Abbiotec, San Diego, CA) 1차 항체로 4℃에서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절편에 2차 항체를 45분간 인큐베이션하고 diaminobenzidine (DAB) chromogen으로 면역학적 반응을 시각화하고, 절편을 실온에서 30초간 Mayer's hematoxylin (Sigma)으로 대비염색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염색된 절편을 가상 현미경(virtual microscope; 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촬영하였다.
< 실시예 1> 폡타이드에 의한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화 변화 확인
각막 알칼리 화상 7일 후,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화에 대한 임상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A와 같이 알칼리 화상 후, 즉시 각막 혼탁이 나타났으며, 알칼리 화상 7일 후,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막 혈관신생 및 혼탁이 확인된 후 생리식염수 또는 Hyp-GQDGLAGPK 펩타이드를 각각 10일간 처리한 결과(알칼리 화상 17일 후), 도 1B 및 도 1C와 같이 대조군의 각막 혼탁 점수가 3.0±0.0으로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혈관신생점수는 2.8±0.5로 신생혈관이 눈동자 가장자리를 넘어 각막 중심까지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1B와 같이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 혼탁화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각막 혼탁화를 저해하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 펩타이드에 의한 각막 두께 변화 확인
가상 현미경(virtual microscope; NanoZoomer 2.0 RS, Hamamatsu, Japan)으로 촬영한 H&E 염색 절편의 각막두께를 NDP view 프로그램 (Hamamatsu,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B와 같이 알칼리 화상 후, 각막 두께가 정상범위인 526.6±22.2 μm에서 960.6±20.7 μm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Hyp-GQDGLAGPK 펩타이드 처리 10일 후,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각막 두께가 550.0±24.0 μm (p<0.05)로 알칼리 화상군보다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펩타이드의 각막 섬유화 억제 효과 확인
알칼리 화상에 의해 유도된 각막의 섬유화에 미치는 Hyp-GQDGLAGPK 펩타이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알칼리 화상 대조군의 경우, 알칼리 화상에 의해 스트로마 부분에 갈색 섬유아세포 형성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으나,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증가가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섬유아세포의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각막 섬유화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4> 펩타이드의 각막 혈관신생 억제 효과 확인
H&E 염색을 수행하여 알칼리 화상에 따른 각막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윗부분을 참고하면, 알칼리 화상에 의해 각막에 상피 증식, 염증성 세포 침입, 간질 부종 및 신생혈관 형성을 유도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조직학적 변화에 대하여,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처리 실험군에서는 향상된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도 2A와 같이 H&E 염색결과에서도 펩타이드가 처리된 조직에서 신생 혈관 형성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신생혈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알칼리 화상을 입힌 각막에서 Hyp-GQDGLAGPK 펩타이드 처리하고, 각막 혈관신생의 특이적 마커인 CD31, FGF 및 VEGF를 이용하여 각막 절편에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CD31, FGF 및 VEGF 혈관신생 마커가 알칼리 화상에 따른 섬유화 기질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상피, 상피하 및 기질에서 CD31, FGF 및 VEGF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각막 혈관신생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5> 펩타이드의 항염증 효과 확인
앞선 H&E 염색 수행 결과, 알칼리 화상에 의해 염증 세포들이 각막으로 침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염증 마커 발현에 대한 각 펩타이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막 절편에 대식세포, TNFα, ICAM-1, IL-1β, IL-6 및 MMP-9과 같은 염증 특이적 마커로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알칼리 화상은 상피와 상피하 및 증식성 기질에서 대식세포 발현을 증가시킨 반면, Hyp-GQDGLAGPK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대식세포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칼리 화상군에서는 TNFα, IL-1β 및 IL-6를 포함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ICAM-1 부착분자의 발현 증가가 확인되었으나,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는 상기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알칼리 화상군의 각막에서는 MMP-9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펩타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에서 MMP-9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INJ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cular surface disease <130> ADP-2016-0101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droxy proline-GQDGLAGPK <400> 1 Pro Gly Gln Asp Gly Leu Ala Gly Pro Lys 1 5 10

Claims (6)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 혼탁, 각막 혈관신생, 각막 염증 및 각막 섬유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chondrocyte-derived extracellular matrix; CDEM)에서 분리된 콜라겐 타입 Ⅱα1(collagen type Ⅱ α1)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 혼탁, 각막 혈관신생, 각막 염증 및 각막 섬유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60043305A 2016-04-08 2016-04-08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1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305A KR101810163B1 (ko) 2016-04-08 2016-04-08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16/091,998 US10709768B2 (en) 2016-04-08 2017-02-09 Chondrocyte extracellular matrix-derived peptide
PCT/KR2017/001419 WO2017175963A1 (ko) 2016-04-08 2017-02-09 연골세포 세포외기질 유래 펩타이드
ES17779264T ES2819030T3 (es) 2016-04-08 2017-02-09 Péptido basado en colágeno tipo II alfa-1 útil para el tratamiento de una enfermedad de la superficie ocular
EP17779264.5A EP3441081B1 (en) 2016-04-08 2017-02-09 Collagen type ii alpha-1-based peptid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n ocular surface disease
EP19151372.0A EP3539559B1 (en) 2016-04-08 2017-02-09 Collagen type ii alpha-1-based peptid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acular degeneration
CN201780035505.3A CN109310731B (zh) 2016-04-08 2017-02-09 软骨细胞的细胞外基质来源的肽
JP2019503878A JP6770169B2 (ja) 2016-04-08 2017-02-09 軟骨細胞の細胞外基質由来ペプチド
ES19151372T ES2822289T3 (es) 2016-04-08 2017-02-09 Péptido a base de colágeno tipo II alfa-1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de la degeneración macular
AU2017247626A AU2017247626B2 (en) 2016-04-08 2017-02-09 Chondrocyte extracellular matrix-derived peptide
CN201910099020.1A CN110025765B (zh) 2016-04-08 2017-02-09 软骨细胞的细胞外基质来源的肽
US16/178,618 US10532084B2 (en) 2016-04-08 2018-11-02 Chondrocyte extracellular matrix-derived peptide
JP2018212325A JP6640311B2 (ja) 2016-04-08 2018-11-12 軟骨細胞の細胞外基質由来ペプチド
AU2019200063A AU2019200063B2 (en) 2016-04-08 2019-01-07 Chondrocyte extracellular matrix-derived pept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305A KR101810163B1 (ko) 2016-04-08 2016-04-08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737A KR20170115737A (ko) 2017-10-18
KR101810163B1 true KR101810163B1 (ko) 2018-01-25

Family

ID=6029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305A KR101810163B1 (ko) 2016-04-08 2016-04-08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317A1 (ko) * 2020-02-17 2021-08-26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고체상 합성법을 이용한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135A (en) 1992-08-07 2000-03-14 Epimmune Inc. Methods for making HLA binding peptides and their uses
JP2005239622A (ja) 2004-02-26 2005-09-08 Rohto Pharmaceut Co Ltd 角膜障害治療剤
KR101438744B1 (ko) 2012-08-02 2014-09-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디포넥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또는 염증성 안구표면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135A (en) 1992-08-07 2000-03-14 Epimmune Inc. Methods for making HLA binding peptides and their uses
JP2005239622A (ja) 2004-02-26 2005-09-08 Rohto Pharmaceut Co Ltd 角膜障害治療剤
KR101438744B1 (ko) 2012-08-02 2014-09-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디포넥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또는 염증성 안구표면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317A1 (ko) * 2020-02-17 2021-08-26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고체상 합성법을 이용한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737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059B1 (ko) 안구 표면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JP6640311B2 (ja) 軟骨細胞の細胞外基質由来ペプチド
Sridhar et al.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in the management of shield ulcers of vernal keratoconjunctivitis
AU2006260184B2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corneal/conjunctival disease
Shi et al.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combined with antiviral and steroid therapy for herpes necrotizing stromal keratitis
JP4488902B2 (ja) Bmp‐7ポリペプチドを含む瘢痕形成抑制剤
Soong et al. Dellen associated with filtering blebs
Tighe et al. Topical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and umbilical cord eye drops promote re-epithelialization in a murine corneal abrasion model
KR101810163B1 (ko) 안구 표면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Lavid et al. Calcareous corneal degeneration: report of two cases
US9855320B2 (en) Angiogenin for treatment of glaucoma
Loeffler et al.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gelsolin immunoreactivity in corneal amyloidosis
RU2161335C2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пролиферативной витреоретинопатии
Mietz et al. Pyogenic granuloma of the cornea: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1810158B1 (ko) 연골세포 세포외기질 유래 펩타이드
KR101327663B1 (ko) 안지오제닌의 신규 용도
Abhay Study of visual outcome and complications following conjunctival autograft transplant in management of primary pterygium
STERN et al. Iatrogenic peripheral corneal disease
ROBIN et al. REVIEW zyxwvutsrqponmlkjihgfedcbaZYXWVUTSRQPONMLKJIHGFEDCBA
SIMMONS et al. –Glaucomas Associated with Abnormalities of Cornea and Iris, Tumors, and Retinal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