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773B1 -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773B1
KR101809773B1 KR1020130015982A KR20130015982A KR101809773B1 KR 101809773 B1 KR101809773 B1 KR 101809773B1 KR 1020130015982 A KR1020130015982 A KR 1020130015982A KR 20130015982 A KR20130015982 A KR 20130015982A KR 101809773 B1 KR101809773 B1 KR 10180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lastomer
acrylic resin
adhesive composition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223A (ko
Inventor
히로후미 이마이
도시유키 오가타
아츠시 구보
다카히로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68812A external-priority patent/JP6085161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고온 또는 고압을 거치는 일 없이 접착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와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웨이퍼와 상기 웨이퍼의 지지체가 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첩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탄화수소계의 접착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2).
일본 특표 2009-529065(2009년 8월 13일 공개) 일본 특표 2010-506406(2010년 2월 25일 공개)
휴대 전화, 디지털 AV 기기 및 IC 카드 등의 고기능화에 수반해, 탑재되는 반도체 실리콘 칩(이하, 칩)을 소형화 및 박형화함으로써, 패키지 내에 실리콘을 고집적화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CSP(chip size package) 또는 MCP(multi-chip package)로 대표되는 복수의 칩을 원 패키지화하는 집적회로에 있어서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패키지 내의 칩의 고집적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칩의 두께를 25~150㎛의 범위로까지 얇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칩의 베이스가 되는 반도체 웨이퍼(이하, 웨이퍼)는 연삭함으로써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그 강도는 약해져 웨이퍼에 크랙 또는 휨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강도가 약해진 웨이퍼를 자동 반송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사람 손에 의해 반송하지 않으면 안 되어, 그 취급이 번잡했다.
이 때문에, 연삭하는 웨이퍼에 서포트 플레이트로 불리는 유리, 경질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첩합함으로써 웨이퍼의 강도를 유지해, 크랙의 발생 및 웨이퍼의 휨을 방지하는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에 의해 웨이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를 얇게 한 반도체 웨이퍼의 반송을 자동화할 수 있다.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에 있어서,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는 점착 테이프,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 등을 이용해 첩합된다. 그리고, 서포트 플레이트가 첩부된 웨이퍼를 두께를 박판화한 후, 웨이퍼를 다이싱하기 전에 서포트 플레이트를 기판으로부터 박리한다. 이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의 첩합에 접착제를 이용했을 경우, 접착제를 용해해 웨이퍼를 서포트 플레이트로부터 박리한다.
종래 기술과 관련된 탄화수소계 접착제 가운데, 특히 열유동성이 낮은 고분자량의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한 접착제는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의 첩합에 상당히 고온 또는 고압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리플로우 온도가 높지 않은 땜납 범프(solder bump)를 가지는 디바이스는 220℃ 이상의 고온에 노출될 수 없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과 관련된 탄화수소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첩합 온도가 올라가지 않아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를 적합하게 첩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온 또는 고압을 거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를 첩합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와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 조성물에 의하면, 고온 또는 고압을 거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를 매우 적합하게 첩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와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엘라스토머]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는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는 상기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200,0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성 단위」란, 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조에 있어서 1분자의 단량체에 기인하는 구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티렌 단위」란, 스티렌을 중합했을 때에 중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스티렌 유래의 구성 단위이며, 상기 「스티렌 단위」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5의 알킬기, 탄소수 1~5의 알콕시기, 탄소수 1~5의 알콕시알킬기, 아세톡시기, 카르복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의 범위이며, 엘라스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200,000 이하의 범위이면, 후술하는 탄화수소계의 용제에 용이하게 용해하므로,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히 접착층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임으로 인해, 웨이퍼가 레지스트 리소그라피 공정에 제공될 때 노출되는 레지스트 용제(예를 들면 PGMEA, PGME 등), 산(불화 수소산 등), 알칼리(TMAH 등)에 대해서 뛰어난 내성을 발휘한다.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중량%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0,000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50,000 이하이다.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의 범위이며, 엘라스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200,000 이하의 범위이면, 여러 가지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SEP),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BS), 에틸렌 프로필렌 터폴리머(EPT) 및 이들의 수첨물(水添物),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EEPS), 스티렌 블록이 반응 가교형의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eptonV9461(주식회사 쿠라레제)), 스티렌 블록이 반응 가교형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반응성의 폴리스티렌계 하드 블록을 가지는 SeptonV9827(주식회사 쿠라레제)) 등으로서,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술의 범위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수첨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첨물이면 열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어, 분해나 중합 등의 변질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 탄화수소계 용제에 대한 용해성 및 레지스트 용제에 대한 내성의 관점으로부터도 보다 바람직하다.
또,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양단이 스티렌의 블록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 안정성이 높은 스티렌을 양 말단에 블록함으로써 보다 높은 내열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라스토머는 스티렌 및 공역 디엔의 블록 코폴리머의 수첨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어, 분해나 중합 등의 변질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 열 안정성이 높은 스티렌을 양 말단에 블록함으로써 보다 높은 내열성을 나타낸다. 또한, 탄화수소계 용제에 대한 용해성 및 레지스트 용제에 대한 내성의 관점으로부터도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로서 이용될 수 있는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쿠라레사제 「셉톤(상품명)」, 쿠라레사제 「하이브라(상품명)」, 아사히 화성사제 「터프텍(상품명)」, JSR사제 「다이나론(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으로는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50중량부 이상, 99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60중량부 이상, 99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0중량부 이상, 95중량부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로 함으로써,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웨이퍼와 지지체를 매우 적합하게 첩합할 수 있다.
또, 엘라스토머는 복수의 종류를 혼합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복수의 종류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종류의 엘라스토머 중 적어도 하나가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또, 복수의 종류의 엘라스토머 중 적어도 하나가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의 범위이거나, 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200,000 이하의 범위이면 본 발명의 범주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복수의 종류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경우, 혼합한 결과,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30중량%인 쿠라레사제의 셉톤(상품명)인 Septon 4033과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3중량%인 셉톤(상품명)인 Septon 2063을 중량비 1 대 1로 혼합하면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 전체에 대한 스티렌 함유량은 21~22중량%되고, 따라서 14중량% 이상이 된다. 또, 예를 들면, 스티렌 단위가 10중량%인 것과 60중량%인 것을 1 대 1로 혼합하면 35중량%되어, 상기의 범위 내가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수의 종류의 엘라스토머는 모두 상기의 범위에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이면 된다.
접착제 조성물에 저분자 가소 성분인 아크릴계 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열 유동성이 높아 고온 또는 고압을 거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지지체)를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220℃ 이하의 첩합 온도여도 웨이퍼와 지지체를 매우 적합하게 첩합할 수 있다.
또, 아크릴계 수지의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것에 의해서, 웨이퍼의 가공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내열성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웨이퍼의 가공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220℃ 이상의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5% 열 중량 감소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이다.
여기서, 아크릴계 수지의 5% 열 중량 감소 온도는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25℃에서 가열을 개시하여 1분 간격으로 10℃씩 가열 온도를 올렸을 경우에, 초기 중량의 5중량%만 중량이 감소했을 때의 온도이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은 열 중량 측정 장치로 측정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단량체로서 이용해 중합한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쇄식 구조로 이루어진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지방족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방향족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지방족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쇄식 구조로 이루어진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는 탄소수 15~20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장쇄 알킬 에스테르,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장쇄 알킬 에스테르로는 알킬기가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n-노나데실기, n-에이코실기 등인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분기상이어도 된다.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알킬 에스테르로는 기존의 아크릴계 접착제에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아크릴계 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기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에틸헥실기, 이소옥틸기, 이소노닐기, 이소데실기, 도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등으로 이루어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지방족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시클로도데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방향족환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벤질기, 톨릴기, 크시릴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녹시메틸기, 페녹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방향족환은 탄소수 1~5의 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상술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단량체 가운데 1 종류의 단량체를 이용해 중합한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종류의 단량체를 이용해 중합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상술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단량체와 이것과 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이용해 중합한 수지여도 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단량체와 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 스티렌 또는 스티렌의 유도체,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서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n-부틸 말레이미드, N-이소부틸 말레이미드, N-sec-부틸 말레이미드, N-tert-부틸 말레이미드, N-n-펜틸 말레이미드, N-n-헥실 말레이미드, N-n-헵틸 말레이미드, N-n-옥틸 말레이미드, N-라우릴 말레이미드, N-스테아릴 말레이미드 등의 알킬기를 가지는 말레이미드, N-시클로프로필 말레이미드, N-시클로부틸 말레이미드, N-시클로펜틸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시클로헵틸 말레이미드, N-시클로옥틸 말레이미드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m-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o-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p-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등의 아릴기를 가지는 방향족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에 스티렌 단위가 포함되어 있음으로 인해, 아크릴 수지의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용제에 대한 용해성 및 레지스트 용제에 대한 내성의 관점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는 탄화수소계 용제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가 용해 가능한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예를 들면, 데카히드로 나프탈린을 들 수 있지만, 다른 탄화수소계 용제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아크릴계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SP 값)가 6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P 값이 6 이상, 10 이하임으로 인해, 아크릴계 수지와 엘라스토머가 상용해 보다 안정된 접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아크릴계 수지의 SP 값은 6.5 이상, 9.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 이상, 7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70,000 이하임으로 인해, 예를 들면 웨이퍼와 지지체의 첩합에 적절한 열유동성을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이상, 5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1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로 함으로써,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웨이퍼와 지지체를 매우 적합하게 첩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복수의 종류를 혼합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복수의 종류의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종류의 아크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이면 본 발명의 범주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수의 종류의 아크릴계 수지는 모두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제)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는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계 수지를 용해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비극성의 탄화수소계 용제, 극성 및 무극성의 석유계 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제는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제가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를 포함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을 액상 형태로(특히, 저온에서) 보존했을 때에 생길 수 있는 백탁화를 피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메틸옥탄,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등의 직쇄상의 탄화수소, 탄소수 3 내지 15의 분기상의 탄화수소;p-멘탄, o-멘탄, m-멘탄, 디페닐멘탄, 1,4-테르핀, 1,8-테르핀, 보르난, 노르보난, 피난, 투잔(thujane), 카란, 롱기폴렌(longifolene) 등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α-테르피넨, β-테르피넨, γ-테르피넨, α-피넨, β-피넨, α-투존(thujone), β-투존 등을 들 수 있다.
또, 석유계 용제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나프탈렌, 데카히드로 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로 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란, 2 이상의 단환이 각각의 고리의 옆을 서로 1개만 공급해서 생기는 축합환의 탄화수소이며, 2개의 단환이 축합되어서 이루어지는 탄화수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탄화수소로는 5원환 및 6원환의 조합, 또는 2개의 6원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5원환 및 6원환을 조합한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면, 인덴, 펜타렌, 인단, 테트라히드로인덴 등을 들 수 있고, 2개의 6원환을 조합한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면, 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로나프탈린(테트랄린) 및 데카히드로나프탈린(데칼린) 등을 들 수 있다.
또, 용제가 상기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경우, 용제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뿐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등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의 함유량이 탄화수소계 용제 전체의 40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의 함유량이 탄화수소계 용제 전체의 40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지에 대한 높은 용해성을 발휘할 수 있다.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와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의 취기(臭氣)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의 함유량으로는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해 성막하는 접착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의 전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때, 20중량부 이상, 90중량부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점도 조정이 용이해진다.
(열중합 금지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은 열중합 금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열중합 금지제는 열에 의한 라디칼 중합 반응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열중합 금지제는 라디칼에 대해서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모노머보다도 우선적으로 반응해 모노머의 중합을 금지한다. 그러한 열중합 금지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고온 환경하(특히, 250℃~350℃)에서 중합 반응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서포트 플레이트(지지체)가 접착된 웨이퍼를 250℃에서 1시간 가열하는 고온 프로세스가 있다. 이때, 고온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중합이 일어나면 고온 프로세스 후에 웨이퍼로부터 서포트 플레이트를 박리하는 박리액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어 웨이퍼로부터 서포트 플레이트를 양호하게 박리할 수 없다. 그러나, 열중합 금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서는 열에 의한 산화 및 거기에 따르는 중합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고온 프로세스를 거쳤다고 해도 서포트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잔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열중합 금지제로는 열에 의한 라디칼 중합 반응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페놀을 가지는 열중합 금지제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대기 하에서의 고온 처리 후에도 양호한 용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한 열중합 금지제로는 힌더드 페놀계의 산화 방지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피로가롤, 벤조퀴논, 히드로퀴논, 메틸렌블루, tert-부틸카테콜, 모노벤질에테르, 메틸히드로퀴논, 아밀퀴논, 아밀옥시히드로키논, n-부틸페놀, 페놀, 히드로퀴논 모노프로필에테르, 4,4'-(1-메틸에틸리덴) 비스(2-메틸페놀), 4,4'-(1-메틸에틸리덴) 비스(2,6-디메틸페놀),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 4,4',4”-에틸리덴 트리스(2-메틸페놀), 4,4',4”-에틸리덴 트리스페놀, 1,1,3-트리스(2,5-디메틸-4-히드록시페닐)-3-페닐프로판,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n-옥틸-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릴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IRGANOX 1010, 치바·재팬사제), 트리스(3,5-디-tert-부틸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를 들 수 있다. 열중합 금지제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 이용해도 된다.
열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은 엘라스토머의 종류, 아크릴계 수지의 종류, 및 접착제 조성물의 용도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와 아크릴계 수지를 합한 수지의 양을 100중량부로 했을 때, 0.1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열에 의한 중합을 억제하는 효과가 양호하게 발휘되어 고온 프로세스 후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의 박리액에 대한 용해성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첨가 용제)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열중합 금지제를 용해하고,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계 수지를 용해하기 위한 용제와는 상이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첨가 용제를 함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첨가 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용해하는 유기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제로는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용해해 균일한 용액으로 할 수 있으면 되고, 임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극성기로서 산소 원자, 카르보닐기 또는 아세톡시기 등을 가지는 테르펜 용제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게라니올, 네롤, 리나롤, 시트랄, 시트로네롤, 멘톨, 이소멘톨, 네오멘톨, α-테르피네올, β-테르피네올, γ-테르피네올, 테르피넨-1-올, 테르피넨-4-올, 디히드로타피닐아세테이트, 1,4-시네올, 1,8-시네올, 보르네올, 카르본, 요논(ionone), 투존(thujone), 캠퍼를 들 수 있다. 또,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산온(CH), 메틸-n-펜틸케톤, 메틸이소펜틸케톤, 2-헵타논 등의 케톤류;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에틸렌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상기 다가 알코올류 또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의 모노메틸에테르, 모노에틸에테르, 모노프로필에테르, 모노부틸에테르 등의 모노알킬에테르 또는 모노페닐에테르 등의 에테르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등의 다가 알코올류의 유도체(이들 중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PGME)가 바람직하다);디옥산과 같은 환식 에테르류나, 젖산 메틸, 젖산 에틸(EL),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피르브산 메틸, 피르브산 에틸, 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아니솔, 에틸벤질에테르, 크레질메틸에테르, 디페닐에테르, 디벤질에테르, 페네톨, 부틸페닐에테르 등의 방향족계 유기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 용제의 함유량은 열중합 금지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계 수지를 용해하는 용제(주용제)와 열중합 금지제를 용해하는 용제(첨가 용제)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 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 용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열중합 금지제를 충분히 용해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접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서의 본질적인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혼화성이 있는 다른 물질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착제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부가적 수지, 가소제, 접착 보조제, 안정제, 착색제 및 계면활성제 등, 관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계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키고 기존의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각 조성을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열중합 금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열중합 금지제를 미리 열중합 금지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첨가 용제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지지체를 접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퍼와 상기 웨이퍼의 지지체를 접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지지체는 예를 들면, 웨이퍼를 박화하는 공정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부재이며,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웨이퍼에 접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체는 예를 들면, 그 막 두께가 500~1000㎛인 유리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체에는 지지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을 통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용해하는 용제를 지지체와 웨이퍼의 사이에 흘려 넣음으로써 지지체와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체와 웨이퍼의 사이에는 접착층 외에 반응층이 개재하고 있어도 된다. 반응층은 지지체를 통하여 조사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변질되게 되어 있어 반응층에 빛 등을 조사해 반응층을 변질시킴으로써 지지체와 웨이퍼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층에 조사하는 빛으로는 반응층이 흡수 가능한 파장에 따라서, 예를 들면, YAG 레이저, 리비 레이저, 글라스 레이저, YVO4 레이저, LD 레이저, 파이버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 색소 레이저 등의 액체 레이저, CO2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Ar 레이저, He-Ne 레이저 등의 기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자유 전자 레이저 등의 레이저광, 또는 비레이저광을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반응층에 흡수되어야 할 빛의 파장으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600㎚ 이하의 파장의 빛일 수 있다.
반응층은 예를 들면, 빛 등에 의해 분해되는 광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그래파이트분, 철, 알루미늄, 구리, 니켈, 코발트, 망간, 크롬, 아연, 테룰 등의 미립자 금속 분말, 흑색 산화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분말, 카본 블랙, 또는 방향족 디아미노계 금속 착체, 지방족 디아민계 금속 착체, 방향족 디티올계 금속 착체, 메르캅토 페놀계 금속 착체, 스쿠알리움계 화합물, 시아닌계 색소, 메틴계 색소, 나프토퀴논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등의 염료 혹은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응층은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와 혼합하여 지지체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광 흡수기를 가지는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반응층으로서 플라스마 CVD법에 의해 형성한 무기막 또는 유기막을 이용해도 된다. 무기막으로는 예를 들면, 금속막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유기막으로는 탄화불소막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응막은 예를 들면, 지지체 상에 플라스마 CVD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지지체와 접착한 후에 박화 공정에 제공되는 웨이퍼와 상기 지지체의 접착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지지체는 웨이퍼를 박화할 때에 상기 웨이퍼의 강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이와 같은 웨이퍼와 지지체의 접착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웨이퍼와 지지체의 접착에 고온 또는 고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리플로우 온도가 높지 않은 땜납 범프를 가지는 웨이퍼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20℃ 이하의 첩합 온도에서 웨이퍼와 지지체를 매우 적합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뛰어난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지체와 접착한 후에 150℃ 이상의 환경하에 노출되는 웨이퍼와 상기 지지체의 접착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180℃ 이상, 나아가서는 220℃ 이상의 환경 하에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해 웨이퍼와 지지체를 220℃ 이하에서 접착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상기 적층체의 웨이퍼를 박화하는 웨이퍼의 박화 방법, 상기 적층체를 22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의 제거]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된 웨이퍼와 지지체를 상기의 반응층을 변질시키는 것 등에 의해 분리한 후에 접착제층을 제거하는 경우, 상술한 용제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용해해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반응층 등을 이용하지 않고, 웨이퍼와 지지체를 접착한 상태로 접착제층에 직접 용제를 공급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착제층이 용해해 상기 접착제층이 제거되어 웨이퍼와 지지체를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층에 대한 용제의 공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지체에는 관통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 필름]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이용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인 채,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가공체 위에 도포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되고, 본 발명에 관한 접착 필름, 즉 미리 가요성 필름 등의 필름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건조시켜 두고, 이 필름(접착 필름)을 피가공체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방법(접착 필름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착 필름은 필름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접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제층을 구비한다.
접착 필름은 접착제층에 보호 필름을 더 피복해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접착제층 상의 보호 필름을 박리해, 피가공체 상에 노출된 접착제층을 포갠 후, 접착제층으로부터 상기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피가공체 상에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접착 필름을 이용하면, 피가공체 상에 직접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막 두께 균일성 및 표면 평활성의 양호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상기 필름으로는 필름 상에 제막된 접착제층을 상기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접착제층을 보호 기판이나 웨이퍼 등의 피처리면에 전사할 수 있는 이형 필름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막 두께 15~12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전사가 용이해지도록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원하는 접착제층의 막 두께나 균일성에 따라 적절히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 상에 접착제층의 건조 막 두께가 10~1000㎛가 되도록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보호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보호 필름으로는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각 보호 필름은 실리콘을 코팅 또는 소부(燒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5~125㎛가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을 구비한 접착 필름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착 필름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보호 필름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이것을 박리한 다음, 피가공체 위에 노출된 접착제층을 포개고 필름 상(접착제층이 형성된 면의 이면)으로부터 가열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접착제층을 피가공체의 표면에 열 압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때, 접착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보호 필름은 차례차례 권취 롤러 등의 롤러로 롤 상으로 권취하면 보존하여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접착제 조성물의 조정]
실시예 1~15 및 비교예 1~7에서 사용한 엘라스토머(수지), 아크릴계 수지(첨가 수지), 중합 금지제, 주용제, 첨가 용제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부」는 모두 중량부이다.
Figure 112013013455512-pat00001
엘라스토머로는 쿠라레사제의 셉톤(상품명)인 Septon4033(SEPS: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스티렌), Septon8007(SEBS: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 블록-폴리스티렌), HG252(SEEPS-OH: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스티렌 말단 수산기 변성), 아사히화성사제의 Tuftec(상품명)인 H1051(SEBS,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H1053(SEBS, 수첨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수첨」이란,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 코폴리머의 이중 결합을 수소 첨가한 폴리머이다.
사용한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함유량과 엘라스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3455512-pat00002
또, 아크릴계 수지로는 표 3에 나타내는 A1~A12를 이용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는 각 모노머를 공지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합성한 수지이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의 조성, 분자량 및 5wt% 열 중량 감소 온도를 이하의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했다. 조성은 각 상품에 첨부된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던 수치이다. 5wt% 열 중량 감소 온도는 열 중량 측정 장치(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제, 제품명 「TG-DTA6200」)를 이용하여 아크릴 수지 5mg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25℃에서 가열을 개시하고, 1분 간격으로 10℃씩 가열 온도를 올렸을 경우에, 초기 중량의 5중량%만 중량이 감소했을 때의 온도이다.
Figure 112013013455512-pa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5에서는 5wt%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95℃, 300℃ 또는 310℃인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고, 비교예 5~7에서는 5wt%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60℃ 또는 265℃인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했다. 또한, 비교예 1~4에서는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지 않았다.
또, 열중합 금지제로는 BASF사제의 「IRGANOX(상품명) 1010」을 이용했다. 또, 주용제로는 하기 화학식 (I)에 나타내는 데카히드로 나프탈린을 이용했다. 또, 첨가 용제로서 아세트산 부틸을 이용했다.
Figure 112013013455512-pat00004
실시예 1의 접착제 조성물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했다.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엘라스토머를 표 1에 나타내는 함유 중량비로 데카히드로 나프탈린에 25% 농도로 용해시켜 표 1에 나타내는 함유 중량비의 아크릴계 수지와 혼합했다. 다음에, 아세트산 부틸에 용해시킨 IRGANOX 1010을 1중량부 첨가했다. 이와 같이 해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또, 실시예 2~15, 비교예 5~7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법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4에서는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제작한 접착제 조성물의 용액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확인했다. 엘라스토머와 아크릴계 수지가 상용해 탁함이 없는 용액이 얻어진 경우에는 「○」, 엘라스토머와 아크릴계 수지가 상용하지 않아 용액이 탁해졌을 경우에는 「×」라고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접착제층의 형성]
웨이퍼(12인치 Si)에 각 접착제 조성물을 스핀 도포하고, 100℃, 160℃, 200℃에서 각 5분 구워 접착제층을 형성했다(막 두께 50㎛).
[웨이퍼와 지지체의 첩부]
접착제층을 통하여 웨이퍼와 지지체(12인치 베어 글래스)를 첩합하고 감압 환경 하에서 온도 215℃에서 1000kg의 압력을 3분간 걸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에 있어서의 첩부 상태를 눈으로 봐서 확인했다. 웨이퍼와 지지체의 미접착 부분이 확인되지 않으면 「○」, 미접착 부분이 확인되면 「×」라고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적층체의 고온 처리]
또, 적층체를 감압 환경하(10Pa)에서 220℃에서 1시간 가열했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내열성을 평가했다. 내열성의 평가는 웨이퍼와 지지체 사이에서의 발포나 벗겨짐이 없으면 「○」, 있으면 「×」라고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7의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서는 용액이 탁해져 용액 안정성이 없었기 때문에, 첩부 상태 및 내열성의 평가는 실시하지 않고, 이들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으로 나타냈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웨이퍼의 박화 공정, 및 가열 및 가압 공정에 제공했을 경우에 웨이퍼의 파손이나 웨이퍼의 면내 균일성의 저하로 이어지는 첩부 불량(미접착 부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4에서는 미접착 부분이 확인되었다. 특히, 엣지 비트(스핀 코팅으로 형성된 접착제층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웨이퍼의 단부에 발생하는 접착제의 툭 튀어나온 부분)의 안쪽에 미접착 부분이 많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에서는 가열에 의해 접착제층에 발포나 벗겨짐은 생기지 않았지만, 비교예 5 및 6에서는 가열에 의해 웨이퍼와 지지체의 사이에 발포가 생겼다.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은 예를 들면, 미세화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와,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
    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 이상, 70,000 이하이며,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접착제 조성물 전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서 70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와,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
    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 이상, 70,000 이하이며,
    상기 엘라스토머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가용인 용제로서 데카히드로 나프탈렌을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3. 웨이퍼와 서포트 플레이트를 첩합시키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로서,
    주쇄의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와,
    5% 열 중량 감소 온도가 28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
    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평균 분자량은 2,000 이상, 70,000 이하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단위의 함유량이 14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20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구성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용해도 파라미터가 6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1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가 수첨물(水添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의 양 말단이 스티렌의 블록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가 스티렌 및 공역 디엔의 블록 코폴리머의 수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12. 필름 상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필름.
KR1020130015982A 2012-02-17 2013-02-14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101809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2968 2012-02-17
JPJP-P-2012-032968 2012-02-17
JPJP-P-2012-268812 2012-12-07
JP2012268812A JP6085161B2 (ja) 2012-02-17 2012-12-07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223A KR20130095223A (ko) 2013-08-27
KR101809773B1 true KR101809773B1 (ko) 2017-12-15

Family

ID=4921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982A KR101809773B1 (ko) 2012-02-17 2013-02-14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7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919A (ja) * 2002-01-30 2003-10-15 Sanyo Chem Ind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919A (ja) * 2002-01-30 2003-10-15 Sanyo Chem Ind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223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296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첩부 방법
KR101798687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첩부 방법
JP2014037458A (ja) 接着剤組成物、接着フィルムおよび貼付方法
US20140332149A1 (en) Method for processing mold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al body
KR101472182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기판의 처리 방법
KR102148125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20140004587A (ko) 적층체
JP619439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780519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101809773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JP6085161B2 (ja)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ィルム
JP6247871B2 (ja) 積層体、積層体形成キットおよび積層体形成方法
KR101777895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기판의 처리 방법
JP6063737B2 (ja) 接着剤組成物、接着フィルムおよび基板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