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095B1 - 황토침대 - Google Patents

황토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095B1
KR101809095B1 KR1020160080643A KR20160080643A KR101809095B1 KR 101809095 B1 KR101809095 B1 KR 101809095B1 KR 1020160080643 A KR1020160080643 A KR 1020160080643A KR 20160080643 A KR20160080643 A KR 20160080643A KR 101809095 B1 KR101809095 B1 KR 10180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water
loess
humidit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수 filed Critical 박기수
Priority to KR102016008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11/001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한 실내로 수분을 공급함은 물론, 실내에 과다하게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되어, 실내의 습도를 인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프레임에 안치된 상태로 고정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황토매트리스를 포함하는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된 수분공급수단과; 상기 지주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중에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수분흡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황토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황토침대{Loess bed}
본 발명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매트리스를 가지는 황토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한 실내로 수분을 공급함은 물론, 실내에 과다하게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되어, 실내의 습도를 인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집안의 곰팡이 등의 서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병균의 전염을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만들어주는 이점과, 40∼5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열에 의해 인체의 말초 모세혈관의 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황토가 인체에 대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 것이 인지됨에 따라 황토의 이용이 급속도를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건축물에서부터 일반 생활용품, 화장품,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근자에는, 침대의 경우 취침하는 동안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므로 황토침대에 대한 개발과 실용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15587호에는 기능성 황토 침대가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번호 제03455240호에는 황토침대용 황토보료 및 황토패드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에서 황토 침대용 황토 보료는,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보료프레임의 내측에 하측부터 지지판과, 단열재와, 동판과, 난방수단과, 황토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황토층의 상면에는 야자나무의 줄기 및 잎의 섬유소를 뭉쳐서 무수히 많은 통기공이 형성된 야자섬유소 패드에 황토분말을 투입 증착시킨 황토패드가 부착된 구성을 가진다.
한편, 근자에는, 황토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황토의 사막화를 방지하고 팽창과 수축을 반복시킴으로써 황토의 분자 활동을 활성화하도록 된 황토침대 및 황토보료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479967호(명칭: 황토침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에 설치되는 황토보료를 구비한 황토 침대에 있어서, 상기 황토보료는 목재로 이루어진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되는 방수 및 단열을 위한 단열시트와, 하부판의 가장자리 및 하부판 상면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들에 의해 하부판과 결합되는 상부판을 가진 커버와; 상기 상, 하부판과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패널과; 상기 상, 하부판 및 구획부재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황토패널과 단열재의사이의 경계부를 통하여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단열시트와 대응되는 황토패널의 하부에 사행형상으로 설치되며 단열시트와 대응되는 하부에 수분공급공이 형성된 수분공급관과, 상기 수분공급관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수분공급관에 설치되는 펌프를 구비한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수분공급관에 형성된 수분공급공은 수분공급관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수분공급공의 수가 많아지거나 직경이 커지도록 된 황토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2864호(명칭: 수분공급이 가능한 황토침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황토보료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시킨 보료설치홈이 구비되며, 보료설치홈 외곽의 침대프레임 외부에 쿠션커버를 감싼 뒤에 그 외부면에 프레임외피를 감싸게 설치되고, 상기 보료설치홈에는 황토를 주입 설치하며, 황토의 내부에 발열체와 철망을 매설하고, 황토의 최상면에 통기성 상면커버지를 부착한 황토보료가 설치된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 양측 프레임외피의 상면에는 제2지퍼를 설치하되, 제2지퍼의 이빨이 외측을 향하게 각각 설치되고, 황토침대의 상부에는 황토침대의 상면을 덮는 보료덮개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보료덮개는 덮개본체의 사방 외곽에 마감테가 재봉에 의해 설치되며, 양측 마감테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들어온 위치의 덮개본체 저면에는 침대프레임 상면에 설치된 제2지퍼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제1지퍼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재봉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양측 마감테와 그 각각의 마감테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지퍼 사이에는 제1지퍼와 제2지퍼가 연결되어 잠금되는 지퍼를 덮는 날개형태의 지퍼덮개부가 형성되는 황토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68799호(명칭: 수분공급이 구비된 황토침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보료프레임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난방호스와, 그 난방호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망과, 보료프레임 내에 난방호스와 철망을 매설하게 채워지는 황토를 포함하여 황토보료판이 구비되고, 상기 난방호스에는 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온수가 펌프를 통하여 공급 순환되며, 상기 보일러에는 수증기배출구가 보일러의 내부와 통하게 설치되는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 황토보료판의 황토 속에는 다수개의 수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수증기배출호스가 매설되고, 상기 수증기배출구와 황토보료판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수증기배출호스의 수증기유입부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연결 설치되는 황토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1, 특허등록번호 제10-03455240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479967호 3,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2864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68799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황토침대들은, 일 구성요소인 황토에 수분을 공급하여 과다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여 인체의 활동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한 실내로 수분을 공급함은 물론, 실내에 과다하게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되어, 실내의 습도를 인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황토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침대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프레임에 안치된 상태로 고정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황토매트리스를 포함하는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된 수분공급수단과; 상기 지주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중에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수분흡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수분공급수단은,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수용되며 마개의 개폐를 통해 물을 주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저장통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저장통과 연접하는 위치에 삽입수용되어 상기 저장통과 공급호스를 통해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에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자연증발시키도록 된 발포성수지가 수용된 '함(函: box)' 형상의 증발조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서 상기 증발조의 상부 위치에 삽입고정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덮개와,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받아 상기 공급호스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된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분흡수수단은, 상기 측부프레임에서 내외가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며 전면이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전되며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도록 된 수분흡수물질로 이루어지는 흡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케이스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된 습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습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 습도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감지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를 통해 선택된 실내의 습도 정도와 비교연산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하우징에는, 상기 흡수부재에서 흡수된 수분을 유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스펀지재질로 이루어진 수분저장체가 배치되며; 상기한 하우징에서 상기 수분저장체가 배치되는 부위는 전면의 개구에 비하여 바닥면이 수직상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분저장체에 저장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황토침대는, 실내가 건조할 때는, 이를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증발조로 공급하여 증발조의 발포성수지를 통해 자연증발시켜 실내로 분출하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과도하게 건조해지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실내의 습도가 과다하게 높을 경우에는, 이를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증발조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가 과도하게 건조해지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실내에 과도하게 잔존된 수분을 흡수부재를 통해 흡수하여, 실내의 습도를 인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의 제어흐름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에 적용되는 수분공급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에 적용되는 수분흡수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지주(21)와, 상기 지주(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22)과, 상기 지주(21)들을 수평적으로 연결하는 측부프레임(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2)를 가진다.
상기한 본체(2)는, 나무 또는 금속 및 합성수지재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는, 상기 본체(2)의 상부프레임(22)에 안치된 상태로 고정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황토매트리스(3)를 가진다.
즉, 상기 황토매트리스(3)를 통해 사용자가 누워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황토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통해 건강한 수면을 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는, 상기한 본체(2)의 상부프레임(22)에 구비되며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된 수분공급수단(4)과; 상기 지주(21)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부프레임(23)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 중에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수분흡수수단(5);을 더 가진다.
즉,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수분공급수단(4)을 통해 실내로 수분을 공급하게 되며,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수분흡수수단(5)을 통해 실내의 과도한 수분을 흡수하여 실내의 습도를 선택된 습도에 맞춤 되게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에서, 상기한 수분공급수단(4)은,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프레임(22)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삽입수용되며 마개(42)의 개폐를 통해 물을 주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저장통(43)과,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상기 저장통(43)과 연접하는 위치에 삽입수용되어 상기 저장통(43)과 공급호스(44)를 통해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에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자연증발시키도록 된 발포성수지(45)가 수용된 '함(函: box)' 형상의 증발조(46)와, 상기 케이스(41)의 개구에서 상기 증발조(46)의 상부 위치에 삽입고정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덮개(47)와, 제어수단(6)의 제어를 통해 전원공급부(7)의 전원을 제어수단(6)의 제어를 통해 인가받아 상기 공급호스(44)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된 개폐밸브(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상기 개폐밸브(48)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통(43)에 저장된 물을 상기 증발조(46)로 공급하여 상기 증발조(46)의 발포성수지(45)를 통해 자연증발시켜 실내로 분출하게 된다.
한편,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개폐밸브(48)를 폐쇄하여 상기 저장통(43)에 저장된 물을 상기 증발조(46)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로 과도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41)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6)으로 감지된 습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습도감지센서(8)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습도감지센서(8)를 통해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6)으로 습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6)에서 상기 습도감지센서(8)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근거로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연산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프레임(22)에는, 상기 황토매트리스(3)로의 열원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수단(6)으로 신호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메인스위치(9)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으로 실내의 습도에 대한 원하는 습도를 선택하여 선택된 습도를 설정하도록 된 조절스위치(1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으로 인가되는 상기 저장통(43)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표시하도록 된 표시등(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통(43)에는,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6)은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미 도시된 수위감지센서기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41)는, 상기 상부프레임(22)의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통(43)과 상기 증발조(46) 및 상기 덮개(47)는. 상기 케이스(41)에서 탈 부착되도록 되어, 필요 시, 각각 상기 케이스(41)에서 분리하여 보수 및 교체를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에서, 상기한 수분흡수수단(5)은, 상기 측부프레임(23)에서 내외가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며 전면이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 충전되며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도록 된 수분흡수물질로 이루어지는 흡수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실내의 습도가 과다하게 높을 경우, 실내에 과도하게 잔존된 수분을 상기 흡수부재(52)를 통해 흡수하여, 실내의 습도를 인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정도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에서 흡수부재(52)는, 황토분말 20~30중량%, 펄라이트 20~30중량%와, 펄프 8~12중량%, 1mm 이하로 파쇄된 짚 13~17중량%, 질석 8~12 중량%, 숯 분말 13~17중량%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황토분말은, 결합제로 사용되며, 보습제로 사용되는 상기 펄라이트(pearlite)는, 진주암을 급격히 가열하여 공극을 많게 한 경석암으로 공극이 많아서 수분을 많이 흡습 할 수 있어 흡수된 수분을 저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펄프, 질석(vermiculite), 분쇄된 짚(rice straw) 및 숯은 조습제로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51)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블록'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하우징(51)에는 상기 흡수부재(52)에서 흡수된 수분을 유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스펀지재질로 이루어진 수분저장체(5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분저장체(53)를 통해 상기 흡수부재(52)에서 흡수된 수분을 유입받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51)에서 상기 수분저장체(53)가 배치되는 부위는, 전면의 개구에 비하여 바닥면이 수직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분저장체(53)에 저장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52)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누수 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어수단(6)은, 상기 습도감지센서(8)에서 인가되는 감지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를 통해 선택된 실내의 습도 정도와 비교연산하여 상기 개폐밸브(48)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조절스위치(10)를 통해 실내의 습도를 원하는 습도로 선택하고, 상기 저장통(43)의 마개(42)를 개방하여 용수를 저장하고, 상기 메인스위치(9)를 통해 상기 황토매트리스(3)를 전기적인 제어를 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거나 사용을 하게 된다.
이때,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에 비하여 건조할 때에는, 이를 상기 습도감지센서(8)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상기 개폐밸브(48)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8)가 개방되면, 상기 저장통(43)에 저장된 용수가 공급호스(44)를 통해 상기 증발조(46)로 공급되고, 상기 증발조(46)에서 발포성수지(45)를 통해 자연증발되어 실내로 수분을 분출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건조한 실내의 습도가 증대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습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를 상기 습도감지센서(8)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개폐밸브(48)를 폐쇄하게 된다.
이애 따라, 상기 저장통(43)에 저장된 용수가 상기 증발조(46)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가 과도하게 건조해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수가 상기 증발조(46)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부재(52)가 실내에 과도하게 잔존된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습도가 선택된 습도를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황토침대(1)는, 건조한 실내로 수분을 공급함은 물론, 실내에 과다하게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되어, 실내의 습도를 인체가 활동하기 용이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황토침대 2 : 본체
21 : 지주 22 : 상부프레임
23 : 측부프레임 3 : 황토매트리스
4 : 수분공급수단 41 : 케이스
42 : 마개 43 : 저장통
44 : 공급호스 45 : 발포성수지
46 : 증발조 47 : 덮개
48 : 개폐발브 5 : 수분흡수수단
51 : 하우징 52 : 흡수부재
53 : 수분저장체 6 : 제어수단
7 : 전원공급부 8 : 습도감지센서
9 : 메인스위치 10 : 조절스위치
11 : 표시등

Claims (2)

  1.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프레임에 안치된 상태로 고정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황토매트리스를 포함하는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된 수분공급수단과; 상기 지주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중에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수분흡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수분공급수단은,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수용되며 마개의 개폐를 통해 물을 주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저장통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저장통과 연접하는 위치에 삽입수용되어 상기 저장통과 공급호스를 통해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에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자연증발시키도록 된 발포성수지가 수용된 '함(函: box)' 형상의 증발조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서 상기 증발조의 상부 위치에 삽입고정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덮개와,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받아 상기 공급호스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된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분흡수수단은,
    상기 측부프레임에서 내외가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며 전면이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전되며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도록 된 수분흡수물질로 이루어지는 흡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케이스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된 습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습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 습도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감지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를 통해 선택된 실내의 습도 정도와 비교연산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에는,
    상기 흡수부재에서 흡수된 수분을 유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스펀지재질로 이루어진 수분저장체가 배치되며;
    상기한 하우징에서 상기 수분저장체가 배치되는 부위는,
    전면의 개구에 비하여 바닥면이 수직상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분저장체에 저장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KR1020160080643A 2016-06-28 2016-06-28 황토침대 KR10180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43A KR101809095B1 (ko) 2016-06-28 2016-06-28 황토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43A KR101809095B1 (ko) 2016-06-28 2016-06-28 황토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095B1 true KR101809095B1 (ko) 2017-12-14

Family

ID=6095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643A KR101809095B1 (ko) 2016-06-28 2016-06-28 황토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20A (ko) * 2019-11-18 2021-05-26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20A (ko) * 2019-11-18 2021-05-26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KR102272974B1 (ko) * 2019-11-18 2021-07-05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447B1 (ko) 미세발열체 및 온수관을 이용한 모듈형 냉, 온열 매트리스
KR101809095B1 (ko) 황토침대
CA2514707A1 (en) Greenhouse heating system
CN103536094A (zh) 具备冷暖两用的功能床
KR20150131843A (ko) 화분의 가습 겸용 자동 급수장치
KR101809096B1 (ko) 황토보료
KR20080004422A (ko) 숯기둥이 구비된 침대보료
KR101759978B1 (ko) 황토축열 침대
KR20120049015A (ko) 저수조가 없는 가열식 세라믹 가습기
KR20110079105A (ko)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JPH06280317A (ja) 吸湿材
KR20200115847A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침대
KR102272974B1 (ko)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KR20070091816A (ko) 물 침대용 매트리스 원단
KR20090012702U (ko) 제습가구
KR20220136959A (ko) 수분보습 온돌보료
JP3696773B2 (ja) 建築物
KR20000004431A (ko) 숯이 내재된 소파장치
KR100321632B1 (ko) 침대용숯매트리스
KR200319025Y1 (ko) 건강 4계절 침대
JP3043160U (ja) 遺体保護材及びこの遺体保護材を有する棺
CN207332432U (zh) 取暖充气小屋
KR200481003Y1 (ko) 커버가 부설된 온열찜질기
KR20150089417A (ko) 축열식 찜질부스
KR200400640Y1 (ko)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