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959A - 수분보습 온돌보료 - Google Patents

수분보습 온돌보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959A
KR20220136959A KR1020220117725A KR20220117725A KR20220136959A KR 20220136959 A KR20220136959 A KR 20220136959A KR 1020220117725 A KR1020220117725 A KR 1020220117725A KR 20220117725 A KR20220117725 A KR 20220117725A KR 20220136959 A KR20220136959 A KR 2022013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water
moisture
plate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김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영 filed Critical 김건영
Priority to KR102022011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959A/ko
Publication of KR2022013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of gas, e.g. hot ai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분보습 온돌보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에 매트레스 대신 올려놓거나, 또는 본 발명을 바닥에 깔아놓고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온돌보료의 내측에 동판과 같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묻받이트레이를 설치하고, 그 묻받이트레이의 하부에는 전열판을 설치하며, 묻받이트레이의 상부에는 물흡수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묻받이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물흡수패드에 스며들어 있다가 그 수분이 서서히 증발하면서 온돌보료의 사용자에게 습기를 제공하고,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전열판에 의한 열기로 난방을 하며 따뜻한 수증기형태의 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무판으로 되는 바닥판(60)의 상면 외곽에 목재로 된 테두리(70)를 설치하고 이 테두리(70)의 소정위치에 물받이부 안착홈(71)을 내향 형성하되, 이 물받이부 안착홈(71)은 내측방으로 개구된 부분이 수분보습 온돌보료(100)의 중앙부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바닥판(60)의 상면에 전열판(61)이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전열판(61) 상부에 묻받이트레이(80)를 설치하되, 사각판형태로 형성되는 트레이본체(81)의 외곽에 상기 테두리(70)의 물받이부 안착홈(71) 삽입되는 물받이부(8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트레이본체(81)와 물받이부(82)의 외곽 전둘레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게 하는 돌출턱(83)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82)의 상부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물주입체(90)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90)는 중앙에 물주입홀(9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물주입홀(91)의 상부에는 마개(93)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트레이본체(81)의 상면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공급된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62)가 설치되며, 상기 물흡수패드(62)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62)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이 적층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분보습 온돌보료{Moisture moisturizing Korean floor heating system mattress}
본 발명은 수분보습 온돌보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에 매트레스 대신 올려놓거나, 또는 본 발명을 바닥에 깔아놓고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온돌보료의 내측에 동판과 같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묻받이트레이를 설치하고, 그 묻받이트레이의 하부에는 전열판을 설치하며, 묻받이트레이의 상부에는 물흡수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묻받이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물흡수패드에 스며들어 있다가 그 수분이 서서히 증발하면서 온돌보료의 사용자에게 습기를 제공하고,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전열판에 의한 열기로 난방을 하며 따뜻한 수증기형태의 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온돌보료와 관련한 종래의 특허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12272호(고안의 명칭 : 온돌보료), 실용신안등록 제20-0280918호(고안의 명칭 : 세라믹 황토 온돌보료), 실용신안등록 제20-0096137호(고안의 명칭 : 온돌흙보료), 특허등록 제10-1244750호(발명의 명칭 : 온돌 침대용 구들 보료) 등의 기술이 각각의 실용신안 및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위에서 기재한 종래의 온돌보료와 관련한 종래의 특허기술은 본 발명과 같이 온돌보료가 포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수분에 의한 보습을 제공하는 기술은 전혀 포함되지 않고 있으므로 본 발명과 비교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제20-0264061호(고안의 명칭 :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로 등록되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써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10)의 내부에는 상부백(20)과 동판(30) 및 하부판(40)이 내장된다.
상기 상부백(20)은 PVC재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솜(21)이 내장되고, 솜(21)은 소금물 85중량%와 숯 5중량%와 맥반석가루 5중량% 및 황토 5중량%로 구성된 축열물질에 의하여 적셔주게 되며, 상부백(20)의 일측에는 상기 축열물질을 상부백(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3)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판(30)의 상면에는 은박지(銀箔紙)(33)가 부착되고, 은박지(33)상에 열선(51)이 설치되고, 열선(51)에는 바이메탈이 설치되고, 열선(5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은박지(33) 상에는 온도감지기가 설치된다. 열선(51)과 바이메탈 및 온도감지기는 컨트롤부와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열선(51)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상부백(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축열물질에 의해 젖은 솜(21)이 따뜻하게 데워지게 되며, 상부백(20)이 PVC재로 제조되며 완전 밀봉되어 수증기가 습기가 상부백(20)의 외부로 나오지 않고 상부백이 따뜻하기만 하여 종래고안은 사용자에게 습기는 제공하지 못하고 바닥만 따뜻하게 하는 것이다.
찜질이란 단어는 국어사전에 "약물이나 더운물 따위를 적신 헝겊이나, 얼음 따위를 넣은 주머니를 아픈 자리에 대어 병을 고치는 일" , "뜨거운 모래나 물속에 몸을 넣고 땀을 흘려 병을 치료하는 일"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고안은 난방바닥만 따뜻하게 하는 것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찜질매트라고 칭할 수 없으나, 상부백을 뜨겁게 하여 땀을 흘리게 하여 찜질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으나, 습기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피부를 건조시키는 부작용과 함께 찜질효과는 미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고안은 동판(30)이 삽입되어서 접어 보관할 수 없어 미사용시 또는 제조공장 및 판매업체에서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상부백의 내측으로 축열물질을 주입하는 공급관(23)이 상부백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종래고안을 펼쳐놓고 사용할 때, 상기 돌출된 공급관(23)에 걸리거나 배기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64061호(고안의 명칭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대프레임에 매트레스 대신 올려놓거나, 또는 본 발명을 바닥에 깔아놓고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온돌보료의 내측에 동판과 같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묻받이트레이를 설치하고 그 묻받이트레이의 하부에는 전열판을 설치하고, 묻받이트레이의 상부에는 물흡수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묻받이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물흡수패드에 스며들어 있다가 그 수분이 서서히 증발하면서 온돌보료의 사용자에게 습기를 제공하고,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전열판에 의한 열기로 난방을 하며 따뜻한 수증기형태의 습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무판으로 되는 바닥판의 상면 외곽에 목재로 된 테두리를 설치하고 이 테두리의 소정위치에 물받이부 안착홈을 내향 형성하되, 이 물받이부 안착홈은 내측방으로 개구된 부분이 수분보습 온돌보료의 중앙부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내측의 바닥판의 상면에 전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 내측의 전열판 상부에 묻받이트레이를 설치하되, 사각판형태로 형성되는 트레이본체의 외곽에 상기 테두리의 물받이부 안착홈 삽입되는 물받이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트레이본체와 물받이부의 외곽 전둘레에는 묻받이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게 하는 돌출턱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의 상부에는 묻받이트레이로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물주입체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는 중앙에 물주입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물주입홀의 상부에는 마개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 내측의 트레이본체의 상면에는 묻받이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물흡수패드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습기통과 세라믹판이 적층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분보습 온돌보료는, 온돌보료의 내측에 동판과 같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묻받이트레이를 설치하고 그 묻받이트레이의 하부에는 전열판를 설치하고, 묻받이트레이의 상부에는 물흡수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묻받이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물흡수패드에 스며들어 있다가 그 수분이 서서히 증발하면서 온돌보료의 사용자에게 습기를 제공하고,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전열판에 의한 열기로 난방을 하며 따뜻한 수증기형태의 습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매트레스 대신 올려놓거나, 또는 본 발명을 바닥에 깔아놓고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습기를 공급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침대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보습 온돌보료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보습 온돌보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보습 온돌보료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묻받이트레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분보습 온돌보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보습 온돌보료(1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무판으로 되는 바닥판(60)의 상면 외곽에 목재로 된 테두리(70)를 설치하고 이 테두리(70)의 소정위치에 물받이부 안착홈(71)을 내향 형성하되, 이 물받이부 안착홈(71)은 내측방으로 개구된 부분이 수분보습 온돌보료(100)의 중앙부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바닥판(60)의 상면에 전열판(61)을 설치하되, 이 전열판(61)을 대신하여 플랙시블한 온수호스나 전열선을 설치할 수 있으며, 온수호스나 전열선을 설치할 때는 온수호스나 전열선을 소정의 쿠션을 가지며 열기에 손상을 방지하게 하는 단열소재에 부착 또는 장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전열판(61) 상부에 묻받이트레이(80)를 설치하되, 이 묻받이트레이(80)는 동판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형성하며, 사각판형태로 형성되는 트레이본체(81)의 외곽에 테두리(70)의 물받이부 안착홈(71) 삽입되는 물받이부(8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트레이본체(81)와 물받이부(82)의 외곽 전둘레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게 하는 돌출턱(83)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82)의 상부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물주입체(90)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90)는 물주입체(90)를 물받이부(82)에 안착시켰을 때 물주입체(90)의 상면과 테두리(70)의 상면 높이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하며, 중앙에 물주입홀(9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물주입홀(91)의 상부에는 마개(93)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물주입체(90)의 내측 하부에는 묻받이트레이(80)의 중앙부측으로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홀(92)이 물주입홀(91)의 하부와 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트레이본체(81)의 상면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공급된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62)가 설치되는데, 이 물흡수패드(62)는 부직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흡수패드(62)의 상면에 습기가 통하는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을 설치하는데, 이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은 항아리와 같이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어 물은 배출은 되지 않고 통기가 되는 세라믹판을 칭하는 것으로, 공극이 많은 돌판이나, 숯을 포함한 황토판, 황토로만 된 황토판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상기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은 하나의 통판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을 타일형태로 분할한 타일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을 타일형태로 설치하면 통판일 때 보다 타일형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의 틈새로 보다 많은 습기가 상측으로 올라오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보습 온돌보료(100)는 침대프레임에 매트레스 대신 올려놓거나, 또는 본 발명을 바닥에 깔아놓고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분보습 온돌보료(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장소에 수분보습 온돌보료(100)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물주입체(90)의 상측에 설치된 마개(93)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주입체(90)의 물주입홀(91)로 물을 주입하며, 물의 주입을 마친 뒤에는 마개(93)를 닫아서 이물질이 물주입홀(91)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물주입체(90)의 내측 하부에는 묻받이트레이(80)의 중앙부측으로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홀(92)이 물주입홀(91)의 하부와 통하게 형성되어서 물주입홀(91)로 주입되는 물이 트레이본체(81) 측으로 용이하게 주입되게 된다.
이렇게 배수홀(92)을 통하여 물주입체(90)의 저면에 접촉하는 물받이부(82)의 상면으로 물이 내려오게 되며, 이 물받이부(82)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본체(81)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어서 물받이부(82)로 유입되는 물이 트레이본체(81) 측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묻받이트레이(80)는 외곽 전둘레에 돌출턱(83)이 상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묻받이트레이(80)으로 공급되는 물이 묻받이트레이(80)의 외측으로 흘러넘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묻받이트레이(80)로 물이 공급될 때, 묻받이트레이(80)는 동판과 같은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부직포로 되는 물흡수패드(62)가 적층 설치되어서 묻받이트레이(80) 바닥면의 수평방향으로 물이 빠르게 흘러 들어가나, 묻받이트레이(80)의 트레이본체(81) 상면에 흘러드는 물이 물흡수패드(62)로 서서히 스며들게 된다.
위에서 묻받이트레이(80)의 바닥으로 물이 빠르게 흘러 들어간다고 한 것은 물흡수패드(62)로 스며드는 것보다 빠르게 유입된다는 것이며, 묻받이트레이(80)으로 유입되는 물은 묻받이트레이(80)가 동판으로 형성되어서 당연히 그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아 묻받이트레이(80) 하측의 전열판(61)이 물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음은 당연한 것이다.
위와 같이 물흡수패드(62)로 스며든 물기는 물흡수패드(62)의 상면에 설치된 습기통과 세라믹판(63)으로 바로 통과하지 못하여 상측의 습기통과 세라믹판(63)와 하측의 묻받이트레이(80) 사이에 갇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은 항아리와 같이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어 물은 통하지 않고 통기가 되는 세라믹판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공극이 많은 돌판이나, 숯을 포함한 황토판, 황토로만 된 황토판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였다.
그에 따라 물흡수패드(62)에 스며든 물기가 습기통과 세라믹판(63)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는 통과할 수 있어서 입자가 작은 수증기(습기)는 습기통과 세라믹판(63)를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위와 같이 물흡수패드(62)에 물이 스며든 상태에서 물흡수패드(62)에 스며든 물기는 전열판(61)에서 열기가 발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증발하게 되고, 전열판(61)이 발열되는 경우에는 그 열기에 의해 물흡수패드(62)에 스며든 물기가 빠르게 증발되어 보다 많은 수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묻받이트레이(8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판으로 형성되어 전열판(61)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묻받이트레이(80)에 묻받이트레이(80)로 유입된 물이 빠르게 증발되게 되며, 습기통과 세라믹판(63)로 전달되는 열기도 빠르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습기통과 세라믹판(63)를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는 습기는 황토나 숯 등의 인체의 유익한 기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건강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 황토의 경우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집안의 곰팡이 등의 서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병균의 전염을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만들어주는 이점과, 40~5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열에 의해 인체의 말초모세혈관의 운동을 활성화시킬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세락믹제의 유익한 물질이 습기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여 열기와 함께 훈증 찜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습기를 제공함으로 피부가 건조해지는 온열작용의 건조함을 해소하고 피부수분손실과 건조한 호흡을 인한 인체 탈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60 : 바닥판 61 : 전열판 62 : 물흡수패드
63 : 습기통과 세라믹판 70 : 테두리 71 : 물받이부 안착홈
80 : 묻받이트레이 81 : 트레이본체 82 : 물받이부
83 : 돌출턱 90 : 물주입체 91 : 물주입홀
92 : 배수홀 100 : 수분보습 온돌보료

Claims (2)

  1. 나무판으로 되는 바닥판(60)의 상면 외곽에 목재로 된 테두리(70)를 설치하고 이 테두리(70)의 소정위치에 물받이부 안착홈(71)을 내향 형성하되, 이 물받이부 안착홈(71)은 내측방으로 개구된 부분이 수분보습 온돌보료(100)의 중앙부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바닥판(60)의 상면에 전열판(61)이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전열판(61) 상부에 묻받이트레이(80)를 설치하되, 사각판형태로 형성되는 트레이본체(81)의 외곽에 상기 테두리(70)의 물받이부 안착홈(71) 삽입되는 물받이부(8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트레이본체(81)와 물받이부(82)의 외곽 전둘레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게 하는 돌출턱(83)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82)의 상부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물주입체(90)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90)는 중앙에 물주입홀(9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물주입홀(91)의 상부에는 마개(93)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70) 내측의 트레이본체(81)의 상면에는 묻받이트레이(80)로 공급된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62)가 설치되며, 상기 물흡수패드(62)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62)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습기통과 세라믹판(63)이 적층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보습 온돌보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묻받이트레이(8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물주입체(90)의 내측 하부에는 묻받이트레이(80)의 중앙부측으로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홀(92)이 물주입홀(91)의 하부와 통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보습 온돌보료.
KR1020220117725A 2022-09-16 2022-09-16 수분보습 온돌보료 KR20220136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725A KR20220136959A (ko) 2022-09-16 2022-09-16 수분보습 온돌보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725A KR20220136959A (ko) 2022-09-16 2022-09-16 수분보습 온돌보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959A true KR20220136959A (ko) 2022-10-11

Family

ID=8359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725A KR20220136959A (ko) 2022-09-16 2022-09-16 수분보습 온돌보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9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61Y1 (ko) 2001-10-09 2002-02-19 이병환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61Y1 (ko) 2001-10-09 2002-02-19 이병환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6959A (ko) 수분보습 온돌보료
CN109077920A (zh) 养生瓮
KR20080004422A (ko) 숯기둥이 구비된 침대보료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KR101045054B1 (ko) 숯 침대 및 그 제조방법
CN209108038U (zh) 一种脚底按摩熏蒸装置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200455434Y1 (ko) 한약 뜸 찜질 침대
KR20220134492A (ko) 훈증 찜질매트
KR200370232Y1 (ko) 건식용 반신욕기기
KR102272974B1 (ko)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CN205372727U (zh) 一种多功能蒸汽式取暖器
KR200209413Y1 (ko) 원적외선 방사 보온 매트
KR101468799B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황토침대
KR100395736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건강 매트
KR20020054287A (ko)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난방용 매트리스를 갖는 찜질용 침대
KR20110012048U (ko) 돌침대용 바닥판
KR20100091317A (ko) 원적외선 열뜸을 할 수 있는 옥돌과 참 숯을 구비한 황토 흙침대
KR200427732Y1 (ko) 한방식 수족(手足)찜질기
KR20090127032A (ko) 찜질용 평상
KR200306905Y1 (ko) 매립형 건강판넬
KR200460760Y1 (ko) 건식 족욕기
KR100397108B1 (ko) 전자파 해가 없는 찜질용구
JP3119899U (ja) 健康シート及び寝具
KR200314444Y1 (ko) 찜질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