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492A - 훈증 찜질매트 - Google Patents

훈증 찜질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492A
KR20220134492A KR1020220117724A KR20220117724A KR20220134492A KR 20220134492 A KR20220134492 A KR 20220134492A KR 1020220117724 A KR1020220117724 A KR 1020220117724A KR 20220117724 A KR20220117724 A KR 20220117724A KR 20220134492 A KR20220134492 A KR 2022013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d
heating member
water injection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김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영 filed Critical 김건영
Priority to KR102022011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492A/ko
Publication of KR2022013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85Devices for generating hot or cold treatment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4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clay, mud, fango, sand, kaolin clay, volcanic or other inorganic granular sol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증 찜질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훈증 찜질매트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물주입체로 물을 주입하면 물이 방수시트의 하부로는 스며들지 않고 방수시트의 상면에 적층된 물흡수패드에 스며들게 되며, 방수시트 하측의 발열부재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따뜻하게 찜질을 하게 함과 아울러, 물흡수패드에 스며든 물기가 증발하면서 물흡수패드 상측의 발수시트를 통하여 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서 사용자에게 습기와 열기를 함께 제공하여 훈증 찜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견면압축솜으로 되는 바닥패드(1)의 상면에 쿠션패드(2)를 적층하되, 이 쿠션패드(2)의 상면에는 발열부재(3)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패드(2)의 상면에는 발열부재(3)를 포함한 쿠션패드(2)의 상면을 덮는 방수시트(7)가 적층되며, 방수시트(7)의 상면 사방외곽에 테두리(4,4b,4c)를 설치하되, 테두리(4,4b,4c)의 소정위치에 물주입체 설치홈(4a)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체 설치홈(4a)에는 물주입홀(6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측에 마개(6)가 개폐되게 설치되는 물주입체(5)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5)는 하부가 방수시트(7)의 상면에 얹히게 삽입 안착되며;
상기 테두리(4,4b,4c) 내측의 방수시트(7) 상면에는 물주입홀(6a)로 주입되는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8)가 적층 설치되고, 이 물흡수패드(8)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8)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발수시트(9)가 적층 설치되며, 상기 발수시트(9)의 상면에 황토분말이 투입된 항토패드나, 또는 허브, 약쑥, 녹차잎과 같은 식물성 방향제를 삽입시킨 향기패드 중의 하나의 상면패드(12)가 적층 설치되고;
하측의 바닥패드(1)부터 상측의 상면패드(12) 까지의 외부에 외피(11)가 지퍼에 의해 삽탈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증 찜질매트{Fumigation Steamer Mat}
본 발명은 훈증 찜질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훈증 찜질매트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물주입체로 물을 주입하면 물이 방수시트의 하부로는 스며들지 않고 방수시트의 상면에 적층된 물흡수패드에 스며들게 되며, 방수시트 하측의 발열부재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따뜻하게 찜질을 하게 함과 아울러, 물흡수패드에 스며든 물기가 증발하면서 물흡수패드 상측의 발수시트를 통하여 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서 사용자에게 습기와 열기를 함께 제공하여 훈증 찜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제20-0264061호(고안의 명칭 :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로 등록되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써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10)의 내부에는 상부백(20)과 동판(30) 및 하부판(40)이 내장된다.
상기 상부백(20)은 PVC재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솜(21)이 내장되고, 솜(21)은 소금물 85중량%와 숯 5중량%와 맥반석가루 5중량% 및 황토 5중량%로 구성된 축열물질에 의하여 적셔되며, 상부백(20)의 일측에는 상기 축열물질을 상부백(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3)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판(30)의 상면에는 은박지(銀箔紙)(33)가 부착되고, 은박지(33)상에 열선(51)이 설치되고, 열선(51)에는 바이메탈이 설치되고, 열선(5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은박지(33) 상에는 온도감지기가 설치된다. 열선(51)과 바이메탈 및 온도감지기는 컨트롤부와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열선(51)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상부백(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축열물질에 의해 젖은 솜(21)이 따뜻하게 데워지게 되며, 상부백(20)이 PVC재로 제조되며 완전밀봉되어 수증기가 습기가 상부백(20)의 외부로 나오지 않고 상부백이 따뜻하기만 하여 종래고안은 사용자에게 습기는 제공하지 못하고 바닥만 따뜻하게 하는 것이다.
찜질이란 단어는 국어사전에 "약물이나 더운물 따위를 적신 헝겊이나, 얼음 따위를 넣은 주머니를 아픈 자리에 대어 병을 고치는 일" , "뜨거운 모래나 물속에 몸을 넣고 땀을 흘려 병을 치료하는 일"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고안은 난방바닥만 따뜻하게 하는 것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찜질매트라고 칭할 수 없으나, 상부백을 뜨겁게 하여 땀을 흘리게 하여 찜질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으나, 습기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피부를 건조시키는 부작용과 함께 찜질효과는 미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고안은 동판(30)이 삽입되어서 접어 보관할 수 없어 미사용시 또는 제조공장 및 판매업체에서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상부백의 내측으로 축열물질을 주입하는 공급관(23)이 상부백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종래고안을 펼쳐놓고 사용할 때, 상기 돌출된 공급관(23)에 걸리거나 배기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64061호(고안의 명칭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열부재가 매설된 쿠션패드의 상면에 방수시트를 적층하고, 방수시트의 상면 사방외곽에 테두리를 설치하며, 테두리 내측의 방수시트 상면에는 상면에 발수시트가 적층되는 물흡수패드를 적층 설치하며, 테두리에는 실리콘으로 된 물주입체를 설치함으로써, 물주입체로 물을 주입하면 물이 방수시트의 하부로는 스며들지 않고 방수시트의 상면에 적층된 물흡수패드에 스며들게 되며, 방수시트 하측의 발열부재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따뜻하게 찜질을 하게 함과 아울러, 물흡수패드에 스며든 물기가 증발하면서 발수시트를 통하여 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서 사용자에게 습기와 열기를 함께 제공하여 훈증 찜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견면압축솜으로 되는 바닥패드의 상면에 쿠션패드를 적층하되, 이 쿠션패드의 상면에는 발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패드의 상면에는 발열부재를 포함한 쿠션패드의 상면을 덮는 방수시트가 적층되며, 방수시트의 상면 사방외곽에 테두리를 설치하되, 테두리의 소정위치에 물주입체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체 설치홈에는 물주입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측에 마개가 개폐되게 설치되는 물주입체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는 하부가 방수시트의 상면에 얹히게 삽입 안착되며;
상기 테두리 내측의 방수시트 상면에는 물주입홀로 주입되는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가 적층 설치되고, 이 물흡수패드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발수시트가 적층 설치되며, 상기 발수시트의 상면에 황토분말이 투입된 항토패드나, 또는 허브, 약쑥, 녹차잎과 같은 식물성 방향제를 삽입시킨 향기패드 중의 하나의 상면패드가 적층 설치되고;
하측의 바닥패드부터 상측의 상면패드 까지의 외부에 외피가 지퍼에 의해 삽탈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훈증 찜질매트는, 훈증 찜질매트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물주입체로 물을 주입하면 물이 방수시트의 하부로는 스며들지 않고 방수시트의 상면에 적층된 물흡수패드에 스며들게 되며, 방수시트 하측의 발열부재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따뜻하게 찜질을 하게 함과 아울러, 물흡수패드에 스며든 물기가 증발하면서 물흡수패드 상측의 발수시트를 통하여 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서 사용자에게 습기와 열기를 함께 제공하여 훈증 찜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구성요소들 모두가 견면압축솜이나 압축스폰지와 같은 발포수지와 같이 접힘성이 양호한 소재로 구성되어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불이나 요를 접어서 보관하는 것처럼 접을 수 있어서 보관장소를 많이 차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훈증 찜질매트의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훈증 찜질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물주입체와 발열부재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훈증 찜질매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훈증 찜질매트(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견면압축솜으로 되는 바닥패드(1)의 상면에 쿠션패드(2)를 적층하되, 이 쿠션패드(2)는 압축스폰지와 같은 발포합성수지나, 또는 쿠션이 우수한 발포라텍스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쿠션패드(2)의 상면에는 전열선이나 플랙시블한 온수호스와 같이 발열되는 발열부재(3)가 삽입되는 발열부재삽입홈(2a)이 형성되어 그 발열부재삽입홈(2a)에 발열부재(3)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쿠션패드(2)의 상면에 발열부재삽입홈(2a)을 형성하지 않고 평평한 상면에 난방필름을 적층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쿠션패드(2)의 상면에는 발열부재(3)를 포함한 쿠션패드(2)의 상면을 덮는 방수시트(7)가 적층되며, 방수시트(7)는 물이 통과하지 않는 비닐지를 포함한 합성수지지나, 직물지에 실리콘을 코팅한 시트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7)의 상면 사방외곽에 테두리(4,4b,4c)를 설치하되, 테두리(4,4b,4c)의 소정위치에 물주입체 설치홈(4a)을 형성하고, 그 물주입체 설치홈(4a)에는 물주입홀(6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물주입체(5)를 설치하며, 이 물주입체(5)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배기지 않게 하며, 물주입홀(6a)의 하부가 방수시트(7)의 상면에 얹히게 삽입 안착되며, 물주입홀(6a)의 상부에는 마개(6)가 개폐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4,4b,4c) 내측의 방수시트(7) 상면에는 물주입홀(6a)로 주입되는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8)가 적층 설치되며, 이 물흡수패드(8)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8)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발수시트(9)가 적층 설치된다.
상기 발수시트(9)는 원단 조직의 크기가 물 입자보다 작아서 물이 투과되지 않아 방수, 투습이 우수하고 통풍이 가능한 원단(예 : 코오롱 스포츠에서 개발한 하이포라원단)과 같은 기능을 하는 원단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발수시트(9)의 상면에 황토분말이 투입된 항토패드, 또는 허브, 약쑥, 녹차잎과 같은 식물성 방향제를 삽입시킨 향기패드와 또는 치료용 약초와 같은 상면패드(12)를 적층 설치하며, 테두리(4,4b,4c)의 높이와 물흡수패드(8)에서 상면패드(12)까지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설치하며, 하측의 바닥패드(1)부터 상측의 상면패드(12) 까지의 외부에 외피(11)가 지퍼에 의해 삽탈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훈증 찜질매트(100)는 솜과 스폰지, 라텍스와 같은 쿠션 및 보온기능을 하는 내부재를 직물커버로 감싼 요나 이불을 접을 수 있는 것처럼 말거나 접어둘 수 있어 보관할 때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훈증 찜질매트(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장소에 훈증 찜질매트(100)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물주입체(5)의 상측에 설치된 마개(6)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주입체(5)의 물주입홀(6a)로 물을 주입하며, 물의 주입을 마친 뒤에는 마개(6)를 닫아서 이물질이 물주입홀(6a)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상기 물주입체(5)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물주입홀(6a)로 주입하는 물이 물주입체(5)에 스며들지 않고 물주입홀(6a)을 통하여 그 물주입홀(6a)의 저면에 접촉하는 방수시트(7)의 상면으로 내려오게 되며, 방수시트(7)의 상면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로 된 물흡수패드(8)가 설치되어서 물주입홀(6a)로 주입한 물이 방수시트(7)의 상면에 적층된 물흡수패드(8)로 스며들게 된다.
이때, 방수시트(7)는 물이 통과하지 않는 비닐지 등의 합성수지지나, 직물지에 실리콘을 코팅한 시트지를 사용하여 방수시트(7)의 상면으로 주입되는 물이 방수시트(7)의 하부로는 스며들거나 내려가지 않고, 방수시트(7)의 상면에 얹힌 물흡수패드(8)에만 물이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물흡수패드(8)로 스며든 물기는 물흡수패드(8)의 상면에 덮여있는 발수시트(9)는 통과하지 못하여 상측의 발수시트(9)와 하측의 방수시트(7) 사이에 갇혀 있으면서 물흡수패드(8)에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수시트(9)는 원단 조직의 크기가 물 입자보다 작아서 물이 투과되지 않아 방수, 투습이 우수하고 통풍이 가능한 원단(예 : 코오롱 스포츠에서 개발한 하이포라원단)과 같은 기능을 하는 원단을 사용하여 물은 상측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공기는 통과할 수 있어서 입자가 작은 수증기(습기)는 발수시트(9)를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물주입체(5)의 물주입홀(6a)을 통하여 적당량의 물을 주입한 뒤에 물주입홀(6a)의 상부를 마개(6)로 닫는데, 마개(6)의 상측 두께를 3미리 내외로 얇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사용 시 배기거나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팔을 움직이는 등의 동작시 걸림이 없게 된다.
위와 같이 물흡수패드(8)에 물이 스며든 상태에서 물흡수패드(8)에 스며든 물기는 발열부재(3)에서 열기가 발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증발하게 되고, 발열부재(3)가 발열되는 경우에는 그 열기에 의해 물흡수패드(8)에 스며든 물기가 빠르게 증발되어 보다 많은 수증기가 발생된다.
이렇게 증발하는 수증기(습기)는 물흡수패드(8) 하측의 방수시트(7)로는 통과하지 못하고 상측으로 올라가는데, 물흡수패드(8)의 상측에 적층된 발수시트(9)는 하이포라 원단과 같이 물은 통과하지 못하나 공기는 통하도록 된 것이어서 소량의 습기가 발수시트(9)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발수시트(9)를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는 습기는 발수시트(9)의 상측에 적층된 상면패드(12)에 스며들게 되는데, 이 상면패드(12)는 황토분말이 투입된 항토패드나, 또는 허브, 약쑥, 녹차잎, 쑥, 솔잎, 당귀과 같은 식물성 방향제를 삽입시킨 향기패드와 또는 치료용 약초와 같은 상면패드(12)를 적층 설치하여서 황토분말이나 식물성 방향제에 습기가 스며들게 된다.
상기 황토패드에 포함하는 황토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집안의 곰팡이 등의 서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병균의 전염을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만들어주는 이점과, 40~5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열에 의해 인체의 말초모세혈관의 운동을 활성화시킬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물성 방향제를 삽입시킨 향기패드는 허브, 약쑥, 녹차잎, 쑥, 솔잎, 당귀 등이 포함된 것으로 발열부재(3)에 의해 발생되는 따뜻한 습기의 열작용으로 식물성 방향제의 유익한 성분이 방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흡수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약효능이 한층 증진됨은 물론 신진대사의 원활함과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습기를 제공함으로 피부가 건조해지는 온열작용의 건조함을 해소하고 피부 수분손실과 건조한 호흡을 인한 인체 탈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위와 같이 항토패드나 향기패드 중의 어느 하나로 되는 상면패드(12)에 사용자가 누우면 항토패드나 향기패드의 유익한 물질이 습기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여 열기와 함께 훈증 찜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1 : 바닥패드 2 : 쿠션패드 3 : 발열부재
4 : 테두리 5 : 물주입체 6 : 마개
7 : 방수시트 8 : 물흡수패드 9 : 발수시트
11 : 외피 12 : 상면패드 100 : 훈증 찜질매트

Claims (2)

  1. 견면압축솜으로 되는 바닥패드(1)의 상면에 쿠션패드(2)를 적층하되, 이 쿠션패드(2)의 상면에는 발열부재(3)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패드(2)의 상면에는 발열부재(3)를 포함한 쿠션패드(2)의 상면을 덮는 방수시트(7)가 적층되며, 방수시트(7)의 상면 사방외곽에 테두리(4,4b,4c)를 설치하되, 테두리(4,4b,4c)의 소정위치에 물주입체 설치홈(4a)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체 설치홈(4a)에는 물주입홀(6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측에 마개(6)가 개폐되게 설치되는 물주입체(5)를 설치하되, 이 물주입체(5)는 하부가 방수시트(7)의 상면에 얹히게 삽입 안착되며;
    상기 테두리(4,4b,4c) 내측의 방수시트(7) 상면에는 물주입홀(6a)로 주입되는 물이 스며드는 물흡수패드(8)가 적층 설치되고, 이 물흡수패드(8)의 상면에는 물흡수패드(8)로 스며든 물은 상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습기만 상측으로 통하는 발수시트(9)가 적층 설치되며, 상기 발수시트(9)의 상면에 황토분말이 투입된 항토패드나, 또는 허브, 약쑥, 녹차잎과 같은 식물성 방향제를 삽입시킨 향기패드 중의 하나의 상면패드(12)가 적층 설치되고;
    하측의 바닥패드(1)부터 상측의 상면패드(12) 까지의 외부에 외피(11)가 지퍼에 의해 삽탈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 찜질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2)의 상부에는 발열부재(3)가 삽입되는 발열부재삽입홈(2a)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부재(3)는 전열선이나 플랙시블한 온수호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발열부재삽입홈(2a)에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 찜질매트.
KR1020220117724A 2022-09-16 2022-09-16 훈증 찜질매트 KR20220134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724A KR20220134492A (ko) 2022-09-16 2022-09-16 훈증 찜질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724A KR20220134492A (ko) 2022-09-16 2022-09-16 훈증 찜질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492A true KR20220134492A (ko) 2022-10-05

Family

ID=8359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724A KR20220134492A (ko) 2022-09-16 2022-09-16 훈증 찜질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4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61Y1 (ko) 2001-10-09 2002-02-19 이병환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61Y1 (ko) 2001-10-09 2002-02-19 이병환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 찜질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6723B2 (ja) ユーザ受け入れ用システム
CN104605671A (zh) 一种多功能保健床垫
CN109077920A (zh) 养生瓮
KR20220134492A (ko) 훈증 찜질매트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KR200477202Y1 (ko) 건강 베개
KR20220136959A (ko) 수분보습 온돌보료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CN109846594A (zh) 一种带药包花香热敷结构
KR102272974B1 (ko)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KR200443849Y1 (ko) 발모촉진기를 포함하는 다용도 좌훈기
KR200394912Y1 (ko) 훈열치료기를 구비한 의자
CN219184864U (zh) 一种蒸汽治疗桶
JP3119899U (ja) 健康シート及び寝具
KR200203754Y1 (ko) 캡슐형 찜질기
KR20120123926A (ko) 찜질 팩
KR20020054287A (ko)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난방용 매트리스를 갖는 찜질용 침대
JP2680547B2 (ja) 寝 具
KR200466716Y1 (ko) 온열 찜질장치
KR200372626Y1 (ko) 대나무를 이용한 온열 베드
KR200460760Y1 (ko) 건식 족욕기
JP2006122423A (ja) 椅子及びサウナ室
CN206391366U (zh) 一种医用发热药包敷贴
CN2043501U (zh) 中草药熏蒸治疗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