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02Y1 - 건강 베개 - Google Patents

건강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02Y1
KR200477202Y1 KR2020130005509U KR20130005509U KR200477202Y1 KR 200477202 Y1 KR200477202 Y1 KR 200477202Y1 KR 2020130005509 U KR2020130005509 U KR 2020130005509U KR 20130005509 U KR20130005509 U KR 20130005509U KR 200477202 Y1 KR200477202 Y1 KR 200477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illed
health
cavity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188U (ko
Inventor
오준섭
Original Assignee
(주)통도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통도실업 filed Critical (주)통도실업
Priority to KR2020130005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0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강 베개에 관한 것으로, 천이 재봉되어 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동부를 갖는 베개외피; 상기 공동부의 상부와 하부를 밀폐하도록 공동부의 둘레를 따라 재봉된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의 어느 한 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공동부 속으로 장입되고, 내부에는 건강에 이로운 향을 발산시키는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물 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기성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마치 산림욕장에 온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후두를 둘러싸는 형태로 수목향(예. 피톤치드)이 발향되게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숙면을 취하게 유도함은 물론 땀이나 습기가 생기더라도 통기성이 좋아 쉽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어 세균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위생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베개{HEALTH PILLOW}
본 고안은 건강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볍고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산림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건강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 생활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침장용품으로서 요, 이불과 함께 사용되고 있는 베개는 그 사용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단지 머리를 받쳐 주는 역할만 강조되고 있고 기능성의 문제는 너무나 도외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통상적인 베개는 단순히 속피 내부에 헝겁조각, 왕겨, 대패밥, 조 등을 베갯속으로 한 것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를 베갯속으로 활용하고 있는 베개는 장시간 사용시, 특히 혹서기의 경우 다량 발생된 땀이 베개 속으로 스며들어 곰팡이 및 잡균 등이 서식하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하고 자주 세탁을 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바쁜 현대인의 피로회복이나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한 숙면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다.
일 예로, 등록실용 제0308932호, 등록특허 제0970809호, 공개특허 제2002-0027401호 등 다수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공개특허 제2002-0027401호의 경우에는 베개의 일부에 홈을 파고, 이 홈에 한약재를 넣어 베개를 베고 잠을 잘 때 한약 향기에 의한 약리작용으로 숙면을 취하도록 한 예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에는 베개 자체를 상하로 분할하고, 상부와 하부를 지퍼나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상호 결속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한약재 교체시 베갯속으로 채워진 재료들이 흘러 나오기 때문에 사용상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는 결국 베개를 구성하는 상부와 하부가 한약재가 장입된 부분을 밀폐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떨어져 비록 한약재에 의한 약리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베개 중에는 후두가 안착되는 지점을 움푹 패이게 가공하고, 여기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방사물질을 채운 경우도 있는데, 이는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놓여 있어 유지 관리가 어렵고, 후두 접촉시 딱딱한 이질감을 제공하여 사용상 불편을 호소하는 예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통기성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마치 산림욕장에 온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후두를 둘러싸는 형태로 수목향(예: 피톤치드)이 발향되게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숙면을 취하게 유도함은 물론 땀이나 습기가 생기더라도 통기성이 좋아 쉽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어 세균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위생성을 더욱 높이도록 한 건강 베개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이 재봉되어 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동부를 갖는 베개외피; 상기 공동부의 상부와 하부를 밀폐하도록 공동부의 둘레를 따라 재봉된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의 어느 한 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공동부 속으로 장입되고, 내부에는 건강에 이로운 향을 발산시키는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물 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는 흡습 속건성을 지닌 섬유로 이루어지고, 은나노 코팅처리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는 베개외피의 단변 또는 장변을 가로질러 덧대어진 상태로 재봉되게 구비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부재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가시토트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물은 수목의 칩, 대패밥, 톱밥, 원적외선 방사체, 음이온 방사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기성이 좋아 땀과 습기가 차지 않으며, 그로 인해 세균 서식을 방지하므로 위생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후두를 감싸면서 발향되는 이를 테면, 피톤치드와 같은 목향에 의해 마치 산림욕장에 온 듯한 느낌을 주어 심신을 편안하게 하고 긴장을 풀어 주어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목과 머리의 하중이 쿠션에 의해 지지되면서 분산되고 머리 부분만 수목이 충전된 주머니에 가볍게 얹혀지는 형태를 가지므로 산림욕을 누리면서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도록 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커버를 은나노 항균 가공된 천으로 가공하고, 외피에 덧대어 수목 충전 주머니가 수납되는 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서 교체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강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강 베개의 밀폐커버 설치 전,후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예시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강 베개는 베갯잇인 베개외피(100)를 포함한다.
상기 베개외피(100)는 섬유, 즉 천으로 형성되는데, 도시와 같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공동부(200)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된 예는 사각형상이지만, 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그리고, 상기 베개외피(100)는 통상적인 재봉 방식으로 둘레가 박음질되어 내부에 충전물을 채워넣을 수 있는 수납체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충전물은 공동부(200)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 즉 공동부(200) 외측 둘레를 따라 채워지게 되며, 상하방향으로 부풀게 되어 쿠션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물로는 솜, 메밀, 좁쌀, 각종 씨앗류, 녹두, 상국, 결명자차, 바이오(빨대 자른 모양의 필러)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외피(100)의 외측 일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통상 지퍼(Z)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충전물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라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상기 충전물을 넣고 뺄 수 있도록 배개외피(100)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는 수단은 지퍼(Z) 외에도 벨크로테이프 등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동부(200)의 상부 및 하부는 밀폐커버(30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밀폐커버(300)는 베개외피(100)의 단변을 가로질러 덧대어지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길이 일부가 베개외피(100)에 재봉되어 고정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특히, 재봉되는 부분은 베개외피(100)의 내,외 테두리가 좋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300)의 일측 장변은 단변과 마찬가지로 재봉되고, 타측 장변은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31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부재(310)는 도시된 예와 같은 지퍼(Zipper)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지퍼로 국한할 필요는 없으며,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 가시도트단추(일명 '똑딱이 단추')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300)는 배개외피(100)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구비되어 공동부(200)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개폐부재(310)는 상부 또는 하부, 혹은 상,하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폐커버(300)은 사용자의 머리(두부), 특히 후두 쪽이 얹혀지고, 땀이나 습기가 많이 발생되므로 흡습 속건성을 갖는 천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은나노 코팅 혹은 은나노 항균 가공된 천을 사용하여 항균성을 강화시킴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흡습 속건성에 바람직한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가 좋고, 이 폴리에스테르에 계면활성제를 처리하여 정전기방지 기능(대전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공동부(200)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물 주머니(400)가 내장된다.
상기 충전물 주머니(400)는 상기 개폐부재(310)를 열고, 공동부(200) 내부로 넣고 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물 주머니(400)에는 수목의 칩, 대패밥, 톱밥, 기타 원적외선 방사재료, 음이온 방출재료 등이 충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수목의 칩이나 대패밥, 톱밥 등의 경우에는 피톤치드 방출 효과가 우수한 편백나무를 사용함으로써 산림욕 효과를 극대화시키면 더욱 좋다.
따라서, 이들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물 주머니(400)을 공동부(200)에 삽입하여 사용하다가 발향 효과가 떨어질 때 빼내어 새 것으로 쉽게 교체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베개를 구성하는 베개외피(100)에는 쿠션감을 주는 재료들이 충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경우 머리의 후두가 공동부(200) 상부에 위치, 다시 말해 얹혀지기 때문에 뒷목과 등 상단부가 베개외피(100)의 장변측 공동부(200)를 제외한 폭 부분에 안착되므로 이 부위의 쿠션감이 좋아야 머리의 하중을 원활하게 분산시키면서 편안한 잠을 잘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쿠션감을 주는 재료가 베개외피(100)에 충전되면 도 1의 예시와 같이 베개외피(100)가 부풀어 오르면서 베개 모양을 갖게 된다.
아울러, 충전물 주머니(400)에 수목의 칩, 대패밥, 톱밥 등의 충전재료를 채워넣고 밀봉한 다음, 이 충전물 주머니(400)를 공동부(200)에 삽입시킨다.
충전물 주머니(400)의 삽입방식은 개폐부재(310)를 열어 공간을 만들고, 이 공간을 통해 공동부(200)로 집어 넣는 방식이다.
충전물 주머니(400)가 장입되면, 개폐부재(310)를 닫아 밀폐시킨다.
그러면, 충전물 주머니(400)는 안전하게 공동부(200)에 갇힌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충전물 주머니(400)의 높이와 크기는 공동부(20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공동부(20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게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베개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눕게 되면, 사용자의 뒷목 부분이 베개외피(100)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머리, 특히 후두가 공동부(200)에 위치되면서 충전물 주머니(400) 위에 살포시 얹혀지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 머리와 목의 하중 대부분은 베개외피(100)의 쿠션에 의해 분산 지지되게 되므로 충전물 주머니(4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작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충전물 주머니(400)에 충전되어 있던 충전물로부터 발산되는 특유의 향이나 피톤치드 혹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은 주로 사용자의 얼굴, 예컨대 코, 귀, 눈, 입 주변을 휘감으면서 발산되기 때문에 심신을 안정시키고, 긴장을 풀어 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숙면만큼 건강에 유익한 것은 없다고 할 만큼 편안하고 깊은 잠을 자는 것이 건강에 매우 이로운 것은 사실이므로,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숙면을 유도하는데 매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용 후 발향 능력이 떨어질 경우 밀폐커버(300)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부재(310)를 열고 들어 있던 충전물 주머니(400)를 꺼내 새 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하기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0: 베개외피 200: 공동부
300: 밀폐커버 400: 충전물 주머니

Claims (5)

  1. 천이 재봉되어 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동부를 갖는 베개외피;
    상기 베개외피의 단변 또는 장변을 가로질러 덧대어진 상태로 재봉되게 구비되며, 상기 공동부의 상부와 하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베개외피에 대한 부착강도가 향상되도록 공동부의 둘레, 상기 베개외피 중 일부 및 상기 베개외피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된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의 어느 한 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공동부 속으로 장입되고, 내부에는 건강에 이로운 향을 발산시키는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물 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는 흡습 속건성을 지닌 섬유로 이루어지고, 은나노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가시토트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수목의 칩, 대패밥, 톱밥, 원적외선 방사체, 음이온 방사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KR2020130005509U 2013-07-05 2013-07-05 건강 베개 KR200477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09U KR200477202Y1 (ko) 2013-07-05 2013-07-05 건강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09U KR200477202Y1 (ko) 2013-07-05 2013-07-05 건강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88U KR20150000188U (ko) 2015-01-14
KR200477202Y1 true KR200477202Y1 (ko) 2015-05-18

Family

ID=5247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509U KR200477202Y1 (ko) 2013-07-05 2013-07-05 건강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48B1 (ko) 2019-06-24 2020-09-04 배호천 숙면 유도용 기능성 베개
KR102646980B1 (ko) 2023-04-19 2024-03-15 애터미 주식회사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0673A (zh) * 2021-06-22 2022-12-23 南通恩娜丝家纺有限公司 一种慢性回弹记忆枕生产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1Y1 (ko) * 2001-01-09 2001-12-28 김재철 숙면 베개
KR200308940Y1 (ko) * 2002-11-22 2003-03-31 오한영 경추베개
KR20050088552A (ko) * 2004-03-02 2005-09-07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KR20130003617U (ko) * 2011-12-09 2013-06-19 이종진 유아용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1Y1 (ko) * 2001-01-09 2001-12-28 김재철 숙면 베개
KR200308940Y1 (ko) * 2002-11-22 2003-03-31 오한영 경추베개
KR20050088552A (ko) * 2004-03-02 2005-09-07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KR20130003617U (ko) * 2011-12-09 2013-06-19 이종진 유아용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48B1 (ko) 2019-06-24 2020-09-04 배호천 숙면 유도용 기능성 베개
KR102646980B1 (ko) 2023-04-19 2024-03-15 애터미 주식회사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88U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02Y1 (ko) 건강 베개
CN210276715U (zh) 一种中药药枕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CN213282418U (zh) 一种备长炭透气枕头
CN204105573U (zh) 医用枕头
CN208435141U (zh) 一种防蚊抑菌保健棉被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CN208435150U (zh) 一种抑菌防螨的决明子枕头
KR200449515Y1 (ko) 결명자 패드를 구비한 베개
CN213605638U (zh) 一种蚕丝艾绒健康枕
KR20140109748A (ko) 베개
KR200198761Y1 (ko) 비만을 방지하는 한방 건강 베개
WO2023115616A1 (zh) 吸湿透气枕
KR100757668B1 (ko) 황토 베개
CN203168662U (zh) 活性炭助眠枕
CN203709694U (zh) 一种被子
ES2302905T3 (es) Articulo de cama del tipo de almohada, edredon o similar.
CN213216309U (zh) 一种透气性能好的真丝枕套
KR200367285Y1 (ko) 방석
KR200381720Y1 (ko) 장례용 턱받이
JPH07275099A (ja) 衛生枕
JP3137890U (ja) 檜材入りの枕
KR101352240B1 (ko) 목분을 이용한 침구
CN108703600A (zh) 一种抑菌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