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431Y1 - 기능성 매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431Y1
KR200397431Y1 KR20-2005-0020720U KR20050020720U KR200397431Y1 KR 200397431 Y1 KR200397431 Y1 KR 200397431Y1 KR 20050020720 U KR20050020720 U KR 20050020720U KR 200397431 Y1 KR200397431 Y1 KR 200397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loth
fabric
functional m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20-2005-0020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40Applying molten plastics, e.g. hot m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00Paper; Card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과 측면을 감싸고 있는 커버가 있고, 상기 커버 내부에는 하단에서 부터 쿠션부재와, 히터부, 약효층 및 마감천이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약효층은 각종 건강물질 분말들이 충진된 다수개의 수용포가 연속된 배열을 갖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히터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매트는 누빔무늬와 상관없이 매트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수용포의 크기를 인체가 굴곡감을 느끼지 못할 만큼 축소시켜 건강분말의 뭉침현상을 최소화하여 편안하고 아늑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과 적은 비용, 빠른 시간내에 수용포의 접착이 행해질 수 있어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며 효율적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기능성 매트{A functionic mat}
본 고안은 휴식 또는 잠을 잘 때 사용하거나 침대용 매트리스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숯이나 황토, 옥, 세라믹 등의 건강분말들이 충진된 직물 또는 부직포를 매트에 부착함에 있어, 상기 충진분말의 뭉침현상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소정의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쿠션부재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매트의 내부에 쿠션부재가 내장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잠을 자는 과정에서 바닥이 딱딱한 감이 없게 함과 아울러 인체의 구조에 맞게 변형되어 수면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최근의 매트는 잠자리를 제공하는 단순한 기능 이외에도 원적외선 방사나 음이온 발생, 항균효과와 같은 기능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숯이나 황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 및 옥돌 등과 같은 건강물질들을 부착한 기능성 매트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매트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줄 수 있으며, 이미 그 효능이 입증된바 많은 사용자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 매트에 전술한 건강물질을 부착하는 방법은 소정의 크기나 모양을 갖는 옥돌과 세라믹을 쿠션층 상단에 부착하고 그 상면에 겉감을 씌우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 경우 옥돌이나 세라믹이 딱딱하기 때문에 배김현상으로 인해 편안하고 안락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로 숯이나 황토를 비롯하여 전술한 옥과 세라믹을 분쇄화한 분말을 소정의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수용포에 충진하고 매트 내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수용포를 매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누빔무늬에 맞게 수용포들을 위치시켜 재봉함으로써 누빔무늬의 봉재선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의 경우에는 건강물질들이 분말화되어 있어 종래 방식에 비하여 비교적 딱딱함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수용포에 충진된 건강물질들이 그 공간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는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굴곡감을 주고 배김현상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으며, 충진분말의 무게로 인하여 매트가 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봉재선이 뜯어져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현재 기술로서 누빔무늬의 크기는 약 2.54 ~ 1.25㎝가 한계이기 때문에 그 안에 삽입되는 수용포 또한 그 크기에 맞춰야 하므로 전술할 문제들을 해결할 만큼 축소시키기에는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숯이나 황토, 옥, 세라믹을 비롯한 각종 건강물질 분말이 충진된 수용포를 적은 비용과 간단한 공정으로 수용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매트에 장착할 수 있고, 이에 상기 건강분말의 뭉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숯이나 황토, 옥, 세라믹, 약초 등의 한방부재, 향 치료제와 같은 각종 건강물질들이 내장된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바닥면과 측면을 감싸고 있는 커버가 있고, 상기 커버 내부에는 하단에서 부터 쿠션부재와, 히터부, 약효층 및 마감천이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약효층은 각종 건강물질 분말들이 충진된 다수개의 수용포가 연속된 배열을 갖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히터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능성 매트는 바닥면과 측면을 감싸고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하단에서 부터 차례로 적층된 쿠션부재, 히터부, 약효층 및 마감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약효층은 각종 건강물질 분말들이 충진된 다수개의 수용포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거나 봉재선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매트는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침대에서 매트리스 대용으로 깔고 사용함에 따라 편안한 잠자리와 함께 각종 건강물질로 인한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게 된다.
먼저, 약효층이 각종 건강물질 분말들이 충진된 다수개의 수용포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기능성 매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매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중 커버(10)는 매트의 바닥면과 측면을 감싸고 있어 그 내부에 적층되는 쿠션부재(20), 히터부(30), 약효층(40)을 담을 수 있는 포켓의 역할과 함께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쿠션부재(20)는 매트에 소정의 탄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매트나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공지의 견면솜, 스폰지, 메모리 폼 등의 쿠션재질은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침대용 매트리스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스프링이 내장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히터부(30)는 도면에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 내부에 전열선과 온도감지센서 및 단열판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커버(10)의 외측에 장착된 전원공급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온도로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난방효과와 함께 온열에 의한 찜질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부(30)는 공지의 면상발열체를 적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히터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31)는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원공급부(31)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약효층(40)은 숯, 황토, 옥, 세라믹, 한방부재, 향 치료제와 같은 각종 건강물질(45)들이 과립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로 수용포(41) 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포(41)는 다수개가 연속된 배열을 갖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히터부(30)와 마감천(5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수용포(41)는 직물 또는 부직포, 비닐, 종이에서 선택된 것으로, 그 내부에 충진된 건강물질들이 터지거나 밀리지 않고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20 ~ 150g/㎠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포(41)는 하나씩 낱개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 또는 좌·우 및 사방으로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며, 이러한 기술은 종래 약재봉투의 제작기술이나 제습제 포장기술을 통하여 충분히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제작된 수용포(41)는 내부에 건강물질(45)이 충진된 상태로 최소 좌. 우 약 1㎝까지 제작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매트에서는 1㎡당 100 ~ 2500개의 수용포(41)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범위를 갖도록 제작된 수용포(41)의 경우 건강분말(45)이 한쪽으로 뭉치는 현상이 거의 미비하게 나타나고, 이러한 뭉침현상으로 인해 건강분말(45)이 굴곡을 갖더라도 인체가 그 굴곡감을 느끼지 못할 만큼 매우 완만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수용포(41)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용포(41)나 히터부(30) 및 마감천(50) 중에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제를 분무 또는 도포하여 접착층(42a.42b)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상기 접착층(42a.42b)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인체에 무해한 무기 접착제를 비롯하여 녹말풀이나 부레풀, 쌀겨풀, 아교풀와 같은 식물성 바인더가 사용가능하며, 이와 아울러 핫 멜트(Hot-melt)형 접착제나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가 작업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좀 더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한 수용포의 고정방식은 낱개의 수용포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배열된 수용포를 접착제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공정과 적은 비용, 빠른 시간내에 행해질 수 있어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분말(45)이 충진된 수용포(41)가 히터부(30)와 마감천(50) 사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 종래 건강분말(45)의 무게로 인하여 매트가 늘어지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감천(50)은 커버(10)와 연결되어 약효층(40)의 수용포(4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표면에 다양한 색감과 누빔무늬를 형성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수행한다. 본 고안의 마감천(50)은 약효층(40)의 수용포(41)를 고정하기 위한 누빔무늬가 필요치 않으므로 더욱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한 마감천(50)은 일반적인 직물은 모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대나무자리, 망사재, 은 함유원단, 은 코팅원단, 야생초 직물로 대체가 가능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마감천(50)으로 대나무자리를 사용할 경우 나무의 은은한 향이 발산되어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켜줌과 동시에 여름에는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어 효과적이며, 망사재 또한 여름에 땀이 차지 않도록 하여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마감천(50)으로 은 함유원단이나 은 코팅원단의 경우에는 은의 살균효과와 탈취효과, 전자파 및 수맥의 차단을 통하여 쾌적하고 아늑하며, 매우 위생적이라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야생초 직물은 야생에서 자란 억센 풀을 혼방하여 직물화한 것으로, 탈취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제품이다.
다음으로, 약효층이 각종 건강물질 분말들이 충진된 다수개의 수용포가 봉재선에 의해 고정된 기능성 매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매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중 커버(10)와 쿠션부재(20), 히터부(30), 마감천(50)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며, 약효층(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약효층(40)의 수용포(41)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상부원단(43a)과 하부원단(43b) 사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의 봉재선(44)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일렬로 연속배열된 수용포(41)를 수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상기 봉재선(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 1㎡당 100 ~ 2500개의 수용포(41)를 갖도록 그 간격 및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봉재선을 이용한 수용포의 고정방식은 종래 누빔무늬에 의해 수용포의 크기가 한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교적 간단한 공정과 적은 비용, 빠른 시간내에 행해질 수 있어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분말(45)이 충진된 수용포(41)가 상부원단(43a)과 하부원단(43b) 사이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수용포(41)의 교환이 용이하며, 수용포(41)의 크기를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어 매트가 늘어지거나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기능성 매트는 각종 건강물질이 충진된 수용포를 연속배열된 것을 사용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누빔무늬와 상관없이 매트에 매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수용포의 크기를 인체가 굴곡감을 느끼지 못할 만큼 축소시켜 건강분말의 뭉침현상을 최소화하여 편안하고 아늑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과 적은 비용, 빠른 시간내에 수용포의 접착이 행해질 수 있어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며 효율적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매트는 숯이나 황토, 옥, 세라믹, 한방약재, 향 치료제와 같은 각종 건강물질 분말이 충진된 수용포를 상. 하 또는 좌. 우 및 사방으로 연속배열된 것을 사용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착제를 이용한 방식과 봉재선을 이용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누빔무늬와 상관없이 매트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상기 수용포의 크기를 인체가 굴곡감을 느끼지 못할 만큼 축소시켜 건강분말의 뭉침현상을 최소화하여 편안하고 아늑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과 적은 비용, 빠른 시간내에 수용포의 접착이 행해질 수 있어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며 효율적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매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커버
20 : 쿠션부재
30 : 히터부
31 : 전원공급부
40 : 약효층
41 : 수용포 42a,42b : 접착층
43a,43b : 상. 하부 원단 44 : 봉재선
45 : 건강분말
50 : 마감천

Claims (7)

  1. 숯이나 황토, 옥, 세라믹, 약초 등의 한방부재, 향 치료제와 같은 각종 건강물질들이 내장된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바닥면과 측면을 감싸고 있는 커버가 있고, 상기 커버 내부에는 하단에서 부터 쿠션부재와, 히터부, 약효층 및 마감천이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약효층은 각종 건강물질 분말들이 충진된 다수개의 수용포가 연속된 배열을 갖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히터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효층은 수용포와 히터부 및 마감천 사이에 접착제가 분무 또는 도포되어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무기 접착제를 비롯하여 녹말풀이나 부레풀, 쌀겨풀, 아교풀와 같은 식물성 바인더 및 핫 멜트(Hot-melt)형 접착제나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 중에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효층은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의 봉재선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 일렬로 연속배열된 수용포가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는 직물 또는 부직포, 비닐, 종이에서 선택된 것으로, 20 ~ 150g/㎠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는 1㎡당 100 ~ 2500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감천은 직물을 비롯하여 대나무자리, 망사재, 은 함유원단, 은 코팅원단, 야생초 직물 중에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KR20-2005-0020720U 2005-07-15 2005-07-15 기능성 매트 KR200397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20U KR200397431Y1 (ko) 2005-07-15 2005-07-15 기능성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20U KR200397431Y1 (ko) 2005-07-15 2005-07-15 기능성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431Y1 true KR200397431Y1 (ko) 2005-10-04

Family

ID=4369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20U KR200397431Y1 (ko) 2005-07-15 2005-07-15 기능성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43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52B1 (ko) 2005-12-22 2007-12-18 김유정 침대용 매트레스
KR200463287Y1 (ko) * 2010-01-25 2012-10-30 차동례 단위돌조각판 별 쿠션력을 가진 돌침대
KR20160012723A (ko) 2014-07-25 2016-02-03 장영남 쑥,솔잎 및 황토가 주재로로 제조된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세라믹볼 및 세라믹볼이 사용된 침대, 매트리스 및 복대
CN106859135A (zh) * 2017-04-18 2017-06-20 姜国英 一种七合一可拆卸式床垫
KR102132219B1 (ko) * 2019-02-28 2020-07-09 황순남 다용도 기능성 패드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52B1 (ko) 2005-12-22 2007-12-18 김유정 침대용 매트레스
KR200463287Y1 (ko) * 2010-01-25 2012-10-30 차동례 단위돌조각판 별 쿠션력을 가진 돌침대
KR20160012723A (ko) 2014-07-25 2016-02-03 장영남 쑥,솔잎 및 황토가 주재로로 제조된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세라믹볼 및 세라믹볼이 사용된 침대, 매트리스 및 복대
CN106859135A (zh) * 2017-04-18 2017-06-20 姜国英 一种七合一可拆卸式床垫
KR102132219B1 (ko) * 2019-02-28 2020-07-09 황순남 다용도 기능성 패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347B1 (ko)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0789480B1 (ko) 진동 및 음이온 발생 베개
JP2008515587A (ja) 振動および陰イオン発生枕
KR200397431Y1 (ko) 기능성 매트
KR200494039Y1 (ko) 베개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KR101850982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KR102378030B1 (ko) 다기능 복합시트
KR100722222B1 (ko) 황토한방침대
KR101850976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101445157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침대
KR20110132775A (ko) 면상발열체에 의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KR20210156700A (ko) 음이온 온열매트
KR200442839Y1 (ko) 황토침대용 매트리스
KR200180912Y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060010987A (ko) 시트
KR200439848Y1 (ko) 찜질 침대
KR200387026Y1 (ko) 나무 상판을 구비하는 전기매트
JP3133510U (ja) 健康マット
JP3119899U (ja) 健康シート及び寝具
KR200372699Y1 (ko) 기능성 건강매트
KR200275636Y1 (ko) 건강보조용 매트리스
KR200353399Y1 (ko) 기능성 찜질 매트
KR200221172Y1 (ko) 방향제와 원적외선 방사 수단이 갖추어진 보조용 깔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