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030B1 - 다기능 복합시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030B1
KR102378030B1 KR1020200016456A KR20200016456A KR102378030B1 KR 102378030 B1 KR102378030 B1 KR 102378030B1 KR 1020200016456 A KR1020200016456 A KR 1020200016456A KR 20200016456 A KR20200016456 A KR 20200016456A KR 102378030 B1 KR102378030 B1 KR 10237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sheet
film
functional material
composi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911A (ko
Inventor
김경문
Original Assignee
(주)프로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이노텍 filed Critical (주)프로이노텍
Priority to KR102020001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0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시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트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여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개별 기능성 물질이 나타내는 효과가 결합되어 상승효과를 내도록 하여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시트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별도의 부가 가공 없이도 침구류, 온열매트, 방석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시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에 따르면 하나의 시트에 2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여 다양한 효과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각 기능성 물질이 발생시키는 개별효과들이 서로 상승효과를 내도록 유도하여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시트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생활용품에 별도의 제조과정 변화 없이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복합시트{Multi purpose complex sheet}
본 발명은 항균효과, 탈취 등 인체 유용한 효과와 원적외선 방사 및 열전도도 향상, 전자파 차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복합시트에 대한 것으로, 매트리스나 안마기, 온열매트, 방석 등 인체와 직접 접촉하거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구물의 외피에 사용되는 시트에 항균 효과 등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능성 물질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다기능 복합시트에 대한 것이다.
최근 침대에 사용되는 매트리스나 바닥에서 난방, 온열치료 등을 위해 사용하는 온열매트 등이 안락함이나 쿠션감 등 본래 쾌적한 착용감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해 옥침대, 흙침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매트리스가 보급되고 있다. 또는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매트나 방석 등에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주는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거나 부착하여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부가적으로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주도록 하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업무환경의 변화 및 과도한 스트레스에 따라 근골격계에 질환이 발생하거나 성인병이 빈발하여 최근 근골격계 질환 치료와 성인병 예방 등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고 있다.
이렇게 건강에 대한 관심에 커짐에 따라 침대 매트리스, 온열매트 등 생활 속에서 흔히 사용되는 침구류에도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부가적인 기능이 가미된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에는 쾌적한 수면환경 등 본래의 목적 이외에 건강 증진, 질환 치료, 항균, 탈취 등 부가적인 목적위한 기능성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부가적인 목적으로 기능성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단순히 기능성 물질을 특정 공간에 보관하거나 제품에 부착하는데 불과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기 어렵고 특정 기능성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복합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211910호에는 바이오세라믹이 구비된 맛사지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등록실용신안 20-0211910호에 개시된 맛사지기는 맛사지구의 안마돌기에 바이오 세라믹을 코팅하여 맛사지기를 통해 마사지를 할 때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마사지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단일 기능성 물질만을 부가하여 해당 기능성 물질의 효과만을 나타낼 뿐 다른 기능성 물질이 적용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복합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복합적인 상승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시트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여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개별 기능성 물질이 나타내는 효과가 결합되어 상승효과를 내도록 하여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시트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별도의 부가 가공 없이도 침구류, 온열매트, 방석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는 다기능 복합시트에 있어서, 항균, 탈취, 전자파 차폐를 포함하는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능성막과, 그래핀을 포함하여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막과, 일면에 상기 제1기능성막이 마련되고, 타면에 상기 제2기능성이 마련되는 베이스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기능성물질은 바이오 세라믹과 상기 제2기능성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능성물질의 분말 또는 제1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액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에 코팅막의 형태로 제1기능성막을 형성되고, 상기 제2기능성막은 상기 제2기능성물질의 분말 또는 제2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액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타면에 미리 설정된 일정한 패턴으로 인쇄되어 제2기능성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의 타면에는 다각형의 바이오 세라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성막은 미리 설정된 일정한 패턴은 상기 다각형의 바이오 세라믹이 부착될 위치를 나타내는 다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기능성막은 상기 제2기능성물질을 분말 또는 제2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액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타면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 타면에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막 상에 다각형의 바이오 세라믹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 표시용 패턴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2기능성막 위에 상기 다각형 바이오 세라믹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항균, 탈취, 전자파 차폐를 포함하는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기능성 물질과 그래핀을 포함하여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발포 PVC 재질의 기능성 시트와, 상기 기능성 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기저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성 시트는 열압축 성형에 의해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한 패턴은 기능성 시트 상부에 부착될 다각형 바이오 세라믹의 부착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될 다각형 바이오 세라믹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연속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에 2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여 다양한 효과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각 기능성 물질이 발생시키는 개별효과들이 서로 상승효과를 내도록 유도하여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시트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생활용품에 별도의 제조과정 변화 없이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시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는 매트리스, 온열매트, 안마기 등 사용자의 건강을 위해 활용하는 기구나 근골격계 질환이나 피부질환 등 사용자에게 발생한 질환을 치료하는 기구나 찜질이나 마사지 등 피로회복과 관련된 기구 등 다양한 기구에 활용되는 시트로서 주로 상기 기구들의 외피로 활용되어 질환 치료나 피로회복 등 기구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바이오 세라믹이나 그래핀 등을 효율적으로 시트에 적용시켜 항균, 탈취 효과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 가 뛰어나 온열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탄소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그래핀 등의 물질은 전도도가 뛰어나 국부적으로 위치한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확산시키는 효과가 뛰어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종래에는 바이오 세라믹 또는 그래핀 등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주는 기능성 물질을 특정 보관부에 보관하거나 단독으로 적용함에 따라 각 기능성 물질이 주는 효과가 제한적이고 특정 보관부에 보관이 필요해 다양한 제품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 기능성 물질이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하나의 시트로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다기능 복합시트로 항균, 탈취, 전자파 차폐를 포함하여 본 다기능 복합시트가 적용된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능성막(100)과, 그래핀(graphene), 플러렌(fuller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막(200)과 일면에는 제1기능성막(100)이 마련되고 타면에는 제2기능성막(200)이 마련되는 베이스 시트(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기능성막(100)은 베이스 시트(300)의 일면에 마련되는 구성으로 항균효과, 탈취효과, 전자파 차폐, 원적외선 방사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바이오 세라믹의 경우 세라믹의 일종으로 생체 적합성이 있는 세라믹을 일컫는 물질로서 세라믹의 특성 상 내구성이 뛰어나 인공치아 또는 인공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의료용 재료이다. 바이오 세라믹은 항균 효과, 탈취 효과, 항곰팡이, 원적외선 방사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켜 종래에 건강관리가 필요한 제품에 적용되었으나 특정 부위에 바이오 세라믹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그래핀이나 플러렌, 탄소 나노튜브와 같이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의 경우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로서 탄소원자를 주성분으로 하여 열 전도성이 좋고 강철보다 훨씬 가볍고 단단하면서도 탄성이 좋은 특성이 있다. 또한,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은 전기전도도가 뛰어난 특징이 있어 전자기학의 원리 상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효과가 뛰어난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기능성막(100)은 위에 설명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분말 또는 수용액의 형태로 만든 후 베이스 시트(300)의 일면에 코팅막의 형태로 마련한 구성이다. 베이스 시트(300)의 일면에 코팅막의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가 전체적으로 기능성 물질이 가지는 유용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그래핀, 플러랜, 탄소 나노튜브 등의 물질이 열전도도를 극대화하고 내부에 열선 등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있는 제품의 경우 내부의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건강에 유용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세라믹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를 적용하는 경우 제품이 항균, 탈취, 항곰팡이,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300)가 직물, 레자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기능성막이 일면에 얇은 코팅막으로 형성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 없이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발생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능성 물질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을 추가할 경우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에 신축성을 줄 수 있고, 매트리스 등에 활용될 경우 탄성을 가미할 수 있어 유용할 뿐만 아니라 코팅막이 베이스 시트(300)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기능성막(200)은 그래핀이나 플러렌, 탄소 나노튜브와 같이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이 베이스 시트(300)의 타면, 즉 제1기능성막(100)이 마련된 면의 타면에 코팅막 또는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막이다. 제2기능성막(200)을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시트가 제품의 외면에 적용될 경우에 외관 디자인을 감안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되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기능성 물질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패턴에 의한 심미감뿐만 아니라 그래핀 등의 물질이 발생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겸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세라믹(400)을 부가할 경우 이를 부착할 위치를 반영하여 부착될 바이오 세라믹(400)의 외형에 맞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부착될 바이오 세라믹(400)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부착될 바이오 세라믹(400)은 다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기능성막(200)을 코팅막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1기능성막(100)에 포함된 제2기능성 물질이 발생시키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고 앞서와 같이 바이오 세라믹(400)을 부착할 경우 외관 디자인을 위한 패턴이나 부착될 위치를 감안한 패턴(250)을 별로로 인쇄할 수도 있다.
위에 설명한 제1, 제2실시예의 경우 기능성 물질을 분말로 만들거나 수용액으로 형성한 후 베이스 시트(300) 상에 바르거나 인쇄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과정이 단순하면서도 기능성 물질들이 내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제2실시예와 달리 발포 PVC 재질의 기능성 시트(500)에 제1기능성 물질과 제2기능성 물질을 미리 설정된 배합비로 혼합한 구성으로 기능성 시트(500)의 하면에 내구도 향상을 위한 직물 형태의 기저막(600)이 부가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발포 PVC가 주성분인 기능성 시트(400)에 기능성 물질을 혼합 구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이하면서도 발포 PVC 특유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고 외관의 심미감을 위한 패턴이나 바이오 세라믹(400)을 부착할 위치를 열압축 성형방식으로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제조과정이 용이하면서도 기능성 물질의 효과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인데 기능성 시트(500)에 열압축 성형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바이오 세라믹(400)이 실리콘(450) 등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기능성막 : 100 제2기능성막 : 200
베이스 시트 : 300 바이오 세라믹 : 400
기능성 시트 : 500 기저막 : 600

Claims (7)

  1. 다기능 복합시트에 있어서,
    항균, 탈취, 전자파 차폐를 포함하는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기능성막과,
    그래핀, 플러렌,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 동소체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막과,
    일면에 코팅막의 형태로 상기 제1기능성막이 마련되고, 타면에 코팅막 또는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상기 제2기능성막이 마련되는 직물 또는 레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기능성물질은 바이오 세라믹과 상기 제2기능성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능성물질의 분말 또는 제1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액상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기능성막은 상기 제2기능성물질의 분말 또는 제2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액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타면에 미리 설정된 일정한 패턴으로 인쇄되어 제2기능성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3. 청구항 2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타면에는 다각형의 바이오 세라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성막은 미리 설정된 일정한 패턴은 상기 다각형의 바이오 세라믹이 부착될 위치를 나타내는 다각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기능성막은 상기 제2기능성물질을 분말 또는 제2기능성물질이 포함된 액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타면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5. 청구항 4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 타면에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막 상에 다각형의 바이오 세라믹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 표시용 패턴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2기능성막 위에 상기 다각형 바이오 세라믹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6. 다기능 복합시트에 있어서,
    항균, 탈취, 전자파 차폐를 포함하는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기능성 물질과 그래핀, 플러렌,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 동소체로 이루어진 제2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발포 PVC 재질의 기능성 시트와,
    상기 기능성 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직물형태의 기저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성 시트는 열압축 성형에 의해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7. 청구항 6에서,
    상기 일정한 패턴은 기능성 시트 상부에 부착될 다각형 바이오 세라믹의 부착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될 다각형 바이오 세라믹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연속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시트.
KR1020200016456A 2020-02-11 2020-02-11 다기능 복합시트 KR10237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56A KR102378030B1 (ko) 2020-02-11 2020-02-11 다기능 복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56A KR102378030B1 (ko) 2020-02-11 2020-02-11 다기능 복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11A KR20210101911A (ko) 2021-08-19
KR102378030B1 true KR102378030B1 (ko) 2022-03-23

Family

ID=7749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56A KR102378030B1 (ko) 2020-02-11 2020-02-11 다기능 복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097B1 (ko) 2022-05-24 2022-09-29 유길수 세라믹블록을 갖는 복합 온열마사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493B1 (ko) 2001-09-21 2004-04-29 진방호 건강옥돌매트
KR200372752Y1 (ko) * 2004-10-26 2005-01-14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 세라믹을 구비한 의료용 온열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61A (ko) * 2002-09-03 2004-03-12 이명상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KR100578686B1 (ko) * 2002-09-30 2006-05-12 차정진 전자파 방지용 차단재의 제조방법
KR101858152B1 (ko) * 2016-10-17 2018-05-15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493B1 (ko) 2001-09-21 2004-04-29 진방호 건강옥돌매트
KR200372752Y1 (ko) * 2004-10-26 2005-01-14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 세라믹을 구비한 의료용 온열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097B1 (ko) 2022-05-24 2022-09-29 유길수 세라믹블록을 갖는 복합 온열마사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11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5587A (ja) 振動および陰イオン発生枕
KR200443995Y1 (ko) 기능성 건강베개
KR102378030B1 (ko) 다기능 복합시트
KR200397431Y1 (ko) 기능성 매트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CN205306516U (zh) 一种保健理疗坐垫
KR100655906B1 (ko)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매트리스
JP3212664U (ja) 機能性オーガニックコットン製タオル
KR200156753Y1 (ko) 지압구가 장설된 방석
KR20090009059U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침대용 매트리스
KR200334906Y1 (ko) 건강베개
KR200439848Y1 (ko) 찜질 침대
KR100685293B1 (ko) 저탄성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KR200282711Y1 (ko) 건강 매트리스
KR200347075Y1 (ko) 일체형 음이온 저탄성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베개
JP3119899U (ja) 健康シート及び寝具
KR102658000B1 (ko) 숙면을 유도하는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545022B1 (ko) 베개
KR102446429B1 (ko) 그래핀 복합시트
JPH11235254A (ja) 多目的クッション
KR100887717B1 (ko) 독립된 분획격실을 갖는 기초 원단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27895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물침대
JP3133510U (ja) 健康マット
KR200382600Y1 (ko) 음이온이 발생되는 베개
KR200263440Y1 (ko) 옥매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