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261A -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261A
KR20040022261A KR1020020052711A KR20020052711A KR20040022261A KR 20040022261 A KR20040022261 A KR 20040022261A KR 1020020052711 A KR1020020052711 A KR 1020020052711A KR 20020052711 A KR20020052711 A KR 20020052711A KR 20040022261 A KR20040022261 A KR 20040022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de
layer
sheet
mat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재
Original Assignee
이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상 filed Critical 이명상
Priority to KR102002005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2261A/ko
Publication of KR2004002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2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열쿠션재에 옥돌을 관통체결하되 그 표면을 평평하게 하여 사용상의 안락함을 추구함은 물론, 단열쿠션재의 하부에 쿠션시트를 하나 더 구비하여 이중으로 쿠션층을 형성함으로써 옥돌이 체결된 면과 체결되지 않은 면의 쿠션을 동일하게 작용시키기 위한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난연성 냉습층(31) 및 부직포 쿠션층(32)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층(30), 수맥차단 시트(21), 발열체(22), 원적외선 방사천(23)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시트층(20) 및 그 상측에 옥돌 체결층(10)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건강매트에 있어서;
상기 옥돌 체결층(10)은 표면에 다수의 크고 작은 홀(11a)이 형성된 단열쿠션재(11)와, 상면이 단열쿠션재(11)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홀(11a)에 관통체결되는 옥돌(12)과, 단열쿠션재(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옥돌(12)이 접착 결합되는 탄소섬유 시트(13)와, 탄소섬유 시트(13)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쿠션부재(14)를 포함하되, 그 상측으로 옥돌(12)의 위치와 대응되는 홀(15a)을 가지며 단열쿠션재(11)의 상면을 커버하는 외면시트(15) 및 망사형 시트(16)가 차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Jade stone conclusion structure of jade mat}
본 발명은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열쿠션재에 옥돌을 관통체결하되 그 표면을 평평하게 하여 사용상의 안락함을 추구함은 물론, 단열쿠션재의 하부에 쿠션시트를 하나 더 구비하여 이중으로 쿠션층을 형성함으로써 옥돌과 옥돌 외측에 작용하는 쿠션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이 발전하여 인체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하도록 하고 있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에 따라, 옥 또는 맥반석 등을 이용하여 원적외선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진대사, 혈액순환 등에 좋은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옥은 광물의 일종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인체 내의 세포에 활력을 주어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등 신체기능을 활발하게 만들어 주고, 질병의 치유능력을 높여주는 등 인체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옥의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인체와 가장 밀접한 방석 및 침구류에 옥을 장착한 건강매트 등과 같은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침장류에 옥을 적용시킨 종래 고안으로 실용신안출원 1997-45670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올돌을 견고하게 결착할 수 있으며 또 옥돌의 이탈시에도 부분 보수가 가능한 사용상의 편리를 얻기 위해 외피의 상면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옥돌에 걸림홀을 만들어 구멍의 내측으로 끼워 고정케하고 외피의 내측에별도의 고정지를 개입하여 고정지와 옥돌의 밑면을 접착제로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옥돌이 매트의 표면 상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표면 쿠션 및 질감이 떨어져 사용상의 안락함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 보완하기 위한 종래 다른 고안으로, 등록실용신안 20-2064319 건강 옥돌 매트는 상부에 옥돌 쿠션층을 가지되 스펀지 상면에 신축성 시트지를 부착한 다음 스펀지를 상하 금형으로 가열 가압하여 옥돌을 결합하는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옥돌을 결합시 옥돌의 돌출 높이를 스펀지의 표면과 동일하게 하거나 약간 높게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펀지를 가열 가압하여 요홈을 형성할 경우에는 성형 후 스펀지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시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며, 도 1과 같이 금형에 눌리지 않는 요홈 외측이 실제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금형으로 눌린 요홈부는 탄탄해져 복원력을 잃게 되며 요홈 외측부와는 쿠션력이 달라지게 된다.
이로 인해 매트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함을 잃고 올록볼록해져 사용시 안락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복원력을 잃어 쿠션이 거의 없는 탄탄한 요홈에 옥돌이 결합되어 그 외측부와는 쿠션력의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여 동일한 쿠션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매트는 사용시 상측이 가압되며 1차적으로 옥돌 체결층에서 쿠션이 작용하여 가압을 완화시키며 또 하측부에 2차적으로 작용하는 부직포 쿠션층이 있어 이를 연속하여 더욱 완화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트는 옥돌이 쿠션역할을 하지 못하는 요홈에 결합되어 옥돌 체결층에서 1차적으로 가압시 옥돌과 그 외측부에 작용하는 쿠션이 달라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옥돌이 몸에 배기는 등 촉감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옥돌의 돌출이 없이 전체적으로 매트의 상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옥돌이 몸에 배기지 않도록 하며, 사용시 옥돌면과 그 외측부의 쿠션을 동일하게 작용토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옥 매트의 스펀지에 금형으로 요홈을 형성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옥 매트에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옥돌 체결층 --- 11. 단열쿠션재 12. 옥돌
13. 탄소섬유 시트 14. 제2쿠션부재
15. 외면시트 16. 망사형 시트
20. 기능성 시트층
30. 베이스 시트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난연성 냉습층 및 부직포 쿠션층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층, 수맥차단 시트, 발열체, 원적외선 방사천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시트층 및 그 상측에 옥돌 체결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건강매트에 있어서;
상기 옥돌 체결층은 표면에 다수의 크고 작은 홀이 형성된 단열쿠션재와, 상면이 단열쿠션재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홀에 관통체결되는 옥돌과, 단열쿠션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옥돌이 접착 결합되는 탄소섬유 시트와, 탄소섬유 시트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되, 그 상측으로 옥돌의 위치와 대응되는 홀을 가지며 단열쿠션재의 상면을 커버하는 외면시트 및 망사형 시트가 차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쿠션부재는 기능성 시트층과 베이스 시트층(30)의 상측에 구비된 부직포 쿠션층(32)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매트에서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단면도이다.
옥이 결합된 매트의 구조는, 매트의 상측으로부터 옥돌 체결층(10), 기능성 시트층(20), 베이스 시트층(30)의 순서로 적층 구비된다.
옥돌 체결층(10)은 매트의 상측에서 옥돌(12)을 결합하여 옥돌(12)이 신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층이며, 이때 옥돌(12)은 단열쿠션재(11)에 결합되게 된다. 기능성 시트층(20)은 구성요소 모두가 얇은 시트지 형상이며 매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수맥차단 시트(21), 발열체(22), 원적외선 방사천(23) 등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기능을 가진 시트를 부가할 수도 있다.
베이스 시트층(30)은 매트의 하측에서 난연성 냉습층(31) 및 부직포 쿠션층(32) 등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부직포 쿠션층(32)은 매트의 옥돌 체결층(10)의 쿠션에 이어 2차적인 쿠션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옥돌 체결층(10)의 단열쿠션재(11)에 옥돌(12)을 체결하는 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옥돌 체결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다수의 크고 작은 홀(11a)이 형성된 단열쿠션재(11)와, 상면이 단열쿠션재(11)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홀(11a)에 관통체결되는 옥돌(12)과, 단열쿠션재(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옥돌(12)이 접착 결합되는 탄소섬유 시트(13)와, 탄소섬유 시트(13)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쿠션부재(14)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쿠션재(11)의 상측으로 옥돌(12)의 위치와 대응되는 홀(15a)을 가지며 단열쿠션재(11)의 상면을 커버하는 외면시트(15) 및 그 상측에 망사형 시트(16)가 차례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단열쿠션재(11)의 상측에 구비 결합되는 외면시트(15)의 홀(15a)에 대응되는 옥돌(12)의 표면 높이는 매트의 평평함을 위해 외면시트(15)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쿠션재(11)는 발열체(22)로부터 상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사용시 단열쿠션재의 홀(11a)에 삽입되는 옥돌(12)에 열이 많이 전달되어 옥돌의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단열쿠션재(11)의 두께는 옥돌(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결합시 상면이 서로 일치하여 평평한 면을 가지게 된다. 이때 옥돌(12)은 단열쿠션재(11)의 하측에 구비된 얇은 탄소섬유 시트(13)에 접착재로 저면이 접착 고정되어 홀(11a)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는다.
상기 제2쿠션부재는 단열쿠션재(11)와 같은 재질로 되거나 또는 동일한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탄소섬유 시트(13)의 저측에 구비되며, 탄소섬유시트(13)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매트 상측으로부터 가압력이 작용시 단열쿠션재(11)와 옥돌(12)이 받는 가압력을 그대로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단열쿠션재(11)와 제2쿠션부재(14)는 그 쿠션력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2쿠션부재(14)에 작용하는 쿠션만큼 옥돌(12)에 작용하는 쿠션도 보상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단열쿠션재(11)에 작용하는 쿠션과 옥돌(12)에 작용하는 쿠션이 동일해지게 된다.
그리고 단열쿠션재(11), 제2쿠션부재(14)와 같이 베이스 시트층(30)의 부직포 쿠션층(32)도 동시에 쿠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매트 상측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쿠션력은 단열쿠션재(11)와 옥돌(12), 즉 매트의 전체면에 걸쳐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 옥돌 체결층(10)에서 한번 쿠션이 이루어지고 이차적으로 상기 부직포 쿠션층(32)에서 쿠션이 이루어지므로 옥돌(12)에 작용하는 쿠션과 단열쿠션재(11)에 작용하는 쿠션이 동일해져 더욱 안락하고 편안한 매트를 형성하게 되며, 종래 옥돌에 작용하는 가압력과 그 외측 쿠션재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다름에 따라 옥돌이 몸에 배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단열쿠션재(11)의 상측에 구비되는 외면시트(15)는 얇은 천 또는 피혁으로 이루어져 단열쿠션재(11)의 외면을 가리기 위한 것이며, 망사형 시트(16)는 뜨거워진 옥돌(12)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두께는 아주 얇게 형성하기 때문에 옥돌(12)의 상면이 매트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신체에 접촉하지 않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만일, 낮게 형성될 지라도 이는 옥돌(12)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결합되는 외면시트(15)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7은 매트의 바닥시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로서, 기능성 시트층(20)의 상측에 배치되던 제2쿠션부재(14)의 위치를 기능성 시트층(20)의 하측, 즉 기능성 시트층(20)과 베이스 시트층(30)의 상측에 구비된 부직포 쿠션층(32)의 사이에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2쿠션부재(14)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상기 기능성 시트층(20)의 구성요소가 보두 아주 얇은 시트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옥돌 체결층(10)의 단열쿠션재(11)와 옥돌(12)에 1차적으로 작용되는 가압력이 똑같이 제2쿠션부재(14)로 전달되어 매트의 상면이 동일한 쿠션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옥 체결구조를 가짐으로써, 매트의 상면이 평평해져 사용시 옥돌의 배김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또 제2쿠션부재로 인한 옥돌면과 그 외측면에 작용하는 쿠션이 동일하게 되어 편안함과 안락함을 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난연성 냉습층(31) 및 부직포 쿠션층(32)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층(30), 수맥차단 시트(21), 발열체(22), 원적외선 방사천(23)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시트층(20) 및 그 상측에 옥돌 체결층(10)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건강매트에 있어서;
    상기 옥돌 체결층(10)은 표면에 다수의 크고 작은 홀(11a)이 형성된 단열쿠션재(11)와, 상면이 단열쿠션재(11)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홀(11a)에 관통체결되는 옥돌(12)과, 단열쿠션재(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옥돌(12)이 접착 결합되는 탄소섬유 시트(13)와, 탄소섬유 시트(13)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쿠션부재(14)를 포함하되, 그 상측으로 옥돌(12)의 위치와 대응되는 홀(15a)을 가지며 단열쿠션재(11)의 상면을 커버하는 외면시트(15)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쿠션재(11)의 상측에 구비 결합되는 외면시트(15)의 홀(15a)에 대응되는 옥돌(12)의 표면 높이는 외면시트(15)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쿠션부재(14)를 상기 기능성 시트층(20)과 베이스 시트층(30)의 상측에 구비된 부직포 쿠션층(32)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KR1020020052711A 2002-09-03 2002-09-03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KR20040022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711A KR20040022261A (ko) 2002-09-03 2002-09-03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711A KR20040022261A (ko) 2002-09-03 2002-09-03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309U Division KR200298169Y1 (ko) 2002-09-03 2002-09-03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261A true KR20040022261A (ko) 2004-03-12

Family

ID=3732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711A KR20040022261A (ko) 2002-09-03 2002-09-03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2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1890A (zh) * 2010-03-29 2010-06-16 潘富强 一种凉席
CN104825006A (zh) * 2015-05-08 2015-08-12 顾立红 远红外玉石床垫及其制备方法
KR20210101911A (ko) * 2020-02-11 2021-08-19 (주)프로이노텍 다기능 복합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99Y1 (ko) * 1999-12-02 2000-04-15 신성조 옥돌이 부착된 매트리스
KR200258130Y1 (ko) * 2001-09-10 2001-12-24 김고정 매트리스의 원적외선 방사체 설치구조
KR200265255Y1 (ko) * 2001-11-15 2002-02-21 김고정 건강 매트리스
KR200269181Y1 (ko) * 2001-12-06 2002-03-21 이창열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KR200272904Y1 (ko) * 2002-01-16 2002-04-20 신은철 건강용 매트
KR20030069745A (ko) * 2002-02-20 2003-08-27 진 정 옥매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99Y1 (ko) * 1999-12-02 2000-04-15 신성조 옥돌이 부착된 매트리스
KR200258130Y1 (ko) * 2001-09-10 2001-12-24 김고정 매트리스의 원적외선 방사체 설치구조
KR200265255Y1 (ko) * 2001-11-15 2002-02-21 김고정 건강 매트리스
KR200269181Y1 (ko) * 2001-12-06 2002-03-21 이창열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KR200272904Y1 (ko) * 2002-01-16 2002-04-20 신은철 건강용 매트
KR20030069745A (ko) * 2002-02-20 2003-08-27 진 정 옥매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1890A (zh) * 2010-03-29 2010-06-16 潘富强 一种凉席
CN104825006A (zh) * 2015-05-08 2015-08-12 顾立红 远红外玉石床垫及其制备方法
KR20210101911A (ko) * 2020-02-11 2021-08-19 (주)프로이노텍 다기능 복합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1014387A1 (en) Cushion mat
KR200356207Y1 (ko) 인체 친화 소재를 갖는 매트리스 및 매트리스 일체형온돌침대
KR20040022261A (ko)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KR200298169Y1 (ko)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KR101231233B1 (ko) 다용도 전기온열매트
KR101754962B1 (ko) 기능성 온열기 매트
KR970006178Y1 (ko) 다층구조의 매트리스
KR102122869B1 (ko) 친환경 온열 매트리스 침대
KR20160013327A (ko) 침대용 전기온열 매트리스
KR100311946B1 (ko) 수맥파차단판및수맥파차단매트리스
KR101314561B1 (ko) 사계절용 전열 카페트
KR940005670Y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0239221Y1 (ko) 왕골 매트
TW200618785A (en) Warmer
KR20210004430A (ko) 전열 난방시스템을 구성한 쇼파
KR20020002343A (ko) 건강옥돌매트
JP6574977B2 (ja) 暖房マット
JP3135460U (ja) 靴の中敷き
KR100251061B1 (ko) 침대용 매트
KR200167852Y1 (ko) 수맥, 전자파 차단매트
KR200220030Y1 (ko) 침대용 전기 매트리스
KR20070031772A (ko) 열선을 내장한 자리의 제조방법
KR200206431Y1 (ko) 건강 옥 돌 매트
KR200174472Y1 (ko) 침대용 상부 받침대
KR200304433Y1 (ko) 매트의 매트용부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