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181Y1 -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 Google Patents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181Y1
KR200269181Y1 KR2020010037621U KR20010037621U KR200269181Y1 KR 200269181 Y1 KR200269181 Y1 KR 200269181Y1 KR 2020010037621 U KR2020010037621 U KR 2020010037621U KR 20010037621 U KR20010037621 U KR 20010037621U KR 200269181 Y1 KR200269181 Y1 KR 200269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member
skin
mat
foamed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이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열 filed Critical 이창열
Priority to KR2020010037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18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표피본체의 구성재질로 발포수지체를 적용하되, 발포수지체로 형성된 수용공에 표면부재를 완전수용케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므로서, 표면부재가 표피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으며,
본체의 상,하면에 별도의 시트지를 적층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주파접착하여 2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하므로서 표면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JADE ADHESIONED BED CLOTHES'S }
본 고안은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피본체의 구성재질로 발포수지체를 적용하되, 발포수지체로 형성된 수용공에 표면부재를 완전수용케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므로서, 표면부재가 표피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으며,
본체의 상,하면에 별도의 시트지를 적층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주파접착하여 2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하므로서 표면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기능성 건강용품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능성 건강용품의 일원으로 옥돌 등이 표면부재로 사용되는 침구용 매트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옥돌은 인체에 이로운 다종의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고 옥질 광도가 세밀하여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서늘한 특성이 있어, 신진대사를 조절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활성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으므로 각종 악세사리는 물론 침구류에 까지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옥돌로 된 표면부재가 설치되는 기존의 침구류는 그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된 바 있는데, 이는 일정형태의 외장재내부로 쿠션재와 단열재 및 열선이 내설되며, 상부면을 이루는 표피로는 건강이 이로운 표면부재를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열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발열작용에 의해 상부면 표피의 표면부재를 가열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거나 그밖에 여러 효과를 얻도록 구성되는 것이었다.
이와같이 표면부재는 얇은 판상체로 가공하여 시트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거나, 인조피혁으로 된 표피에 바둑판 형태로서 삽입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공간상 표면부재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투명한 합성수지재 시트를 고주파 접착방식으로 표피의 상부로 고정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피에 있어, 표면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은 접착제 자체가 온도에 따른 팽창계수가 달라 시트에서 옥돌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 것임에 따라 근래에는 사장된 기술이며,
가장 범용되고 있는 고주파 접착방식을 사용하는 표피의 경우에는 합성수지가 신체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촉감이 좋지 않고, 인조피혁재인 표피의 상부로 표면부재가 돌출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표면이 굴곡지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없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매트용 표피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표피본체의 구성재질로 발포수지체를 적용하되, 발포수지체로 형성된 수용공에 표면부재를 완전수용케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므로서, 표면부재가 표피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으며,
본체의 상,하면에 별도의 시트지를 적층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주파접착하여2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하므로서 표면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르게는 표피본체내에 열선을 내설하여 열전달효율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표피본체의 표면으로 건강에 이로운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표면부재와 함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도포면을 갖는 발포수지체로서 다수개로 형성된 수용공으로 표면부재가 끼움고정되는 표피본체의 상부면으로는 망사시트를 적층설치하고, 표피본체의 하부면으로는 비닐시트를 적층설치하되, 상기 망사시트와 비닐시트를 고주파접착에 의해 접착고정한 가로세로접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매트용 표피는 쿠션재와 단열재 및 열선 등이 설치된 외장재의 표면부에 설치되어 매트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 있어, 가로세로 접착부의 작업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 있어 표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 있어, 표피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피 2,2' : 표피본체
3 : 망사시트 4 : 비닐시트
5,5' : 표면부재 6 : 가로접합부
7 : 세로접합부 8 : 열선
21,21' : 수용공 22 : 설치공
23 : 도표면 T : 표면부재 직경
T' : 설치공의 직경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 있어, 가로세로 접착부의 작업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있어 표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 있어, 표피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매트용 표피(1)는 표면부재(5)가 설치되는 수용공(21)을 갖는 매트부재(2)와, 망사시트(3)와, 비닐시트((4)PVC필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피본체(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사각체를 취하되 다수개의 수용공(21)이 가로,세로방향으로 구획형성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표피본체(2)의 구성재질로는 자체탄성을 갖는 통상 발포수지체를 적용하게 되며, 상기 수용공(21)은 원형을 주 형상으로 하되 육각, 팔각, 사각등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용공(21)의 변형에 대응하게 옥돌로 된 표면부재(5)의 형성또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수용공(21)으로 끼움고정되는 표면부재(5)는 도 1에 확대도시된 바와같이 그 직경(T)이 수용공이 갖는 직경(T')보다 크게 형성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수용공(21)상에 표면부재(5)를 억지끼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피본체(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으로는 도포면(23)이 형성되는데,
이와같은 도포면(23)은 건강에 이로운 물질인 맥반석과 참숯과 옥돌과 세라믹체를 분말형태로 가공한 후, 1 : 1 : 1 : 1의 혼합비율로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물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스프레이방식 등에 의해 도포하므로서 형성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표피본체인 발포수지체의 성형작업시 상기의 첨가물을 첨가하여발포수지체자체가 원적외선방사 및 참숯에 의한 탈취기능을 갖도록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망사시트(3)는 그물망형태로서 촘촘한 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통공을 통해 옥돌 또는 도포면에서 발하는 건강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 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비닐시트(4)는 통상의 투명체 피.브이.씨 필름을 사용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정도 신장될 수 있는 신장력을 갖는 필름을 적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매트용 표피(1)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가로,세로접합부(6,7)를 형성하므로서 표피본체(1)의 상,하면으로 망사시트(3)와 비닐시트(4)를 각,각 적층접합하게 되는데,
이는 고주파방식을 적용하여 표면부재(5)가 끼움설치된 수용공과 수용공사이에 도 2와 같은 형태로 망사시트(3)와 비닐시트(4)가 접합되도록 도 3과 같은 접착작업(고주파접착핀에 의해 비닐시트가 표피본체를 관통하여 망사 시트에 접하되도록 하는 작업형태)을 통해 고주파접착하므로서 수용공)21)상에 억지끼움된 표면부재(5)를 2차적으로 고정하여 표면부재(5)의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로접합부(6)는 상,하 수용공을 분리하는 구조로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세로접합부는 점사형태로 접착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망사시트(3)와 비닐시트(4)가 적층설치된 표피본체(1)는 쿠션재와 단열재 및 열선 등이 적층설치된 외장재의 표면부에 재봉방식등에 의해 설치되어 매트를 형성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표피(1)는 본체(2)가 발포수지체로 형성됨에 따라 자체쿠션에 의해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음은 물론 표면부재(5)가 표피본체의 내부로 완전수용되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기존의 매트와 같이 옥돌을 통한 이로운 점을 그대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에 있어, 표면부재(5') 및 수용공(21')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면부재(5')자체를 ""와 같이 하부면에 단턱진 형태의 돌출부(51')를 형성하고, 수용공(21') 또한 상기 표면부재(5')가 치합되는 형태로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5')에 의해 수용공(21')상으로의 고정작업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용 표피(1)에 있어, 표피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서,
이는 도시된 바와같이 표피본체(1) 저면으로 열선(8)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공(22)을 지그재그형태로 형성한 것인데, 이러한 설치공(22)은 가로방향으로 상, 하위치되는 수용공과 수용공의 사이공간상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설치공(22)상으로 설치되는 열선은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출원 94-17873호 및 96-15758호로 선출원된 전자파차폐선이 포함된 열선(8)을 적용하므로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로 하여금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표피본체(1)로 열선(8)을 설치하므로서 열전달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도포면(23)과 표면부재(5,5')에 용이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원활한 원적외선의 방사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표피는 매트뿐만아니라 표면부재가 설치되는 방석 및 베개 등의 각종 침구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는 표피본체의 구성재질로 발포수지체를 적용하여 발포수지체가 갖는 자체탄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으며, 수용공상으로 표면부재를 완전수용시켜 표피의 상부면을 표면부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수용공상으로 설치되는 표면부재는 억지끼움형태로서 1차 고정됨과 동시에 고주파접착을 통한 망사시트와 비닐시트의 접합으로 2차 고정되므로 그 고정력을 향상시킨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표피본체내에 열선을 내설하여 열전달효율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표피본체의 상,하부면으로 건강에 이로운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표면부재와 함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도포면을 갖는 발포수지체로서 다수개로 형성된 수용공으로 판상체 표면부재가 끼움고정되는 표피본체의 상부면으로는 망사시트를 적층설치하고 표피본체의 하부면으로는 비닐시트를 적층설치하되, 상기 망사시트와 비닐시트를 고주파접착에 의해 접착고정한 가로,세로접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는 ""와 같이 하부면으로 단턱진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하고, 이 표면부재가 치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치공을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
  3.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의 직경은 설치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표면부재가 설치공상에 억지끼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본체의 저면으로 열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체가 적용된 매트용 표피.
KR2020010037621U 2001-12-06 2001-12-06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KR200269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21U KR200269181Y1 (ko) 2001-12-06 2001-12-06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21U KR200269181Y1 (ko) 2001-12-06 2001-12-06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798A Division KR20030046605A (ko) 2001-12-06 2001-12-06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181Y1 true KR200269181Y1 (ko) 2002-03-21

Family

ID=7307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621U KR200269181Y1 (ko) 2001-12-06 2001-12-06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61A (ko) * 2002-09-03 2004-03-12 이명상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61A (ko) * 2002-09-03 2004-03-12 이명상 옥 매트의 옥돌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6207Y1 (ko) 인체 친화 소재를 갖는 매트리스 및 매트리스 일체형온돌침대
KR200487930Y1 (ko) 침대용 일체형 온열 보료
KR200269181Y1 (ko)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US20040054250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interoduced in a therapeutical device with electromagnetical features
KR20030046605A (ko)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JPS6292841A (ja) 柔軟性加保温シ−ト
KR100403836B1 (ko) 건강 통풍 옥돌 매트
KR101841674B1 (ko) 모래를 이용한 온열보료
KR200372752Y1 (ko) 맥섬석 세라믹을 구비한 의료용 온열 매트리스
JPH07255866A (ja) 磁気治療用マットレス
KR100311946B1 (ko) 수맥파차단판및수맥파차단매트리스
KR200302224Y1 (ko) 매트에 결착되는 건강보호구의 결합구조
KR200417486Y1 (ko) 황토볼을 내장한 쿠션재
KR200303212Y1 (ko) 건강 온열 매트
CN210727300U (zh) 一种负离子功能垫
JP3025352U (ja) 健康マット
KR200317339Y1 (ko) 침대용 매트리스로도 사용이 가능한 온열매트
KR102328751B1 (ko) 마그네틱조립체가 내장된 건강매트
JP3246591U (ja) 寝具用マット
KR102256622B1 (ko) 원적외선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06411Y1 (ko) 매트
KR100308612B1 (ko) 원적외선방사기능이있는쿠션부재및그쿠션부재를이루는스프링부재의제조방법
KR200304433Y1 (ko) 매트의 매트용부재 고정구조
KR200267605Y1 (ko) 대나무 돗자리
KR20070031772A (ko) 열선을 내장한 자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