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39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39Y1
KR200494039Y1 KR2020210000215U KR20210000215U KR200494039Y1 KR 200494039 Y1 KR200494039 Y1 KR 200494039Y1 KR 2020210000215 U KR2020210000215 U KR 2020210000215U KR 20210000215 U KR20210000215 U KR 20210000215U KR 200494039 Y1 KR200494039 Y1 KR 200494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ushion unit
weight
viewed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베드메이트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드메이트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드메이트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0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에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쿠션부; 쿠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쿠션부의 높이를 보조하는 보조쿠션부; 및 상기 구성부들이 수납되도록 하는 외피부를 포함하는 베개가 제공된다.
또한, 쿠션부는, 실리콘 재질을 가지고,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의 정면라운드에서 배면의 배면라운드를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가 중앙부위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부는, 위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의 제1통공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위에서 바라볼 때 보다 큰 삼각형의 제2통공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베고 바로 누웠을 때나 옆으로 누웠을 때 목과 머리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편안함을 제공하고 통기성도 크게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척추의 맨 윗부분에 위치된 경추는 약 10kg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머리를 지탱하고 신체 상부의 하중을 분산시켜 인체의 직립 구조를 무리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정상 커브 각도가 약 63ㅀ 정도를 유지하는 느슨한 반원형(C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C자 곡선을 가지는 경추는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장시간 사용 등에 따른 잘못된 자세와 외상으로 인해 경추의 C자 곡선이 변형되면 일자목이나 디스크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이에, 등록특허 10-1021414호와 등록실용 20-0458054호 등에, 경추 교정용 베개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경추 교정 등을 위한 베개는, 원통형상의 경추지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왜곡된 사용자의 경추의 형태를 교정하여 일자목이나 디스크 등을 효율적으로 치료 및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단순히 사용자의 목 부분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경추지지부를 통해서 지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바로 누웠을 때는 경추의 교정 등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나 옆으로 누웠을 때는 경추지지부의 직경이 두꺼워지지 않는 이상 견갑골의 길이로 인하여 경추가 아래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베개는, 단순히 경추지지부 등을 감싸는 외피가 통기성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질 뿐, 외피에 수용되는 구성부들이 통기 구조를 가지지 못하여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로 누웠을 때와 옆으로 누웠을 때 목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목 부분을 지지하는 쿠션부가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가 중앙부위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위에서 바라볼 때 제1통공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제1통공 보다 큰 직경의 제2통공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목 부분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에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쿠션부; 쿠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쿠션부의 높이를 보조하는 보조쿠션부; 및 상기 구성부들이 수납되도록 하는 외피부를 포함하는 베개가 제공된다.
또한, 쿠션부는, 실리콘 재질을 가지고,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의 정면라운드에서 배면의 배면라운드를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가 중앙부위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부는, 위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의 제1통공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위에서 바라볼 때 보다 큰 삼각형의 제2통공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부는, 항균코팅층이 표면에 구성되고, 상기 항균코팅층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2 내지 5 중량부, 구리분말 1 내지 3 중량부 및 원적외선방사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쿠션부는, 쿠션부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제공하고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는 내피와; 내피의 외면에 엠보싱 처리되어 쿠션부의 바닥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로 누웠을 때와 옆으로 누웠을 때 목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 부분을 지지하는 쿠션부가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가 중앙부위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위에서 바라볼 때 제1통공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제1통공 보다 큰 직경의 제2통공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목 부분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개에 있어서 쿠션부와 보조쿠션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쿠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쿠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쿠션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쿠션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7은 도 2의 쿠션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에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쿠션부(110), 쿠션부(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쿠션부(110)의 형상 유지를 보조하는 보조쿠션부(120) 및 상기 구성부들이 수납되도록 하는 외피부(130) 등을 포함한다.
쿠션부(110)는, 외피부(130)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에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형상 가변을 통하여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쿠션부(110)는,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111)의 정면라운드(111a)에서 배면(112)의 배면라운드(112b)를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113,114)가 중앙부위(115)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사용자가 똑바로 누울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중앙부위(115)에 위치되고 이때, 사용자의 목 부분이 정면라운드(111a)에 의해 받침 지지되면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게 되어 경추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중앙부위(115)에서 좌우 양측부위(113,114)로 위치하게 되고 이때, 좌우 양측부위(113,m114)가 중앙부위(115) 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고 사용자의 목 부분이 정면라운드(111a)에 받침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가 옆으로 눕더라도 견갑골에 의해 사용자의 목 부분이 휘어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10)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의 제1통공(116)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위에서 바라볼 때 보다 큰 삼각형의 제2통공(117)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이 적층되는 구성을 통하여 제1통공(116)과 제2통공(117)들에 의한 형상 가변을 통하여 목 부분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쿠션부(110)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나 옆으로 누웠을 때 모두 목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쿠션부(110)는, 사용자의 땀이나 침 또는 먼지 등에 의한 오염과 진드기 등 서식 등을 억제하는 항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항균코팅층이 표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항균코팅층은, 무기바인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 인산, 강염기, 구리분말 및 원적외선방사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2 내지 5 중량부, 구리분말 1 내지 3 중량부 및 원적외선방사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무기바인더은, 항균코팅층의 혼합물이 쿠션부(110)의 표면에 도포 및 코팅되도록 하는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쿠션부(110)에 도포 및 코팅시 외부의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제공하는 공지의 것으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쿠션부(110)의 형상 변형성이 너무 커지게 되어 정형화된 베개의 형상 유지가 어려워 사용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쿠션부(110)의 탄성도가 저하되어 오히려 충격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은, 쿠션부(110)에 도포 및 코팅시 주변 침구류 등으로 옮겨지는 진드기 등의 접근 및 서식을 차단하여 이들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 및 물림을 방지한다.
여기서,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광촉매 발생률이 저조하여 항균 기능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기바인더의 변색되거나 금속계 조성물의 코팅막 분리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인산은, 쿠션부(110)에 도포 및 코팅시 주변 공기 중의 먼지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착 방지 부재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먼지 등의 흡착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교반성 및 결합성이 저하되어 소정 두께의 코팅층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강염기는, 쿠션부(110)에 도포 및 코팅시 흡착된 먼지 등이 세척 과정에서 세척액어 등과 접촉시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공지의 것으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먼지 등의 흡착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흡착된 이물질 중의 단백질 성분 등을 변형시켜 흡착에 의한 부패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구리분말은, 쿠션부(110)에 도포 및 코팅시 쿠션부(110)에 흡착되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을 멸균 또는 사균시켜 항균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1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항균 기능이 저하되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혼합 교반성이 저하되고 쿠션부(110)의 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원적외선방사제는, 쿠션부(110)에 도포 및 코팅시 사용자를 향해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라이트, 황토, 규사토, 맥반석, 혈토, 숯가루 등과 같은 천연 광물질 분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방사제는,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사 기능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쿠션부(110)의 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항균코팅층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5 중량부,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 5 중량부, 인산 5 중량부, 강염기 5 중량부, 구리분말 3 중량부 및 원적외선방사제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쿠션부(110)의 오염 방지, 쿠션 기능 저하 방지 및 항균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코팅층에 의하면, 쿠션부(110)에 흡착되는 침이나 땀 및 먼지 등에 따른 오염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발생을 억제하며 세척시 쉽게 제거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되어도 건강에 무해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쿠션부(120)는, 쿠션부(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쿠션부(110)의 높이와 쿠션부(110)의 형상 유지를 보조하는 부재로서, 쿠션부(110)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제공하고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베개의 높이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내피(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피(121)는, 쿠션부(110)의 사출 또는 적층 제조시 쿠션부(110)의 조성물이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겔화 상태에서 안착되는 것에 의해 융착 또는 부착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피(121)는, 쿠션부(110)의 바닥면에 상기와 같이 융착 또는 부착되지 않고, 내피(121)의 외면에 밀착부가 엠보싱 처리되어 쿠션부(110)의 바닥면이 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충전재는, 통기성이 좋은 공지의 화이버이거나, 망사 형태로 편직되는 상층과 하층 및 상층과 하층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모노필라멘트사로 연결 결합한 3층 구조의 3D 메쉬일 수 있다.
따라서 보조쿠션부(120)에 의하면, 기존의 스펀지 구조의 쿠션 매트에 비해, 복수개가 적층 구성되더라도 통풍성이 좋아 외피부(130)에 수납되더라도 두께 만큼 공기층이 구성되도록 하여 보온 및 보냉 효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10)가 외피(130)에 수납시 쿠션부(110)가 제1통공(116)과 제2통공(117)의 구성에 의해 뛰어난 형상 가변성을 가지더라도 외피부(130) 내부에서 정형화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쿠션부(110)가 외피부(130)의 내부에서 정형화된 형상을 가지지 못하고 쉽게 형상이 변형되어 다시 베개의 형상을 가지도록 쿠션부(110)의 형상을 바로 잡는 사용상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외피부(130)는, 쿠션부(110)와 보조쿠션부(120)의 부피에 대응되는 수납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구성부들이 수납되도록 하여 구성부들을 보호하는 커버체로서, 소정의 쿠션 기능 이외에, 방수성, 통기성 및 항균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내피용커버와 외피용커버 사이에 쿠션부재가 충전된 상태로, 주머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통해 내부에 상기 구성부들이 수납되고, 이때, 내피용커버는 합성수지나 면재질 또는 혼합재질을 가지고, 외피용커버는 상면은 피부에 접촉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는 면재질을 가지고 하면은 방수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쿠션부(110)의 바닥면에 베개의 소정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쿠션부(120)가 밀착된 후, 쿠션부(110)와 보조쿠션부(120)가 외피부(1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쿠션부(110)가 보조쿠션부(120)에 의해 정형화된 베개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외피부(130)에 안정적으로 수납된다.
이에, 사용자가 바로 누울 경우에는 쿠션부(110)의 정면(111) 중앙부위(115)의 낮은 부위에 사용자의 목 부분이 위치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에는 쿠션부(110)의 정면(111) 중앙부위(115) 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는 좌우 양측부위(113,114) 중 어느 한 곳에 사용자의 목 부분이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나 옆으로 누웠을 때 모두 사용자의 목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10)가 제1통공(116)들이 형성된 층과 제1통공(116)들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제2통공(117)들이 형성된 층이 적층된 구성을 가짐에 따라 통기성도 향상되고 형상 가변을 통한 무게 분산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바로 누웠을 때와 옆으로 누웠을 때 목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 부분을 지지하는 쿠션부(110)가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111)에서 배면(112)을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113,114)가 중앙부위(115)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위에서 바라볼 때 제1통공(116)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제1통공(116) 보다 제2통공(117)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목 부분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에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쿠션부(110); 쿠션부(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쿠션부(110)의 형상 유지를 보조하는 보조쿠션부(120); 및 쿠션부(110)와 보조쿠션부(120)가 수납되도록 하는 외피부(130)를 포함하고,
    쿠션부(110)는,
    실리콘 재질을 가지고,
    옆에서 바라볼 때 정면(111)의 정면라운드(111a)에서 배면(112)의 배면라운드(112b)를 향하여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앞과 뒤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부위(113,114)가 중앙부위(115)에 비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위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의 제1통공(116)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을 가지고 아래에서 바라볼 때 위에서 바라볼 때 보다 큰 삼각형의 제2통공(117)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층이 적층되고,
    항균코팅층이 표면에 구성되며,
    상기 항균코팅층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은나노 또는 광촉매 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2 내지 5 중량부, 구리분말 1 내지 3 중량부 및 원적외선방사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보조쿠션부(120)는,
    쿠션부(110)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제공하고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는 내피(121)를 포함하고,
    내피(121)는 쿠션부(110)의 바닥면에 부착되거나 밀착되어 쿠션부(11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0215U 2021-01-21 2021-01-21 베개 KR200494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15U KR200494039Y1 (ko) 2021-01-21 2021-01-21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15U KR200494039Y1 (ko) 2021-01-21 2021-01-21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039Y1 true KR200494039Y1 (ko) 2021-07-20

Family

ID=7712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15U KR200494039Y1 (ko) 2021-01-21 2021-01-21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301B1 (ko) * 2022-01-19 2022-07-29 베드메이트유 주식회사 베개
KR20230066835A (ko) * 2021-11-08 2023-05-16 곽재순 신발 깔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06A (ja) * 1999-12-27 2001-07-03 Kyoto Nishikawa:Kk
KR20110034738A (ko) * 2009-09-29 2011-04-06 신홍관 다운 의류
KR101882615B1 (ko) * 2017-05-28 2018-07-26 정태연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
KR20190123407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불스원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06A (ja) * 1999-12-27 2001-07-03 Kyoto Nishikawa:Kk
KR20110034738A (ko) * 2009-09-29 2011-04-06 신홍관 다운 의류
KR101882615B1 (ko) * 2017-05-28 2018-07-26 정태연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
KR20190123407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불스원 기능성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835A (ko) * 2021-11-08 2023-05-16 곽재순 신발 깔창
KR102555334B1 (ko) * 2021-11-08 2023-07-12 곽재순 신발 깔창
KR102427301B1 (ko) * 2022-01-19 2022-07-29 베드메이트유 주식회사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039Y1 (ko) 베개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120102654A1 (en) Pillow
KR10101562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방석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EP3505017A1 (en) Pillow
KR101553373B1 (ko) 기능성 침구부재
JP2009291450A (ja) クッション構造体
KR200397431Y1 (ko) 기능성 매트
JP3231962U (ja) 機能性枕
KR200438607Y1 (ko) 베개
US20220312984A1 (en) System for supporting the human body, or a human body segment, provided with an improved cushioning arrangement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170020081A (ko)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며 통기성이 향상된 침대 매트리스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KR200486619Y1 (ko) 유선형 허리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200410868Y1 (ko) 침구류의 지압구조
KR102656579B1 (ko) 베개용 충전재 및 이를 가지는 베개 구조체
EP2591704A1 (en) Multifunctional orthopaedic pillow with external fabric cover, filled with a plurality of disc-shaped particles or pieces structured on the basis of non-contaminating polymer
CN205267674U (zh) 枕头
KR20130003617U (ko) 유아용 베개
CN211795652U (zh) 带有强磁保健功能的褥子
KR102482492B1 (ko) 기능성 두피 베개
KR101465237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