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855B1 -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 Google Patents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855B1
KR101124855B1 KR1020090136070A KR20090136070A KR101124855B1 KR 101124855 B1 KR101124855 B1 KR 101124855B1 KR 1020090136070 A KR1020090136070 A KR 1020090136070A KR 20090136070 A KR20090136070 A KR 20090136070A KR 101124855 B1 KR101124855 B1 KR 10112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frame
breathable
b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105A (ko
Inventor
장기룡
Original Assignee
장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룡 filed Critical 장기룡
Priority to KR102009013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8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special fibres, such as acrylic thread, coconut, horse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8Silicon, e.g. silicon carbide, magnesium silicide, heating transistors or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또는 황토보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는 통상의 침대프레임과 침대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황토보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황토보료는 상하좌우에 일정 높이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사각형의 수용부가 형성된 보료프레임과; 상기 보료프레임의 수용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난방을 위한 열선이 내장된 발열동판과; 상기 발열동판 위에 설치되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보료프레임에 고정되며 다수 개의 셀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진 황토지지틀과; 상기 황토지지틀의 각 셀에 충전된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과; 상기 황토지지틀의 칸막이 상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를 가로질러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통기성 섬유시트와; 상기 제1 통기성 섬유시트 위에 설치되며 상기 보료프레임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두께로 이루어진 통기성 식물성 쿠션 패드와; 상기 통기성 식물성 쿠션 패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를 가로질러 상기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통기성 섬유시트와;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 위를 가로질러 상기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를 고정하는 통기성 커버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황토침대, 황토보료, 황토분말, 황토혼합물

Description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A Bed Usig Yellow Soil And Vegetable Fibers}
본 발명은 자연 그대로의 황토분말 또는 황토분말혼합물을 이용한 황토침대 또는 황토보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딱딱한 황토패널이나 황토미장판과 달리 황토입자 사이의 공극이 넓어서 가열 시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수분조절 및 악취제거 능력이 높고 황토 속에 포함된 미생물이나 효소의 작용으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발현되는 황토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黃土)는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과 효소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황토를 40~50℃로 가열할 때 발생하는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인체의 유해물질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속에 포함되어 있는 토양 미생물과 카탈아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는 독소제거력과 정화작용이 있어 인체의 독과 환경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황토주택, 황토방, 황토침대 및 황토보료 등과 같이 황 토를 가열할 때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난방은 물론 인체의 건강에 도움을 받기 위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황토침대나 황토보료는 난방용 발열체 위에 다수 개의 황토패널를 깔거나 발열 판 위에 황토미장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시켜 가열시 황토층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도록 한다.
종래의 황토패널은 황토분말을 사각 틀에 넣고 단단하게 다지거나 고온에서 구어서 만든 것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운송과 설치가 쉽고 비교적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강한 충격에 깨지기 쉽고 황토입자가 물리적으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입자 간의 공극이 적어 원적외선의 방출량이 적고 수분조절 능력이나 악취제거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황토분말을 고온에서 구울 때 황토 속의 미생물이 사멸되기 때문에 독소제거력 및 정화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황토미장판은 동판이나 석판 등 발열판의 표면에 황토미장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한 것으로, 황토패널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가벼운 장점이 있으나 발열판 위에 도포되는 황토층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출량이 적고, 황토패널과 마찬가지로 황토분말을 단단하게 건조하는 과정에서 황토입자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미생물이나 효소가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하기 때문에 수분조절 능력이나 악취제거 능력 그리고 독소제거력 및 정화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황토패널 및 황토미장판의 단점을 보완 및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고온에서 굽거나 단단하게 건조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황토분말을 사용함으로써 황토입자 간의 공극을 넓게 유지하여 원적외선 방출량을 최대화하고 수분조절 및 악취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며, 황토 속에 포함된 미생물과 효소가 생존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인체의 건강에 더욱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를 이용하여 황토침대나 황토보료를 만들 경우,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황토분말이 다져져 황토입자 간의 공극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고, 입자상태의 황토층에서 먼지가 발생하며, 황토보료를 옆으로 세우면 황토입자가 한쪽으로 쏠려서 황토층이 파괴되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황토층에서 먼지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합성솜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진 쿠션재를 황토층 위에 두껍게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쿠션재는 황토층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이 인체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가스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황토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효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을 이용한 황토보료와 이를 이용한 황토침대를 제공하되,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다수 개의 셀이 구비된 황토지지틀을 보료프레임에 고정설치하고, 황토층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원활하게 도달함과 아울 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기성의 섬유시트 및 식물성 쿠션 패드를 사용한 황토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는 통상의 침대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황토보료로 이루어진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 황토보료는 상하좌우에 일정 높이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사각형의 수용부가 형성된 보료프레임과; 상기 보료프레임의 수용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난방을 위한 열선이 내장된 발열동판과; 상기 발열동판 위에 설치되며 물이나 수분이 발열동판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보료프레임에 고정되며 다수 개의 셀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진 황토지지틀과; 상기 황토지지틀의 각 셀에 충전된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과; 상기 황토지지틀의 칸막이 상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를 가로질러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통기성 섬유시트와; 상기 제1 통기성 섬유시트 위에 설치되며 상기 보료프레임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두께로 이루어진 통기성 식물성 쿠션 패드와; 상기 통기성 식물성 쿠션 패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를 가로질러 상기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통기성 섬유시트와;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 위를 가로질러 상기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를 고정하는 통기성 커버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에 따르면, 다수 개의 셀이 구비된 황토지지틀과 섬유시트를 이용하여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을 고정함으로써 황토보료를 세우는 경우에도 황토분말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기 때문에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통기성 섬유시트와 통기성 식물성 쿠션 패드로 이루어지므로 황토층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상태의 황토분말을 사용하여 황토 속에 다량의 미생물과 효소가 살아 있는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좋은 섬유시트와 식물성 쿠션 패드를 사용함으로 미생물과 효소의 정화작용을 이용하여 환경 및 인체의 독소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파트나 인테리어제품에서 발생되는 화학성물질을 정화하므로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료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료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1)는 크게 침대프레임(2)과 황토보료(3)로 구성된다. 상기 침대프레임(2)은 통 상의 침대프레임과 같은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황토보료(3)는 상기 침대프레임(2)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침대프레임(2)으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이송 및 보관이 편리하고, 주기적으로 햇빛에 말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황토보료(3)는 침대프레임(2)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황토침대(1)는 황토보료(3)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침대프레임(2)에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을 이용한 황토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대프레임(2)에 설치되는 황토보료(3)는, 크게 사각형의 수용부(12)가 구비된 보료프레임(10)과, 상기 보료프레임(10)의 수용부(12)에 안치되는 발열동판(11), 방수포(13), 황토지지틀(17),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 식물성 쿠션 패드(21), 제2 통기성 섬유시트(23) 및 커버시트(25)로 이루어진다.
보료프레임(10)은 침대프레임(2) 위에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상기한 발열동판(11), 황토지지틀(17) 및 식물성 쿠션 패드(21)를 안치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수용부(12)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부(12) 바닥에는 바닥 판이 구비되고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테두리(12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12b)의 일 측에는 발열동판(11)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5)가 안치되는 안치 홈이 구비된다.
발열동판(11)은 보료프레임(10)의 바닥 판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동 도금된 철판을 구부려 만든 상자 형태로서, 6면이 모두 밀폐되어 있고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리콘열선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실리콘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면 열이 발 생하고 이 열에 의해 발열동판(11)이 가열되게 된다. 상기 발열동판(11)은 50~60℃로 난방할 수 있으며 그 상부의 황토층을 가열하여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발열동판(11)은 동(Cu) 도금되어 지표에서 올라오는 수맥 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기를 이용한 발열동판(11)을 제시하였으나 통상의 온수파이프나 열선을 수용부(12)의 바닥 판 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12)의 바닥에는 알루미늄 등의 단열차폐시트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수포(13)는 발열동판(11)의 상면에 설치된다. 방수포(13)는 치밀한 조직을 갖는 부직포로서 발열동판(11)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두께가 얇으면서도 상부로부터 물이나 수분이 발열동판(11) 쪽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한다. 방수포(13)는 수분으로부터 발열동판(1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방수포(13)의 상부에는 참숯 입자가 포함되어 음이온이 방출되는 음이온방출시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방수포(13) 상부에는 황토지지틀(17)이 설치된다. 황토지지틀(17)은 수용부(12)에 포설되는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황토보료(3)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황토보료를 옆으로 세워도 황토분말이 한쪽으로 쏠려서 황토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황토지지틀(17)은 다수 개의 격판(17a)으로 이루어져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채워지는 다수 개의 셀(17b)을 형성한다. 다수 개의 격판(17a)는 수용부(12) 내에 격자나 벌집 모양으로 설치되어 다수 개의 셀(17b)을 구획한다. 다 수 개의 격판(17a)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보료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격판(17a)은 소정 높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일정 양의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황토지지틀(17)은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다져지는 것을 방지한다.
황토지지틀(17)의 셀(17b)에는 입자상태의 황토분말이나 입자상태의 황토분말에 기타 혼합물을 혼합한 황토분말혼합물(15)이 충전된다. 여기서 황토분말은 황토채취장에서 채취한 황토를 분쇄 및 파쇄한 후 스크린으로 선별한 것으로, 고온에서 굽거나 물과 혼합하여 건조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황토분말은 입자 간의 간극이 넓어서 표면적이 매우 넓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황토분말에는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미생물과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인체나 환경의 독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황토분말은 입자 간의 공극이 크기 때문에 가열 시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고 수분흡수 및 악취제거 능력이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황토분말혼합물(15)은 입자상태의 황토분말에 모래, 볏짚, 숯가루, 쑥, 은행잎, 소금 등을 혼합한 것이다. 모래는 황토분말이 단단하게 다져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바다 모래는 일정량의 소금이 함유되어 살균력을 갖는다. 볏짚은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공극이 잘 발달하여 있으므로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볏짚을 2~3cm의 크기로 잘라 사용한다. 이러한 볏집은 황토분말의 유동을 억제하고 쿠션력을 갖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숯가루는 가열 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냄새와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은행잎은 항균작용이 있어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쑥은 악취와 나쁜 성분을 흡수하는 작용이 있어 공기를 맑게 만든다. 은행잎과 쑥은 말린 것을 잘라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황토분말혼합물(15)은 황토분말 60~70중량%에 모래 20~30중량%, 볏짚 1~3중량%, 숯가루 0.1~1중량%, 쑥 0.1~1중량%, 은행잎 0.1~1중량% 소금 0.1~1중량%을 혼합한 것이다. 황토분말혼합물(15)은 모래와 볏집 또는 쑥 등이 포함되므로 입자 간의 기공이 충분히 확보되어 황토층의 가운데까지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원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과 황토분말혼합물(15)은 황토패널이나 황토미장판에 비해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의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수분조절능력과 악취제거능력이 우수하며, 환경호르몬, 유해가스 등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정화능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종래의 황토패널이나 황토미장판에 비해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의 치료와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황토지지틀(17)의 각 셀(17b)에는 코일스프링(18)이 설치된다. 코일스프링(18)은 격판(17a)의 상단보다 약간 돌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8)은 쿠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18)이 압축팽창할 때마다 황토분말혼합물(15)을 섞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8)은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충분한 공극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황토지지틀(17)에 채워진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은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는 황토지지틀(17)의 상면에 고정되어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15)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는 광목과 같은 식물성 섬유로 이루어져 황토입자나 분진이 누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분 및 가스의 흐름이 자유롭게 한다.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는 적절한 크기의 망을 갖고 인체에 해롭지 않은 식물성 섬유로 이루어지므로 미세한 황토분말의 유통까지 차단하지는 않는다. 즉, 미세한 황토분말은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것까지 모두 차단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는 다수 개의 격판(17a) 상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테두리(12b)를 가로질러 보료프레임(10)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가 황토지지틀(17)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팽팽하게 잡아당겨서 고정한다.
제1 통기성 섬유시트(19)의 위에는 식물성 쿠션 패드(21)가 설치된다. 식물성 쿠션 패드(21)는 황토분말과 황토분말혼합물(15)이 충전된 지지틀(17) 위에 설치되어 쿠션력을 제공한다. 종래의 황토침대용 황토보료는 사용자가 눕게 되는 표면에 모노륨과 같은 커버지를 설치하므로 딱딱한 황토층의 표면과 접촉하는 인체의 접촉부위가 딱딱하게 베기면서 아프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황토층의 표면이 단단하여 인체가 아픔에 따라 두꺼운 요를 황토층의 상면에 깔고 눕게 되는데, 이렇게 황토층 위에 두꺼운 요를 깔게 되면 황토층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두꺼운 요에 차단되어 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황토침대의 효능을 제대로 체험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쿠션 패드(21)는 코코넛이나 야자수 또는 볏짚 패드로서, 식물 줄기 및 잎의 섬유소를 뭉쳐서 무수히 많은 통기공이 커다랗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식물성 쿠션 패드(21)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방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공이 잘 발달돼 있으므로 상당한 두께로 설치하여도 황토분말혼합물(15)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사용자에게 잘 도달할 뿐만 아니라 황토분말혼합물(15)에 포함된 유익한 미생물과 효소가 사용자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또한 식물성 쿠션 패드(21)도 미생물과 효소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인체 및 환경의 정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23)는 식물성 쿠션 패드(21) 위에 설치되어 식물성 쿠션 패드(21)를 고정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통기성 섬유시트(23)는 테두리(12b)를 가로질러 보료프레임(10)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2 통기성 섬유시트(23)는 식물성 쿠션 패드(21)의 상면과 테두리(12b)의 상면이 일치하도록 팽팽하게 잡아당겨서 고정한다. 제2 통기성 섬유시트(23)는 광목 등의 식물성 섬유로 이루어져 식물성 쿠션 패드(21)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부스러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황토분말혼합물(15)과의 통기를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23)의 상부에는 다양한 컬러와 무늬로 장식된 커버시트(25)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시트(25)는 일반 침대에 적용되는 통상의 커버시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인체에 유익한 식물성 섬유나 황토 천을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황토보료(3)의 테두리(12b)에는 소정의 쿠션 재를 더 설치한 후 상기 커버시트(25)를 이용하여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료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보료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황토침대 2: 침대프레임
3: 황토보료 5: 온도조절기
10: 보료프레임 11: 발열동판
12: 수용부 12b: 테두리
13: 방수포 15: 황토분말 또는 황토분말혼합물
17: 황토지지틀 17a: 격판
17b: 셀 18: 스프링
19: 제1 통기성 섬유시트 21: 식물성 쿠션 패드
23: 제2 통기성 섬유시트 25: 커버시트

Claims (5)

  1. 침대프레임과 이 침대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황토보료로 이루어진 황토침대에 있어서,
    상기 황토보료는 상하좌우에 일정 높이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사각형의 수용부가 형성된 보료프레임과;
    상기 보료프레임의 수용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난방을 위한 열선이 내장된 발열동판과;
    상기 발열동판 위에 설치되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보료프레임에 고정되며 다수 개의 셀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진 황토지지틀과;
    상기 황토지지틀의 각 셀에 충전된 황토분말이나 황토분말혼합물과;
    상기 황토지지틀의 칸막이 상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를 가로질러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통기성 섬유시트와;
    상기 제1 통기성 섬유시트 위에 설치되며 상기 보료프레임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두께로 이루어진 통기성 식물성 쿠션 패드와;
    상기 식물성 쿠션 패드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를 가로질러 상기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통기성 섬유시트와;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료프레임의 테두리 위를 가 로질러 상기 보료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통기성 섬유시트를 고정하는 통기성 커버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기성 섬유시트는 광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성 쿠션 패드는 야자수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혼합물은 입자상태의 황토분말에 모래, 볏짚, 숯가루, 소금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혼합물은 말린 은행잎과 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지지틀의 각 셀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수축팽창하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KR1020090136070A 2009-12-31 2009-12-31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KR10112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70A KR101124855B1 (ko) 2009-12-31 2009-12-31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70A KR101124855B1 (ko) 2009-12-31 2009-12-31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05A KR20110079105A (ko) 2011-07-07
KR101124855B1 true KR101124855B1 (ko) 2012-04-12

Family

ID=4491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070A KR101124855B1 (ko) 2009-12-31 2009-12-31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52U (ko) * 2012-04-03 2013-10-14 조삼순 애완동물용 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4B1 (ko) * 2014-11-17 2015-07-16 이형기 침대매트리스
KR102267909B1 (ko) * 2020-09-01 2021-06-22 김규명 쿠셔닝을 갖는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돌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202A (ko) * 1998-01-22 1999-08-16 최차란 황토를 이용한 침대의 제조방법
KR20020054287A (ko) * 2002-05-29 2002-07-06 박태순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난방용 매트리스를 갖는 찜질용 침대
KR20060002002A (ko) * 2005-12-22 2006-01-06 김봉극 침대용 매트레스
KR20090081495A (ko) * 2008-01-24 2009-07-29 최두영 통기성 발열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202A (ko) * 1998-01-22 1999-08-16 최차란 황토를 이용한 침대의 제조방법
KR20020054287A (ko) * 2002-05-29 2002-07-06 박태순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난방용 매트리스를 갖는 찜질용 침대
KR20060002002A (ko) * 2005-12-22 2006-01-06 김봉극 침대용 매트레스
KR20090081495A (ko) * 2008-01-24 2009-07-29 최두영 통기성 발열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52U (ko) * 2012-04-03 2013-10-14 조삼순 애완동물용 집
KR200482798Y1 (ko) 2012-04-03 2017-03-06 조삼순 애완동물용 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05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855B1 (ko)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KR19990018493A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502B1 (ko)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2564B1 (ko)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9261924A (ja) 敷体
KR102245372B1 (ko) 탄화코르크 알갱이 및 탄화코르크 보드를 활용한 수경 재배기
KR20070003329A (ko) 기능성 침대 및 이에 사용되는 황토볼의 제조방법
KR101391294B1 (ko) 식물 식재용 황토패널
KR100695551B1 (ko) 기능성 매트
KR101061929B1 (ko) 흙 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386B1 (ko) 활성 숯의 정제방법
JPH11197631A (ja) 製紙産業廃棄物より製造した多孔質構造のセラミックスと炭素が融合形状の多孔質構造炭素セラミックス及び木酢液の製造と多孔質構造炭素セラミックスより製造した内包型シート形状の寝具補助具、生活座具用品及び顧客運送車輸座席用等の生活環境改善用品、内包型シート形状及び平坦なシート形状及びボード形状及び抗菌処理付きボード形状の建材及び内装建材及び繊維状発熱面体を組み合わせた発熱暖房付き建材及び内装建材、植物の育成及び植物へ水の補給をするボード及びブロック形状の道路外壁建材及び外側壁建材、ボード状又は球状の水質浄化材及び水質濾過材及び浄化建材、土壌改良材に変化できる植林用及び園芸用植木鉢形状の土木造園建材の製造方法。
KR20070096176A (ko)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JPH08215294A (ja) 吸着・脱臭剤及び吸着マット
KR101128147B1 (ko) 황토석 - 편백나무제 침구속재
KR200443658Y1 (ko) 침대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KR200440050Y1 (ko) 침대용 건강 매트리스
KR200473208Y1 (ko) 숯 블록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매트
KR101025631B1 (ko) 황토지지틀이 구비된 황토분말 보료 및 침대
KR100321632B1 (ko) 침대용숯매트리스
CN2731966Y (zh) 用竹炭作为宠物保健组合季节窝垫的装置
JP3075172U (ja) 木炭ペレット及び木炭ペレット製品
JPH09299195A (ja) 竹活性炭パッド及び該パッドを用いた寝具類並びに浴用剤
JPH09121997A (ja) 汗の吸収・蒸散具およびつぼ刺激具
JPH11131606A (ja) 保湿吸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