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132B1 -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132B1
KR101807132B1 KR1020150178651A KR20150178651A KR101807132B1 KR 101807132 B1 KR101807132 B1 KR 101807132B1 KR 1020150178651 A KR1020150178651 A KR 1020150178651A KR 20150178651 A KR20150178651 A KR 20150178651A KR 101807132 B1 KR101807132 B1 KR 10180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vehicle body
sub
frame bracket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954A (ko
Inventor
목인경
모관호
김원오
용지애
신중현
강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는 하부 차체, 상기 하부 차체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 및 상기 제1 환형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차체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환형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LOWER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본 기재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 대한 충돌 성능 향상 및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 시 충돌 하중이 차체에 인가되며, 차량의 주행 시 외부의 가진력 등의 입력 하중이 차체에 인가된다.
즉, 충돌 성능 향상을 위해서, 차량의 차체는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 향상을 위해서, 차량의 차체는 외부의 가진력 등의 입력 하중에 대한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입력 하중에 대한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된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부 차체, 상기 하부 차체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 및 상기 제1 환형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차체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환형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환형 구조는, 상기 하부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된 대쉬 크로스 멤버, 상기 대쉬 크로스 멤버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사이드 멤버 어퍼, 상기 대쉬 크로스 멤버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사이드 멤버 어퍼, 및 상기 대쉬 크로스 멤버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어퍼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어퍼 사이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어퍼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어퍼에 연결된 시트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환형 구조는, 상기 하부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과 이격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에 양 단부가 연결된 서브 프레임,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사이드 멤버,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사이드 멤버,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서브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사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터널 브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각각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각각의 중앙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각각을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된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상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에 입력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에 충돌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상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는 하부 차체(100) 및 하부 차체(10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200)를 포함한다.
제1 환형 구조(200)는 하부 차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추가적인 부재가 하부 차체(100)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환형 구조(200)는 대쉬 크로스 멤버(210),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시트 크로스 멤버(240)를 포함한다.
대쉬 크로스 멤버(210)는 하부 차체(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대쉬 크로스 멤버(210)의 양 단부 각각에는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및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각각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는 대쉬 크로스 멤버(210)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의 일 부분에는 시트 크로스 멤버(240)가 연결되어 있다.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는 대쉬 크로스 멤버(210)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는 대쉬 크로스 멤버(210)를 사이에 두고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와 이격되어 있다.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와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사이는 대쉬 크로스 멤버(210)가 연결하고 있다.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의 일 부분에는 시트 크로스 멤버(240)가 연결되어 있다.
시트 크로스 멤버(240)는 대쉬 크로스 멤버(210)와 이격되어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와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사이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시트 크로스 멤버(240)는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및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각각과 연결되어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와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대쉬 크로스 멤버(210),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시트 크로스 멤버(240) 각각은 하부 차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쉬 크로스 멤버(210),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시트 크로스 멤버(24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하부 차체(100)와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하부 차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쉬 크로스 멤버(210), 제1 사이드 멤버 어퍼(220), 제2 사이드 멤버 어퍼(230), 시트 크로스 멤버(240) 각각은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하부 차체(100)의 상측에 제1 환형 구조(200)를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는 하부 차체(10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와 대응하여 하부 차체(100)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환형 구조(300)를 더 포함한다.
제2 환형 구조(300)는 하부 차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추가적인 부재가 하부 차체(100)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환형 구조(300)는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서브 프레임(330), 제1 사이드 멤버(340), 제2 사이드 멤버(35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터널 브레이스(380)를 포함한다.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은 하부 차체(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의 일 단부에는 제1 사이드 멤버(3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의 타 단부에는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가 연결되어 있다.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은 하부 차체(10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과 이격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의 일 단부에는 제2 사이드 멤버(3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의 타 단부에는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가 연결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330)은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및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각각에 양 단부 각각이 연결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330)은 하부 차체(100)와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및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각각에 의해 하부 차체(1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사이드 멤버(340)는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사이드 멤버(350)는 제1 사이드 멤버(340)와 이격되어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는 제1 사이드 멤버(340)와 제2 사이드 멤버(350) 사이에서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는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와 제2 사이드 멤버(350) 사이에서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터널 브레이스(380)는 서브 프레임(330),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과 이격되어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와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사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터널 브레이스(380)는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각각의 단부를 연결한다.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제1 사이드 멤버(340), 제2 사이드 멤버(35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터널 브레이스(380) 각각은 하부 차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제1 사이드 멤버(340), 제2 사이드 멤버(35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터널 브레이스(38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하부 차체(100)와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하부 차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서브 프레임(330), 제1 사이드 멤버(340), 제2 사이드 멤버(35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터널 브레이스(380) 각각은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하부 차체(100)의 하측에 제2 환형 구조(300)를 형성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입력점 강성이 향상된 것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에 입력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시 외부의 가진력 등의 입력 하중이 서브 프레임(330)을 통해 하부 차체(100)에 인가되면, 입력 하중이 서브 프레임(330)으로부터 하부 차체(10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뿐만 아니라 하부 차체(100)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환형 구조(300)인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제1 사이드 멤버(340), 제2 사이드 멤버(35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터널 브레이스(380) 각각을 통해 다중 하중 전달 경로로 하부 차체(100)에 전달됨으로써, 하부 차체(100)의 입력점 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입력 하중에 대한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된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이 향상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억제된 것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에 충돌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 시 충돌 하중이 하부 차체(100)에 인가되면, 충돌 하중이 하부 차체(10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뿐만 아니라 하부 차체(100)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환형 구조(300)인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310),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320), 서브 프레임(330), 제1 사이드 멤버(340), 제2 사이드 멤버(35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터널 브레이스(380) 각각이 형성하는 다중 환형 구조를 통해 분산됨으로써, 충돌 하중에 의한 하부 차체(100)의 차체 변형량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된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차체 구조는 제1 환형 구조(200) 및 제2 환형 구조(300) 각각이 하부 차체(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형성됨으로써, 하부 차체 구조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하부 차체(100) 및 서브 프레임(330) 각각을 경량화할 수 있다. 즉, 경량화된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차체 구조는 하부 차체(100), 제1 환형 구조(200), 제2 환형 구조(30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입력 하중에 대한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되고,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경량화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는 제2 환형 구조(300)의 터널 브레이스(380)가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각각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각각은 제1 사이드 멤버(340) 및 제2 사이드 멤버(350) 각각과 종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각각은 터널 브레이스(380)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널 브레이스(380)는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각각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 차체 구조는 하부 차체(100), 제1 환형 구조, 제2 환형 구조(30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입력 하중에 대한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되고,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경량화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는 제2 환형 구조(300)의 터널 브레이스(380)가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각각을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제1 사이드 멤버(340) 및 제2 사이드 멤버(350) 사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즉, 터널 브레이스(380)는 제1 사이드 멤버(340)로부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및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를 거쳐 제2 사이드 멤버(350)까지 연결하고 있다.
제1 사이드 멤버(34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제2 사이드 멤버(350) 각각은 터널 브레이스(380)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널 브레이스(380)는 제1 사이드 멤버(340), 제1 사이드 멤버 인너(360), 제2 사이드 멤버 인너(370), 제2 사이드 멤버(350) 각각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 차체 구조는 하부 차체(100), 제1 환형 구조, 제2 환형 구조(30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입력 하중에 대한 입력점 강성이 최대화되고, 충돌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량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경량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하부 차체(100), 제1 환형 구조(200), 제2 환형 구조(300)

Claims (6)

  1. 하부 차체;
    상기 하부 차체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환형 구조; 및
    상기 제1 환형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차체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환형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환형 구조는,
    상기 하부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과 이격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에 양 단부가 연결된 서브 프레임;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사이드 멤버;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사이드 멤버;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서브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사이 및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터널 브레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브라켓,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브라켓, 상기 서브 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다중 환형 구조를 형성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환형 구조는,
    상기 하부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된 대쉬 크로스 멤버;
    상기 대쉬 크로스 멤버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사이드 멤버 어퍼;
    상기 대쉬 크로스 멤버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사이드 멤버 어퍼; 및
    상기 대쉬 크로스 멤버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어퍼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어퍼 사이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어퍼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어퍼에 연결된 시트 크로스 멤버
    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5. 제1항에서,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각각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터널 브레이스는 상기 제1 사이드 멤버 인너 및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인너 각각을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제1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2 사이드 멤버 사이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KR1020150178651A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KR10180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651A KR101807132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651A KR101807132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954A KR20170070954A (ko) 2017-06-23
KR101807132B1 true KR101807132B1 (ko) 2017-12-08

Family

ID=592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651A KR101807132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1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541A (ja) * 2005-03-24 2006-10-05 Toyota Motor Corp 車輌のフロア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541A (ja) * 2005-03-24 2006-10-05 Toyota Motor Corp 車輌のフロア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954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88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WO2017065086A1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US8240747B2 (en) Mounting structure of front body frame in vehicle
US9889889B2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hock absorber housing
KR101332654B1 (ko) 차량 하부 구조
US8967671B2 (en) Bolting structure of sub-frame
JP2006213208A (ja) 車体の前部構造
JP5267929B2 (ja) 車両前部の構造
KR20140011132A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 어셈블리
KR101882496B1 (ko) 플로어패널의 보강구조
KR101807132B1 (ko)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KR102237050B1 (ko) 회피거동유도타입 서브프레임 및 이를 적용한 차량
JP2019038301A (ja) 車体構造
KR101704039B1 (ko) 차량용 프런트 서스펜션 보강구조
CN109050227B (zh) 用于车辆的悬置组件
JP6102566B2 (ja) 車体クロスメンバ構造
JP6676514B2 (ja) サブフレーム
KR20200134493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20110030200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JP6214947B2 (ja) インパネ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KR101189416B1 (ko) Fr차량의 엔진룸부 보강구조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KR101295089B1 (ko) 마운트와 서브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114059B1 (ko) 연료전지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KR101114207B1 (ko) 차체 장착점과 로어암 장착점을 공유하는 프론트 서브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