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689B1 -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689B1
KR101806689B1 KR1020160049793A KR20160049793A KR101806689B1 KR 101806689 B1 KR101806689 B1 KR 101806689B1 KR 1020160049793 A KR1020160049793 A KR 1020160049793A KR 20160049793 A KR20160049793 A KR 20160049793A KR 101806689 B1 KR101806689 B1 KR 10180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lutch disc
thrust bearing
flywhee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412A (ko
Inventor
노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6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3Friction devices, e.g. 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2Features relating to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2Overheat protection, i.e.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over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는 일측이 클러치디스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타측이 플라이휠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와 마주하여, 클러치디스크의 열을 플라이휠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열전도성 재질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APPARATUS FOR COOLING CLUTCH OF VEHICLE}
본 발명은 DCT 클러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클러치 변속기(DCT: Dual Clutch Transmission)는 종래 단판클러치 변속기 시스템과 달리 2개의 클러치로 구성되어, 제1클러치는 홀수단 기어를, 제2클러치는 짝수단 기어를 단속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변속 시스템으로써, 자동변속기처럼 운전이 편할 뿐만 아니라, 수동변속기 차량보다도 더 높은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단판클러치 변속기에서 발생되는 가속정지감 현상이 없기 때문에 변속감 또한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 클러치 변속기에는 주로 건식클러치가 채용되는데, 상기 건식클러치는 토크 전달 특성을 뛰어나나 쉽게 발열된다는 단점이 있다. 클러치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클러치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클러치를 냉각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4804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클러치 디스크와 플라이휠이 서로 열전도되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의 효율적인 냉각을 수행하는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는 일측이 클러치디스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타측이 플라이휠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와 마주하여, 상기 클러치디스크의 열을 상기 플라이휠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열전도성 재질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2평면부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타측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의 타측면에는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인장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에 접촉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변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의 일측과 상기 클러치디스크의 타측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평면부의 타측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돌출부; 및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클러치 압력판에 연결되되, 상기 클러치 압력판이 센터플레이트 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돌출부를 일측으로 밀어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돌출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에 따르면, 클러치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열을 플라이휠로 전달할 수 있는바, 클러치디스크가 과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는 일측이 클러치디스크(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30)와 마주하고, 타측이 플라이휠(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50)와 마주하여, 상기 클러치디스크(20)의 열을 상기 플라이휠(40)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열전도성 재질의 스러스트 베어링(10);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클러치디스크(20)는 인게이지(engage)시에는 입력축, 클러치 압력판(60) 및 센터플레이트(70)와 연결되고, 인게이지(engage)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축과만 연결됨으로써 발생하는 열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반면, 이 발명은 클러치디스크(20)와 상시 회전하는 플라이휠(40)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10)을 적용함으로써, 클러치디스크(20)의 제한적인 연결관계를 확장하고 클러치디스크(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스러스트 베어링(10)을 통해 플라이휠(40) 측으로 전도시킴으로써 클러치디스크(20)의 과도한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평면부(30)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의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2평면부(50)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스러스트 베어링(10)이 클러치디스크(20)와 플라이휠(40)에 각각 형성된 제1평면부(30)와 제2평면부(50)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바, 열전도성 재질로 구비된 스러스트 베어링(10)을 통해 클러치디스크(20)의 열이 플라이휠(40)로 전도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에서 상기 제1평면부(30)는 상기 클러치디스크(20) 중앙부에 위치한 댐퍼스프링 상방을 덮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이는 설계자 또는 차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인바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여기서,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구성들은 클러치하우징(610) 내부에 마련되고, 입력축(600)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에서 상기 제1평면부(30)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30)의 타측면에는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인장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의 일측에 접촉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변형부재(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도 2a와 같이 상기 제1평면부(30)와 스러스트 베어링(10)의 일측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변형부재(6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클러치디스크(20)의 온도(T)가 제1설정온도(T1) 미만일 경우 상기 제1평면부(30)와 변형부재(60)는 이격된 상태로 마련된다.
반대로, 도 2b와 같이 상기 클러치디스크(20)의 온도(T)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일 경우에 상기 변형부재(60)는 팽창되어 클러치디스크(20)와 플라이휠(40)을 연결하여 서로 열을 전도시킨다.
즉, 클러치디스크(20)의 온도가 과열될 경우에만 냉각을 위해 상기 클러치디스크(20)와 플라이휠(40)을 연결시키는바, 클러치디스크(20)의 온도가 정상인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클러치디스크(20)와 플라이휠(40)을 연결시키지 않음으로 클러치디스크(20) 측의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는 상기 제1평면부(30)의 일측과 상기 클러치디스크(20)의 타측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평면부(30)의 타측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러치디스크(20)는 상기 압축스프링(70)의 압축여부에 따라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에 접촉되어 과열된 열을 플라이휠(40) 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70) 역시 열전도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클러치디스크(20)의 열을 제1평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발명은 상기 제1평면부(30)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돌출부(35); 및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35)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클러치 압력판(80)에 연결되되, 상기 클러치 압력판(80)이 센터플레이트(90) 축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돌출부(35)를 일측으로 밀어 상기 압축스프링(70)을 압축시키는 스토퍼(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 압력판(80)이 센터플레이트(90) 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인게이지되지 않은 상태(disengage)에서는 상기 스토퍼(85)가 돌출부(35)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바, 상기 제1평면부(30)는 상기 압축스프링(70)의 인장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스러스트 베어링(10)에 접촉한다. 따라서, 클러치디스크(20)의 열이 순서대로 압축스프링(70), 제1평면부(30), 스러스트 베어링(10), 제2평면부(50)을 거쳐 플라이휠(40)로 전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3b와 같이 상기 클러치 압력판(80)이 센터플레이트(90) 측으로 이동되어 인게이지(engage)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85)가 돌출부(35)를 타측으로 밀어 압축스프링(70)을 압축시킨다. 이때, 압축스프링(70)의 압축으로 인해 제1평면부(30)가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0)과 이격되어 더이상 서로간의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발명은 클러치디스크(20)가 인게이지(engage)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열전도를 실시하여 클러치디스크(20)를 냉각시키고, 클러치디스크(20)가 인게이지(engage)된 경우에는 클러치디스크(20)와 플라이휠(40)를 단절시킴으로써 클러치디스크(20) 측에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에서 상기 스토퍼(85)의 일단부는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돌출부(35)로부터 타측으로 이격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4a와 같이 상기 클러치 압력판(80)이 센터플레이트(90) 측으로 이동되어 인게이지(engage)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85)가 돌출부(35)를 타측으로 밀어 압축스프링(70)을 압축시킴으로써 제1평면부(30)와 스러스트 베어링(10)이 서로 이격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스토퍼(85)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일 경우이다.
만약, 스토퍼(85)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이면, 도 4b와 같이 스토퍼(85)의 일단부가 일측으로 휘도록 변형됨으로써 클러치디스크(20)가 인게이지(engage)된 상태이더라도 더이상 제1평면부(30)를 지지할 수 없는바, 제1평면부(30)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스러스트 베어링(10)과 접촉된다.
따라서, 클러치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었을 시, 클러치디스크(20)가 인게이지(engage)되었더라도 과열로 인해 소손될 가능성이 있는바, 플라이휠(40)과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연결시켜 냉각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클러치디스크(2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에 따르면, 클러치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열을 플라이휠로 전달할 수 있는바, 클러치디스크가 과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스러스트 베어링 20: 클러치디스크
30: 제1평면부 35: 돌출부
40: 플라이휠 50: 제2평면부
60: 변형부재 70: 압축스프링
80: 클러치 압력판 85: 스토퍼
90: 센터플레이트 600: 입력축
610: 클러치하우징

Claims (6)

  1. 일측이 클러치디스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타측이 플라이휠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와 마주하여, 상기 클러치디스크의 열을 상기 플라이휠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열전도성 재질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의 타측면에는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인장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에 접촉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변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일측이 클러치디스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타측이 플라이휠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와 마주하여, 상기 클러치디스크의 열을 상기 플라이휠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열전도성 재질의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제1평면부의 일측과 상기 클러치디스크의 타측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평면부의 타측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제1평면부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돌출부; 및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클러치 압력판에 연결되되, 상기 클러치 압력판이 센터플레이트 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돌출부를 일측으로 밀어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돌출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9793A 2016-04-25 2016-04-25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KR10180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93A KR101806689B1 (ko) 2016-04-25 2016-04-25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93A KR101806689B1 (ko) 2016-04-25 2016-04-25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12A KR20170121412A (ko) 2017-11-02
KR101806689B1 true KR101806689B1 (ko) 2017-12-07

Family

ID=6038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793A KR101806689B1 (ko) 2016-04-25 2016-04-25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00B1 (ko) * 2018-12-28 2020-08-27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차량용 토크 컨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693A (ja) 2014-01-21 2015-07-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693A (ja) 2014-01-21 2015-07-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12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679B2 (en) Method of actuating a clutch with decremental torque function
KR101806689B1 (ko) 차량용 클러치 냉각장치
CN102027256B (zh) 用于离合器的传导冷却
US8925704B2 (en) Clutch device
JPWO2013150615A1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および変速機
JPH11230192A (ja) ツインクラッチ装置
WO2010113621A1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2001311433A (ja)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US11365767B2 (en) Clutch and automobile having the same
KR101766026B1 (ko) 듀얼 클러치 장치
CN211737816U (zh) 离合器减震盖总成
KR100580845B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CN107642555B (zh) 离合器和离合器压盘
JP6631306B2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US9574620B2 (en) Clutch for vehicle
CN111102301A (zh) 离合器减震盖总成
RU184971U1 (ru) Муфта выключения сцепления
CN213176527U (zh) 一种平行式新能源两档干式双离合器
CN108533630B (zh) 一种分段压缩的波形片、从动盘总成及汽车离合器
JP2853495B2 (ja) クッション式摩擦クラッチ装置
KR101085441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KR20200045731A (ko) 변속기의 클러치 장치
JP2006275243A (ja) クラッチレリーズフォークの支持構造
KR20170026806A (ko) 클러치 냉각장치
KR20160061791A (ko) 차량용 다판 클러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